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815A - 목걸이 보관함 - Google Patents

목걸이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815A
KR20160004815A KR1020140083859A KR20140083859A KR20160004815A KR 20160004815 A KR20160004815 A KR 20160004815A KR 1020140083859 A KR1020140083859 A KR 1020140083859A KR 20140083859 A KR20140083859 A KR 20140083859A KR 20160004815 A KR20160004815 A KR 2016000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case
neckline
storage contain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925B1 (ko
Inventor
김갑범
Original Assignee
(주)99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99샵 filed Critical (주)99샵
Priority to KR102014008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외부몸체를 이루는 함체(3); 및 상기 함체(3) 내에 복수로 구비되어, 목걸이(L)를 담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용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용기(5)는, 용기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목걸이(L)를 수용하는 케이스(11); 및 각각의 상기 케이스(1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1)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목걸이(L)의 목줄(C) 일단을 걸어 상기 목걸이(L)를 각각의 상기 케이스(11)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이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함체 내 복수의 수납용기를 통해 한 두 개씩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되는 각각의 목걸이가 걸이대에 의해 수납용기 내에 일부분이 위로 들린 상태로 수용되므로, 수용된 목걸이가 자체로 또는 이웃한 목걸이와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목걸이 보관함{Necklace Box}
본 발명은 목걸이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개의 목걸이를 팬던트 부분 등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개별 수납용기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함체에 복수의 목걸이를 수용하더라도, 목걸이 자체로 또는 목걸이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목걸이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보관함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목걸이를 동시에 수용하여 보관하는 상자로서, 특별한 형태나 구조로 특정된 바 없으며, 통상은 높이가 높지 않은 네모난 또는 둥근 상자 안에 수용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목걸이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목걸이 보관함이 제조, 판매되고 있는 바, 이러한 목걸이 보관함의 일 예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되어 있다.
이 목걸이 보관함(10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 함체(103)에 뚜껑(109)이 덮힌 상자 형태로서, 함체(103) 내부가 간막이(105)에 의해 격자 상으로 분할되어, 목걸이(L)를 몇 가지 즉, 도면 상 6 가지로 구분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목걸이 보관함(101)은 간막이(105)로 이루어지는 개별 수용공간(107)마다 둘 이상 복수로 목걸이가 들어가는 경우, 한 수용공간(107) 내에 수용된 목걸이 들끼리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등 취급이나 보관이 매우 불편해 지고, 심한 경우 목걸이에 손상되기까지 발생하는 사용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나의 수용공간(107)에 하나의 목걸이만 들어가는 경우에도 목걸이의 목줄이 길고 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체로 꼬이거나 엉켜 취급이나 보관이 불편하고 또는 손상이 발생하는 등 사용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목걸이 보관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함체에 여러 개의 목걸이를 동시에 보관함에 있어, 복수의 구비된 수납용기 각각에 목걸이를 하나 또는 둘 정도 소수로 수용하고, 수납용기에 수용될 때 각각의 목걸이가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목걸이 각각이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목걸이와 엉키거나 꼬여 사용 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몸체를 이루는 함체; 및 상기 함체 내에 복수로 구비되어, 목걸이를 담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용기는, 용기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목걸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각각의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목걸이의 목줄 일단을 걸어 상기 목걸이를 각각의 상기 케이스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이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 보관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이대는,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목줄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를 상기 바닥면 위에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 위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를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대는 