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786A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786A
KR20160002786A KR1020157029984A KR20157029984A KR20160002786A KR 20160002786 A KR20160002786 A KR 20160002786A KR 1020157029984 A KR1020157029984 A KR 1020157029984A KR 20157029984 A KR20157029984 A KR 20157029984A KR 20160002786 A KR20160002786 A KR 2016000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tile
indicating whether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6000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spati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 부호화란 디지털화한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압축 부호화의 대상에는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대상이 존재하며, 특히 영상을 대상으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기술을 비디오 영상 압축이라고 일컫는다. 비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부호화는 공간적인 상관관계, 시간적인 상관관계, 확률적인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잉여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다양한 미디어 및 데이터 전송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고효율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황 혹은 단말기의 해상도 등과 같은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및/또는 화질 관점에서 계층적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효율적인 코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디멀티 플렉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베이스 레이어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 된 베이스 레이어의 픽쳐를 이용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더를 포함하되,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더는,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상기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루프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레이어간 예측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코딩 유닛을 분할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할 구조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예측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하나의 픽쳐가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하나의 픽쳐가 복수의 타일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9는 타일 구조가 서로 얼라인 되어 있는 2개의 레이어의 비트스트림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다음 용어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해석될 수 있고, 기재되지 않은 용어라도 하기 취지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코딩은 경우에 따라 인코딩 또는 디코딩으로 해석될 수 있고, 정보(information)는 값(values), 파라미터(parameter), 계수(coefficients), 성분(elemen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경우에 따라 의미는 달리 해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닛'은 영상(픽쳐) 처리의 기본 단위 또는 픽쳐의 특정 위치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 '파티션' 또는 '영역' 등의 용어와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닛은 코딩 유닛, 예측 유닛, 변환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코딩 장치(100)는 크게 변환부(110), 양자화부(115), 역양자화부(120), 역변환부(125), 필터링부(130), 예측부(150) 및 엔트로피 코딩부(160)를 포함한다.
변환부(110)는 입력 받은 비디오 신호에 대한 화소값을 변환하여 변환 계수 값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또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산 코사인 변환은 입력된 픽쳐 신호를 일정 크기의 블록 형태로 나누어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변환에 있어서 변환 영역 내의 값들의 분포와 특성에 따라서 코딩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양자화부(115)는 변환부(110)에서 출력된 변환 계수 값을 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120)에서는 변환 계수 값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125)에서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값을 이용하여 원래의 화소값을 복원한다.
필터링부(130)는 복원된 픽쳐의 품질 개선을 위한 필터링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 및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156)에 저장된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픽쳐 신호를 그대로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부(150)를 통해 이미 코딩된 영역을 이용하여 픽쳐를 예측하고, 예측된 픽쳐에 원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더하여 복원 픽쳐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인트라 예측부(152)에서는 현재 픽쳐 내에서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며, 인터 예측부(154)에서는 복호 픽쳐 버퍼(156)에 저장된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를 예측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영역들로부터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여, 화면내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인터 예측부(154)는 다시 모션 추정부(154a) 및 모션 보상부(1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는 복원된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의 모션 벡터값을 획득한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는 참조 영역의 위치 정보(참조 프레임, 모션 벡터 등) 등을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 전달된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모션 보상부(154b)에서는 화면간 모션 보상을 수행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6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화면간 부호화 정보, 화면내 부호화 정보 및 인터 예측부(154)로부터 입력된 참조 영역 정보 등을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여기서 엔트로피 코딩부(160)에서는 가변 길이 코딩(Variable Length Coding, VLC) 방식과 산술 코딩(arithmetic cod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길이 코딩(VLC) 방식은 입력되는 심볼들을 연속적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데, 코드워드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심볼들을 짧은 코드워드로, 자주 발생하지 않은 심볼들은 긴 코드워드로 표현하는 것이다. 가변 길이 코딩 방식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가변 길이 코딩(Context-based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산술 코딩은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들을 하나의 소수로 변환하는데, 산술 코딩은 각 심볼을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적의 소수 비트를 얻을 수 있다. 산술 코딩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e, CABAC)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을 기본 단위로 캡슐화 되어 있다. NAL 유닛은 부호화된 슬라이스 세그먼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정수 개의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으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디코더에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트스트림을 NAL 유닛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 된 각각의 NAL 유닛을 디코딩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200)는 크게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필터링부(230), 예측부(250)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모션 벡터 등을 추출한다. 역양자화부(220)는 엔트로피 디코딩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225)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원래의 화소값을 복원한다.
