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54U -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 Google Patents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54U
KR20160004354U KR2020150003765U KR20150003765U KR20160004354U KR 20160004354 U KR20160004354 U KR 20160004354U KR 2020150003765 U KR2020150003765 U KR 2020150003765U KR 20150003765 U KR20150003765 U KR 20150003765U KR 20160004354 U KR20160004354 U KR 20160004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ladder
operator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7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우삼
Original Assignee
박우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삼 filed Critical 박우삼
Priority to KR2020150003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354U/en
Publication of KR20160004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5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20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0Reinforcements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도모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작업자를 수용하는 폭으로 이격되며 작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하광상협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판대와, 상기 지주대의 최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메인다리; 상기 연결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조절다리; 및 상기 지주대의 전방에 작업자를 감싸지게 둘러지는 보호대와, 상기 지주대와 보호대 사이에 작업자로부터 충격과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대와, 상기 보호대와 보강대 사이에 측방향 작업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디딤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다리의 측면을 폐쇄해줌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해줌과 함께 작업영역을 확장시켜 작업에 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지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a horticultural crop. The la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support platforms which are bent at least in a lower orifice having a working height, A main leg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destal bases connected horizont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raise and lower an operator between the support posts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rearwardly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upporting pedestal; A control leg rotatably connected to a center of the linkage, and a support leg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frame; A reinforcing bar for dispersing an impact and a load from a worker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protector, and a support table for supporting the opera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uxiliary leg that integrally forms a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le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closing the side surface of the ladder, expanding the work area, minimizing the movement required for the work, and stably installing the ladder in correspondence to various grounds.

Description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본 고안은 과수나 화훼와 같이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도모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작업위치에서 작업자의 신체를 감싸줌과 함께 작업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켜 안정성과 작업성을 두루 향상할 수가 있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crops such as fruit trees and flowers, and it can cover the body of the worker at the work site and expand the workable area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workability. It is about safety ladder.

통상, 과수나 화훼와 같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생육에 불필요한 과일을 제거하는 열매솎기, 관상목의 나뭇가지를 소정의 형태와 모양으로 가꾸는 정원관리, 열매의 상품 가치를 높여주는 봉지 씌우기, 생육된 작물을 수확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작업자의 신장보다 높은 작물의 경우에는 작업자를 작업이 가능한 높이로 위치시키기 위한 사다리가 필수이다.In general, a variety of work is required to cultivate crops such as fruit trees and flower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harvest the fruit to remove unnecessary fruit for growth, to manage the garden with the shape and shape of the branches of the cornice, to cover the bag to increase the product value of the fruit, and to harvest the grown crops. However, in the case of crops higher than the worker's height, a ladder is required to place the worker at a height that allows work.

주지된 바와 같이 사다리는 발을 디뎌 오르내림이 가능한 H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작업환경에 따라 구조와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보편적으로 공사용은 포장된 지면과 주변이 공허한 공간이 많아 설치에 구애받지 않으며 천정작업이 많아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공사용 사다리는 이동성과 보관성을 위해 한 쌍의 사다리가 경첩에 의해 상호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반면에 원예용은 비포장 지면과 작물에 의해 주변 환경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뿐더러 작물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교적 높이가 높은 특성을 가진다. 즉, 원예용 사다리는 이동성과 보관성은 물론, 언급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안정성과 작업성 및 편의성이 요구되어야만 한다.As is well known, a ladder is based on having an H-type structure that can be tilted up and down, but its structure and shape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Generally, since there are many empty spaces around the paved floor and the building, there is no requirement for installation, and there are many ceiling works and relatively low height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construction ladd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ladders can be folded together by a hinge for mobility and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horticultural use has relatively high height because it is not easy to install due to complicated environment due to unpaved ground and crops, and can cope with the height of the crop. That is, the ladder for horticulture should be required to have stability, workability and convenience in order to satisfy not only the mobility and storage property but also the mentioned characteristics.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141호 "과수용 사다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764호 "과수용 사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전자의 사다리는 직선 형태인 기존의 본체를 곡면(아치형)으로 처리하여 사용성과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발판 면적을 넓힘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정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후자의 사다리는 요철돌기가 형성된 발판과 보조발판 및 붕괴방지용 원추형 핀으로 구성하여 과수 작업 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고 부품을 표준화 시켜 원가를 절감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하였다.For exampl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68141 entitled "Receiving Ladder"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2764 entitled "Receiving Ladder" are disclosed. The electron ladder is processed with a curved surface (arcuate shape) of a straight body, which improves usability, stability and durability, and allows the worker to work more stably by enlarging the foot space. The latter ladder is composed of a footplate with uneven protuberances and an auxiliary footplate and conical pins to prevent collapse, thereby preventing slippage during fruit operation, ensuring safety, standardizing parts, and ensuring cost efficiency and work efficiency.