상기 목줄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치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목걸이의 팬던트는 걸리되, 상기 목줄은 통과시키는 목줄구멍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안쪽에서 외주 모서리까지 반경방향으로 절결된 목줄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중심을 향하여 경사져 내리는 깔대기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목줄의 일단을 거는 걸림돌기가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목줄의 타단을 통과시키는 목줄구멍 또는 목줄슬릿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중심을 향하여 경사져 내리는 깔대기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납용기는 상기 목걸이가 수용된 상기 케이스 내부를 마감하도록 입구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목걸이를 담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목걸이의 목줄 일단을 걸어 상기 목걸이를 상기 케이스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이대; 및 상기 목걸이가 수용된 상기 케이스 내부를 마감하도록 입구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걸이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걸이 보관함에 따르면, 하나의 함체 내에 복수의 수납용기가 수용되고, 각각의 수납용기 내에 한 두 개 정도의 목걸이를 수용함에 있어, 각각의 목걸이 들이 팬던트 유무의 구조적 차이와 관계없이 걸이대를 통해 수납용기 내에 한 쪽 일부분이 위로 들린 상태로 수용되므로, 목걸이 자체로 또는 이웃한 목걸이와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목걸이 보관함에서 목걸이를 쉽게 빼내어 사용하거나 보관함에 쉽게 정리해 넣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목걸이를 거치하는 걸이대가 케이스와 분리되어, 목걸이를 수납용기에 넣고 뺄 때 목걸이를 직접 붙잡기에 앞서 걸이대에 먼저 수납용기에 넣거나 빼낸 다음, 걸이대에 목걸이를 걸거나 빼낼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이 걸이대를 이용해 목걸이를 꼬이거나 엉키지 않게 수납용기 내에 수용하면서도, 그러한 동작 자체로 인해 하등의 어려움도 발생하지 않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목걸이 보관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보관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납용기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보관함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보관함은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함체(3)와 수납용기(5)로 구성되며, 수납용기(5)는 다시 케이스(11)와 걸이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함체(3)는 목걸이 보관함(1)의 외부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7)와 본체캡(9)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체(7)에는 복수로 구비된 수납용기(5)가 채워지는데, 본체(7)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 채워지는 수납용기(5)를 일정한 배열로 꽉 채워 넣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유롭게 배열되도록 꽉 채우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수납용기(5)는 내부에 꽉 채워지는 경우 움직이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므로 별도로 캡(12)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나, 꽉 채우지 않은 경우 쓰러질 수 있으므로 캡(12)이 꼭 필요하다. 한편, 본체캡(9)은 본체(7) 개방측에 착탈되는 덮개수단으로서, 보관함(1)을 개폐하도록 본체(7)와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바, 도 2와 같이 수납용기(5)가 본체(7) 내에 움직이지 않도록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용기(5)는 목걸이(L)를 직접적으로 담는 용기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많아야 두세 개 정도의 목걸이(L)를 각각 수용하는 바, 다시 케이스(11)와 걸이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11)는 수납용기(5)의 용기몸체를 이루면서 걸이대(13)를 통해 직접적으로 목걸이(L)를 수용하는 용기수단으로서, 위 함체(3)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외형을 갖도록 제작이 가능한 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원통형은 물론 사각통형 또는 삼각통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그 재질에 있어서도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스(11)는 위에서 이미 언급했다시피, 수납용기(5)가 함체(3) 내에 움직이지 않게 수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캡(12)이 필요 없지만, 반대로 움직일 수 있게 따라서 옆으로 넘어질 수 있을 정도로 헐겁게 수용되는 경우에는 캡(12)을 필요로 한다. 이때, 캡(12)은 복수의 수납용기(5)의 케이스(11) 입구에 각각 결합되는 바, 케이스(11)를 마감함으로써, 수납용기(5)가 넘어져도 케이스(11) 내에 목걸이(L)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이대(13)는 각각의 수납용기(5)에 수용되는 목걸이(L)를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납용기(5) 케이스(11) 내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이 케이스(11)와 일체로 또는 별체로 제작되는 바, 케이스(11)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목걸이(L) 일부분을 유지시킴으로써, 목걸이(L)의 나머지 부분이 케이스(11) 바닥면(15)에 가지런히 놓이게 한다.