한편, 필터링부(230)는 픽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화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에는 블록 왜곡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블록킹 필터 및/또는 픽쳐 전체의 왜곡 제거를 위한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다음 프레임에 대한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256)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측부(250)는 인트라 예측부(252) 및 인터 예측부(254)를 포함하고, 전술한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를 통해 디코딩된 부호화 타입,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모션 벡터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예측 픽쳐를 복원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트라 예측부(252)에서는 현재 픽쳐 내의 디코딩된 샘플로부터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인터 예측부(254)는 복호 픽쳐 버퍼(256)에 저장된 참조 픽쳐 및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예측 픽쳐를 생성한다. 인터 예측부(254)는 다시 모션 추정부(254a) 및 모션 보상부(2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추정부(254a)에서는 현재 블록과 코딩에 사용하는 참조 픽쳐의 참조 블록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션 벡터를 획득하여 모션 보상부(254b)로 전달한다.
상기 인트라 예측부(252) 또는 인터 예측부(254)로부터 출력된 예측값, 및 역변환부(225)로부터 출력된 화소값이 더해져서 복원된 비디오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코딩 장치(100)와 디코딩 장치(200)의 동작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코딩 유닛 및 예측 유닛 등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코딩 유닛이란 상기에서 설명한 비디오 신호의 처리 과정에서, 예를 들어 화면내(intra)/화면간(inter) 예측, 변환(transform), 양자화(quantization) 및/또는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 등의 과정에서 픽쳐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하나의 픽쳐를 코딩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코딩 유닛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코딩 유닛은 다시 여러 개의 코딩 유닛으로 분할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코딩 유닛을 분할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2N X 2N 크기를 가지는 하나의 코딩 유닛은 다시 N X N 크기를 가지는 네 개의 코딩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코딩 유닛의 분할은 재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코딩 유닛들이 동일한 형태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다만, 코딩 및 처리과정에서의 편의를 위하여 최대 코딩 유닛(32)의 크기 및/또는 최소 코딩 유닛(34)의 크기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코딩 유닛에 대하여, 해당 코딩 유닛이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는 코딩 유닛의 분할 구조를 플래그 값을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코딩 유닛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유닛이 분할 된 경우 '1', 분할되지 않은 경우 '0'의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이 1이면 해당 노드에 대응하는 코딩 유닛은 다시 4개의 코딩 유닛으로 나누어지고, 0이면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고 해당 코딩 유닛에 대한 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코딩 유닛의 구조는 재귀적인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하나의 픽쳐 또는 최대 크기 코딩 유닛을 루트(root)로 하여, 다른 코딩 유닛으로 분할되는 코딩 유닛은 분할된 코딩 유닛의 개수만큼의 자식(child) 노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코딩 유닛이 리프(leaf) 노드가 된다. 하나의 코딩 유닛에 대하여 정방형 분할만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때, 하나의 코딩 유닛은 최대 4개의 다른 코딩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코딩 유닛을 나타내는 트리는 쿼드 트리(Quard tree) 형태가 될 수 있다.
인코더에서는 비디오 픽쳐의 특성(예를 들어, 해상도)에 따라서 혹은 코딩의 효율을 고려하여 최적의 코딩 유닛의 크기가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정보 또는 이를 유도할 수 있는 정보가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코딩 유닛의 크기 및 트리의 최대 깊이가 정의될 수 있다. 정방형 분할을 할 경우, 코딩 유닛의 높이 및 너비는 부모 노드의 코딩 유닛의 높이 및 너비의 반이 되므로, 상기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면 최소 코딩 유닛 크기를 구할 수 있다. 혹은 역으로, 최소 코딩 유닛 크기 및 트리의 최대 깊이를 미리 정의하여 이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 코딩 유닛의 크기를 유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정방형 분할에서 유닛의 크기는 2의 배수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실제 코딩 유닛의 크기는 2를 밑으로 하는 로그값으로 나타내어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디코더에서는 현재 코딩 유닛이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특정 조건 하에만 획득하게(전송되게) 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코딩 유닛이 분할 가능한 조건은 현재 위치에서 현재 코딩 유닛 크기를 더한 것이 픽쳐의 크기보다 작고, 현재 유닛 크기가 기 설정된 최소 코딩 유닛 크기보다 큰 경우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만 현재 코딩 유닛이 분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보가 코딩 유닛이 분할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분할될 코딩 유닛의 크기는 현재 코딩 유닛의 반이 되고, 현재 처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4개의 정방형 코딩 유닛들로 분할된다. 각 분할된 코딩 유닛들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할 수 있다.
