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05U -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05U
KR20160004305U KR2020160006826U KR20160006826U KR20160004305U KR 20160004305 U KR20160004305 U KR 20160004305U KR 2020160006826 U KR2020160006826 U KR 2020160006826U KR 20160006826 U KR20160006826 U KR 20160006826U KR 20160004305 U KR20160004305 U KR 201600043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ome
elastic member
switch
contact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명
Original Assignee
이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명 filed Critical 이선명
Priority to KR2020160006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305U/ko
Publication of KR20160004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2Calculator, comput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클릭소리를 감소시킨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조작 시 필링을 부드럽게 해주면서 스위치 내부 하단에 안착되어 있는 메탈돔의 중앙부에 압력을 가해주는 탄성부재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스위치 버튼을 눌러 가압된 메탈돔이 젖혀질 때 탄성부재의 하부가 메탈돔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가장자리도 접촉하게 되어 메탈돔과 접촉단자의 충돌력을 감소시켜주고 메탈돔이 접촉단자와 충돌에 의해 발생한 진동도 억제하여 스위치의 작동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The tact switch for a silent mouse}
본 고안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우스버튼을 누르거나 뗄 때 발생하는 특유의 클릭소음을 현저히 줄여줌으로써 일반 환경은 물론 도서관이나 회의실처럼 정숙(靜肅)이 아주 요구되는 공간에서도 마우스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트북의 대량 보급으로 인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컴퓨터의 사용 시 거의 필수적으로 함께 사용되는 마우스는 버튼을 눌렀다 뗄 때마다 특유의 ‘딸깍’ 소리가 나는데, 도서관이나 회의실처럼 정숙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이러한 마우스 클릭 소리도 소음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정숙이 필요한 장소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때에는 노트북에 장착된 터치패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마우스에 비해 조작이 불편하여 신속한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클릭소음을 아예 없앤 터치식 마우스도 등장하였으나, 제조가격이 너무 높을뿐더러 버튼작동 시 눌러지는 클릭 느낌이 전혀 없다 보니 일반 마우스와 느낌이 아주 달라 적응이 쉽지 않다는 불편함이 아주 컸다.
결국, 일반 마우스처럼 버튼을 누르는 클릭 느낌은 그대로 있으면서 클릭 소리는 최소화된 저렴한 저소음 마우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마우스의 클릭 소리는 마우스 버튼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스위치에서 발생하는데, 마우스에 사용되는 스위치 중 택트 스위치의 경우,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뗄 때 발생하는 특유의 소리는 스위치 내부의 메탈돔이 눌려 아래로 젖혀지는 과정에서 메탈돔의 중앙부위가 아래쪽에 있는 단자와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일종의 충돌음과 메탈돔이 젖혀지거나 복원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탈돔의 떨림음이다.
이런 작동소음을 최소화한 스위치가 이미 고안(실용신안 20-0452772)되어 있으나, 이런 스위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생산가격이 높고 사용되는 메탈돔이 일반 메탈돔에 비해 수명이 짧은 단점 때문에 아직 보편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현재는 주로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구조(공개 실용신안 20-0333617)를 가지면서 젖혀질 때 일반 택트 스위치의 메탈돔에 사용되는 재질보다 소리가 작게 발생하는 재질로 된 메탈돔을 안착한 저소음 택트 스위치를 마우스에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저소음 택트 스위치도 메탈돔이 젖혀져 바닥에 있는 단자와 충돌하면서 발생한 진동이 메탈돔 전체로 전달되며 소음을 발생시켜 여전히 작동소음이 큰 문제가 있다.
