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24A -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 Google Patents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24A
KR20160004424A KR1020140082327A KR20140082327A KR20160004424A KR 20160004424 A KR20160004424 A KR 20160004424A KR 1020140082327 A KR1020140082327 A KR 1020140082327A KR 20140082327 A KR20140082327 A KR 20140082327A KR 20160004424 A KR20160004424 A KR 2016000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gas
induction solution
diluted
heat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616B1 (ko
Inventor
강위관
윤대원
최재승
이영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6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01D61/0022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01D61/005Osmotic agents; Draw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01D2311/251Recirculation of perme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4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와 화학물질을 사용하고도 희석된 유도용액으로부터 농도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농도의 유도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장치를 적용한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osmosis based desalination}
본 발명은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와 화학물질을 사용하고도 희석된 유도용액으로부터 농도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농도의 유도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장치를 적용한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정삼투 공정은 정삼투막을 사이에 두고 해수, 하폐수와 같은 피드용액(feed solution)과 유도용액(draw solution)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유도용액에 의한 정삼투를 유도하여 피드용액을 농축수와 희석된 유도용액인 처리수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이때, 정삼투 공정을 거친 유도용액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으로부터 유도용액을 회수하는 공정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정삼투 공정에 사용되는 유도용액으로는 일반적으로 NaCl와 같은 무기물질, NH3/CO2 등과 같은 dissolved gas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도용액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적(Thermal) 회수장치나 RO(reverse osmosis) 회수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적 회수장치는 에너지 소모량이 높아 OPEX(operating expenditure)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운정되기 때문에 열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CAPEX(capital expenditures)가 증가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RO 회수장치의 경우 희석된 유도용액이 피드용액보다 높은 농도를 지니고 있어 여전히 에너지 소모량이 높고 고농도 유도용액에는 사용하기 어려우며, 막 세척 등을 위하여 화학물질이 많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열적 회수장치나 RO 장치와 달리 적은 에너지와 화학물질을 사용하고도 희석된 유도용액으로부터 농도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농도의 유도용액을 회수할 수 있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생산수 확보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온 운전이 가능하여 저렴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한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투막에 의해 유도용액 구간와 염수 구간으로 구분되는 정삼투 반응장치,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접촉시켜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을 배출하는 가습장치, 및 상기 가습장치에서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시켜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를 배출하는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삼투 반응장치의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이 가습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제습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습장치를 통과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제습장치로 유입되는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열교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장치에서 제습된 캐리어가스가 상기 가습장치로 재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리어가스가 제습장치와 가습장치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장치 내부에는 캐리어가스와 희석된 유도용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충전층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상기 가습장치에서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상기 제습장치로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블로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캐리어가스의 가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습장치로 유입되는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습장치로 유입되는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는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을 상기 가습장치로 분사하는 이젝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젝터로부터 분사된 유도용액은 소용돌이(vortex)를 형성하여 상기 가습장치로 캐리어가스를 유입시키는 압력차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상기 가습장치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장치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장치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는 상기 가습장치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상기 가열장치에서 가열된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과열저감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과열저감기는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여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투압에 의해 염수 구간의 물이 반투막을 통해 유도용액 구간으로 이동하여 희석된 유도용액이 배출되는 정삼투 단계, 상기 정삼투 공정 수행 단계에서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접촉하여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이 생성되는 가습 단계, 및 상기 농축된 유도용액은 유도용액 구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는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되어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가 생성되는 제습 단계를 포함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을 제공한다 .