그러나 사다리의 측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므로 작업도중 작업자가 측방향으로 낙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한 불안감으로 작업에 방해가 됨과 함께 작업영역의 축소로 잦은 이동에 따른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사다리에 디디는 발만으로 오르거나 내려야 하므로 사다리나 발바닥에 묻은 이물질 또는 사다리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균형을 잃어 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크다. However, since the side surfaces of the ladder are all op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orker will fall in the lateral direction during the work, and the work is hindered by the anxiety due to this. And because the worker must climb up or down with his feet on the ladd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ladder or the soles lying on the soles or the ladder will lose their balance and cause an accident.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141호 "과수용 사다리"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68141 entitled " Acceptance Ladder "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764호 "과수용 사다리"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2764 entitled " Acceptance Ladder "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다리의 측면을 폐쇄해줌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해줌과 함께 작업영역을 확장시켜 작업에 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지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cure the safety of an operator by closing the side surface of the ladder and to expand the work area to minimize movement required for the work, And to provide a safety ladder for horticultural work which can be stably install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예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도모하는 사다리에 있어서: 적어도 작업자를 수용하는 폭으로 이격되며 작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하광상협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판대와, 상기 지주대의 최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메인다리; 상기 연결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조절다리; 및 상기 지주대의 전방에 작업자를 감싸지게 둘러지는 보호대와, 상기 지주대와 보호대 사이에 작업자로부터 충격과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대와, 상기 보호대와 보강대 사이에 측방향 작업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디딤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dde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platforms bent at least at a height sufficient to accommodate an operator and having a workable height; A main leg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destal bases connected horizont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raise and lower an operator between the support posts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rearwardly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upporting pedestal; A control leg rotatably connected to a center of the linkage, and a support leg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frame; A reinforcing bar for dispersing an impact and a load from a worker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protector, and a support table for supporting the opera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uxiliary leg that integrally forms a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frame.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메인다리의 지주대와 조절다리의 지지대는 일단에 소정 면적으로 확장된 지지판을 각각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판은 지면과의 마찰이 증가되게 모서리마다 하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legs of the main leg support legs and the adjustment le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e a support plate extended at a predetermined area at one end thereof, and the support plate is bent to protrude downward in corners so as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ground .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메인다리는 지주대와 연결대가 인접하는 위치에 상호 이웃하게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보강살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살은 지주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작업기구들의 장착을 유도하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reinforcing fingers for improving durability by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at adjacent positions of the pillar and the connecting rods, wherein the reinforcing fingers extend downward from the pillar, Is formed integrally.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조절다리는 지지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다리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첩되게 유도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justing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that protrudes forward of the support frame and guides the main leg to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보조다리는 한 쌍의 보강대 사이에 발판대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연장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to enlarge the area of the footrest.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shall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use of the term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concept can be defined properl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보호대가 작업자를 감싸지게 둘러지므로 낙상을 방지해줌과 함께 양측으로 다리를 벌리는 행동만으로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안전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First, since the protector is wrapped around the worker, the worker can prevent the fall, and the worker can keep the worker in a fixed state by opening the legs on both sides,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safety.

둘째, 작업 시에 보호대를 손으로 파지할 수가 있으므로 초보자라도 안정된 자세에서 작업이 가능함과 함께 올바른 자세에서 오르내림이 가능하다.Second, since the protector can be grasped by hand at the time of work, even beginners can work in a stable posture and can go up and down in the correct posture.

