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171A -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 Google Patents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171A
KR20160005171A KR1020140083026A KR20140083026A KR20160005171A KR 20160005171 A KR20160005171 A KR 20160005171A KR 1020140083026 A KR1020140083026 A KR 1020140083026A KR 20140083026 A KR20140083026 A KR 20140083026A KR 20160005171 A KR20160005171 A KR 2016000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thin film
business card
layer
electronic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형
윤재호
어영주
김종욱
박민희
배치혜
유수진
손경희
최하얀
김용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171A/ko
Publication of KR2016000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명함에 부착된 태양광 박막전지로 저전력의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와 필름스피커를 구동하는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이다. 본 디지털 명함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명함 수여자가 명함을 받는 순간 자동적으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상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동시에 필름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메시지를 출력하여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어 명함 공여자는 효율적이고 개성있게 본인을 어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Digital Business Card Using Thin Film Solar Cell Battery}
본 발명은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명함에 부착된 태양광 박막전지로 저전력의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구동하는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와 에너지 고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대체 에너지로서의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양광발전(PV, Photovoltaic)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방식으로 태양전지(모듈), 피시에스(PCS), 축전장치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가장 일반적인 실리콘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 및 발전원리를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키고 (p-n 접합) 양단에 금속전극을 코팅하여 제작한다. 태양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 내부에서 흡수되면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여 p-n 접합부 전기장에 끌려 전자는 n측으로 정공은 p측으로 새로운 흐름이 생기면 접합부 양단의 전위차가 작아진다. 즉 반도체가 태양 빛을 흡수하면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인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 반도체 접합부에 태양 빛이 입사되면 접합부에서 전자가 발생하여 외부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태양광 시스템은 빛을 받아서 전기로 전환시켜 주는 부분(모듈)과 생산된 전기를 수요에 맞도록 교류로 변환시키고 계통에 연결시켜 주는 부분(PCS)으로 구성된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 기기 중 핵심부품은 태양전지이다. 태양전지는 기본적으로 반도체 소자 기술로서 태양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전기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레이저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 정보 표시 소자와 작동 방향이 반대일 뿐 기본 구조나 재료특성이 동일하다.
태양전지의 최소단위를 셀이라고 하며 보통 셀 1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이 약 0.5V로 매우 작으므로 다수의 태양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범위에 따라 실용적인 범위의 전압과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1매로 패키징하여 제작된 발전장치를 태양전지 모듈(PV Module)이라고 한다. 태양전지 모듈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유리, 완충재 및 표면제 등을 사용하여 패널 형태로 제작하며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가진 출력을 인출하기 위한 외부단자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에 태양 빛이 많이 입사할 수 있도록 경사각, 방위각 등의 설치조건을 고려, 가대 및 지지대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범위에 맞게 구성한 발전장치를 태양전지 어레이(PV Array)라고 한다.
태양광발전용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는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발전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장치를 말한다. 피시에스(PCS)는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발전한 직류전원을 상용계통과 같은 전압과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인버터이기 때문에 피시에스(PCS)를 인버터라고도 한다. 피시에스(PCS)는 인버터, 전력제어장치 및 보호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전지 본체를 제외한 주변장치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태양광발전 시스템 태양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시스템으로 일사강도, 온도 등의 설치조건에 따른 환경변화, 구성 요소 기기 및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설계시공에 따라서 발전성능이 결정된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설치장소, 방식, 정격, 구성 등이 같다고 하더라도 설치장소의 환경변화에 따라서 성능특성은 변화된다. 친환경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이용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광범위하고 다양화되는 사용자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 신뢰성과 안정성을 가진 시스템들이 기술개발이 점점 중요하게 된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최대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성능화와 설치조건 및 설계시공에 따른 성능추정, 발생손실 등의 종합적인 성능특성을 정량화가 필요하다. 성능평가 및 진단은 태양전지 모듈, 피시에스(PCS), 가대 및 지지대, 커넥터 등의 구성요소 기기의 저가화, 성능향상, 수명예측, 맞춤형 설계시공 및 유지점검 기술개발에 중요하다. 또한 대규모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연계제어기술, 전력품질 및 공급안정화와 전력저장기술에 대해서도 검토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 1330269호
최근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이 명함은 획일적 디자인 및 보관상의 문제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개성 있는 명함을 제작하기 위한 여러 노력이 있어 왔다. 특히 IT 시대에 부응하는 임팩트 있는 명함을 제작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명함에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의 IT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 공급원으로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와 필름스피커를 적용함으로써 명함의 시각 및 청각적 효과를 노릴 뿐 아니라 전력 문제 또한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장폭부 또는 단폭부 일측면에 접합되며 터치센서를 구비한 터치인식부, 상기 터치인식부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나머지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상기 터치인식부의 층간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을 제공한다.