코딩을 위한 픽쳐 예측(모션 보상)은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는 코딩 유닛(즉 코딩 유닛 트리의 리프 노드)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측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를 이하에서는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또는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이라고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예측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예측 유닛은 코딩 유닛 내에서 정방형,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예측 유닛은 분할되지 않거나(2N X 2N),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N X N, 2N X N, N X 2N, 2N X N/2, 2N X 3N/2, N/2 X 2N, 3N/2 X 2N 등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예측 유닛의 가능한 분할 형태는 인트라 코딩 유닛과 인터 코딩 유닛에서 각기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코딩 유닛에서는 2N X 2N 또는 N X N 형태의 분할만 가능하고, 인터 코딩 유닛에서는 상기 언급된 모든 형태의 분할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비트스트림에는 상기 예측 유닛이 분할되었는지 여부, 혹은 어떠한 형태로 분할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혹은 이러한 정보는 다른 정보들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닛 이라는 용어는 예측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인 상기 예측 유닛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광의적으로는 상기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코딩이 수행되는 현재 유닛을 복원하기 위해서 현재 유닛이 포함된 현재 픽쳐 또는 다른 픽쳐들의 디코딩된 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복원에 현재 픽쳐만을 이용하는, 즉 화면내 예측만을 수행하는 픽쳐(슬라이스)를 인트라 픽쳐 또는 I 픽쳐(슬라이스), 화면내 예측과 화면간 예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픽쳐(슬라이스)를 인터 픽쳐(슬라이스)라고 한다. 인터 픽쳐(슬라이스) 중 각 유닛을 예측하기 위하여 최대 하나의 모션 벡터 및 레퍼런스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슬라이스)를 예측 픽쳐(predictive picture) 또는 P 픽쳐(슬라이스)라고 하며, 최대 두 개의 모션 벡터 및 레퍼런스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슬라이스)를 쌍예측 픽쳐(Bi-predictive picture) 또는 B 픽쳐(슬라이스) 라고 한다.
인트라 예측부에서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영역들로부터 대상 유닛의 픽셀값을 예측하는 화면내 예측(Intra predic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유닛을 중심으로, 상단, 좌측, 좌측 상단 및/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유닛들의 부호화된 픽셀로부터 현재 유닛의 픽셀값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인터 예측부에서는 현재 픽쳐가 아닌 복원된 다른 픽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유닛의 픽셀값을 예측하는 화면간 예측(Inter prediction)을 수행한다. 이때, 예측에 이용되는 픽쳐를 참조 픽쳐(reference picture)라고 한다. 화면간 예측 과정에서 현재 유닛을 예측하는데 어떤 참조 영역을 이용하는지는, 해당 참조 영역이 포함된 참조 픽쳐를 나타내는 인덱스 및 모션 벡터(motion vector) 정보 등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화면간 예측에는 순방향 예측(forward direction prediction), 역방향 예측(backward direction prediction) 및 쌍예측(Bi-prediction)이 있을 수 있다. 순방향 예측은 시간적으로 현재 픽쳐 이전에 표시(또는 출력)되는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이고, 역방향 예측은 시간적으로 현재 픽쳐 이후에 표시(또는 출력)되는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1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필요할 수 있다.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두 개의 참조 영역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두 개의 참조 영역은 동일한 참조 픽쳐에 존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픽쳐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2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이용될 수 있는데, 두 개의 모션 벡터가 동일한 참조 픽쳐 인덱스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참조 픽쳐 인덱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참조 픽쳐들은 시간적으로 현재 픽쳐 이전이나 이후 모두에 표시(또는 출력)될 수 있다.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유닛의 참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참조 유닛은 상기 참조 픽쳐 인덱스를 가진 참조 픽쳐 내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모션 벡터에 의해서 특정된 유닛의 픽셀값 또는 보간(interpolation)된 값이 상기 현재 유닛의 예측값(predictor)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서브펠(sub-pel) 단위의 픽셀 정확도를 갖는 모션 예측을 위하여 이를 테면, 휘도 신호에 대하여 8-탭 보간 필터가, 색차 신호에 대하여 4-탭 보간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디코딩된 픽쳐로부터 현재 유닛의 텍스쳐를 예측하는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이 수행된다.
