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982U -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982U
KR20160003982U KR2020150003020U KR20150003020U KR20160003982U KR 20160003982 U KR20160003982 U KR 20160003982U KR 2020150003020 U KR2020150003020 U KR 2020150003020U KR 20150003020 U KR20150003020 U KR 20150003020U KR 20160003982 U KR20160003982 U KR 201600039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rist
coupling body
seating plate
sl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498Y1 (ko
Inventor
성일
Original Assignee
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 filed Critical 성일
Priority to KR2020150003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9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폰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로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휴대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휴대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휴대폰의 측면 또는 배면을 밀착 지지하여 휴대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버스 손잡이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활용성이 증가된다.

Description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WRIST WEARING TYPE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폰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란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인터넷 검색 및 통신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정보기기로서, 그 종류로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이 있고,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면서 실내외에서 시간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휴대성과 편리함으로 인하여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최근에는 발전된 무선인터넷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정보 검색은 물론 사용자의 일정관리, 자료의 저장 및 기록을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즉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사용자가 이를 직접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통화나 각종 자료와 정보를 검색 및 기록하는 등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고, 휴대성의 향상을 위하여 크기도 더욱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는 고가이고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이물질이 내부로 쉽게 침투하거나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미려한 외관창출과 함께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하여 자신의 휴대단말기 외관에 맞게 제작된 케이스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휴대폰 케이스(1)의 내부에 휴대폰을 수용하는 휴대폰 수용부(2)가 구비되고, 덮개에 카드수납홈(3)을 형성하여 지갑을 따로 소지하지 않아도 휴대폰 케이스에 카드나 명함을 함께 수납한 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은 내부에 휴대폰을 수용하여 보호하거나 카드를 수납하는 단순한 기능들만 있을 뿐, 휴대폰을 보호 또는 보관하는 것에만 치중하여 휴대폰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 휴대폰을 통해 각종 정보 검색은 물론 사용자의 일정관리, 자료의 저장 및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수용부(2)에 휴대폰이 수용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1)를 손으로 직접 잡은 채 사용하거나 휴대폰 수용부(2)로부터 휴대폰을 인출하여 휴대폰만을 손으로 직접 잡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 휴대폰이 수용된 휴대폰 케이스(1) 또는 휴대폰을 직접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 케이스(1) 또는 휴대폰이 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흔들리게 되어 사용이 매우 곤란하고, 심지어는 손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1) 또는 휴대폰이 이탈하여 휴대폰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310호(2010.12.08. 공고)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장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손바닥이 휴대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된 휴대폰을 지지하여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활용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의 측면이 결합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레버;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밀착레버는,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과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되는 누름편; 상기 누름편에서 경사지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편; 및 상기 밀착편에서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의 측면이 결합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결합체의 내부와 탄성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 상에 구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홈; 및 상기 안착판의 바닥면 내부와 압축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이동홈에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로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휴대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휴대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휴대폰의 측면 또는 배면을 밀착 지지하여 휴대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버스 손잡이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활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손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폰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10)에 관한 것으로, 착용부(100) 및 결합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부(100)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에 착용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손목에 착용되거나 상기 착용부(100)의 일단과 타단을 상호 체결하는 고리, 버클, 자석 또는 벨크로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 사이즈에 맞춰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착용부(100)의 양단을 체결하는 상기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10)를 버스 손잡이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착용부(100)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200)에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안착판(210), 결합체(220), 슬라이드홈(230) 및 밀착레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착용부(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면 중앙부에 휴대폰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이 안착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안착판(210)에 안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상기 안착판(210) 상에 밀착된다.
상기 결합체(220)는 상기 안착판(210)의 상측과 하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체(220)의 전단부를 통해 휴대폰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면에 휴대폰의 측면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홈(230)은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에 휴대폰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220)의 전단부를 통과하여 결합된 휴대폰의 측면이 후단부로 이어지는 상기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밀착레버(240)는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에 힌지(H)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220)에 형성된 연통공(221)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230)에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연장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휴대폰을 잡아주어 상기 결합부(200)로부터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레버(240)는 누름편(241), 밀착편(242) 및 밀착돌기(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편(241)은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과 코일스프링(241a)으로 연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코일스프링(241a)은 상기 힌지(H)의 양측부에 설치되되, 상기 힌지(H)의 외주연을 감싸고, 일단은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누름편(241)의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편(241)을 손으로 누르거나 손을 떼어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밀착편(242)을 탄력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편(242)은 상기 누름편(241)에서 경사지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편(241)을 손으로 누르거나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밀착돌기(243)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밀착편(242)에서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홈(230)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홈(23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결합부(200)에 휴대폰의 결합시, 휴대폰의 후단부를 상기 결합체(220)의 전단부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름편(241)을 손으로 눌러 상기 밀착편(242)을 상기 결합체(22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홈(230)에 돌출되어 있던 상기 밀착돌기(243)가 상기 연통공(221)을 통과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 휴대폰을 밀어 휴대폰의 측면이 상기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결합체(2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220)에 휴대폰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누름편(241)을 누르는 힘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밀착편(24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밀착돌기(243)는 상기 연통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홈(230)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홈(230)으로 돌출되는 상기 밀착돌기(243)는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휴대폰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되, 상기 밀착돌기(243)의 밀착으로 어느 정도의 마찰이 발생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게 됨에 따라, 상기 결합체(220)에 결합된 휴대폰의 이탈이 억제됨은 물론, 사용중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휴대폰의 고정이 유지됨으로써 휴대폰 사용의 불편함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10)는 상기 착용부(100) 및 결합부(20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안착판(210), 결합체(220), 슬라이드홈(230) 및 가압돌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착용부(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면 중앙부에 휴대폰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이 안착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안착판(210)에 안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상기 안착판(210) 상에 밀착된다.
상기 결합체(220)는 상기 안착판(210)의 상측과 하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체(220)의 전단부를 통해 휴대폰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면에 휴대폰의 측면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홈(230)은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에 휴대폰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220)의 전단부를 통과하여 결합된 휴대폰의 측면이 후단부로 이어지는 상기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가압돌기(250)는 상기 결합체(220)의 내부와 탄성스프링(251)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2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라이홈(230)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휴대폰을 잡아주어 상기 결합부(200)로부터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결합부(200)를 통해 상기 결합체(220)에 끼움 결합된 휴대폰의 이동시, 상기 결합체(200)의 내부와 상기 탄성스프링(251)으로 연결 결합된 상기 가압돌기(250)는 상기 탄성스프링(251)의 압축을 통해 휴대폰이 상기 슬라이드홈(2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가압돌기(250)의 가압으로 어느 정도의 마찰이 발생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게 됨에 따라, 상기 결합체(220)에 결합된 휴대폰의 이탈이 억제됨은 물론, 사용중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휴대폰의 고정이 유지됨으로써 휴대폰 사용의 불편함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10)는 상기 착용부(100) 및 결합부(20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안착판(210), 이동홈(260) 및 지지돌기(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착용부(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면 중앙부에 휴대폰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폰이 안착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안착판(210)에 안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상기 안착판(210) 상에 밀착된다.
상기 이동홈(260)은 상기 안착판(210) 상에 구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판(210)의 전단부를 통해 휴대폰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26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지지돌기(270)는 상기 안착판(210)의 바닥면 내부와 압축스프링(271)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안착판(2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이동홈(260)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을 밀착 지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휴대폰을 잡아주어 상기 결합부(200)로부터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결합부(200)를 통해 상기 결합체(220)에 결합된 휴대폰의 이동시, 상기 안착판(210)의 바닥면 내부와 상기 압축스프링(271)으로 연결 결합된 상기 지지돌기(270)는 상기 압축스프링(271)의 압축을 통해 휴대폰이 상기 이동홈(26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돌기(270)가 밀착되어 지지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마찰이 발생되어 휴대폰의 배면을 잡아주게 됨에 따라, 상기 결합체(220)에 결합된 휴대폰의 이탈이 억제됨은 물론, 사용중 외부의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휴대폰의 고정이 유지됨으로써 휴대폰 사용의 불편함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10)를 사용하게 되면,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로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결합부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휴대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휴대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휴대폰의 측면 또는 배면을 밀착 지지하여 휴대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버스 손잡이 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활용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 2 : 휴대폰 수용부
3 : 카드수납홈
10 :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100 : 착용부
200 : 결합부 210 : 안착판
220 : 결합체 221 : 연통공
230 : 슬라이드홈 240 : 밀착레버
241 : 누름편 241a : 코일스프링
242 : 밀착편 243 : 밀착돌기
250 : 가압돌기 251 : 탄성스프링
260 : 이동홈 270 : 지지돌기
271 : 압축스프링 H : 힌지
P : 휴대폰