셋째, 디딤대에 의해 측방향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영역의 확장으로 작업에 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며 지면 상태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irdly, because it is possible to work side by side with the step,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ement required for the work by expanding the work area and to install it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and place.

넷째, 메인다리에 고리가 마련되어 작업기구들을 장착할 수가 있고, 조절다리에 별도의 손잡이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측방이나 후방에 위치하지 않고도 전방에서 사다리를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설치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가 있다.Fourth, the main legs are equipped with hooks, and the adjustable legs are provided with a separate handle, so that the ladder can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worker without being located on the side or rear,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installation accuracy There is a number.

다섯째, 발판대와 일치되는 전방에 연장대가 형성되어 보호대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작업자가 디디는 면적을 확장시켜 보다 안정된 작업을 확보할 수가 있다.Fifth, an extension bar is formed in front of the footboar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protector, and the worker can extend the area to be handled to secure a more stable opera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작업 상태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lad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various angles;
Fig. 4 and Fig. 5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to 8 are working state diagrams showing a work process using a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원예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도모하는 사다리에 관련되며, 도 1 및 도 2처럼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 및 보조다리(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이다. 본 고안은 기존에 비해 일부 구성이 추가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a horticultural crop and includes a main leg 10, a safety leg 20 and a auxiliary leg 30 as safety ladders for gardening work, to b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roviding a ladder that improves the safety and workability of a worker even if some constitutions are add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본 고안에 따른 H형의 메인다리(10)는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오르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도 3처럼 한 쌍의 지주대(11)와 복수의 발판대(12) 및 림형의 연결대(15)가 일체로 용접되어진다. 먼저, 한 쌍의 지주대(11)는 작업자를 수용하는 폭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작업이 가능한 높이를 가진다. 여기서 지주대(11)는 지면에 가까울수록 이격되는 폭이 넓어지는 하광상협형으로 형성되는데, 상측에서 하측까지 내측으로 자연스러운 아치형으로 절곡되어진다. 따라서 지주대(11)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할 수가 있어 중량의 최소화와 함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shaped main le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 worker to perform a desired work. As shown in FIG. 3, the main leg 10 includes a pair of footstands 11, a plurality of footsteps 12, (15) are integrally welded. First, the pair of support pillars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operator and have a height capable of working. In this case, the column 11 is formed as a lower column with a wider width that becomes closer to the ground, and it is bent into a natural arcuate shap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column 11, thereby minimizing the weight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그리고 복수의 발판대(12)는 한 쌍의 지주대(11)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용접)된다. 이러한 발판대(12)는 지주대(11)가 지면에 설치되어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할 수 있게 연결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발판대(12)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림형의 연결대(15)는 지주대(11)의 최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둘러져 후술하는 보조다리(20)가 연결되게 유도한다. 이러한 연결대(15)도 발판대(12)와 같이, 지주대(11)가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할 수 있게 연결하는 것이 좋다.The plurality of footsteps 12 are connected (we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an operator can climb between the pair of stanchions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 platform 12 is connected to the ground platform 11 so that it can be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ground. Here, the footstool 12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but has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to prevent slippage. Finally, the rim-shaped connecting rod 15 extends rearwar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column 11 to guide the auxiliary leg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connect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rod 15 is connected horizontally such that the supporting rod 11 is inclined like the footstool 12.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메인다리(10)는 지주대(11)와 연결대(15)가 인접하는 위치에 상호 이웃하게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보강살(17)을 더 구비한다. 즉, 연결대(15)는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보조다리(20)로 하여금 응력이 집중되는데, 이러한 응력을 보강살(17)이 지주대(11)로 분산시켜준다. 여기서 보강살(17)은 지주대(1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작업기구들의 장착을 유도하는 고리(18)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리(18)는 도 8처럼 과실을 수확할 때 담을 수 있는 바구니를 걸어두거나 각종 연장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준다. 한편, 보강살(17)은 지주대(11)와 발판대(12) 사이에도 이웃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발판대(12)끼리 연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le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reinforcing fingers 17 for improving durability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t neighboring positions of the support pillars 11 and the connecting rods 15. That is, in the connecting rod 15,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auxiliary leg 20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operator, and the stress is distributed to the column 11 by the reinforcing pad 17. Here, the reinforcing bar 17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ing 1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bar 11 and guiding the mounting of the working mechanisms. As shown in FIG. 8, the hooks 18 can hang a basket that can be held when harvesting fruit, or mount various kinds of tool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 The reinforcing bar 17 may be connected to the pedestal 11 and the footstool 12 in a neighboring manner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T형의 조절다리(20)는 메인다리(10)와 상호 연동하여 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도 3처럼 중공형의 회전대(21)와, 봉형의 지지대(25)가 일체로 용접되어진다. 먼저, 회전대(21)는 연결대(15)의 중앙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대(21)는 연결대(15)로부터 회전해야 하므로 유막이 형성될 수 있는 헐거운 끼움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지대(25)는 회전대(21)의 중앙에 수직하게 돌출되어져 지면으로부터 메인다리(10)를 소정 각도로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대(25)의 상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대(25a)를 더 구비한다. 보조대(25a)는 작업자가 최상단에서 디딜 수 있는 발판대(12) 역할도 수행할 수 있고, 작업기구들을 거치할 수 있는 고리(18)역할도 수행할 수가 있다.The T-shaped adjusting leg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main leg 10 so as to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ground surface. The adjusting leg 20 includes a hollow rotating table 21 as shown in FIG. 3, (25) are integrally welded. First, the rotating table 21 is rotatably connec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table 15. Since the swivel base 21 must rotate from the connecting rod 15,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swivel base 21 with a loose fitting capable of forming an oil film. The support 25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swivel 21 to support the main leg 10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ground. Here, the supporting table 25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table 25a projecting forward. The auxiliary unit 25a can also act as a footstool 12, which can be stood at the top of the worker, and can also serve as a hook 18 for mounting work tools.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조절다리(20)는 지지대(25)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다리(10)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첩되게 유도하는 손잡이(27)를 더 구비한다. 즉, 보관이나 이동 시에는 도 4처럼 메인다리(10)에 조절다리(20)가 절첩된 상태이므로 설치 시 도 5처럼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를 소정의 각도로 펼치어 지면으로부터 기립된 상태로 지탱시켜야 한다.The adjustment leg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27 protruding forward of the support 25 and guiding the main leg 10 to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4, when the adjustment leg 20 is extended from the main leg 10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adjustment leg 20 is folded on the main leg 10 In an upright position.

