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95A -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95A
KR20160003395A KR1020140081644A KR20140081644A KR20160003395A KR 20160003395 A KR20160003395 A KR 20160003395A KR 1020140081644 A KR1020140081644 A KR 1020140081644A KR 20140081644 A KR20140081644 A KR 20140081644A KR 20160003395 A KR20160003395 A KR 2016000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ponic cultivation
modular
floa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수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이강수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수, 김종현 filed Critical 이강수
Priority to KR102014008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395A/ko
Publication of KR2016000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액과 물이 같이 공급되어 유지될 수 있는 사방이 폐쇄된 농업용 하우스 공간내에서 물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의 적어도 2조 이상의 모듈화 플로팅 (Floating) 수경재배조가 구비되고,
상기 2조 이상의 모듈화 수경재배조에 독립 배관시스템으로 해당 수경재배조에 재배되는 작물에 맞게 공급하는 물공급조와 양액공급조 및 PH농도공급조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화 수경재배조내에 수온과 PH농도, 양액농도 및 수위를 잴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2조 이상의 모듈화 수경재배조의 수온과 양액 및 수위를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수경재배조에 맞게 자동조절하고 또 외부 온습도와 일조량을 조정할 수 있는 콘트롤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화 수경재배조에 재배된 식물의 편리한 수확을 위해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수단의 수확이동조가 구비되고,
양액과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용존 산소를 높이고 양액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 장치가 물 및 양액 공급조에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듈화플로팅수경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플로팅 수경재배 장치 대비 초기 투자비가 적게 들고 편리한 생산과 다양한 작물의 생산을 할 수 있으면서 확장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 A modular floating hydroponic culture system }
본 발명은 플로우팅 수경재배의 식물공장화를 위한 모듈화된 자동화 수경재배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발명공개특허 특2001-0018161 엽채류 식물 수경재배용 배양액
[문헌 2] 대한민국발명등록특허 10-0846523 식물재배장치
[문헌 3] 대한민국발명등록특허 10-0864475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 전극법 관수시스템 및 그 수경재배방법
[문헌 4] 대한민국발명공개특허 10-2006-0063487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문헌 5] 대한민국발명등록특허 10- 1224707 플로팅재배방법 및 시스템
기존의 수경 재배 방식은 식물재배용 베드를 만들어 놓고 배지나 또는 뿌리가 물에 잠기는 구조를 통하여 물과 양액을 적정비율로 공급하는 방법을 적용해 왔으며 비순환식이므로 양액이 토양으로 배출되어 환경오염문제가 있어 왔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는 수경재배기술은 상기 문헌들처럼 주로 물과 양액을 순환하는 방식으로 공급하며 수위나 수온 및 PH농도 또는 전도도를 센서로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과 양액을 공급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문헌1에서 처럼 배양액을 이온화하여 식물공장에서 유망한 품종인 엽채류상추에 비타민류 및 무기물질류와 섬유소외에 풍부한 무기물질이 함유되게끔 하는 기술이 출시되고 있다.
또 문헌 4과 같이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원격관리하는 기술들이 출시되어 왔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출원한 문헌5와 같이 기존 순환방식이 아닌 수경재배식물이 흡수하여 토양오염이 없는 자연순환방식의 플로팅재배방법이 상용화되고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플로팅 수경재배 방법 및 시스템(출원번호 : 10-2012-0021555)에 적용되는 플로팅 수경재배조의 식물공장에 적용하기 위해 한 장소에서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플로팅 수경재배의 원천기술자인 카나다의 하이드로노브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경재배는 적어도 5천평(15,000 ㎡)이상의 플로팅 수경재배조 한개의 조로 시행하고 있어 초기 수경재배조 구성에 있어서 과다경비가 소요되고 또 수경재배조가 하나이기 때문에 다양한 수경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 상기 수경재배조를 근래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첨단 IT기술을 이용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T 