한편, 현재 픽쳐에 대하여, 화면 간 예측을 위하여 사용되는 픽쳐들로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B 픽쳐의 경우에는 두 개의 참조 픽쳐 리스트를 필요로 하며, 이하에서는 각각을 참조 픽쳐 리스트 0(또는 L0), 참조 픽쳐 리스트 1(또는 L1)으로 지칭한다.
하나의 픽쳐는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및 타일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슬라이스는 픽쳐의 수평방향 분할을 가리키며, 타일은 픽쳐의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의 분할을 가리킨다. 도 6 및 도 7은 픽쳐가 분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은 하나의 픽쳐가 복수의 슬라이스(Slice 0, Slice 1)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굵은 선은 슬라이스 경계를 나타내며, 점선은 슬라이스 세그먼트 경계를 나타낸다.
슬라이스는 하나의 독립 슬라이스 세그먼트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독립 슬라이스 세그먼트와 연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코딩 트리 유닛(CTU, 30)의 시퀀스이다. 즉, 독립 또는 종속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CTU(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픽쳐가 두 개의 슬라이스 즉, 슬라이스 0과 슬라이스 1로 분할되어 있다. 이 중, 슬라이스 0은 총 3개의 슬라이스 세그먼트로 구성되는데, 4개의 CTU를 포함하는 독립 슬라이스 세그먼트, 35개의 CTU를 포함하는 종속 슬라이스 세그먼트, 및 15개의 CTU를 포함하는 또 다른 종속 슬라이스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슬라이스 1은 42개의 CTU를 포함하는 하나의 독립 슬라이스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하나의 픽쳐가 복수의 타일(Tile 0, Tile 1)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굵은 선은 타일 경계를 나타내며, 점선은 슬라이스 세그먼트 경계를 나타낸다.
타일은 슬라이스와 마찬가지로 CTU(30)의 시퀀스이며,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픽쳐가 두 개의 타일 즉, 타일 0과 타일 1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 해당 픽쳐는 하나의 슬라이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나의 독립 슬라이스 세그먼트와, 연속되는 4개의 종속 슬라이스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타일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에 포함된 CTU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슬라이스는 하나 이상의 타일에 포함된 CTU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각 슬라이스와 타일은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 i) 하나의 슬라이스에 포함된 모든 CTU는 동일한 타일에 속한다. ii)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모든 CTU는 동일한 슬라이스에 속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픽쳐는 슬라이스 및/또는 타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파티션(슬라이스, 타일)은 병렬적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또는, 스케일러블 고효율 비디오 코딩)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식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황 혹은 단말기의 해상도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및/또는 화질 관점에서 계층적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압축 방법이다. 공간적 계층성(scalability)은 동일한 픽쳐에 대해 각 레이어 별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고 부호화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으며, 시간적 계층성은 픽쳐의 초당 화면 재생 율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품질 계층성은 레이어 마다 양자화 파라미터를 다르게 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다양한 화질의 픽쳐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상도, 초당 프레임수 및/또는 품질이 낮은 픽쳐 시퀀스를 베이스 레이어라 하고, 상대적으로 해상도, 초당 프레임수 및/또는 품질이 높은 픽쳐 시퀀스를 인핸스먼트 레이어라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은 인코딩 장치(300)와 디코딩 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코딩 장치(300)는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 인핸스먼트 레이어 인코딩부(100b) 및 멀티플렉서(180)를 포함하고, 디코딩 장치(400)는 디멀티플렉서(280),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 및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딩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는 입력 신호 X(n)을 압축하여 베이스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인핸스먼트 레이어 인코딩부(100b)는 입력 신호 X(n)과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80)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 비트스트림과 인핸스먼트 레이어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스케일러블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 및 인핸스먼트 레이어 인코딩부(100b)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인핸스먼트 레이어 인코딩부(100b)의 인터 예측부는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핸스먼트 레이어 인코딩부(100b)의 복호 픽쳐 버퍼(DPB)는 베이스 레이어 인코딩부(100a)의 복호 픽쳐 버퍼(DPB)에 저장된 픽쳐를 샘플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 샘플링, 업 샘플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스케일러블 비트스트림은 소정 채널을 통해 디코딩 장치(4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스케일러블 비트스트림은 디코딩 장치(400)의 디멀티플렉서(280)에 의해 인핸스먼트 레이어 비트스트림과 베이스 레이어 비트스트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는 베이스 레이어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를 복원하여 출력 신호 Xb(n)을 생성한다. 또한,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딩부(200b)는 인핸스먼트 레이어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에서 복원된 신호를 참조하여 출력 신호 Xe(n)을 생성한다.