예컨대, 기존에는 작업자가 메인다리(10)와 조절다리(20)의 측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 손은 메인다리(10)를 잡고, 다른 손은 조절다리(20)를 외측으로 당겨서 설치하였다. 따라서 목표로 하는 위치에 정확한 설치가 어려웠고 비교적 상당한 힘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그러나 손잡이(26)로 인하여 작업자가 메인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를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렬로 포개거나 펼칠 수 있게 해줌으로서 설치의 편의성과 정확도를 향상할 수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art, one hand holds the main leg 10 while the other hand pulls the adjusting leg 20 outward while the work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main leg 10 and the adjusting leg 20.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to accurately install the apparatus at the target position and a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However, since the handle 26 allows the operator to superimpose or unfold the adjusting legs 20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legs 20 are positioned at the front, convenience and accuracy of installation can be improved.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메인다리(10)의 지주대(11)와 조절다리(20)의 지지대(25)는 지면과 밀착되는 일단에 소정 면적으로 확장된 지지판(16)(26)을 각각 더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판(16)(26)은 지면과의 마찰이 증가되게 모서리마다 하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한 것이 좋다. 이러한 지지판(16)(26)은 지주대(11)와 지지대(25)가 지면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해줌과 함께 미끄러짐을 억제해준다.The support base 25 of the main leg 10 and the support leg 25 of the adjustment leg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ve support plates 16 and 26 extended to a predetermined area at one en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s 16 and 26 are bent so as to protrude downward for each corner so as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ground. The support plates 16 and 26 prevent penetration of the support platform 11 and the support platform 25 into the ground and suppress slippag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조다리(30)는 지주대(11)상에 작업자를 보호해줌과 함께 작업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처럼 보호대(31)와 보강대(32) 및 디딤대(35)가 일체로 용접되어진다. 보호대(31)는 지주대(11)의 전방에 작업자를 감싸지게 둘러져 작업도중 지주대(11)의 측방향으로 이탈되어 낙상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무엇보다 도 6처럼 보호대(31) 측으로 다리를 벌리는 행동만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어 불안감을 해소해준다. 이밖에도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에 도 8처럼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정된 균형을 확보해 주며 올바른 자세에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호대(31)는 작업자로부터 충격과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향상되게 보강대(32)가 연결되어진다.The auxiliary leg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operator on the support platform 11 and expands the work area. The auxiliary leg 30 serves to protect the worker from the protrusion 31, the reinforcing bar 32, (35) are integrally welded. The protector 31 surrounds the operator in front of the support platform 11 and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dow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form 11 during ope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xed state by merely opening the legs to the side of the guard 31 as shown in FIG. 6,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In addition, when the worker moves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grip by hand as shown in FIG. 8, thereby ensuring a stable balance and moving up and down in the correct posture. The protector 31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32 so as to improve the durability by dispersing impact and load from the operator.