이때, 상기 정삼투 단계 후에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을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열교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 단계에서 제습된 캐리어가스가 상기 가습 단계로 재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단계 전에,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 또는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접촉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가습 단계 후에,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단계 후에 가열된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는 과열저감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은 종래의 열적 회수장치와 달리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 운용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의 RO 회수장치와 달리 고농도의 유도용액에도 농도와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운전이 가능하므로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저렴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설비투자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뢰도가 향상되어 안정적인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도 1 - 유도용액의 회수장치로서 가습장치 및 제습장치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2 ~5 - 본 발명의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막(11)에 의해 유도용액 구간(12)와 염수 구간(13)으로 구분되는 정삼투 반응장치(10), 상기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접촉시켜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을 배출하는 가습장치(20), 및 상기 가습장치(20)에서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시켜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를 배출하는 제습장치(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정삼투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도용액 회수장치로는 열적 회수장치나 RO 회수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회수장치들은 에너지 소모량이 높고 고농도 유도용액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유도용액 회수장치로서 캐리어가스(carrier gas)를 이용한 가습장치(Humidifier) 및 제습장치(Dehumidifier)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HDH 시스템을 회수장치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삼투 시스템은 종래기술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고도 고농도의 유도용액을 회수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때문에 고품질의 담수(fresh water)를 함께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정삼투 담수화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삼투 반응장치(10)의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이 상기 가습장치(20)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제습장치(30)를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장치(30)를 통과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상기 제습장치(20)로 유입되는 고온의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열교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습된 캐리어가스로부터 방출되는 폐열을 희석된 유도용액의 가열에 활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장치(30)에 유입되어 제습된 캐리어가스는 다시 상기 가습장치(20)로 재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가스가 가습장치(20)와 제습장치(30)를 계속하여 순환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안정적인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20) 내부에는 캐리어가스의 가습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캐리어가스와 희석된 유도용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충전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층(21)에 희석된 유도용액이 무르는 동안,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상기 충전층(21)을 통과하면서 캐리어가스의 가습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어가스의 가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1,5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제습장치(30)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흐르는 도관에 블로어(4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1, 52)가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6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을 상기 가습장치(20)로 분사하는 이젝터(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젝터(70)는 유도용액을 작은 입자형태로 분사하여 별도의 충전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유도용액과 캐리어가스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70)로부터 분사된 유도용액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소용돌이(vortex)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소용돌이가 상기 가습장치(20)로 캐리어가스를 유입시키는 압력차를 만들어 별도의 블로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캐리어가스를 가습장치(20)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이젝터(70)는 정삼투 반응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증가된 유량 및 압력으로 인하여 그 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되며, 정삼투 반응장치(10)에서의 전처리로 이젝터(70)의 성능을 저하할 수 있는 입자(particle) 또한 모두 제거되어 전체적인 회수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2)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습장치(3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열장치(53)는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53)에서 가열된 캐리어가스는 과열 증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과열 증기의 온도를 낮추어 전체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는 과열저감기(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열저감기(8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정삼투 단계에서 삼투압에 의해 염수 구간의 물이 반투막을 통해 유도용액 구간으로 이동하면서 희석된 유도용액이 배출되게 되며, 상기 정삼투 공정에서 배출된 희석된 유도용액은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접촉하여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을 생성하는 가습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농축된 유도용액은 다시 정삼투 공정으로 유입되며, 가습된 캐리어가스는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되어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은 가습 단계로 들어가기 전에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열교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거칠 수 있으며, 상기 제습 단계에서 제습된 캐리어가스는 상기 가습 단계로 재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습 단계 전에, 캐리어가스의 가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 또는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접촉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 단계 후에는,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는 과열저감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정삼투 반응장치 11 : 반투막
12 : 유도용액 구간 13 : 염수 구간
20 : 가습장치 21 : 충전층
30 : 제습장치 40 : 블로어
51, 52, 53 : 가열장치 61, 62 : 발전기
70 : 이젝터 80 : 과열저감기

Claims (19)

  1. 반투막(11)에 의해 유도용액 구간(12)와 염수 구간(13)으로 구분되는 정삼투 반응장치(10);
    상기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접촉시켜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을 배출하는 가습장치(20); 및
    상기 가습장치(20)에서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시켜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를 배출하는 제습장치(30);
    를 포함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투 반응장치(10)의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이 상기 가습장치(20)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제습장치(30)를 통과하며,
    상기 제습장치(30)를 통과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상기 제습장치(20)로 유입되는 가습된 캐리어가스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30)에서 제습된 캐리어가스가 상기 가습장치(20)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0) 내부에 캐리어가스와 희석된 유도용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0)에서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상기 제습장치(30)로 유입시키는 블로어(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1, 5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유도용액 또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1, 52)가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6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을 상기 가습장치(20)로 분사하는 이젝터(7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70)로부터 분사된 유도용액이 소용돌이(vortex)를 형성하여 상기 가습장치(20)로 캐리어가스를 유입시키는 압력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3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장치(5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53)가 상기 가습장치(20)로 유입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6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53)에서 가열된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과열저감기(8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과열저감기(80)는 상기 유도용액 구간(12)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14. 삼투압에 의해 염수 구간의 물이 반투막을 통해 유도용액 구간으로 이동하여 희석된 유도용액이 배출되는 정삼투 단계;
    상기 정삼투 공정 수행 단계에서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과 건조한 캐리어가스가 접촉하여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농축된 유도용액이 생성되는 가습 단계; 및
    상기 농축된 유도용액은 유도용액 구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는 열교환을 통하여 제습되어 건조한 캐리어가스와 담수가 생성되는 제습 단계;
    를 포함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투 단계 후에,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을 가습된 캐리어가스와 열교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단계 전에, 희석된 유도용액 또는 건조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단계 전에, 상기 유도용액 구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희석된 유도용액의 유량 또는 상기 희석된 유도용액과 접촉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캐리어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단계 후에, 상기 가습된 캐리어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 후에, 상기 가열된 캐리어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희석된 유도용액을 캐리어가스 중에 분사하는 과열저감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삼투식 담수화 방법.