또한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면 전체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으로 접합하되,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은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터치인식이 가능한 것으로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전체면에 접합되며 터치센서를 구비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의 층간 장폭부 또는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명함을 제공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은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명함 수여자가 명함을 받는 순간 자동적으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상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동시에 필름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메시지를 출력하여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어 시청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명함 공여자는 효율적이고 개성있게 본인을 어필하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은 전력 공급을 위해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태양광 박막전지를 통해 명함을 주고 받을 때 입사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친환경적이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는 한 번 전기장에 의해 이동한 입자들이 더 이상의 전력 소모 없이도 그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화면으로 전환시에만 추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여타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사이에 필름스피커를 도입하여 명함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가 적을 뿐 아니라, 플렉서블(flexible)하고 가볍기 때문에 종이명함의 장점을 유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후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후면부, 측면부 및 정면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사용예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작동방법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명함에 부착된 태양광 박막전지로 저전력의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와 필름스피커를 구동하는 디지털 명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분해 사시도로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10),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단폭부 일측면에 접합되며 터치센서를 구비한 터치인식부(20), 상기 터치인식부(20)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나머지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과 상기 터치인식부(20)의 층간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명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후면부 사시도로서, 태양광 박막전지층(10)으로 입사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전변환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되며,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과 상기 필름스피커를 구동하는 공급전력으로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명함에 적용되는 태양광 박막전지(10)는 명함을 주고받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태양광 에너지의 입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되므로,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와 필름스피커를 도입하여 층간 적재로 인한 부피를 줄이는 것이 기술적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은 두 개의 전극 층 사이에 투명한 기름과 함께 양전하를 띠는 흰색입자와 음전하를 띠는 검정색 입자를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전기장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이 이동하여 그림이나 글자를 표현하는 기술이다. 전자잉크의 장점은 한번 입자가 이동하고 나면 전기가 통하지 않아도 화면이 유지되어 화면의 내용을 바꿀 때에만 전력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전력 소모가 낮다. 이에 나아가 컬러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름스피커는 이소불화비닐(PVDF)을 특수처리하여 압전 플라스틱에 전극을 형성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소불화비닐(PVDF) 필름에 그래핀(graphene)을 고르게 코팅한 필름스피커를 적용하면 중저음대인 100㎐부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최대 고음인 20㎑ 이상까지 음역대를 소화할 수 있으며, 부착이 용이하고, 기존 스피커에 비해 전력 소모량도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명함에서, 터치인식부(20),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의 위치를 변형한 것으로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10),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장폭부 일측면에 접합되는 터치인식부(20), 상기 터치인식부(20)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나머지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과 상기 터치인식부(20)의 층간 장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명함도 가능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명함에서,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면에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과 터치인식부(20)가 구획을 나누어 설치되었던 것에서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면 전체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으로 접합하되,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은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터치인식이 가능한 것으로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10),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전체면에 접합되며 터치센서를 구비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의 층간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명함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의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면 전체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으로 접합하는 디지털 명함에서 터치인식부(20),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의 위치를 변형한 것으로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10),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전체면에 접합되며 터치센서를 구비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과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의 층간 장폭부 일측에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명함도 가능한 실시예이다.