디딤대(35)는 보호대(31)와 보강대(32) 사이에 측방향 작업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된다. 기존에는 측방향 작업 시에 상체만을 틀어야 하므로 작업에 필요한 힘과 정확도가 저하되었으며 허리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디딤대(35)는 도 7처럼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방향으로 하체가 전환되게 발을 디딜 수 있게 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취하게 해준다.The skirts 35 are horizontally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allow lateral work between the protector 31 and the reinforcement bar 32. Conventionally, since only the upper body needs to be turned at the time of lateral work, the power and accuracy required for the work are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ist is burdened. 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skirt 35 allows the lower body to move in a desired work direction so that the lower body 35 can take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보조다리(30)는 한 쌍의 보강대(32) 사이에 복수의 연장대(36)를 더 구비한다. 연장대(36)는 보강대(32)처럼 보호대(31)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줌과 함께 발판대(12)와 동일한 위치에 연결되어져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면적을 확장시켜 준다. 따라서 작업자가 오르내리거나 작업 시에 보다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leg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36 between the pair of the reinforcing bars 32. The extension base 36 enhances the durability of the protector 31, such as the reinforcement base 32, and is connected to the same position as the footplate 12, thereby extending an area occupied by the operator. Therefore, the worker can move up or down and can take a more stable posture at the time of work.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다리를 보관하거나 이동 시에는 도 4처럼 지지대(25)가 지주대(11)의 절첩되어 상호 포개진 상태를 가진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한 쌍의 지주대(11)를 정면에서 부여잡고 원하는 작업장소로 이동한다. 이어서 지주대(11)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도 5처럼 한손은 지주대(11)를 잡고 다른 손은 발판대(12) 사이로 노출된 손잡이(27)를 잡고 후방으로 밀어서 지지대(25)를 소정 각도로 펼치어 준 즉시, 잡고 있던 지주대(11)를 놓아주면 설치가 완료된다. 작업이 완료되어 보관이나 이동 시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실시해주면 된다. 이처럼 사다리를 정면에서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위치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The installation procedure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ladder is stored or moved, the support table 25 has a folded state of the support table 11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worker grasps the pair of support platforms 11 from the front and moves to a desired work place. 5, one hand holds the support table 11 while the other hand holds the handle 27 exposed between the footsteps 12, and pushes the support 27 backward to support the support table 25, (11) is released,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stored or moved, the installation should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installation. Since the ladder can be installed from the front as described above, the accuracy of the working position can be improved.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다리 11: 지주대
12: 발판대 15: 연결대
16, 26: 확장판 17: 보강살
18: 고리 20: 조절다리
21: 회전대 25: 지지대
25a: 보조대 27: 손잡이
30: 보조다리 31: 보호대
32: 보강대 35: 디딤대
36: 연장대
10: main leg 11: holding stand
12: footstool 15: connecting rod
16, 26: Extension 17: Reinforced Flesh
18: collar 20: adjustable leg
21: Swivel 25: Support
25a: auxiliary unit 27: handle
30: Auxiliary leg 31: Protector
32: reinforcing bar 35:
36: Extension stand

Claims (5)

