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38A - 해삼포획기 - Google Patents

해삼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38A
KR20160004638A KR1020140083224A KR20140083224A KR20160004638A KR 20160004638 A KR20160004638 A KR 20160004638A KR 1020140083224 A KR1020140083224 A KR 1020140083224A KR 20140083224 A KR20140083224 A KR 20140083224A KR 20160004638 A KR20160004638 A KR 2016000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ea
cover
sea cucumb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503B1 (ko
Inventor
박연식
Original Assignee
박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식 filed Critical 박연식
Priority to KR102014008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5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포획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연안어장의 해삼을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해삼포획기에 있어서, 무게추를 커버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커버의 둘레를 로프로 휘감고 그 단부를 클램프로 견고하게 결합하며, 상기 로프의 연장된 타부는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안식부에 일정구간을 지난 다음에 부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삼포획기{Sea cucumber for captured-tool}
본 발명은 해삼포획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해삼포획기에 있어서, 무게추를 커버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커버의 둘레를 로프로 휘감고 그 단부를 클램프로 견고하게 결합하며, 상기 로프의 연장된 타부는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안식부에 일정구간을 지난 다음에 부표에 연결하여 수면 위에서 부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삼은 극피동물문(Phylum Echinodermate)의 분류로 해삼강(Class Holothuroidea)에 속하는 수산생물로서 약효가 인삼과 같다고 하여 해삼으로 이름 지어졌다.
자산어보 등의 고문헌에서는 해삼, 토육, 해남자, 흑충(黑蟲) 등으로 기록되어 있고, 해삼은 극피동물 스티코프스과에 속하며 10~20m 정도의 수심에서 서식하고, 낮에는 주로 바위 같은 곳에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바닷쥐라는 의미의 해서(海鼠)라고도 불리우며, 일본어로 나마코라 불린다.
해삼의 형태는 몸은 앞뒤로 긴 원통 모양이고, 등에 혹 모양의 돌기가 여러 개 나 있다. 몸의 앞쪽 끝에는 입이 열려있고 그 둘레에 촉수가 여럿 달려 있으며, 뒤쪽 끝에는 항문이 있다. 또 대부분의 종은 아랫면에 가는 관으로 된 관족이 많이 발달되어 있어, 이것으로 바다 밑을 기어다닌다. 관족이 없는 종은 바다 속을 떠다니거나 모래나 진흙에 묻혀 산다.
해삼의 피부 속에는 석회질로 된 작은 골편(骨片)이 드문드문 들어 있다. 대부분 암수의 구별이 있으나, 겉모습으로는 구별하기 힘들다.
해삼은 수온이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매년 정해진 생활을 반복한다. 수온 8~16℃ 전후에서 식욕이 왕성하고 운동이 활발하며, 17~19℃에서는 운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식욕이 감퇴하여 소화관이 위축되며, 25℃ 이상이 되면 단식상태에 들어가 여름잠을 잔다.
먹이를 먹을 때에는 입 주위의 촉수로 바다 밑에 깔린 진흙이나 모래를 입에 넣어 해조류 등 유기침전물을 섭이하고 모래와 배설물은 밖으로 내보낸다. 외부에서 자극을 받으면 장(腸)을 끊어서 항문 밖으로 내보내는데, 재생력이 강해서 다시 생긴다. 해수중에서 조류를 타고 떠다니는 유기성 부유물(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등)을 먹이로 하며, 해저의 표층에 엷게 쌓인 퇴적물을 섭취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그리고,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산란을 하고, 산란 직후 하면에 들어가므로, 해삼의 어획시기는 4~6월이 적기이지만, 산란 직전인 6월달은 해삼의 금어기로 지정되어 채취가 금지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생태적인 특성과 더불어 무분별한 채취와 연안해역의 환경오염 등으로 말미암아 자연상태에서의 해삼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삼의 채취는 나잠어업을 하는 해녀들과 후카잠수부들에 의해 수심 10m ~20m의 연안 어장에서 채취되어 유통되고 있는데, 4~5월에 많이 잡히고 가을부터 맛이 좋아지기 시작하여, 동지 전후에 가장 맛이 좋다.
상기와 같은 수확기에는 해삼을 보다 손쉽게 다량으로 채취토록 하여 어촌의 소득증대에 기여하여 하는데, 나잠어업을 하는 해녀들과 후카잠수부들에 의해 수심 10m ~20m의 연안 어장에 잠수하여 채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수획량은 한계에 부딪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중바닥에서 서식하고 있는 소라, 조개 등의 패류와 게와 해삼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채취자가 수중바닥에 줍는 방법과 그물로 긁어주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채취자가 패류와 해삼을 줍는 방법은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용이한 이점이 있지만 깊은 곳에 있는 패류와 해삼을 줍기 위해서는 잠수를 해야하기 때문에 패류와 해삼의 채취작업이 매우 힘들뿐 아니라 채취효율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그물을 이용한 종래 기술은 동력선을 이용하여 수중바닥으로 늘어뜨린 그물을 끌어주는 방법으로 상기 그물이 수중바닥을 긁으면서 패류와 해삼을 채취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그물이 자주 손상되는 문제점과 그물에 작용하는 수압의 저항에 의해 동력선의 동력원인 모우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고장이 잦고 또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공개공보 20-1997-050594 (1997.9.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되어 안출한 것으로, 해삼포획기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바닷속으로 던져 다량으로 해삼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물속에 설치시 유동을 방지하고 빠르게 가라앉혀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리고,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여 작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해삼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된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해삼을 위집(蝟集)과 보호유인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해삼포획기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해삼포획기에 있어서, 무게추를 커버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커버의 둘레를 로프로 휘감고 그 단부를 클램프로 견고하게 결합하며, 상기 로프의 연장된 타부는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안식부에 일정구간을 지난 다음에 부표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 결합은 중공부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로프의 연장된 타부를 끼우고 안식부 사이에는 매듭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며, 중공부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끼워진 연장로프에 포획용 인공미끼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커버에 안착된 무게추와 부표는 복수의 안식부의 수량과 배치에 의하여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안식부의 