이를 위해, 걸이대(13)는 케이스(11)와 별체로 되어 있는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받침부(21), 지지부(23), 및 인출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21)는 수납용기(5) 내에 수용되는 목걸이(L)의 팬던트(P) 또는 팬던트(P)가 없는 경우 목줄(C)의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대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5)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부(23)에 부착됨으로써, 목걸이(L)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친다. 다만, 도시된 것처럼, 걸이대(13)가 케이스(11)와 별체로 제작된 경우, 받침부(21)는 인출부(25)를 통해 케이스(11) 내에 삽탈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목걸이(L)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부(21)는 목걸이(L)의 구조에 따라 그 형태로 두 가지로 대별되는 바, 목걸이(L)가 도시된 것처럼 팬던트(P)와 목줄(C)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팬던트(P) 부분은 위에 걸려 얹히되, 목줄(C) 부분은 팬던트(P)에서 아래로 늘어져 케이스(11) 바닥면(15)에 가지런히 놓이도록 하며, 목줄(C)을 통과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에 목줄구멍(31)이 관통된다.
그러나, 목줄구멍(31)의 직경을 줄이는 경우 즉, 크기가 작은 팬던트(P)도 받침부(21) 위에 걸리게 하는 경우, 도 4의 목걸이(L)처럼 목줄(C)은 가늘어도 후크(H)가 굵어 목줄구멍(31)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받침부(21)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쪽의 중심 부분에서 외주 모서리까지 반경방향으로 목줄슬릿(33)을 절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21)는 후크(H)의 크기가 커도 목줄(C)의 굵기만 가늘다면, 목줄슬릿(33)을 통해 쉽게 목걸이(L)를 얹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후크(H)가 큰 목걸이(L)를 목줄슬릿(33)을 통해 받침부(21)에 쉽게 얹기 위해서는 걸이대(13)가 케이스(11)로부터 탈거 가능한 구조일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받침부(21)는 통상 평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이 목걸이(L) 특히, 목줄(C)을 먼저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의 내측단을 통해 아래로 통과시키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이러한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시된 것처럼,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의 내측단이 위치하는 중심을 향하여 경사져 내리는 깔대기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목걸이(L)가 팬던트(P) 없이 목줄(C)로만 이루어진 경우, 받침부(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C)의 일단을 걸 수 있는 걸림돌기(35)가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 내측단과 인접한 위치에 돌출된다. 따라서, 팬던트 없는 목걸이(L)는 걸림돌기(35)에 목줄(C) 일단이 걸리고 나머지 부분은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을 통해 케이스(11) 바닥에 가지런히 놓임으로써, 팬던트(P) 없이도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수납용기(5)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걸림돌기(35)가 있는 받침부(21)도 당연히 팬던트(P)가 있는 목걸이(L) 수납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받침부(21)도 또한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을 향하여 경사져 내리는 깔대기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3)는 위와 같은 받침부(21)를 케이스(11) 내에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1)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1) 바닥면(15)에 지지됨으로써, 받침부(21)를 지지한다.
상기 인출부(25)는 받침부(21)를 수납용기(5)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파지하는 파지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바, 도시된 것처럼 받침부(21) 상방으로 돌출, 연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케이스(11) 입구를 통해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이든 채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부(25) 상단을 ㄱ자로 절곡하여 손가락 등을 걸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걸이대(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L)를 받치는 걸이대(13)가 단순히 받침부(21)로 이루어지는 바, 이때 받침부(21)는 케이스(11)와 일체가 되도록 케이스(11) 내주면에 부착되므로, 걸이대(13)는 케이스(11)와 분리시킬 수 없는 즉, 케이스(11)에서 빼낼 수 없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걸이대(13)는 지지부(23)나 인출부(25)는 생략되지만, 받침부(2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받침부(21)와 마찬가지로 목줄(C)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치도록 수납용기(5)의 바닥면(15)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등, 나머지 특성은 도 2 이하에 도시된 받침부(21)와 동일하므로, 부연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받침부(21)는 케이스(11) 내에서 빼낼 수 없으므로, 받침부(21)를 통과하는 목줄(C)의 통로는 후크(H)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목줄구멍(31)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목줄슬릿(33) 형태로 제작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5)는 함체(3)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목걸이(L)를 담는 하나의 용기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케이스(11), 걸이대(13). 및 캡(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납용기(5)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1)가 목걸이(L)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걸이대(13)는 케이스(11) 내에 배치되어, 케이스(11)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목걸이(L)의 목줄(C) 일단을 걸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목걸이(L)는 케이스(11)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캡(12)은 케이스(11) 입구에 결합되어, 내부에 목걸이(L)가 수용된 케이스(11)를 마감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수납용기(5)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걸이 보관함(1)에 의해 목걸이(L)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함체(3)를 개방하여야 하므로, 함체(3)의 본체(7)로부터 본체캡(9)을 벗긴다.
