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01U - 스프레이 용기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01U
KR20160004101U KR2020150003289U KR20150003289U KR20160004101U KR 20160004101 U KR20160004101 U KR 20160004101U KR 2020150003289 U KR2020150003289 U KR 2020150003289U KR 20150003289 U KR20150003289 U KR 20150003289U KR 20160004101 U KR20160004101 U KR 20160004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ead
liquid
lock member
central axis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384Y1 (ko
Inventor
임성택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3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8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비강 또는 구강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로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상기 가압 헤드부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액상 의약품을 실수로 분무하지 못하도록 상기 가압 헤드부를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나 피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이는 인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 용기{A Spray Container}
본 고안은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실수로 가압하여 액상 의약품을 분무하지 못하도록 가압 헤드부를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나 피부가 끼이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용기(spray container)는, 인체의 비강 또는 구강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제약 업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 10에는 이러한 스프레이 용기(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프레이 용기(1)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11)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1)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23)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23)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22)와,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0)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21)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레이 용기(1)는,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보관 중 또는 운송 중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하방으로 가압될 경우에는, 액상 의약품이 상기 노즐부(23)를 통하여 누출되어, 어린이 등이 흡입하거나 의류 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프레이 용기(1)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가압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피부가 "ㄷ"자 형상으로 함몰된 오목부(27)에 끼여서 인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실수로 가압하여 액상 의약품을 분무하지 못하도록 가압 헤드부를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나 피부가 끼이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프레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는, 인체의 비강 또는 구강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로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상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 헤드부에 고정된 상기 노즐부가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 홈부는,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 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며,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절개된 세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 헤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상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홈부는 상기 상단 홈부와 상기 하단 홈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로 홈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므로,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상기 가압 헤드부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액상 의약품을 실수로 분무하지 못하도록 상기 가압 헤드부를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나 피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이는 인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스프레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가압 헤드부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잠금 부재가 18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가압 헤드부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잠금 부재가 90도 회전되어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스프레이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스프레이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프레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용기(100)는, 인체의 비강 또는 구강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spray container)로서, 용기 본체(10)와, 펌프 유닛(20)과, 잠금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합성수지를 재질의 원통형 용기로서, 저장부(11)와, 개구부(12)와, 수나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1)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부분으로서, 제1 중심축(C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가진 부분이다.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저장부(11)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저장부(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의 중공(H)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11)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저장부(11)로부터 액체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3)는, 상기 개구부(1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부이다.
상기 펌프 유닛(20)은,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액체를 압력 차이에 의하여 퍼올리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 본체(21)와, 가압 헤드부(22)와, 노즐부(23)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 본체(21)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진 부분이다.
상기 펌프 본체(2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펌프 본체(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부(24)가 상기 용기 본체(10)의 수나사부(13)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펌프 본체(21)의 하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211)의 직경은 상기 펌프 본체(21)의 직경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데, 이러한 직경 차이로 인하여 상기 펌프 본체(21)와 상기 가이드부(211) 사이에는 제2 단차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헤드부(22)는, 펌핑 조작을 위하여 가압되는 반구형 마개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부(211)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211)에 대하여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 헤드부(22)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은 상승 위치와,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 미리 정한 높이만큼 하강한 하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직경은 상기 펌프 본체(21)의 직경과 동일하므로, 상기 가이드부(211)의 직경은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직경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직경 차이로 인하여 상기 가압 헤드부(22)와 상기 가이드부(211) 사이에는 제1 단차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차부(251)와 제2 단차부(252)로 구성된 단차부(25)와 상기 가이드부(211)의 외주면이 협력하여, 상기 제1 중심축(C1) 방향으로 함몰된 "ㄷ"자 형상의 오목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7)는,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단차부(251)와 제2 단차부(252)가 서로 근접하면서 소멸하거나 매우 작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나 손가락이 상기 오목부(27)에 끼일 수 있다.
상기 노즐부(23)는,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원형 파이프 부분으로서,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C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상기 노즐부(23)의 말단부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최외각 측면까지의 거리(D2)보다 더 크므로, 상기 노즐부(23)의 말단부가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최외각 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23)는, 후술할 구속 돌기부(34)에 의하여 구속되거나, 후술할 상단 홈부(31)에 수용되는 걸림부(23)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23)는, 상기 가압 헤드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 헤드부(22)와 함께 상기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23)의 말단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액체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분무되는 구멍인 분사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구(231)는, 유연한 합성 수지 재질의 호스인 흡입관(26)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하강 위치로 가압하면,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액체가 가압된 상태로 상기 흡입관(26)을 통하여 상기 노즐부(23)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분사구(231)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잠금 부재(30)는, 상기 펌프 유닛(20)의 하단부를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30)는,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기 가압 헤드부(22)에 대하여 양방향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부재(30)의 내경은, 상기 펌프 본체(21) 및 가압 헤드부(22)의 외경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잠금 부재(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이다.