KR1020140082327A 2014-07-02 2014-07-02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KR10220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7A KR102200616B1 (ko) 2014-07-02 2014-07-02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7A KR102200616B1 (ko) 2014-07-02 2014-07-02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24A true KR20160004424A (ko) 2016-01-13
KR102200616B1 KR102200616B1 (ko) 2021-01-11

Family

ID=551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27A KR102200616B1 (ko) 2014-07-02 2014-07-02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299A (zh) * 2018-07-23 2018-11-13 大连理工大学 一种轻小型太阳能海水淡化装置及方法
KR20190065648A (ko) 2017-12-04 2019-06-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46B1 (ko) * 2006-11-13 2007-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방출수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기
KR101020316B1 (ko) * 2010-04-28 2011-03-08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막증류 방식을 이용한 정삼투 담수화 장치
US20120205236A1 (en) * 2011-02-15 2012-08-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High-Efficiency Thermal-Energy-Driv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268936B1 (ko) * 2010-12-24 2013-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삼투와 압력지연삼투와 막증류 공정을 이용한 해수로부터의 용수 및 에너지 생산장치 및 방법
CN103265140A (zh) * 2013-05-17 2013-08-28 山东大学 太阳能线聚光-风能协同超声波海水淡化装置及淡化方法
CN203256082U (zh) * 2013-05-17 2013-10-30 山东大学 太阳能线聚光-风能协同超声波海水淡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46B1 (ko) * 2006-11-13 2007-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방출수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기
KR101020316B1 (ko) * 2010-04-28 2011-03-08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막증류 방식을 이용한 정삼투 담수화 장치
KR101268936B1 (ko) * 2010-12-24 2013-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삼투와 압력지연삼투와 막증류 공정을 이용한 해수로부터의 용수 및 에너지 생산장치 및 방법
US20120205236A1 (en) * 2011-02-15 2012-08-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 Minerals High-Efficiency Thermal-Energy-Driv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03265140A (zh) * 2013-05-17 2013-08-28 山东大学 太阳能线聚光-风能协同超声波海水淡化装置及淡化方法
CN203256082U (zh) * 2013-05-17 2013-10-30 山东大学 太阳能线聚光-风能协同超声波海水淡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48A (ko) 2017-12-04 2019-06-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CN108793299A (zh) * 2018-07-23 2018-11-13 大连理工大学 一种轻小型太阳能海水淡化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616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0769B (zh) 吸收式去除、濃縮裝置
US8252092B2 (en) Water separation under varied pressure
WO2018045707A1 (zh) 一种利用电厂余热的水处理装置及方法
JP4688842B2 (ja) 排水処理方法
US20110180479A1 (en) Zero liquid discharg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2018522190A5 (ko)
JP6420729B2 (ja) 排ガスから湿分を回収する火力発電設備及びその火力発電設備の回収水の処理方法
WO2014078415A1 (en) Draw solutions and draw solute recovery for osmotically driven membrane processes
CA25026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evaporation operation
WO2016063578A1 (ja) アンモニア含有排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WO2018045708A1 (zh) 一种间接空冷机组热回收及水处理装置与方法
RU2013101806A (ru) Способ детритирования мягки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60003878U (ko) 이산화탄소 폐기 가스 처리 시스템
KR101387136B1 (ko) 담수화 방법 및 담수화 장치
KR20160004424A (ko) 정삼투식 담수화 시스템 및 담수화 방법
KR101816340B1 (ko) 다중분리막에 의한 방사능물질 처리장치
CN111592199A (zh) 低温喷淋垃圾渗滤液浓缩液零排放系统
JP2019148001A (ja) 水素ガス製造方法及び水素ガス製造設備
JP2007136341A (ja) 二酸化炭素の濃縮方法および装置
CN204342567U (zh) 锅炉用水反渗透处理系统
CN204342566U (zh) 锅炉补给水处理系统
JP5900745B2 (ja) 淡水製造方法および淡水製造装置
KR101903771B1 (ko) 에너지 효율이 높은 담수화 방법 및 담수화 장치
CN206872599U (zh) 一种湿法脱硫废水资源化处理系统
WO2012131951A1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ガス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