이때, 도 2와 같이 수납용기(5)가 위로 열린 케이스(11)로만 구성되고, 별도로 캡(12)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용기(5)를 본체(7)에서 꺼내지 않고도 수납용기(5) 내에 목걸이(L)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기(5)가 캡(12)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의 수납용기(5)를 본체(7)로부터 먼저 빼낸 다음, 케이스(11)에서 캡(12)을 분리시켜 케이스(11)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케이스(11)가 개방되어 걸이대(13)가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는 걸이대(13) 위에 목걸이(L)를 걸게 되는데, 이때에도 걸이대(13)의 구조에 따라 걸이대(13)를 케이스(11) 내에 둔 채로 또는 케이스(11)에서 빼낸 상태로 목걸이(L) 수납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걸이대(13)가 케이스(11)와 일체로 된 경우에는 걸이대(13)를 케이스(11) 내에 둔 채로 목걸이(L)를 수납하나, 도 2 이하와 같이 걸이대(13)가 케이스(11)와 별체로 된 경우에는 걸이대(13)를 케이스(11)에서 빼낸 상태로 목걸이(L)를 거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 사용자는 목줄구멍(31)을 통해 후크(H)를 통과시켜 목줄(C)이 후크(H)로부터 케이스(11) 바닥면(15)에 놓이도록 하다가, 마지막에 팬던트(P)를 받침부(21)에 얹고, 본체캡(9)을 덮으면 목걸이(L)의 수납을 완료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팬던트(P)가 있는 목걸이(L)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팬던트(P)는 받침부(21)에 얹고, 가느다란 목줄(C)만 목줄슬릿(33)이나 목줄구멍(31)을 통해 아래로 늘어지도록 한다. 이후, 걸이대(13)를 케이스(11)에 수납할 때 아래로 늘어진 목줄(C)은 케이스(11) 바닥면(15) 위에 가지런히 얹히게 된다. 반면, 팬던트(P)가 없는 목걸이(L)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목줄(C) 일부분을 걸림돌기(35)에 걸고, 나머지 부분을 목줄슬릿(33)이나 목줄구멍(31)을 통해 아래로 늘어뜨림으로써 마찬가지로 걸이대(13)를 케이스(11)에 수납한 때, 케이스(11) 바닥면(15)에 가지런히 놓이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캡(12)이 있는 경우에는 케이스(11)에 캡(12)을 닫은 후, 케이스(11)를 본체(7) 내에 나란히 정렬해 삽입한 뒤, 본체캡(9)을 덮으면 목걸이(L) 수납을 종료하게 된다.
반대로, 수납된 목걸이(L)를 목걸이 보관함(1)에서 빼내는 것은 위와 역순으로 이루지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걸이대(13)가 수납용기(5)에 일부일 때는 케이스(11)에서 직접 목걸이(L)를 빼내는 것이 다소 불편하지만, 걸이대(13)가 수납용기(5)와 별체일 때는 케이스(11)로부터 걸이대(13)를 먼저 빼낸 상대에서, 걸이대(13)로부터 목걸이(L)를 빼내므로, 빼내는 동작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1 : 목걸이 보관함 3 : 함체
5 : 수납용기 7 : 본체
9 : 본체캡 11 : 케이스
12 : 캡 13 : 걸이대
15 : 바닥면 21 : 받침부
23 : 지지부 25 : 인출부
31 : 목줄구멍 33 : 목줄슬릿
35 : 걸림돌기 C : 목줄
H : 후크 L : 목걸이P : 팬던트

Claims (8)

  1. 외부몸체를 이루는 함체(3); 및
    상기 함체(3) 내에 복수로 구비되어, 목걸이(L)를 담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용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용기(5)는,
    용기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목걸이(L)를 수용하는 케이스(11); 및
    각각의 상기 케이스(1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1)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목걸이(L)의 목줄(C) 일단을 걸어 상기 목걸이(L)를 각각의 상기 케이스(11)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이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3)는,
    상기 수납용기(5)의 바닥면(1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목줄(C)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치는 받침부(21);
    상기 받침부(21)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21)를 상기 바닥면(15) 위에 지지하는 지지부(23); 및
    상기 받침부(21) 위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21)를 상기 수납용기(5)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인출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3)는 상기 목줄(C) 일단을 들린 상태로 받치도록 상기 수납용기(5)의 바닥면(1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부(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는 상기 목걸이(L)의 팬던트(P)는 걸리되, 상기 목줄(C)은 통과시키는 목줄구멍(31)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는 안쪽에서 외주 모서리까지 반경방향으로 절결된 목줄슬릿(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는 중심을 향하여 경사져 내리는 깔대기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는 상기 목줄(C)의 일단을 거는 걸림돌기(35)가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목줄(C)의 타단을 통과시키는 목줄구멍(31) 또는 목줄슬릿(3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보관함.