종래의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를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의 윗면에는 스위치버튼(3)과 결합하도록 결합돌기(2a)가 있고, 메탈돔(1)이 쉽게 눌러져 젖혀지도록 탄성부재(2)의 바닥면 중앙부를 가압돌기(2b))로 튀어나오게 하였으며, 하우징(4) 내에서 수직방향으로만 원활히 움직이도록 탄성부재의 가장자리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를 가진 원통형의 가이드부(2c)로 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스위치버튼(3)이 눌려 메탈돔(1)이 젖혀졌을 때 탄성부재의 가이드부(2c)로 인해 누르는 힘이 분산되어 메탈돔(1)과 접촉단자(5a)가 확실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부재의 가이드부(2c)는 메탈돔으로부터 충분한 이격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택트 스위치는 메탈돔과 접촉단자의 확실한 접촉만이 중요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런 구조의 탄성부재로는 메탈돔이 젖혀져 접촉단자와 충돌하면서 메탈돔이 떨려 발생하는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 되지 않아 메탈돔의 재질만 바뀐 택트 스위치로는 저소음 마우스용으로 충분히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은 일반 택트 스위치 구조에 단순히 메탈돔만 소리가 작게 발생하는 재질로 바꿔 만든 스위치는 작동소음이 여전히 크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택트 스위치에서 필링을 부드럽게 해주면서 메탈돔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탄성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줌으로써 젖혀져 단자와 접촉하며 발생하는 메탈돔의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켜서 작동소음을 최대한 억제하여 조용한 환경에서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는,
(1) 터미널, 터미널과 연결된 접촉단자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 내에 안착된 메탈돔, 메탈돔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상측과 결합하는 스위치버튼 및 스위치버튼에 의해 중앙부분이 관통되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커버를 갖는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하측 중앙부에 가압돌기와 가장자리에 가이드부와 가이드부 하측에 접촉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메탈돔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촉날개가 메탈돔과 접촉하지 않고, 메탈돔이 가압되어 젖혀진 상태에서는 접촉날개가 메탈돔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날개는 원통형 또는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가이드부와 접촉날개는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원통형 또는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터미널, 터미널과 연결된 접촉단자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 내에 안착된 메탈돔, 메탈돔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상측과 결합하는 스위치버튼 및 스위치버튼에 의해 중
앙부분이 관통되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커버를 갖는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되,
상기 탄성부재의 바닥면은 가압돌기가 없이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메탈돔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닥면의 중앙부분만 메탈돔과 접촉하고, 메탈돔이 가압되어 젖혀진 상태에서는 바닥면 전체가 메탈돔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바닥면 중앙부분이 평편하거나 약간 오목하게 되어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에 스위치버튼을 통해 탄성부재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메탈돔이 순간적으로 젖혀지면서 접촉단자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메탈돔의 진동은 메탈돔이 탄성부재의 하측 접촉날개 또는 탄성부재의 바닥면 전체에 의해 눌려서 억제됨으로써 결국 작동소음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르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일반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른 후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탄성부재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르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른 후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르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버튼을 누른 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메탈돔이 접촉단자와 충돌하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터미널(13, 14), 터미널(13, 14)과 연결된 접촉단자(13a, 14a)를 갖는 수용부(12)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수용부 내에 안착된 메탈돔(11), 상기 메탈돔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5), 탄성부재의 상측과 결합하는 스위치버튼(16) 및 스위치버튼에 의해 중앙부분이 관통되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한 커버(17)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종래 기술인 공개된 실용신안 20-033361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택트 스위치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5)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스위치버튼(16)과 결합되는 돌출부(15a), 누르는 힘이 집중되어 메탈돔(11)이 쉽게 눌러져 젖혀지도록 탄성부재 바닥면 중앙부에 튀어나온 가압돌기(15b)를 가진다. 또한, 탄성부재(15)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원활히 움직이도록 하며 접혀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를 가진 원통형의 가이드부(15c)를 가지며, 가이드부 아래에 있으면서 가이드부보다 두께가 얇아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메탈돔이 젖혀진 상태에서 메탈돔을 눌러줄 수 있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또는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된 접촉날개(15d)를 가진다.