상기 잠금 부재(3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절개된 세로 홈부(33)를 포함함으로써, "C"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로 홈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폭(W1)이 하단 폭(W2)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잠금 부재(30)의 상단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노즐부(23)가 수용될 수 있는 반원형 홈인 상단 홈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단 홈부(31)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180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고 있다.
상기 잠금 부재(30)의 하단 후방에는, 상기 노즐부(23)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로 홈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홈부(31)와 상기 하단 홈부(32)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30)의 상단 테두리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23)의 하면을 구속하여 상기 노즐부(23)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속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돌기부(34)는, 상기 상단 홈부(3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잠금 부재(30)의 상단 나머지 부분으로서, 수평 직선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스프레이 용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 부재(30)의 전방 측 상단 홈부(31)가 상기 노즐부(2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 잠금 부재(30)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잠금 부재(30)를 해제 위치로 회전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전방 측 상단 홈부(31)에 수용되면서, 상기 노즐부(23)를 통하여 액체가 분사된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 부재(30)의 후방 측 상단 홈부(31)가 상기 노즐부(2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상기 잠금 부재(30)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잠금 부재(30)를 해제 위치로 회전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후방 측 상단 홈부(31)에 수용되면서, 상기 노즐부(23)를 통하여 액체가 분사된다.
반대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 돌기부(34)가 상기 노즐부(23)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 부재(30)는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잠금 부재(30)가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가압하여도 상기 노즐부(23)의 하면이 상기 구속 돌기부(34)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하강하지 못하고 계속 상승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부재(30)가 잠금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노즐부(23)를 통하여 액체가 분무될 수 없도록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잠겨진다.
한편,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잠금 부재(3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 유닛(20)의 상측에 배치한 후, 상기 잠금 부재(3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하단 홈부(32)가 상기 노즐부(23)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잠금 부재(30)를 하방으로 더 가압하면,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세로 홈부(33)에 삽입되면서 상기 세로 홈부(33)가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세로 홈부(33)의 폭이 증가되면,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하단 홈부(32)로부터 상기 세로 홈부(33)를 거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상단 홈부(31)로 위치 이동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상기 잠금 부재(30)가 상기 펌프 유닛(2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잠금 부재(30)가 상기 펌프 유닛(20)의 하단부에 장착되면, 상기 세로 홈부(33)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형상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상술한 상기 잠금 부재(30)의 장착 방법의 역순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스프레이 용기(100)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11)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23); 상기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23)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22);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0)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22)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21);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20); 상기 펌프 유닛(20)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잠금 부재(20);를 포함하므로, 판단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등이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액상 의약품을 실수로 분무하지 못하도록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헤드부(22)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나 피부가 상기 오목부(27)에 끼이는 인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가압 헤드부(22)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C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20)의 상단에 상기 걸림부(23)가 수용될 수 있는 상단 홈부(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의 상기 상단 홈부(31) 및 걸림부(23)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30)가 해제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가압 헤드부(22)에 고정된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걸림부(23)를 포함하므로, 상기 걸림부(23)를 별도로 구현하지 않더라도, 스프레이 용기에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상기 노즐부(23)를 상기 걸림부(23)로 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잠금 부재(20)의 상단 홈부(31)가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단 홈부(31)가 1개 마련된 경우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회전하더라도 쉽게 해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잠금 부재(20)의 하단에 상기 걸림부(23)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의 하단부에 장착할 때, 상기 하단 홈부(32)가 상기 걸림부(23)에 대하여 가이드 기능 내지 장착 각도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잠금 부재(2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며,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절개된 세로 홈부(33)를 포함하므로, 상기 세로 