  8. 목걸이(L)를 담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1)의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목걸이(L)의 목줄(C) 일단을 걸어 상기 목걸이(L)를 상기 케이스(11) 내에 일부분이 들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이대(13); 및
    상기 목걸이(L)가 수용된 상기 케이스(11) 내부를 마감하도록 입구에 결합되는 캡(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수납용기.
KR1020140083859A 2014-07-04 2014-07-04 목걸이 보관함 KR10158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59A KR101586925B1 (ko) 2014-07-04 2014-07-04 목걸이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859A KR101586925B1 (ko) 2014-07-04 2014-07-04 목걸이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815A true KR20160004815A (ko) 2016-01-13
KR101586925B1 KR101586925B1 (ko) 2016-01-19

Family

ID=5517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859A KR101586925B1 (ko) 2014-07-04 2014-07-04 목걸이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2022B1 (en) * 2019-03-13 2019-06-20 Tiantai Jingjiu Crystal Co., Ltd. A storage box for crystal jewel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21U (ja) * 1992-08-10 1994-03-01 松久株式会社 宝石箱
KR200311769Y1 (ko) * 2003-01-28 2003-05-01 강흥덕 목걸이 케이스
KR20110001746U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신우 귀금속 포장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21U (ja) * 1992-08-10 1994-03-01 松久株式会社 宝石箱
KR200311769Y1 (ko) * 2003-01-28 2003-05-01 강흥덕 목걸이 케이스
KR20110001746U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신우 귀금속 포장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2022B1 (en) * 2019-03-13 2019-06-20 Tiantai Jingjiu Crystal Co., Ltd. A storage box for crystal jewel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25B1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894B2 (en) Bird feeder
US4958461A (en) Floral holder and display
US6467623B1 (en) Apparatus for storing strings of lights and accessories
US10696476B2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osing waste materials into an elongated flexible tube
US10017321B2 (en) Brush holder
US6938766B1 (en) Fiber holder
US3987574A (en) Fishing rod and tackle carrier
US5470001A (en) Jars for carrying fisherman's bait and support member for the jars
US20160075473A1 (en) Contain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17504396A (ja) 摩擦が低減された耳栓ディスペンサ
US20190166804A1 (en) Bird feeder with squirrel resisting features
US3022600A (en) Fishing tackle bucket
US5410836A (en) Fly fisherman's lure holder
US3913879A (en) Container holder
KR101586925B1 (ko) 목걸이 보관함
US7707769B1 (en) Bouquet holding device
US9750342B1 (en) Cord holder and organizer
US20120000812A1 (en) Accessory holder
US9380771B1 (en) Bucket stabilizing system cover
US2262360A (en) Container
KR101173431B1 (ko) 수족관용품 거치대
US7401435B1 (en) Lure latching system
US11712030B2 (en) Lure storage device
US20150351374A1 (en) Tackle system with removable lure organizer
KR101804857B1 (ko) 카고 낚시용 집어통 파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