입구에 홈부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에 돌부를 형성하여 안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안식부의 입구에 돌부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에 홈부를 형성하여 안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삼포획기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바닷속으로 던져 다량의 해삼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물속에 설치시 유동을 방지하고 빠르게 가라앉혀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여 작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해삼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된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해삼을 위집(蝟集)과 보호유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삼포획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식부와 측면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식부와 측면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식부와 무게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삼포획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미끼가 연장로프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삼포획기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바닷속으로 던져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물속에 설치시 유동을 방지하고 빠르게 가라앉혀 흔들림을 방지하고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해삼을 위집(蝟集)과 보호유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해삼의 서식생태는 구석이나 모서리 등을 선호하고,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해삼의 먹이가 되는 각종 부유물이나 해조류 등을 충분히 확보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우선적이다.
해삼포획기는 무게추(10)를 커버(11)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커버(11)의 둘레를 로프(12)로 휘감고 그 단부에 클램프(13)로 결합하여 무게추(10)와 안식부(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한 것이다.
상기 로프(12)의 연장된 타부는 중공부(21)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20)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안식부에 일정구간을 지난 다음에 부표(30)를 설치하여 수면위에서 육안으로 설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표(30)는 복수의 안식부(20) 각각에 설치할 수 있고, 선택에 의하여 복수의 안식부(20)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안식부(20)는 원통형의 파이프에 안착된 무게추(10)에 의하여 바닷속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여 포획기를 투척하였을 때 바닥에서 포획기가 물살에 의하여 굴러다니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획기가 흔들리면 물고기의 유인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무게추(10)는 원통형의 파이프에 안착되어 직립으로 기립될 수도 있으나, 조류 및 파랑에 의한 전도 및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누워 안착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10)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안식부(20)를 해수에 투척시 빠른 속도로 가라앉혀 유동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해삼이 이동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해삼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에 안착된 무게추(10)와 부표(30)는 복수 안식부(20)의 수량과 배치방법에 의하여 수량을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식부(20)는 종방향으로 설치하거나 도 5처럼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안식부(20)의 방향은 당업자에 의해 유속과 그 외 해양조건에 의하여 변형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안식부(20)는 중공부(21)로 형성되어 입구를 통해서 내부로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며, 중공부(21)의 외측에 관통된 구멍에 연장로프에 의하여 가로막힌 구조이다.
상기 로프(12)는 해수의 염분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사용하고, 수심의 깊이를 고려하여 길이방향으로 치수를 표기하여 복수의 안식부(20)에서 작업자 간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고, 풍량 과 유속에 따른 여유길이와 수확시 해삼포획기에 지장물이 부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공부(21)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20)에 결합은 중공부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로프의 연장된 타부를 끼우고 안식부 사이에는 매듭(22)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21)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끼워진 연장로프(41)에 포획용 인공미끼(40) 즉 해조류를 설치하여 해삼들이 안식부(20)의 중공부(21)에 점입하는 것을 촉진하도록 한다.
또한 안식부의 중공부에 어분이나 흡수력이 탁월한 흡수부재에 생선 액젖을 충진하여 냄새를 발산시키고, 지충이,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해조류를 담은 미끼용기에 먹이를 넣은 후에는 해삼을 유도하고 유인하는 능력도 우수하여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안식부의 입구에 홈부(52)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53)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50)에 돌부(51)를 형성하여 안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식부의 홈부에는 측면 결합부의 돌부(51)가 결합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안식부의 입구에 돌부(51)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53)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50)에 홈부를 형성하여 안식부(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최적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되어져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고,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삼포획기는 연안어장의 해삼을 수중이 아닌 육상에서 바닷속으로 던져 다량의 해삼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물속에 설치시 유동을 방지하고 빠르게 가라앉혀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여 작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해삼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된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해삼을 위집(蝟集)과 보호유인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은 높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0: 무게추 11: 커버
12: 로프 13: 클램프
20: 안식부 21: 중공부
22: 매듭 30: 부표
40: 인공미끼 41: 연장로프
50: 측면결합부 51: 돌부
52: 홈부 53: 유인안내구