시스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수온과 양액농도 및 PH농도 등의 센싱장치가 부착된 적어도 2조 이상의 모듈화된 플로팅 수경재배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화된 수경재배조에 식물공장화를 위한 기존방식보다 좀더 편리하고 저가 구조의 물의 흐름방식을 이용한 수확이동조를 이용한 컨베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2조 이상의 모듈화된 플로팅 수경재배조시스템을 식물 공장화할 수 있는 재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플로팅 수경재배조 시스템을 모듈화 시키고 IT 센서시스템과 콘트롤 시스템 및 수확이동조를 이용 자동화한 식물공장화 기술에 의해 누구나 손쉽게 관리와 작업할 수 있는 효과와 초기투자비가 기존 플로수경대배시스템 대비 적게 들면서 확장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팅 모듈화수경재배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장화를 위한 모듈화관리시스템 기본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를 이용한 컴퓨터조정부의 세부 설명도
본 발명은 양액과 물이 같이 공급되어 유지될 수 있는 사방이 폐쇄된 농업용 하우스 공간내에서 물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의 적어도 2조 이상의 플로팅(Floating) 수경재배조가 구비되고,
물에 띄워 식물재배를 할 수 있는 물에 뜨는 재질의 다수개의 플로팅(Floating) 재배용 베드가 상기 수경재배조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2조 이상의 수경재배조에 각각의 특성에 맞게 공급하는 수단을 갖는 콘트롤장치를 이용한 물공급조와 양액공급조 및 PH농도공급조가 구비되고,
상기 수경재배조내에 수온과 PH농도, 양액농도 및 수위를 잴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2조 이상의 수경재배조의 수온과 양액 및 수위를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조절하고 또 외부 온습도와 이산화탄소 및 태양광을 조정할 수 있는 재배관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경재배조에 재배된 식물의 편리한 수확을 위해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수단의 수확이동조가 구비되고,
양액과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용존 산소를 높이고 양액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 장치가 물 및 양액 공급조에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듈화플로팅수경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수경재배시스템과 다음 표 1과 같은 차별화기능 및 장점을 가지고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공장형으로 생산 및 관리할 수 있는 플로팅수경재배를 위해서
1) 모듈화 수경재배조 : 기존 카나다의 하이드로노브사의 경우 수경재배조를 5000평(15,000㎡) 이상의 대형으로 구성하여 두세가지의 같은 재배 특성을 가진 쌈채를 대량 생산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다양한 수경작물을 생산할 수 없고 초기 투자가 큰 점을 개선하여 소규모로 모듈화 수경재배조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재배 특성을 가진 수 종류에서 수십종류의 쌈채나 수경작물을 각 모듈화 재배조에 나누어 생산할 수 있고 또 규모에 맞추어 수개조로 처음에 플로팅 수경재배사업을 시작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투자로 플로팅 수경재배사업을 시작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상기 모듈화 수경재배조를 얼마든지 증설할 수 있어 장점이 많다.
2) 재배콘트롤장치 : 한개의 콘트롤장치로 다수개의 모듈화 수경재배조의 수온(온도센서), 수위(위치센서), PH농도(PH농도센서), 양액농도(전도도센서) 및 산소농도(D/O)센서를 이용 콘트롤할 수 있게 함에 의해서 기존에 한개의 수경재배조를 콘트롤 하는 것에 비해 좁은 영역이므로 수온이나 PH농도 및 양액농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추가로 콘트롤할 부분에 있어 동일한 조건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모듈화 수경재배조의 증설이 용이하게 됨.
3) 식물재배순환속도를 위한 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 산소농법 : 배양액의 마이크로버블장치를 이용한 물과 배양액을 마이크로버블화를 이용한 산소공급을 통해 엽채류의 경우 1년에 8~9회 수확을 하던것을 1년에 15~20회 수확으로 수확량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농부가 협소한 경작지에서도 매일 공장과 같이 작업할 수 있는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며 기존 수경재배를 하는데 있어서 액체산소를 에어블로우를 이용 공급하는데 비해 본 발명은 산소발생기가 포함된 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또는 나노버블발생장치)를 이용 제공하는 기술로 차별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마이크로버블은 50um 크기 내외의 버블을 가압펌프나 가압탱크를 이용 부딪힘작용을 이용 마이크로 버블을 만들어줌에 의해 버블자체가 산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블이 없어질 때까지 용수가 산소농도를 좀더 오래동안 유지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며 나노버블은 상기 마이크로버블과 같은 장치로 30um이하로 좀더 잘게 버블을 만들어 공급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마이크로버블보다 산소농도가 좀더 오래동안 유지된다.