상기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 및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딩부(200b)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디코딩 장치(2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딩부(200b)의 인터 예측부는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딩부(200b)의 복호 픽쳐 버퍼(DPB)는 베이스 레이어 디코딩부(200a)의 복호 픽쳐 버퍼(DPB)에 저장된 픽쳐를 샘플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은 리 샘플링, 업 샘플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는 효율적인 예측을 위해 레이어간 예측(interlayer prediction)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이어간 예측이란, 하위 레이어의 모션(motion) 정보, 신택스(syntax) 정보 및/또는 텍스쳐(texture)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의 픽쳐 신호를 예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위 레이어의 부호화에 참조되는 하위 레이어는 참조 레이어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핸스먼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를 참조 레이어로 하여 코딩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참조 유닛은 샘플링(sampling)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샘플링(sampling)이란, 이미지 해상도(image resolution) 또는 품질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은 리 샘플링(re-sampling), 다운 샘플링(down-sampling), 업 샘플링(up-sampl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인트라 샘플들을 리 샘플링 할 수 있다. 혹은 다운 샘플링 필터를 이용하여 픽셀 데이터를 재생성함으로써 이미지 해상도를 줄일 수 있는데, 이를 다운 샘플링이라 한다. 혹은 업 샘플링 필터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픽셀 데이터를 만들어 냄으로써 이미지 해상도를 크게 할 수 있는데, 이를 업 샘플링이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샘플링이란 용어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의 복호화 방식에는 크게 싱글 루프 방식과 멀티 루프 방식이 있다. 싱글 루프 방식은 실제로 재생하고자 하는 레이어의 픽쳐만 복호화 하고, 그 하위 레이어는 인트라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픽쳐에 대해서는 복호화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인핸스먼트 레이어에서는 하위 레이어의 모션 벡터, 신택스 정보 등은 참조가 가능하지만, 인트라 유닛 이외의 다른 유닛에 대한 텍스쳐 정보는 참조할 수 없다. 한편, 멀티 루프 방식은 현재 재생할 레이어 뿐만 아니라 그 하위 레이어를 모두 복원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멀티 루프 방식을 사용하면 하위 레이어의 신택스 정보뿐만 아니라 모든 텍스쳐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 레이어는 직접 참조 레이어와 간접 참조 레이어를 포함한다. 직접 참조 레이어란 다른 상위 레이어의 레이어간 예측에 직접 사용되는 레이어를 가리킨다. 또한, 간접 참조 레이어란 다른 상위 레이어의 레이어간 예측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어를 가리킨다. 즉, 간접 참조 레이어는 해당 상위 레이어의 직접 참조 레이어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의 참조 레이어를 포함한다.
한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 하나의 레이어와 해당 레이어의 참조 레이어(즉, 인핸스먼트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는 모두 복수의 슬라이스 및/또는 복수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슬라이스 및 타일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CTU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픽쳐를 분할하는 슬라이스와 타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파티션”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레이어 또는 모든 레이어에서 픽쳐들의 파티션 구조(또는, 경계)가 서로 얼라인(align) 되어 있는 상황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타일 구조가 서로 얼라인(align) 되어 있는 2개의 레이어의 비트스트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각 픽쳐는 아래에서부터 베이스 레이어 픽쳐(40a), 업 샘플링 된 베이스 레이어 픽쳐(40b) 및 인핸스먼트 레이어 픽쳐(40c)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픽쳐는 4개의 타일로 분할되어 있다.
하나의 레이어에서 동일한 타일 내에 위치한 임의의 2개의 샘플들에 각각 대응하는 참조 레이어의 병치의(collocated) 샘플들이 역시 동일한 타일 내에 위치한다면, 레이어 간의 타일 구조가 얼라인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레이어들의 타일 구조가 얼라인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ⅰ) 레이어들의 각 픽쳐에서의 타일 개수가 동일해야 한다.