원예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도모하는 사다리에 있어서:
적어도 작업자를 수용하는 폭으로 이격되며 작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하광상협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발판대와, 상기 지주대의 최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연결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메인다리;
상기 연결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조절다리; 및
상기 지주대의 전방에 작업자를 감싸지게 둘러지는 보호대와, 상기 지주대와 보호대 사이에 작업자로부터 충격과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대와, 상기 보호대와 보강대 사이에 측방향 작업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디딤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For the ladder to work necessary for growing horticultural crops:
A pair of support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t least a width for accommodating the operator and having a workable height and a plurality of foot boards which are horizontally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raise and lower the operator between the support bars, A main leg integrally formed with a connecting rod extending rearwar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upport platform;
A control leg rotatably connected to a center of the linkage, and a support leg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frame; And
A reinforcing ba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protector for dispersing an impact and a load from a worker; and a support table for supporting the opera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allow lateral work between the protector and the reinforcement bar. And a subsidiary leg which integrally forms a connecting stepped stair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의 지주대와 조절다리의 지지대는 일단에 소정 면적으로 확장된 지지판을 각각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판은 지면과의 마찰이 증가되게 모서리마다 하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legs of the legs of the main legs and the supporting legs of the adjusting legs each have a supporting plate extended at a predetermined area at one end thereof and the supporting plate is bent so as to protrude downward at each corner with increasing friction with the ground. Safety lad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는 지주대와 연결대가 인접하는 위치에 상호 이웃하게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보강살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살은 지주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작업기구들의 장착을 유도하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leg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fingers for increasing durability by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at neighboring positions of the supporting leg and the connecting legs, wherein the reinforcing fingers extend downward from the supporting legs, And a safety ladder for horticultural 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다리는 지지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다리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첩되게 유도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leg further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forward of the support frame and guiding the main leg to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는 한 쌍의 보강대 사이에 발판대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연장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작업용 안전 사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leg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to enlarge an area of the foot plate.
KR2020150003765U 2015-06-11 2015-06-11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KR2016000435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65U KR20160004354U (en) 2015-06-11 2015-06-11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65U KR20160004354U (en) 2015-06-11 2015-06-11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54U true KR20160004354U (en) 2016-12-21

Family

ID=5770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765U KR20160004354U (en) 2015-06-11 2015-06-11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35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57A (en) * 2019-12-23 2021-07-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otection ladder safet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41Y1 (en) 1999-08-20 2000-02-15 박상진 Gardening ladder
KR200232764Y1 (en) 2001-02-20 2001-09-29 이은구 A Fruit Tree Lad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41Y1 (en) 1999-08-20 2000-02-15 박상진 Gardening ladder
KR200232764Y1 (en) 2001-02-20 2001-09-29 이은구 A Fruit Tree Lad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57A (en) * 2019-12-23 2021-07-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otection ladder safe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198A (en) Pole seat and ladder
US8336893B2 (en) Strawberry picking cart
WO2014132733A1 (en) Stepladder
US5857544A (en) Independent mobile work ladder support stand
KR101478964B1 (en) Ladder of gang form
CN109577848B (en) Special ladder is pruned in gardens
KR20160004354U (en) A safe ladder for horticulture working
US2709626A (en) Ladder step
US4113055A (en) Tree ladder
KR101338925B1 (en) Electromotive removable ladder for working orchard
EP0106583A2 (en) Device for mounting on the rung of a ladder-like member
US20140262617A1 (en) Ladder
US6457557B1 (en) Tool for retrieving a ladder from an elevated position
CN104265151A (en) Three-legged ladder for trimming and picking pyramid-shaped lychee tree
JP3176208B2 (en) Multiple ladder with movable hook device
JP2006194061A (en) Tree-climbing machine
KR200483296Y1 (en) hanger unit of gunny for harvesting agricultural products
JP2001136822A (en) Fruit harvesting vehicle
CN220687220U (en) Agricultural folding ladder
JP3022345U (en) Five-legged stepladder
US20230407703A1 (en) Escalating step ladder system
CN219460188U (en) Hunting frame
JP3125582U (en) A quadruped workbench with a top panel divided into two or more height-adjustable surfaces.
CN219953205U (en) Anti-toppling gardening pruning ladder
CN217582018U (en) Gardening pruning fold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