다음은 도면을 통하여 좀더 상세히 본 발명을 검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팅 모듈화 수경재배조(100) 1 조의 구성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예시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방이 폐쇄되어 있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의 플로팅(floating)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세멘트 또는 판넬이나 황토 또는 방수자재를 이용하여 설치된 사방과 바닥이 막혀 있어 물을 가둬놓을 수 있는 2조 이상의 모듈화 수경재배조(100)가 구비되고,
그리고 여기에 주로 엽채류의 식물을 모종하여 키울 수 있는 물에 뜰 수 있는 스치로폼이나 폴리우레탄폼 등의 발포재 재질로 구성된 플로팅 재배용베드(200)가 다수개가 구비되어 모종을 하여 물에 띄워 식물이 재배되는 구성을 가지며,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서 수확을 하여 빈공간이 생기면 펀쳐(900)와 밀대(600)를 이용하여 플로팅재배용베드(200)를 밀어내어 초기 모종을 심은 플로팅 재배용베드(200)를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 계속해서 띄울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그리고 식물이 수확될 시기에 있는 플로팅 재배용베드(200)를 펀쳐(900)가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밖으로 밀어내면 물의 흐름에 의해 플로팅 재배용베드(200)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수확이동조(300)가 구비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 때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확이동조(300)와 연결된 면(110)은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어 펀쳐(900)로 밀었을 때 플로팅 재배용베드(200)가 수확이동조(300)로 용이하게 이동이 될 수 있는 구조의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펀쳐(900)로 밀대(600)를 밀어 수확하는 방식은 밀대(600)에 끈을 연결하여 잡아 당김에 의해 작물을 수확하는 방식(그림생략)으로 대치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는 물의 높이(d)를 재는 수위센서(1200)와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센서(1300)와
양액농도를 잴 수 있는 전도도센서(EC 센서,1400)와
PH농도를 잴 수 있는 PH농도센서(1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속의 산소농도를 잴 수 있는 용존산소센서(D/O센서,1600)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는 물공급조(900)와 양액공급조(1000) 및 PH조(1100)에서 물이나 양액 및 PH 조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700)와 수경재배조(100) 바닥에 구성된 배관장치(800)가 구비되는데,
이 때 물공급조(900)와 양액공급조(1000) 및 PH조(1100)는 각 한조씩만 구성되고 이를 배관 콘트롤을 통해 2개이상의 전체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로 공급해주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펌프(700)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가 많을 경우 배관시스템에 따라 빠른 용수공급을 위해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물공급조(900)와 양액공급조(1000)를 섞기 위한 별도의 탱크가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확이동조((300)에는 물을 이동시켜 플로팅 재배용베드(200)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순환펌프(400)와 물흡입구(310)와 물배출구(320)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 2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를 관리하는 기본적인 구성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나와 있듯이 2조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다른 재배 특성을 가진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100), 모듈화수경재배조2(100), 모듈화수경재배조3, .. 모듈화 수경재배조 n(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각에 심어지는 수경작물의 재배 특성에 맞게 적용시키기 위해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는 각각 물의 높이(d)를 재는 수위센서(1200)와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센서(1300)와
양액농도를 잴 수 있는 전도도센서(EC 센서,1400)와
PH농도를 잴 수 있는 PH농도센서(1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속의 산소농도를 잴 수 있는 용존산소센서(D/O센서,1600)가 포함된다.
그리고, 모듈화 수경재배조(100) 전체가 포함된 온실내의 온도를 재는 온도센서(1700)와 습도를 재는 습도센서(1800)가 구비된다.
또, 태양의 일조량을 재는 일조량센서(1900)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들과 콘트롤장치(2900)가 주로 통합센서모듈(2000)을 통하여 연결되어 각 센서들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에서 통합센서모듈(2000)은 상기 각 센서들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콘트롤장치(2900)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각 센서모듈이 직접 콘트롤장치(2900)과 통신할 경우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에 간략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재배되는 수경작물에 맞는 수위와 수온 및 양액농도와 PH농도를 콘트롤장치(2900)는 자동 조정한다.
즉, 콘트롤장치(2900)는 수위센서(1200)가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화 수경재배조(100) 중 어느 한 조가 물이 부족하면 물공급조(900)에서 용수를 공급하는데 각 수경재배조(100)마다 별도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독립적인 배관구조를 가지고 있어 각 수경재배조(100)에 맞는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양액농도센서(EC센서,1400)가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액농도가 적으면 양액공급조(1000)에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데 상기 용수 공급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배관구조와 함께 수경작물에 맞는 양액 공급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 각 수경재배조(100)의 해당 작물에 맞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수온센서(1300)를 통해 온도를 센싱하여 찬물이나 온수를 공급하거나 냉난방기(2800)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등의 수온을 조정하며,
PH농도센서(1500)의 센싱을 이용 PH조(1100)의 PH 조정수를 통해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경 작물에 맞는 PH를 조정한다.