ⅱ) 하나의 레이어에서 임의의 2개의 샘플들이 동일한 타일 내에 위치한다면, 해당 샘플들에 대응하는 참조 레이어의 병치의 샘플들 역시 동일한 타일 내에 위치해야 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 레이어 간의 타일 구조가 얼라인 되어 있으면, 효율적인 병렬 프로세싱이 가능하다. 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위치의 타일들은 디코더의 동일한 프로세싱 코어(processing core)에 할당되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가 4개의 프로세싱 코어를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도 9의 베이스 레이어 픽쳐(40a)와 인핸스먼트 레이어 픽쳐(40c)에서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타일들은 동일한 코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위 레이어(즉, 베이스 레이어)에 위치한 타일부터 순차적으로 프로세싱이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이어 간 픽쳐들의 타일 구조가 동일하면, 상위 레이어의 타일 구조에 대한 정보를 중복적으로 디코더로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해당 상위 레이어의 타일 구조는 해당 레이어의 가장 인접한 종속 레이어 또는 참조 레이어의 타일 구조로부터 간단하게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레이어 간의 타일 구조에 관계된 다양한 정보들을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비디오 파라미터 셋(VPS), 시퀀스 파라미터 셋(SPS), 픽쳐 파라미터 셋(PPS) 또는 이들의 확장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들은 비디오 파라미터 셋의 활용 정보(VPS Video Usability Information, VPS_VUI) 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Syntax)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신택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는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enabled_flag')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enabled_flag')는 관련된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i) PPS, 이의 확장 데이터 (즉, PPS 레벨), 및/또는 ii) VPS, 이의 확장 데이터, VPS_VUI (즉, VPS 레벨)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iles_enabled_flag'가 PPS 레벨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플래그는 해당 PPS를 참조하는 각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래그 값이 1일 경우, 해당 PPS를 참조하는 각 픽쳐는 복수의 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래그 값이 0일 경우, 해당 PPS를 참조하는 각 픽쳐는 1 개의 타일만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iles_enabled_flag'가 VPS 레벨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플래그는 해당 VPS를 참조하는 각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그는 관련된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테면 PPS 레벨 및 VPS 레벨에 각각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VPS 레벨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해당 VPS를 참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쳐에 의해 참조되는 각 PPS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을 지시할 수 있다.
'tiles_enabled_flag'가 관련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디코딩 장치는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 및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를 수신할 수 있다.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는 현재 레이어 픽쳐들의 타일 경계(또는, 구조)가 가장 인접한 직접 참조 레이어 픽쳐들의 타일 경계(또는, 구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tiles_structure_aligned_flag' 값이 1일 경우, 현재 레이어 픽쳐의 임의의 2개의 샘플들이 동일한 타일에 속하면, 이에 대응하는 참조 레이어 픽쳐의 병치의 샘플들 역시 동일한 타일에 속해야 한다. 또한, 현재 레이어 픽쳐의 임의의 2개의 샘플들이 서로 다른 타일에 속하면, 이에 대응하는 참조 레이어 픽쳐의 각각의 병치의 샘플들은 서로 다른 타일에 속해야 한다. 'tiles_structure_aligned_flag' 값이 0일 경우, 이러한 제약 사항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비트스트림 내에 'tiles_structure_aligned_flag'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플래그는 0으로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어 식별자가 0보다 큰 상위 레이어(non-base layer)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접 참조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tiles_structre_aligned_flag'는 특정 상위 레이어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tiles_structure_aligned_flag'가 0일 경우, 디코딩 장치는 '타일 열 개수 정보' ('num_tile_columns_minus1'), '타일 행 개수 정보' ('num_tile_rows_minus1') 및 '타일 경계의 간격이 균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uniform_spacing_flag')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일 열 개수 정보' ('num_tile_columns_minus1') 및 '타일 행 개수 정보' ('num_tile_rows_minus1')는 각각 픽쳐를 분할하는 타일의 열 및 행의 개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iles_structure_aligned_flag'가 1일 경우, 상기 'num_tile_columns_minus1' 및 'num_tile_rows_minus1'은 각각 직접 참조 레이어의 'num_tile_columns_minus1' 및 'num_tile_rows_minus1'을 참조하여 해당 값들과 동일한 값을 갖도록 유추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타일 경계의 간격이 균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uniform_spacing_flag')는 픽쳐 전체에 걸쳐서 타일 경계의 열 간격 및 행 간격이 균일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플래그 값이 1일 경우 타일 경계의 열 간격 및 행 간격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플래그 값이 0일 경우에는 타일 경계의 열 간격 및/또는 행 간격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각 열의 너비 및 각 행의 높이는 각각 '타일 열의 너비 정보' (column_width_minus1[i]) 및 '타일 행의 높이 정보' (row_heignt_minus1[i])를 통해 직접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타일 열의 너비 정보' ('column_width_minus1[i]')는 i번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며, '타일 행의 높이 정보' ('row_heignt_minus1[i]')는 i번째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낸다. 