메탈돔(11)은 하우징(10)의 수용부(12) 밑면에 안착되며, 메탈돔의 가장자리 일부는 단자(14a)에 얹혀져 닿아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과정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본 고안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스위치버튼(16)에 아무런 압력도 가해지지 않으므로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탄성부재(15)의 가압돌기(15b)만 메탈돔(11)과 접촉한 채 메탈돔 위에 얹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돌출부(15a)가 줄어들지 않으며, 접촉날개(15d)도 메탈돔(11)에 닿지 않아 변형되지 않으며 메탈돔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택트 스위치가 눌려지는데,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마우스 버튼 밑에 위치한 스위치버튼(16)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버튼(16)에 삽입되어 연결된 탄성부재(15)의 돌출부(15a)가 눌리며 압축이 되어 줄어들면서 가이드부(15c)로 인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약간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계속 가압을 하면, 처음에는 탄성부재(15)의 가이드부(15c) 밑에 있는 접촉날개(15d)가 메탈돔(11)의 가장자리에 닿을 정도로 점점 가까워진다.
계속해서 가압을 하면, 접촉날개(15d)가 메탈돔(11)과 닿은 후 변형되기 시작하며, 메탈돔이 지지력 한계를 넘는 순간에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메탈돔(11)이 순간적으로 반대쪽으로 젖혀지면서 중앙부가 급격히 하강하여 메탈돔이 바닥 중앙에 위치한 접촉단자(13a)와 충돌하면서 메탈돔과 이미 닿아있던 접촉단자(14a)와 통전이 됨으로써 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메탈돔(11)의 가장자리에 먼저 닿아 변형된 접촉날개(15d)로 인해 하강압력이 일부 분산되어 메탈돔(11)과 접촉단자(13a)의 충돌력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메탈돔(11)과 중앙접촉단자(13a)의 충돌 이후에, 탄성부재(15)의 가압돌기(15b)와 접촉날개(15d)가 메탈돔(11)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를 함께 잡아주는 상태가 되어 충돌로 인해 메탈돔(11)에 발생한 진동이 상당 부분 억제되며, 이로 인해 스위치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작동소음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실시예 2>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의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 2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달리, 탄성부재(15)의 바닥면 중앙부에 튀어나온 가압돌기가 측면의 가이드부까지 넓게 확장됨으로써, 탄성부재(15)의 바닥면 전체의 형상이 메탈돔(11)이 젖혀졌을 때 메탈돔의 곡면 상태와 일치하는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스위치버튼(16)에 아무런 압력도 가해지지 않으므로 탄성부재(15)의 중앙 부분만 메탈돔(11)과 접촉한 채 메탈돔 위에 얹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돌출부(15a)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면 마우스 버튼 밑에 위치한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버튼(16)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버튼(16)에 삽입되어 연결된 탄성부재(15)의 돌출부(15a)가 눌려 압축이 되어 줄어들면서 가이드부(15c)로 인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계속 가압을 하여 메탈돔(11)이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젖혀지게 되면, 젖혀져 오목해진 메탈돔(11)의 윗면과 탄성부재(15)의 완만하게 볼록한 바닥면 전체가 아주 넓게 맞닿으면서 메탈돔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메탈돔(11)이 중앙접촉단자(13a)와 충돌하면서 그 충격으로 메탈돔이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어 메탈돔이 떨려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또한, 마우스 버튼을 떼어 메탈돔(11)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에도 메탈돔이 진동하게 되는데, 탄성부재(15)의 완만하게 볼록한 바닥면이 접촉돌기가 있는 경우보다 메탈돔을 더 넓게 접촉하고 있어 메탈돔의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해줌으로써 스위치 작동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탄성부재(15)의 바닥면은 단순히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이 될 수도 있으나, 메탈돔(11)이 젖혀져 중앙부가 접촉단자(13a)와 충돌할 때 탄성부재의 바닥면이 메탈돔의 중앙부분보다 그 주변을 먼저 확실히 접촉함으로써 메탈돔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도면 9와 같이 탄성부재 바닥의 중앙부분을 평탄하거나 약간 오목하게 할 수도 있다.
