KR20160005249A -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249A
KR20160005249A KR1020140083746A KR20140083746A KR20160005249A KR 20160005249 A KR20160005249 A KR 20160005249A KR 1020140083746 A KR1020140083746 A KR 1020140083746A KR 20140083746 A KR20140083746 A KR 20140083746A KR 20160005249 A KR20160005249 A KR 2016000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ac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엠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엠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엠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08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249A/ko
Publication of KR2016000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는 비콘의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비콘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관광 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가이드 예약, 오디오 가이드 대여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개인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만으로도 간편하게 모든 관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Object information producing server using beacon signal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3년 서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1200 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느낀 불편사항으로 해마다 비슷한 사항들이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 언어소통이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었고, 안내표지판, 관광정보와 같이 관광에 필요한 기본적인 안내에 대한 사항도 불만 요소로 지적되었다.
현재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관광지 소개, 오디오 듣기, 언어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정보를 찾아 실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해당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관광 서비스는 가이드 예약, 오디오 가이드 대여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했다. 가이드를 받기 위해서는 특정시간에 방문을 해야 하거나 사전예약이 필요하고, 오디오 가이드의 경우 관람 흐름에 따라서 녹음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취향에 따른 관람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선행문헌(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8644, 등록일(2011.07.06))의 경우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로서 사용자만의 스마트 QR 코드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 및 등록하며, 이후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단말기나 특정 단말기로부터 사용자만의 스마트 QR 코드를 통해 상기 문고리 웹사이트에 접속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만의 스마트 QR 코드에 매칭된 사진, 동영상, 오디오가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QR코드는 이전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이 악용되어 QR코드에 유해 웹사이트 주소 등을 담을 수 있고 이러한 유해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리더기로 읽는다면 악성코드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비콘의 특성을 이용해 원하는 공간에 비콘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만 설치되어 있다면 서버에서 단말기를 통해 비콘의 신호 정보를 받아 그 장소, 거리, 시간에 따라 이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는 비콘의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비콘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이에 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부는 최초로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속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역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는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인식 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 정보 전송부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비콘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대상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식 대상 정보 수신부는 상기 인식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구역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관광 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가이드 예약, 오디오 가이드 대여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개인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만으로도 간편하게 모든 관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관광정보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정보를 그대로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에 필요한 비용, 시간, 인력이 절감된다.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찾는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바로 안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관광정보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거리와 시간으로 파악한 개인의 정보에 따라 관심 분야에 있어서는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적지, 박물관 외에도 한류 관광지로 확대 상품화하여 관광 스타일에 따른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beacon)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와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인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10)(beacon)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시스템은 비콘(10),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100),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10)은 근거리 통신기술로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규약을 기반으로 한다. 비콘(10)의 핵심은 저전력, 저비용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비콘(10)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최소 5Cm ~ 최대 50m 이상의 거리까지 인식이 가능하고, 비콘(10)은 정확인 위치 인식을 통해 서비스와 접목하여 그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시간과 공간에 따라 제공하는 정보를 변경 또는 추가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GPS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NFC보다 거리의 접근성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100)는 비콘(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비콘(10) 식별 정보와 신호의 세기 정보를 인식한 다음 인식된 인식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인식 정보로서 비콘(10) 식별 정보와 신호의 세기 정보를 입력 받고, 비콘(10)의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대상 정보를 다시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는 입력부(210), 판단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210)는 비콘(10)의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10)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계층적으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가장 넓은 구역을 정의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식별 정보로 지정하고, 제1 식별 정보가 정의하는 구역에 포함된 다음 순의 넓은 구역을 정의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식별 정보가 정의하는 구역보다 좁은 구역을 정의하는 식별정보는 제3 식별 정보로 지정될 수 있다.
문화재를 예로 들면, 경복궁에 광화문, 근정전, 경회루, 고궁 박물관이 포함된 경우 경복궁을 정의하는 식별 정보를 제1 식별 정보로 지정하고, 광화문, 근정전, 경회루, 고궁 박물관을 정의하는 식별 정보를 제2 식별 정보로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식별정보에는 동등한 레벨의 복수의 문화재에 대해서는 제2 식별정보-1, 제2 식별정보-2 등으로 각각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미술관과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작가가 있는 경우 작가를 제1 식별 정보로 지정하고, 작가의 각 연대를 제2 식별 정보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황에 맞는 기준에 따라 계층적으로 식별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 판단부(220)는 입력된 비콘(10)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신호는 무시(삭제)하도록 하여 유해 정보로부터의 사용자의 노출을 피할 수 있다.