이때, 'column_width_minus1[i]' 및 'row_heignt_minus1[i]'의 값은 CTU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만약, 'tiles_structure_aligned_flag'가 1이고 'uniform_spacing_flag'가 0일 경우, 'column_width_minus1[i]' 및 'row_heignt_minus1[i]'는 각각 직접 참조 레이어의 정보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즉, 현재의 'column_width_minus1[i]'는 직접 참조 레이어의 'column_width_minus1[i]' 값에, 현재 레이어와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픽쳐 너비 비율을 스케일링하여 획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row_heignt_minus1[i]'는 직접 참조 레이어의 'row_heignt_minus1[i]' 값에, 현재 레이어와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픽쳐 높이 비율을 스케일링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관련된 픽쳐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in-loop)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인-루프 필터는 재생 장치로의 출력 및 복호 픽쳐 버퍼에 삽입되는 픽쳐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원된 픽쳐에 적용하는 필터이다. 상기 인-루프 필터는 디블록킹(deblocking) 필터 및 SAO(Sample Adaptive Offset) 필터를 포함한다.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전술한 바와 같이 i) PPS, 이의 확장 데이터 (즉, PPS 레벨), 및/또는 ii) VPS, 이의 확장 데이터, VPS_VUI (즉, VPS 레벨) 등에 포함될 수 있다.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가 PPS 레벨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플래그는 해당 PPS를 참조하는 픽쳐들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래그 값이 1일 경우, 해당 PPS를 참조하는 픽쳐들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래그 값이 0일 경우, 해당 PPS를 참조하는 픽쳐들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가 VPS 레벨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플래그는 해당 VPS를 참조하는 픽쳐들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그는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테면 PPS 레벨 및 VPS 레벨에 각각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VPS 레벨의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해당 VPS를 참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쳐에 의해 참조되는 각 PPS의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획득된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각 플래그 값 0 및 1이 나타내는 정보는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각 플래그가 나타내는 값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가 0일 때 수신될 수 있다. 즉, 해당 플래그는 현재 레이어 픽쳐와 직접 참조 레이어 픽쳐의 타일 경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만 수신될 수 있다. 현재 레이어 픽쳐와 직접 참조 레이어 픽쳐의 타일 경계가 일치할 경우, 상기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의 값은 가장 인접한 직접 참조 레이어의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 값과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일부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는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enabled_flag')를 수신하고, 해당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 및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i][j]')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코딩 장치는 'tiles_enabled_flag'가 관련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 및 'tiles_structure_aligned_flag[i][j]'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loop_filter_across_tiles_enabled_flag')는 관련된 픽쳐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in-loop)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플래그는 PPS 레벨 및/또는 VPS 레벨에 포함될 수 있으며, 두 레벨에 모두 포함될 경우 해당 플래그들은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의 수행 여부를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디코딩 장치는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i][j]')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어 식별자가 0보다 큰 상위 레이어(non-base layer)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접 참조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tiles_structre_aligned_flag[i][j]'는 특정 상위 레이어(또는, 인핸스먼트 레이어)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레이어 식별자가 0보다 큰('1 <= i < max_layers_minus1') 각각의 상위 레이어(non-base layer)에 대해 해당 레이어의 직접 참조 레이어의 수('num_direct_ref_layers[layer_id[i]]')만큼 직접 참조 레이어의 레이어 식별자('layerIdx')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상위 레이어의 레이어 식별자('i') 및 직접 참조 레이어의 레이어 식별자('layerIdx')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에서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즉, 'tiles_enabled_flag[i]', 'tiles_enabled_flag[layerIdx]')를 확인한다. 상기 'tiles_enabled_flag[i]' 및 'tiles_enabled_flag[layerIdx]'가 모두 1을 만족할 경우, 디코딩 장치는 해당 상위 레이어와 이에 대응하는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tiles_structure_aligned_flag[i][j]')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tiles_structure_aligned_flag[i][j]'는 레이어 식별자가 'i'인 인핸스먼트 레이어와 해당 레이어의 'j'번째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타일 경계 얼라인 여부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관련 사항을 기술하였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 및 해당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직접 참조 레이어 간의 타일 경계가 얼라인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상기 직접 참조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모두 복수의 타일을 사용함을 나타낼 경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들에서 타일 경계를 가로지르는 인-루프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5.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디멀티 플렉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베이스 레이어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 된 베이스 레이어의 픽쳐를 이용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더를 포함하되,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 디코더는,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상기 타일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함을 나타낼 경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타일간 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레이어간 타일 경계의 얼라인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픽쳐를 디코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1020157029984A 2013-07-07 2014-07-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02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3424P 2013-07-07 2013-07-07