상기 터치인식부(20)의 터치센서로 적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는 저항막(감압식) 방식, 정전용량 방식이 대표적이다. 저항막(감압식) 방식은 판상의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위에 저항 성분의 물질을 코팅하고, 그 위에 폴리에스티렌 필름을 덮어 씌워, 두 면이 서로 닿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봉을 설치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저항막의 양단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면 저항막이 저항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양단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때 손가락으로 접촉시 위쪽 표면의 폴리에스티렌 필름이 휘어 두 면이 접촉하게 되고, 두 면의 저항 성분 때문에 저항의 병렬 접속과 같은 형태가 되므로 저항값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전압의 변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전압의 변화 정도로 접촉된 손가락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저항막(감압식) 터치 방식은 저렴하고 좁은 면적에도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압력을 이용한 방식이기 때문에 오히려 세게 누르면 인식이 되지 않고 정전식 터치 방식에 비해 터치감이 상대적으로 둔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한편 정전용량 방식은 압력을 이용하는 저항막(감압식) 터치 방식과는 달리 ITO(Indium Tin Oxide)라는 전도성이 높은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 모서리에 센서가 부착되어 유리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통하여 전류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이다. 손가락으로 접촉한 순간 유리에 흐르던 전자가 손가락을 통해 몸 안으로 흐르게 되어 이때 변화가 일어난 전자에 위치를 센서가 감지하여 동작하게 된다.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은 저항막(감압식) 방식에 비해서 조작감과 스크롤이 부드럽고 여러 군데 터치가 가능한 멀티 터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전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류가 통하지 않는 손톱, 스타일러스 펜으로는 조작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가 민감하기 때문에 주변 기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저항막(감압식) 방식, 정전용량 방식 이외에도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하중분압 방식, 금속세선 매립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명함 공여자의 소속기관(단체)명, 직급, 직책,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소속기관(단체)의 마크, 로고, 개인 사진, 로고송, 인사말 및 홍보메시지를 저장하게 되고,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40)에서 프로세서는 터치인식부(20) 또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에 구비된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멜로디 또는 메시지를 상기 필름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은 터치인식부(20) 또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에 구비된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저장된 정보를 문자 또는 이미지로 영상화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10)과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은 유연한 플렉서블 소재를 적용하고, 특히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CI(G)S(CuIn(Ga)Se2)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a-Si) 태양전지, 연료감응 태양전지(DSS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명함의 모서리부를 라운드 처리하거나, 직사각형 모양에서 나아가 그밖에 다각형 및 타원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 또한 가능한 실시예이다.
Figure pat00001
(단 면적/전력은 소면적 셀 효율(16%)을 기준으로 계산)
도 3은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후면부, 측면부 및 정면부의 예시도로서, 후면부 태양광 박막전지층(10)에는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준 명함 크기의 약 1/7 면적만으로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 가능하므로 컬러 패턴이나 투명 패턴을 인쇄하여 데코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사용예인 설명도로서, 명함 공여자가 명함 수여자에게 터치인식부(20)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을 통해 저장된 명함 공여자의 정보가 문자로서 예컨데 소속기관(단체)명, 직급, 직책,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또는 이미지로서 예컨데 소속기관(단체)의 마크, 로고, 개인 사진 등으로 영상화되며 또한 필름스피커를 통해 저장된 멜로디로서 예컨데 로고송 또는 메시지로서 예컨데 인사말이나 홍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작동방법 순서도로서, 먼저 명함 수여자가 명함 공여자로부터 본 발명의 디지털 명함을 전달받으면 본 발명인 디지털 명함의 터치인식부(20) 또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에 구비된 터치센서가 감응하게 되고, 상기 터치센서에 연결된 프로세서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과 필름스피커에 전송하면, 상기 전자잉크 플레이층(30)과 상기 필름스피커가 전송받은 정보 상술한 소속기관(단체)명, 직급, 직책,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소속기관(단체)의 마크, 로고, 개인 사진, 로고송, 인사말이나 홍보메시지 등을 영상화 및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되는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30) 이면에 접합된 태양광 박막전지층(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태양광 박막전지층
20. 터치인식부
30.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40.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

Claims (14)

  1.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있어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단폭부 일측면에 접합되는 터치인식부;
    상기 터치인식부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나머지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상기 터치인식부의 층간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전력공급원이며,
    상기 터치인식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2.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있어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장폭부 일측면에 접합되는 터치인식부;
    상기 터치인식부가 접합되지 않은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나머지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상기 터치인식부의 층간 장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전력공급원이며,