다음, 전송부(230)는 미리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10)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의 경우 저장부(300)를 서버(200) 외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미리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 경우 이에 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00)를 서버(200) 내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판단부(220)는 상기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부(230)는 최초로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경복궁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는 광화문을 제일 먼저 방문할 수도 있고, 다른 문화재를 먼저 방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가 경복궁에 속하는 문화재 중 어떠한 문화재를 먼저 방문하는 것과 무관하게 가장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문화재의 정보, 즉 본 실시예에서는 경복궁에 대한 정보를 먼저 대상 정보로 전송하고, 방문한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이후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미술관의 경우에는 다양한 작가의 작품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 새로운 작가의 작품을 처음 접하는 경우에는 작가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전송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210)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230)는 상기 지속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역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비콘(10) 식별 정보 외에 신호의 세기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 받는데, 신호의 세기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기준치 이상의 세기를 가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무분별한 정보의 전송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신호의 세기 정보를 통해 거리를 인식하여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제공되는 대상 정보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비콘(10) 신호를 소정의 값 이상의 세기로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비콘(10) 신호를 통해 식별하여 전송하는 대상 정보의 대상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좀더 자세한 구역 부가 정보를 더욱 전송할 수도 있다.
나아가, 비콘(10) 신호의 세기 정보와 이러한 비콘(10) 신호의 지속 정보의 통계를 통해 사용자가 어떠한 대상에 관심이 더 있는지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술관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A라는 작가의 작품에 대하여 지속 정보가 수신하고 B라는 작가의 작품에 대해서는 지속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서버(200)는 사용자가 A라는 작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다고 판단하여 A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미리 예측하여 좀 더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B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가가 아니라, 비콘(10) 식별 정보가 작품의 장르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의되는 경우에는 관심 있는 장르를 지속 정보를 통해 인식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단말기(100)는 수신부(110), 인식부(120), 인식 정보 전송부(130), 대상 정보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인식부(12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10)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식별 정보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신호의 세기 정보를 함께 인식하여 사용자의 접근 거리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인식 정보 전송부(130)는 인식된 인식 정보를 상술한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 즉, 서버(200)로부터 단말기(100)가 수신한 비콘(10)에 대한 대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비콘(10) 신호로부터 인식된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대상 정보 수신부(140)는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비콘(10)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10)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100)의 인식 정보 전송부(130)는 상술한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와 대응되도록,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인식 대상 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인식 정보 전송부(130)에서 상기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상기 비콘(10) 식별 정보 또는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구역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한다.
이하 도 4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콘(10)(beacon)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대상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와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인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송수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식 대상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대기시킨다(S1),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비컨 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함께 구동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 대기된 경우 송수신 단말기(100)의 수신부(110)는 설치된 비콘(10)의 신호를 감지(수신)한다(S2). 이때 본 실시예에서 경복궁을 관람한다고 예를 들면, 경복궁에 설치한 모든 비콘(10)의 제1 식별정보(major ID)를 그룹지어 경복궁으로 지정되며 광화문, 근정전, 경회루, 고궁박물관 등 각 문화재 구역별로 제2 식별정보(minor ID)가 지정될 수 있다.
다음 인식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경복궁 근처에 접근하여 해당 구역의 비콘(10) 신호가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인식되면 수신된 신호로부터 비콘(10) ID(UUID, Major ID, Minor ID), 단말기(100) ID, 신호 세기(immediate, near, far) 정보를 인식하고, 전송부(230)는 서버(200)에 인식된 정보를 전송한다(S3).
따라 비콘(10)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200)의 입력부(210)는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 받고, 판단부(220)는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S4).
판단부(220)에서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를 삭제한다(S5).
등록된 비콘(10)의 신호인 경우에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를 로그로 저장부(300)에 남기고 설정되어 있는 해당 대상 정보(메시지, API 연동, 웹페이지 연결)를 전송부(23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
이때, 로그 정보를 통해 경복궁 근처에 최초로 접근한 경우 major ID 설정에 따라 경복궁임을 알리는 대상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7).
상술한 단계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콘(10)(beacon)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시스템은 대상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연속적인 대상 정보 제공의 예를 설명한다. 서버(200)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
도 5의 S52내지 S60단계는 상술한 S2 내지 S7단계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다음, 사용자가 광화문으로 이동하면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이 광화문에 설치된 비콘(10) 정보를 인식하고(S62) 비콘(10) ID(UUID, Major ID, Minor ID), 단말기(100) ID, 신호 세기(immediate, near, far)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64). 이동 거리에 따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이 신호 세기(immediate, near, far)를 판단(S62)하여 서버(200)에 전송한다(S64).
서버(200)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S66).
서버(200)는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경우 전송된 정보를 삭제하고(S67) 등록된 경우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를 로그로 남기고 minor ID 설정에 따라 신호 세기(immediate, near, far)에 해당하는 정보(메시지, API 연동, 웹페이지 연결)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S68).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70).
다음 사용자가 광화문을 지나 근정전으로 이동한다.
근정전으로 이동 시 근정전에 설치된 비콘(10) 신호가 전송되는 최대 거리(50m)안에 단말기(100) 소지자가 들어오면 비콘(10) 신호 감지한(S72)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이 비콘(10) ID(UUID, Major ID, Minor ID), 단말기(100) ID, 신호 세기(far)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74).
서버(200)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S76).
서버(200)는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경우 전송된 정보를 삭제하고(S77) 등록된 경우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를 로그로 남기고 근정전 구역의 minor ID 설정에 따라 신호 세기(far)에 해당하는 정보(근정전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S78).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80).