1: 메탈돔
2: 탄성부재 2a: 결합돌기 2b: 가압돌기 2c: 가이드부
3: 스위치버튼
4: 하우징
5a, 5b: 접촉단자
10: 하우징
11: 메탈돔
12: 수용부
13, 14: 터미널 13a, 14a: 접촉단자
15: 탄성부재 15a: 결합부 15b: 가압돌기 15c: 가이드부 15d: 접촉날개
16: 스위치버튼
17: 커버

Claims (5)

  1. 터미널, 터미널과 연결된 접촉단자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 내에 안착된 메탈돔, 메탈돔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상측과 결합하는 스위치버튼 및 스위치버튼에 의해 중앙부분이 관통되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커버를 갖는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측 중앙부에 가압돌기를 가지고, 가장자리에 가이드부를 가지고, 가이드부 하측에 접촉날개를 가지며, 메탈돔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촉날개가 메탈돔과 접촉하지 않고, 메탈돔이 가압되어 젖혀진 상태에서는 접촉날개가 메탈돔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용 택트 스위치.
  2. 터미널, 터미널과 연결된 접촉단자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 내에 안착된 메탈돔, 메탈돔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상측과 결합하는 스위치버튼 및 스위치버튼에 의해 중앙부분이 관통되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커버를 갖는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바닥면은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메탈돔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닥면의 중앙부분만 메탈돔과 접촉하고, 메탈돔이 가압되어 젖혀진 상태에서는 바닥면 전체가 메탈돔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용 택트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접촉날개는 원통형 또는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용 택트 스위치.
  4. 청구항 1과 청구항 3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가이드부와 접촉날개는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원통형 또는 원통형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용 택트 스위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바닥면 중앙부분이 평편하거나 약간 오목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용 택트 스위치.
KR2020160006826U 2016-11-24 2016-11-24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KR201600043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26U KR20160004305U (ko) 2016-11-24 2016-11-24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26U KR20160004305U (ko) 2016-11-24 2016-11-24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05U true KR20160004305U (ko) 2016-12-14

Family

ID=5757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26U KR20160004305U (ko) 2016-11-24 2016-11-24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3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42A (ko) 2018-04-13 2019-10-23 강희수 저소음 마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42A (ko) 2018-04-13 2019-10-23 강희수 저소음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4001B2 (en) Keycap, key structure and keyboard
US20200135415A1 (en) Switch module and mouse device with same
US9972464B2 (en) Key structure
TWI697924B (zh) 按鍵裝置及鍵盤裝置
US10170253B2 (en) Key scissor-type connecting element with an elastic contact part
TWI615872B (zh) 按鍵結構
US10698499B1 (en) Mouse device
US6545238B2 (en) Key device with a scissors mechanism
CN109524265B (zh) 按键
KR20160004305U (ko) 저소음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US6713699B2 (en) Key switch stabilizer mechanism
TWI677810B (zh) 表面固定型開關及具有表面固定型開關的觸控板模組與電子計算機
CN111292989B (zh) 按键装置及键盘装置
CN110609587A (zh) 触控模块
KR200452772Y1 (ko) 무소음 마우스
US11056292B2 (en) Keyswitch and keyboard
US9001043B2 (en) Mouse device
CN110825248B (zh) 表面固定型开关及具有表面固定型开关的触控板模块与电子计算机
US10242819B1 (en) Mechanical key structure
KR200467582Y1 (ko) 무소음 마우스
US11456128B1 (en) Key structure
WO2020162863A1 (en) Touch pad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CN219418841U (zh) 按键、键盘以及终端装置
US11093009B2 (en) Movalbe input device in a computer casing
TWI666669B (zh) 彈性接觸件及輸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