    상기 터치인식부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은 상기 터치인식부의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함 공여자의 소속기관(단체)명, 직급, 직책,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소속기관(단체)의 마크, 로고 및 개인 사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필름스피커는 상기 터치인식부의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로고송, 인사말 및 홍보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6.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있어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전체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의 층간 단폭부 일측에 내장되는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전력공급원이며,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은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7.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에 있어서,
    장폭부와 단폭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태양광 박막전지층;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의 태양광 입사면 반대측 전체면에 접합되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및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과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의 층간 장폭부 일측에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전력공급원이며,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은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은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함 공여자의 소속기관(단체)명, 직급, 직책,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소속기관(단체)의 마크, 로고 및 개인 사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필름스피커는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의 터치센서에 감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로고송, 인사말 및 홍보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11. 제 1항 또는 제 2항 내지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스피커와 프로세서 유닛에서 필름스피커는 이소불화비닐(PVDF) 필름에 그래핀(graphene)을 코팅한 필름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12. 제 1항 또는 제 2항 내지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박막전지층은 CI(G)S(CuIn(Ga)Se2)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a-Si) 태양전지, 연료감응 태양전지(DSS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13. 제 1항 또는 제 2항 내지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저항막(감압식)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하중분압 방식 또는 금속세선 매립 방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14. 제 1항 또는 제 2항 내지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광 박막 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ⅰ) 디지털 명함의 터치인식부 또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에 구비된 터치센서가 감응하는 단계;
    ⅱ) 상기 터치센서에 연결된 프로세서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과 필름스피커에 전송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전자잉크 플레이층과 상기 필름스피커가 전송받은 정보를 영상화 및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ⅰ) 내지 ⅲ) 단계는 상기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층 이면에 접합된 태양광 박막전지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의 작동방법.
KR1020140083026A 2014-07-03 2014-07-03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KR20160005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26A KR20160005171A (ko) 2014-07-03 2014-07-03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26A KR20160005171A (ko) 2014-07-03 2014-07-03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171A true KR20160005171A (ko) 2016-01-14

Family

ID=5517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026A KR20160005171A (ko) 2014-07-03 2014-07-03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1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078A (ko) * 2021-09-29 2023-04-05 김병수 전자명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078A (ko) * 2021-09-29 2023-04-05 김병수 전자명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080B2 (en) Color filter substrate with photovoltaic conversion layer,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3456243B (zh) 一种幕墙
CN201689405U (zh) 自发电触摸显示装置
US9990879B2 (en) Display device with solar cell module
TW201042196A (en) Solar energy lamp having fiber display
CN203480775U (zh) 一种幕墙及显示装置
CN202888194U (zh) 用于物联网中的印制柔性薄膜太阳能电池
CN103337538A (zh) 一种手机屏幕嵌入式太阳能电池
CN103988246B (zh) 一种双面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60005171A (ko) 태양광 박막전지를 이용한 디지털 명함
US9831826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1727786B (zh) 太阳能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206020896U (zh) 显示面板
CA2937217C (en) Self-dimming system
CN206892838U (zh) 一种光伏节能触控显示屏
EP2418690A3 (en) Solar cell panel
CN115202125A (zh) 显示面板和显示模组
CN106887189B (zh) 一种有机光伏实时显示系统
CN202003515U (zh) 具有透明薄膜太阳能电池的电子书
CN207264710U (zh) 一种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1293512U (zh) 一种低温工作的液晶显示模组
TWM351425U (en) Optoelectronic billboard
CN213399536U (zh) 一种显示结构及电子设备
CN207424451U (zh) 背光模块、液晶显示器及电子设备
CN209993203U (zh) 光伏瓦发电演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