그리고 또 D/O센서(1600)의 센싱을 이용 마이크로버블 산소수를 공급하여 산소농도를 콘트롤장치(2900)는 조정한다.
또 콘트롤장치(2900)는 온실하우스내의 온도센서(1800)와 습도센서(1900)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근거로 송풍기(2700)와 냉난방기(2800)를 운용하여 온실하우스내의 전체 온도와 습도를 조정한다.
즉, 온도와 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송풍기(2700)를 동작시키거나 냉난방기(2800)를 냉방 동작시켜 온도와 습도를 낮추어 조정하고,
온도와 습도가 기준치이하로 떨어질 경우 냉난방기(2800)의 난방하여 온도와 습도를 높게 조정한다.
그리고 일조량센서(1900)를 이용하여 일조량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태양의 빛을 차단하여 일조량을 제한하는 수단의 커텐차단장치(3000)를 동작시킴에 의해 수경재배작물의 일조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물공급조(900)와 양액공급조(1000)에서 용수와 양액을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로 통상적으로 섞어서 보내는데 이때 산소발생기가 포함된 마이크로버블(또는 나노버블)장치(2100)가 적용되어 용수를 마이크로버블(또는 나노버블)수로 보내는 것을 본 발명은 포함한다. 마이크로버블(또는 나노버블)장치(2100)는 공급되는 용수의 D/O를 10내외로 맞추어지는데 이는 식물의 생장을 빠르게 하고 건강하게 해준다는 점이 많은 실험에서 증명되고 있기 때문에 플로팅 수경재배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할 장치에 속한다.
그리고 콘트롤장치(2900)는 온실하우스내에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2600)의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통신부(2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장치(2900)에 포함되어 또는 콘트롤장치(2900)에 연결되어 있는 M2M(machine2Machine)게이트웨이(2910)를 본 발명은 포함할수 있어 콘트롤장치(2900)와 휴대폰(3200)(또는 원격지 컴퓨터)을 이동통신을 포함한 무선데이터망(3100)으로 연결하여 주어 원격지 컴퓨터나 휴대폰(3200)을 이용 온실내부의 수경작물 재배를 조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폰(3200)으로도 어디에서나 온실의 상황을 보면서 원격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외부 업무중에도 온실을 관리를 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컴퓨터(2600)의 메모리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는 조정부(2400)에서 통신부(2300)를 통하여 콘트롤장치(2900)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부(2400)는 콘트롤장치(2900)에서 보내는 온도나 습도 및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센싱현황 및 경보상황을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2200)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있으며,
각 농작물에 맞는 수온이나 양액처리 등의 기본값을 세팅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컴퓨터(2600)에는 통신부(2300)에 바코더 입력장치(2500)가 연결되어 있어 각 생산되는 수경작물 포장에 바코더를 붙여 컴퓨터(100)에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등 등의 휴대폰(3200)을 이용하여 콘트롤장치(2900)를 조정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은 휴대폰(3200)어플이 컴퓨터(2600)의 조정부(240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은 조정부(2400)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으로서,
조정부(2400)는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온이나 수위 및 양액농도 및 PH농도 및 용존산소량 등 운영상태를 디스플레이장치(2200)상에서 볼 수 있는 현황표시부(2410)를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후나 환경 상황에 맞게 콘트롤장치(2900)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온이나 양액농도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수동조정부(2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재배되는 수경작물에 맞는 양액농도와 수온과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의 기본값을 정할 수 있는 기본값설정부(2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갑작스러운 수온변화나 양액농도 및 PH농도의 기준치 이상의 변화 또는 온도센서(1700)나 습도센서(1800)의 기준치이상의 변화 또는 일조량센서(1900)의 기준치 이상의 변화와 냉난방기(2800)와 송풍기(2700) 등 각 장비의 고장을 경고해주는 경고부(2440)를 포함한다.