US61/843,424 2013-07-07
PCT/KR2014/006043 WO2015005621A1 (ko) 2013-07-07 2014-07-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86A true KR20160002786A (ko) 2016-01-08

Family

ID=5228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984A KR20160002786A (ko) 2013-07-07 2014-07-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80753A1 (ko)
EP (1) EP3021586A4 (ko)
KR (1) KR20160002786A (ko)
CN (1) CN105284114A (ko)
CA (1) CA2909601A1 (ko)
WO (2) WO2015005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6563B2 (ja) 2011-03-03 2016-09-21 エンクロ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帯域色視フィルタおよびlp最適化による方法
JP6261215B2 (ja) * 2013-07-12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68078B2 (en) 2013-07-15 2019-07-30 Sony Corporation Extensions of motion-constrained tile sets SEI message for interactivity
US9998743B2 (en) * 2013-09-10 2018-06-1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scalable video signal
KR102290091B1 (ko) 2013-10-14 2021-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계층 기반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46742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0045036B2 (en) * 2013-10-22 2018-08-07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multi-layer video signal
KR20150050409A (ko)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CN107615763B (zh) * 2015-05-28 2020-09-11 寰发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解码图像缓存器的方法及装置
US10999602B2 (en) 2016-12-23 2021-05-04 Apple Inc. Sphere projected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and mode decision
US11259046B2 (en) 2017-02-15 2022-02-22 Apple Inc. Processing of equirectangular object data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by spherical projections
US10924747B2 (en) 2017-02-27 2021-02-16 Apple Inc. Video coding techniques for multi-view video
US11093752B2 (en) 2017-06-02 2021-08-17 Apple Inc. Object tracking in multi-view video
US20190005709A1 (en) * 2017-06-30 2019-01-03 Apple Inc. Techniques for Correction of Visual Artifacts in Multi-View Images
US10754242B2 (en) 2017-06-30 2020-08-25 Apple Inc. Adaptive resolution and projection format in multi-direction video
MX2021011016A (es) * 2019-03-11 2021-11-12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un decodificador y métodos correspondientes.
GB201913403D0 (en) * 2019-09-17 2019-10-30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 video stream with subpictures
WO2021185311A1 (en) * 2020-03-20 2021-09-2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ile and slice partition information in image and video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12B1 (ko) * 2005-05-26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레이어간 예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CN101390399B (zh) * 2006-01-11 2010-12-01 诺基亚公司 可伸缩视频编码中的图片的后向兼容聚合
US8699583B2 (en) * 2006-07-11 2014-04-15 Nokia Corporation Scalable video coding and decoding
US20130163660A1 (en) * 2011-07-01 2013-06-27 Vidyo Inc. Loop Filter Techniques for Cross-Layer prediction
US9124895B2 (en) * 2011-11-04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ding with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s that include multiple encoded picture partitions
US9819949B2 (en) * 2011-12-16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rdware-accelerated decoding of scalable video bitstreams
US9578339B2 (en) * 2013-03-05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processing for video coding
US20140254681A1 (en) * 2013-03-08 2014-09-1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1586A1 (en) 2016-05-18
CN105284114A (zh) 2016-01-27
US20160080753A1 (en) 2016-03-17
WO2015005622A9 (ko) 2015-03-12
WO2015005621A1 (ko) 2015-01-15
EP3021586A4 (en) 2016-12-07
WO2015005622A1 (ko) 2015-01-15
CA2909601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78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6285020B2 (ja) コンポーネント間フィルタ処理
KR2016001676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63094A (ko) 인트라 블록 카피 병합 모드 및 이용가능하지 않는 ibc 참조 영역의 패딩
JP6432661B2 (ja) 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7423B2 (ja) 映像復号装置、映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9904A (ko) 상이한 계층간 예측 타입들에 대한 참조 픽처들의 독립적인 리샘플링 및 선택
KR20160071413A (ko) 비디오 정보의 스케일러블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50052259A (ko)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위한 가중된 예측 모드
KR20160009543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3985970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block dpcm prediction method
KR20160072124A (ko) 비디오 정보의 스케일러블 코딩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5413B1 (ko)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60005027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35413A (ko) 비디오 코덱에서 행렬 기반 인트라 예측에 따른 명시적 주변환 커널 적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