Claims (5)

  1.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의 측면이 결합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레버는,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과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되는 누름편;
    상기 누름편에서 경사지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편; 및
    상기 밀착편에서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의 측면이 결합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결합체의 내부와 탄성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착용부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되,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 상에 구성되고, 휴대폰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홈; 및
    상기 안착판의 바닥면 내부와 압축스프링으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이동홈에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KR2020150003020U 2015-05-12 2015-05-12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82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20U KR200482498Y1 (ko) 2015-05-12 2015-05-12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20U KR200482498Y1 (ko) 2015-05-12 2015-05-12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82U true KR20160003982U (ko) 2016-11-22
KR200482498Y1 KR200482498Y1 (ko) 2017-02-01

Family

ID=5770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20U KR200482498Y1 (ko) 2015-05-12 2015-05-12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06A (ko) * 2018-10-08 2020-04-17 권희수 마사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0A (ja) * 2001-05-15 2002-11-29 Yoshifumi Imai 携帯電話用リストホルダー
KR200382503Y1 (ko) * 2005-01-28 2005-04-20 김동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KR100693163B1 (ko) * 2006-05-24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용 홀더
KR200451310Y1 (ko) 2010-09-07 2010-12-08 김효동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0A (ja) * 2001-05-15 2002-11-29 Yoshifumi Imai 携帯電話用リストホルダー
KR200382503Y1 (ko) * 2005-01-28 2005-04-20 김동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KR100693163B1 (ko) * 2006-05-24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용 홀더
KR200451310Y1 (ko) 2010-09-07 2010-12-08 김효동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06A (ko) * 2018-10-08 2020-04-17 권희수 마사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98Y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WO2018112689A1 (zh) 一种具有蓝牙耳机的可穿戴设备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40036700A (ko) 이동단말기 후면 커버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08795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WO2004066596A1 (en) Headband hav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attachments for holding a cellular phone to the headband
KR200482498Y1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101191719B1 (ko) 휴대 단말용 보호 장치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KR200396217Y1 (ko) 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
KR20090116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150129978A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거치수단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KR20140003032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101848989B1 (ko) 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CN220711535U (zh) 一种带支架的手机壳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