Claims (5)

  1. 연안어장의 해삼을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해삼포획기에 있어서,
    무게추를 커버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커버의 둘레를 로프로 휘감고 그 단부를 클램프로 견고하게 결합하며, 상기 로프의 연장된 타부는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안식부에 일정구간을 지난 다음에 부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해삼포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공부를 형성한 복수의 안식부 결합은 중공부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로프의 연장된 타부를 끼우고 안식부 사이에는 매듭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며, 중공부 외측을 관통한 구멍에 끼워진 연장로프에 포획용 인공미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포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안착된 무게추와 부표는 복수의 안식부의 수량과 배치에 의하여 복수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삼포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식부의 입구에 홈부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에 돌부를 형성하여 안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포획기.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안식부의 입구에 돌부를 형성하고, 투명 연질재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유인안내구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결합부에 홈부를 형성하여 안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포획기.
KR1020140083224A 2014-07-03 2014-07-03 해삼포획기 KR10166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24A KR101666503B1 (ko) 2014-07-03 2014-07-03 해삼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24A KR101666503B1 (ko) 2014-07-03 2014-07-03 해삼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38A true KR20160004638A (ko) 2016-01-13
KR101666503B1 KR101666503B1 (ko) 2016-10-14

Family

ID=5517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24A KR101666503B1 (ko) 2014-07-03 2014-07-03 해삼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7823A (zh) * 2016-12-22 2018-06-29 马步升 一种便携式简易的捕鱼渔具及安装方法
CN108651396A (zh) * 2018-05-04 2018-10-1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小溪捕鱼笼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594A (ko) 1995-12-26 1997-07-29 이형도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실린더 장치
KR20020023331A (ko) * 2002-01-17 2002-03-28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382789B1 (en) * 2001-08-25 2003-05-09 Jung Ho Jung Eel trap
KR20130046630A (ko) * 2011-10-28 2013-05-08 전라남도 외해중층 전복양식장치
KR20130108013A (ko) * 2012-03-23 2013-10-02 박송범 해삼양식용 어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594A (ko) 1995-12-26 1997-07-29 이형도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실린더 장치
KR100382789B1 (en) * 2001-08-25 2003-05-09 Jung Ho Jung Eel trap
KR20020023331A (ko) * 2002-01-17 2002-03-28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20130046630A (ko) * 2011-10-28 2013-05-08 전라남도 외해중층 전복양식장치
KR20130108013A (ko) * 2012-03-23 2013-10-02 박송범 해삼양식용 어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7823A (zh) * 2016-12-22 2018-06-29 马步升 一种便携式简易的捕鱼渔具及安装方法
CN108651396A (zh) * 2018-05-04 2018-10-1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小溪捕鱼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503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Classification and illustrated definition of fishing gears
Landman et al. Mode of life and habitat of scaphitid ammonites
Heithaus et al. Feeding strategies and tactics
Samoilys et al. Artisanal fishing gears of the Kenyan coast
Stevenson Characterization of the fishing practices and marine benthic ecosystems of the northeast US shelf, and an evaluation of the potential effects of fishing on essential fish habitat
Noke et al.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an River Lagoon blue crab fishery and the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He Gillnets: gear design, fishing performance and conservation challenges
Devi et al. Traditional fishing methods in Central valley region of Manipur, India
Hobson et al. Observations of foraging northern fulmars (Fulmarus glacialis) in the Canadian High Arctic
Feist et al. Potential impacts of pile driving on juvenile pink (Oncorhynchus gorbuscha) and chum (O. keta) salmon behavior and distribution
KR101666503B1 (ko) 해삼포획기
Bauer Shrimp fisheries
CN204350896U (zh) 网片可收拢型漂流人工集鱼装置
CN207284842U (zh) 一种渔业诱捕装置
Fuller et al. Channa argus
Jo et al. Possible link between derelict fishing gear and sea turtle strandings in coastal areas
Hahn et al. Beach seining
Prosser Capture methods and commercial fisheries for mugilidae
CN102835363A (zh) 一种捕捉河蚌的工具
FLORES et al. Studies on Squid Behavior in Relation to Fishing: Ⅰ. On the handling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for behavioral study
Hauser Fishes of the Last Frontier: Life Histories,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of Alaska's Fishes
He et al. Swimming capacity of marine fishes and its role in capture by fishing gears
Rathod Types of Fishing Method and Examples of target species
KR101555363B1 (ko) 기능성 인공어초
Evans et al. Review of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fishing activities on mar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