홈부(33)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탄성 변형시킨 후,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의 하단부에 쉽게 장착하거나,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세로 홈부(33)가 상기 상단 홈부(31)와 상기 하단 홈부(3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에 장착할 때 상기 하단 홈부(32)를 가이드 기능 내지 장착 각도 확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상단 홈부(31)를 가이드 기능 내지 장착 각도 확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에 대하여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상방으로 당기는 경우에, 상기 세로 홈부(33)의 폭이 자동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30)가 탄성 변형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 용기(100)는, 상기 세로 홈부(33)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므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상기 펌프 유닛(20)에 장착할 때, 상기 세로 홈부(33)의 하단부가 상기 노즐부(23)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상기 잠금 부재(30)를 하방으로 가압하더라도 상기 세로 홈부(33)가 쉽게 벌어질 수 있어, 상기 잠금 부재(30)의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부(23)가 상기 구속 돌기부(34)에 의하여 구속되거나 상기 상단 홈부(31)에 수용되는 걸림부(23)로서 기능하고 있으나, 상기 노즐부(23) 대신에 상기 가압 헤드부(22)에 마련된 별도의 걸림부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프레이 용기 10 : 용기 본체
11 : 저장부 12 : 개구부
13 : 수나사부 20 : 펌프 유닛
21 : 펌프 본체 22 : 가압 헤드부
23 : 노즐부 24 : 암나사부
25 : 단차부 26 : 흡입관
27 : 오목부 30 : 잠금 부재
31 : 상단 홈부 32 : 하단 홈부
33 : 세로 홈부 34 : 구속 돌기부
211 : 가이드부 231 : 분사구
251 : 제1 단차부 252 : 제2 단차부
C1 : 제1 중심축 C2 : 제2 중심축
H : 중공

Claims (8)

  1. 인체의 비강 또는 구강에 액상 의약품 등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스프레이 용기로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용기 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까지 가압하기 위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가압 헤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 헤드부가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본체;를 구비하는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와, 상기 가압 헤드부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잠금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상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부에 고정된 상기 노즐부가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 홈부는,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며,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절개된 세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헤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상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의 하단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하단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홈부는 상기 상단 홈부와 상기 하단 홈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홈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용기
KR2020150003289U 2015-05-22 2015-05-22 스프레이 용기 KR200482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89U KR200482384Y1 (ko) 2015-05-22 2015-05-22 스프레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89U KR200482384Y1 (ko) 2015-05-22 2015-05-22 스프레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01U true KR20160004101U (ko) 2016-11-30
KR200482384Y1 KR200482384Y1 (ko) 2017-01-17

Family

ID=5770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89U KR200482384Y1 (ko) 2015-05-22 2015-05-22 스프레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0092A (zh) * 2017-04-21 2017-06-27 李金全 一种便于阴道和肛门部位给药的药瓶
KR20180063942A (ko) * 2016-12-02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2642153B1 (ko) * 2023-06-01 2024-02-29 박인출 양방향 회전 구조에 기인하여 조작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용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092Y1 (ko) *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배출펌프를 가진 리필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092Y1 (ko) *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배출펌프를 가진 리필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42A (ko) * 2016-12-02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CN106890092A (zh) * 2017-04-21 2017-06-27 李金全 一种便于阴道和肛门部位给药的药瓶
CN106890092B (zh) * 2017-04-21 2023-10-10 李金全 一种便于阴道和肛门部位给药的药瓶
KR102642153B1 (ko) * 2023-06-01 2024-02-29 박인출 양방향 회전 구조에 기인하여 조작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84Y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008B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JP4863175B2 (ja) エアゾール式噴霧器のヘッドキャップ
KR200482384Y1 (ko) 스프레이 용기
US20150165133A1 (en) Safety needle assembly
US10335551B2 (en) Needle assembly and drug injection device
US20160375195A1 (en) Auto-injector
KR101599265B1 (ko) 재사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주사기 바늘
CN101547715A (zh) 可缩回注射器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US20050049554A1 (en) Breakable syringe
JP5873151B2 (ja) ポンプ付容器用ストッパー
KR200473750Y1 (ko) 니들 프리 타입의 의료용 인젝션 커넥터
US10850040B2 (en) Syringe-type ejector
KR200475457Y1 (ko) 일회용 주사기
KR102267308B1 (ko) 루어락 체결형 주사바늘 허브
KR100979592B1 (ko) 비강 세척용 약액분사장치
US20190255259A1 (en) Safety syringe and safety mechanism for use in the same
US8936570B2 (en) Safety syringe
WO2011040222A1 (ja) 注射針組立体及び薬剤注射装置
AU2018277152B2 (en) Cap hub interface for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KR101129482B1 (ko) 잠금구조가 구비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US8808239B2 (en) Syringe
JP6375193B2 (ja) ポンプ付き容器
KR200495497Y1 (ko) 펜 니들
US20240181171A1 (en) Safety syringe with sid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