100 수경재배조
200 플로팅(Floating) 재배용 베드(Bed)
300 수확이동조
400 순환펌프
500 펀쳐 600 밀대
700 펌프 800 배관장치
900 물공급조 1000 양액공급조
1100 PH조 1200 수위센서
1300 수온센서 1400 양액농도센서
1500 PH농도센서 1600 용존산소센서(D/O센서)
1700 온도센서 1800 습도센서
1900 일조량센서 2000 통합센서모듈
2100 마이크로버블(나노버블)장치
2200 디스플레이장치 2300 통신부
2400 조정부(프로그램모듈) 2500 바코더 입력장치
2600 컴퓨터 2700 송풍기
2800 냉난방기 2900 콘트롤장치
3000 커텐차단장치 3100 무선데이터망
3200 휴대폰

Claims (21)

  1. 사방이 폐쇄된 식물 재배용 하우스내에 설치된 플로팅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2조 이상의 물을 가두어 놓을 수 있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가 구비되고,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는 수온센서(1300);
    수위센서(1200); 양액농도센서(1400); PH농도센서(1500); 및 용존산소센서(1600);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센서들과 연결되어 각 모듈화수경재배조(100)의 수경재배작물에 맞는 수온이나 수위와 양액농도나 PH농도 및 용존산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콘트롤장치(2900)를 구비한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수위센서(1200)가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공급조(900)를 이용 해당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 맞는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양액농도센서(EC센서,1400)가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액농도가 적으면 양액공급조(1000)에서 해당 모듈화수경재배조(100)에 맞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수온센서(1300)를 통해 온도를 센싱하여 찬물이나 온수를 공급하거나 냉난방기(2800)를 이용하여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 맞는 수온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PH농도센서(1500)의 센싱을 이용 PH조(1100)의 PH 조정수를 통해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경 작물에 맞는 PH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용존산소센서(D/O센서,1600)의 센싱을 이용 마이크로버블 산소수를 공급하여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경 작물에 맞는산소농도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온도와 습도를 온도센서(1700)와 습도센서(1700)를 이용 측정하여 냉난방기(2800)나 송풍기(2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일조량센서(1900)를 이용 일조량을 측정하여 커텐차단장치(3000)를 이용 식물의 일조량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컴퓨터(2600)의 통신부(2300)에 연결되고, 컴퓨터(2600) 조정부(2400)는 콘트롤장치(2900)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조정부(2400)는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온이나 수위 및 양액농도 및 PH농도 및 용존산소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운영상태를 디스플레이장치(2200)에서 볼 수 있는 수단의 현황표시부(2410)를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조정부(2400)는 기후나 환경 상황에 맞게 콘트롤장치(2900)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온이나 양액농도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 중 어느 하나이상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의 수동조정부(2420)를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조정부(2400)는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재배되는 수경작물에 맞는 양액농도와 수온과 PH농도 및 용존산소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값을 정할 수 있는 수단의 기본값설정부(2430)를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조정부(2400)는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갑작스러운 수온변화나 양액농도 및 PH농도 중 어느 하나이상의 기준이상치 변화 또는 온도센서(1700)나 습도센서(1800)나 일조량센서(1900)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치 이상의 변화 또는 일조량센서(1900)와 냉난방기(2800)나 송풍기의 고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경고해주는 경고부(2440)를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4. 플로팅(floating)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모듈화 수경재배조(100); 플로팅 재배용베드(200); 펀쳐(900); 및 밀대(600);가 구비되고 식물을 수확할 때 플로팅 재배용베드(200)를 펀쳐(900)가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밖으로 밀어내면 물의 흐름에 의해 플로팅 재배용베드(200)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수확이동조(300)가 구비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펀쳐(900)와 밀대(600)를 대체하여 끈과 밀대(60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수확이동조((300)는 물을 이동시켜 플로팅 재배용베드(200)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순환펌프(400)와 물흡입구(310)와 물배출구(320)의 구성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수확이동조((300)는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의 수확이동조(300)와 연결된 면(110)은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어 용이하게 플로팅 재배용베드(200)가 수확이동조(300)로 이동이 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장치(2900)는 무선데이터망(3100)을 이용 휴대폰(3200)과 연결할 수 있는 M2M게이트웨이(2910)를 포함하는 구성의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합하여 상기 센서들의 데이터를 콘트롤장치(29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해주는 통합센서모듈(2000)의 구성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로 보내는 용수나 양액이나 PH조정수는 독립적인 배관구조를 가지고 있어 각 모듈화 수경재배조(100)에 맞는 용수나 양액이나 PH조정수를 보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각 모듈화수경재배조(100)로 물과 양액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함에 있어서, 마이크로버블(또는 나노버블)장치(2100)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또는 나노버블)용수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화 플로우팅 수경재배시스템.