단말기(100) 소지자가 근정전에 가까이 접근하여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이 신호 세기(near)를 감지(S82)하면 서버(200)로 전송한다(S84).
서버(200)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S86).
서버(200)는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경우 전송된 정보를 삭제하고(S87) 등록된 경우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를 로그로 남기고 근정전 구역의 minor ID 설정에 따라 신호 세기(near)에 해당하는 정보(메시지, API 연동, 웹페이지 연결)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S88).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90).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00)의 인식 정보 전송부(130)는 사용자가 근정전에 머무르는 동안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근정전에 설치된 비콘(10)의 신호를 계속해서 받지만 그 정보를 서버(200)로 계속 전송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서버(200)에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근정전에서 관람을 지속하여 신호 세기(near, immediate)가 5분(설정에 따른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지속 정보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이 서버(200)에 정보를 전송한다(S92).
서버(200)는 단말기(100)에서 받은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비콘(10)인지 확인한다(S94).
서버(200)는 등록되지 않은 비콘(10)의 경우 전송된 정보를 삭제하고(S95) 등록된 경우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새로운 정보(비콘(10) ID, 단말기(100) ID, 신호 세기)를 받으면 그에 대한 정보 전송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정보 전송 설정이 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추가적인 대상 부가 정보(메시지, API 연동, 웹페이지 연결)를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S96).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98).
다음, 사용자가 근정전을 끝으로 경복궁 관람을 마치고 경복궁에 설치된 비콘(10) 신호를 벗어나면 단말기(100)에 경복궁의 식별 정보를 갖는 비콘(10)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게 되고(S102), 인식 정보 전송부(130)는 감지되지 않는 정보로서 신호없음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04), 서버(200)에서 경복궁 방문에 대한 감사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로그 역시 저장하게 된다(S106).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대상 정보를 표시한다(S108). 즉, 사용자가 근정전을 끝으로 경복궁 관람을 마치고 경복궁에 설치된 비콘 신호를 벗어나면 서버에서 경복궁 방문에 대한 감사 정보를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관광 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가이드 예약, 오디오 가이드 대여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개인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만으로도 간편하게 모든 관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관광정보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정보를 그대로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에 필요한 비용, 시간, 인력이 절감된다.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찾는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바로 안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관광정보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거리와 시간으로 파악한 개인의 정보에 따라 관심 분야에 있어서는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적지, 박물관 외에도 한류 관광지로 확대 상품화하여 관광 스타일에 따른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비콘의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비콘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이에 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부는 최초로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속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역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5.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층적으로 구분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의 세기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인식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 전송부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고, 상기 소정의 값 이상인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대한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비콘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비콘의 신호인 경우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대상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대상 정보 수신부는 상기 인식 정보 전송부에서 상기 지속 정보를 더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된 인식 정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식별 정보 또는 신호의 세기 정보에 따른 구역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KR1020140083746A 2014-07-04 2014-07-04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KR20160005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46A KR20160005249A (ko) 2014-07-04 2014-07-04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46A KR20160005249A (ko) 2014-07-04 2014-07-04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49A true KR20160005249A (ko) 2016-01-14

Family

ID=5517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46A KR20160005249A (ko) 2014-07-04 2014-07-04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37A (ko) * 2018-05-23 2019-12-0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캐릭터 단말을 이용한 방문지 관련 서비스 보안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24381A (ko) * 2019-08-23 2021-03-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rssi 신호세기 기반의 ar 및 vr 컨텐츠 초고속 재생 장치 및 컨텐츠 초고속 재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37A (ko) * 2018-05-23 2019-12-0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캐릭터 단말을 이용한 방문지 관련 서비스 보안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24381A (ko) * 2019-08-23 2021-03-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rssi 신호세기 기반의 ar 및 vr 컨텐츠 초고속 재생 장치 및 컨텐츠 초고속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029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US8185601B2 (en) Shar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CN108124297B (zh) 用于提供无线接入点的接入点信息的方法与设备
US105542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96707B1 (ko) 근거리 무선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105809A (zh) 提供大型建筑物内部的定位和导航的方法
CN101409748A (zh) 一种移动终端的信息收集、索引、订阅发布系统和方法
CN101554067A (zh) 设备的自动本地化
US101875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documents using print hardware and automatic print device identification based on context correlation
KR20130120417A (ko) 무선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 장비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공간에 매핑된 정보를 액세스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장비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공간에 매핑된 정보를 액세스하는 장치
US20170272565A1 (en) Web page access method and web server access method
US8995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0346344C (zh) 标记选择装置、标记选择系统以及标记选择方法
KR10138814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597668B1 (ko) Nfc 장치와 비콘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전화 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1388148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6061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5249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대상 정보 제공 서버 및 인식 정보 송수신 단말기
KR20150089822A (ko) 서비스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Muddinagiri et al. Proximity marketing using Bluetooth low energy
KR10138815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2152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388149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05224659A (zh) 信息获取方法和装置
KR20160149032A (ko) 비콘신호을 이용한 방문객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