KR1020140081644A 2014-07-01 2014-07-01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KR20160003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44A KR20160003395A (ko) 2014-07-01 2014-07-01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44A KR20160003395A (ko) 2014-07-01 2014-07-01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95A true KR20160003395A (ko) 2016-01-11

Family

ID=5516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644A KR20160003395A (ko) 2014-07-01 2014-07-01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395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24B1 (ko) 2018-10-05 2019-04-17 주식회사 오미라클 수경재배용 양액 온도조절 시스템
KR102014540B1 (ko) * 2018-12-17 2019-08-26 농업회사법인 바이오르 주식회사 식물 공중 재배장치 관리 시스템
KR102134655B1 (ko) * 2020-04-23 2020-07-16 농업회사법인 상상텃밭 주식회사 용존산소량 및 양액 농도 조절이 가능한 양액 재배 장치 및 방법
KR102152328B1 (ko) * 2019-11-21 2020-09-04 (주)에이비 경작지 관리 시스템
WO2021096259A1 (ko) * 2019-11-12 2021-05-20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모듈형 식물 재배 시스템
WO2021107672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스마트팜 양액 공급 장치
WO2021107669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식물의 생장 촉진 기능의 스마트팜 양액 제어 시스템
WO2021107671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생육 주기 확인을 통한 스마트팜 양액 제어 시스템
WO2021107673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생육 주기별 양액 농도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CN115568413A (zh) * 2022-09-30 2023-01-06 多吉利德农业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化定植及采收的水上漂浮栽培系统
WO2023008590A1 (en) * 2021-07-26 2023-02-02 Mollick Ahsan Ahmed Smart hydroponic system
KR20230078505A (ko) * 2022-09-28 2023-06-02 주식회사 파미 효율성이 증대된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924B1 (ko) 2018-10-05 2019-04-17 주식회사 오미라클 수경재배용 양액 온도조절 시스템
KR102014540B1 (ko) * 2018-12-17 2019-08-26 농업회사법인 바이오르 주식회사 식물 공중 재배장치 관리 시스템
WO2020130524A1 (ko) * 2018-12-17 2020-06-25 농업회사법인 바이오르 주식회사 식물 공중 재배장치 관리 시스템
WO2021096259A1 (ko) * 2019-11-12 2021-05-20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모듈형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152328B1 (ko) * 2019-11-21 2020-09-04 (주)에이비 경작지 관리 시스템
WO2021107673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생육 주기별 양액 농도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WO2021107672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스마트팜 양액 공급 장치
WO2021107669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식물의 생장 촉진 기능의 스마트팜 양액 제어 시스템
WO2021107671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올릭스 생육 주기 확인을 통한 스마트팜 양액 제어 시스템
KR102134655B1 (ko) * 2020-04-23 2020-07-16 농업회사법인 상상텃밭 주식회사 용존산소량 및 양액 농도 조절이 가능한 양액 재배 장치 및 방법
WO2023008590A1 (en) * 2021-07-26 2023-02-02 Mollick Ahsan Ahmed Smart hydroponic system
KR20230078505A (ko) * 2022-09-28 2023-06-02 주식회사 파미 효율성이 증대된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CN115568413A (zh) * 2022-09-30 2023-01-06 多吉利德农业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化定植及采收的水上漂浮栽培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3395A (ko) 모듈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
Van Os et al. Technical equipment in soilless production systems
CN103918540B (zh) 家用智能植物种植箱
KR101873148B1 (ko) 수경재배기
CN203748378U (zh) 家用智能植物种植箱
CN105532413B (zh) 用于蔬菜工厂化生产的自然光利用型植物工厂系统
JP2011177130A (ja) 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水耕栽培方法
CN102524038B (zh) 立体组合式温控光控育种床
CN106488700B (zh) 在植物栽培管理机中通过延长食用植物的收获期间使收获量最大化的装置及方法
KR101756525B1 (ko) 초음파 수분에 의한 이동식 농법 장치
CN108347888A (zh) 营养液栽培系统
WO2021061064A2 (en) Ultrasonic aeroponic indoor plant cultivation modules
EP3890472A1 (en) Vertical hydroponically plant-growing tower system
CN202396257U (zh) 立体组合式温控光控育种床
JPWO2019230039A1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の栽培装置
KR20130140243A (ko)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CN104770249A (zh) 金花茶育苗大棚控制系统
KR20170022327A (ko) IoT 기술기반 신품종 동충하초의 다단형 재배장치
KR101869777B1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CN205511362U (zh) 用于蔬菜工厂化生产的自然光利用型植物工厂系统
CN205756188U (zh) 一种水培叶菜系统
CN104012394A (zh) 室内一体式种植展示架
CN107347458A (zh) 一种食用菌类立体养植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624642A (zh) 一种花生全生育期无土培养装置
CN207561054U (zh) 一种阶梯组合式立体栽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