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02U -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 Google Patents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02U
KR20160002502U KR2020160003343U KR20160003343U KR20160002502U KR 20160002502 U KR20160002502 U KR 20160002502U KR 2020160003343 U KR2020160003343 U KR 2020160003343U KR 20160003343 U KR20160003343 U KR 20160003343U KR 20160002502 U KR20160002502 U KR 201600025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orting
region
rod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4561Y1 (en
Inventor
권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동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to KR202016000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61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6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경사를 갖는 다수의 선별 봉에 의하여 일정한 폭 이하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 사이로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하고, 그 이상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의 상단으로 미끄러져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다수의 원통형의 선별 봉으로 구성되고,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선별부, 상기 선별 봉의 일단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은 상기 체결 지지부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체결 영역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 및 제2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mber of selective bar structures that allow recycled articles of a certain width or less to fall down between selected rods to be sorted by a plurality of select rods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 separating por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sorting rods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surface; a fastening supporting portion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separating rod; Wherein the separating bar includes a fastening region at the upper end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support and a screening region at the remainder that is responsible for screening the recycled product, The two separate spaced apart < RTI ID = 0.0 > And a first fastening support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support portion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fastening points.

Description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ing item sor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경사를 갖는 다수의 선별 봉에 의하여 일정한 폭 이하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 사이로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하고, 그 이상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의 상단으로 미끄러져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able product sor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recyclable products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llow a recycled produc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less to be dropped between the separating rods to be sorted, and further recycled products are slid to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rods To a recycled material sor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d structures.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객업소에서 분리 수거되는 재활용 플라스틱은 재활용센터 등 업체에서 수거하여 재질별로 선별하고 세척 및 분쇄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적으로 사출용 펠릿(pellet)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Generally, recycled plastics collected separately from households or pizza parlors are collected from companies such as recycling centers, sorted by materials, washed and crushed, and finally used as raw materials for producing injection pellets.

이러한 수거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중에서 PS(Polystyrene)는 일반적으로 둥글고 길이와 폭이 작은 소형 요구르트병에 많이 사용되고, PP(Polypropylene)는 고추장이나 된장 등을 담는 보통 평평하고 각진 식품용기 류에 많이 사용되며, PE(Polyethylen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보통 둥글고 길이가 긴 음료수 병, 생수병, 또는 술병 같은 둥근 형태의 병류에 많이 사용된다. 이들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재활용품은 몇 개의 선별 단계를 거치면서 선별되는데, 일반적으로 1차로 모든 종류가 섞여 있는 재활용품들 중에서 PS 제품의 재활용품을 선별하고, PS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 중에서 2차로 PE 또는 PET 제품 및 PP 제품을 분리하여 선별하는 과정을 통하여 4 분류로 재활용품을 선별하여 재활용 원료로 제공된다.Among these recycled plastics, PS (Polystyrene) is generally used for small yogurt bottles which are round and have a small length and width. PP (Polypropylene) is widely used for flat and angular food containers containing koji paste and soybean paste, and PE (Polyethylene) an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e commonly used in round and long round bottled water bottles, drinking bottles, or bottles. These various types and types of recycled products are sorted through several screening steps. In general, recycled products of the PS product among the recycled products which are mixed with all types are selected, and among the remaining recycled products, PET products and PP products are separated and sorted, and recycled products are sorted into four categories and supplied as recycled raw materials.

여기에서 1차 재활용품 선별과정의 초기 방식은 수거된 재활용품들을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들이 제품의 모양 및 크기를 고려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작업으로 선별했었다. 이러한 방식은 처리 속도, 작업자의 인건비를 증가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물체가 반사하는 고유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센서 방식으로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선별하는 장치는 다수의 재질이 혼재된 상태에서는 정확하게 원하는 재질을 선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최근에는 경사판에 다수의 롤러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롤러 사이로 떨어지는 재활용품과 롤러의 상단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재활용품으로 자동으로 선별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In the initial method of the first recycling selection process, the collected recycled products were transported by a conveyor, and worker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manually sorted the recycled plastic consider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roduct. This method has disadvantages such as increasing the processing speed and the labor cost of the operator, and a device has been developed for automatically sorting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n apparatus for sorting recycled materials by materials using an electronic sensor system using information of intrinsic spectra reflected by an objec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accurately select a desired material in a state where a large number of materials are mixed,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recyclable product falling down between the rollers and the recycled product that slides down the top of the roller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롤러의 양 끝단이 지지부에 걸려있어 롤러 사이로 낙하되어야 할 크기의 재활용품들이 롤러 사이에 끼이거나, 롤러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가다가 롤러의 끝 부분에서 서로 엉키어 롤러 사이로 낙하하지 못하고 그대로 대형 재활용품과 함께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recyclable materials having a size such that both ends of the rollers are caught by the supporting portions and are small enough to fall down between the rollers are sandwiched between the rollers, or slip d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rt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problems with the large-sized recycled products and the subsequent processes.

등록특허 제20-0181247호 (2000. 05. 15 공개)Patent No. 20-0181247 (disclosed on May 15, 2000) 공개특허 제10-2012-0051509호 (2012. 05. 22 공개)Published Patent No. 10-2012-0051509 (disclosed on May 22, 2012)

본 고안의 목적은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별 봉의 일단만을 체결 고정한 방식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ycling material sorting apparatus having a sorting rod structure in which only one end of a sorting rod is fastened and fixed so as to improve sorting efficiency.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별 봉의 외주에 나선 형의 돌출부를 형성한 방식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yclable product sorting apparatus having a sorting rod structure in which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sorting rod so as to improve sorting efficiency.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원통형의 다수 개의 선별 봉(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구성된 선별부(100); 상기 선별 봉(110)의 상단을 체결하여 상기 선별 봉(110)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200); 및 상기 체결 지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은 상기 체결 지지부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체결 영역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 및 제2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 봉(110)은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ycled material sel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sorting bars 110 formed at regular angles to a ground plane, ); A fastening support part 200 for fastening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bar 110 to maintain the separating bar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support 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astening support part, wherein the selection rod includes a fastening area at an upper end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support part and a screening area in the remaining area for sorting recycled products, The fastening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fastening support part and a second fastening support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sten and support two spaced points in the fastening area of the selection rod. The selection rod 110 includes a selection rod 110a having a small radius of the selection region 114 and a selection rod 110b having a large radius of the selection region 114 alternately arran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과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지지부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 봉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upling between the selector rod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upport portions of the selector is a rotatable coupling by bearings so that the recycled articles having weight on the selector rod are placed, .

또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선별 영역의 말단에는 상기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이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rimination bar of the sor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revention zone extending in the end of the discriminating zone at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discriminating z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 영역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ap between the discriminating region and the engaging preventing region is gradually reduced to form a gentle inclination.

또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a spiral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orting rod of the sorter.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선별장치에 따르면, 선별 봉의 상단에만 이중으로 체결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단에서 재활용품들이 걸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재활용품들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 봉의 자연 회전 방식에 의하여 재활용품들의 특성에 따라 선별 봉이 회전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인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선별 봉의 외주에 나선형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 상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선별장치의 선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ubl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sorting rod, the problem of the recycled products being caught at the lower end is eliminated, and the recycled products can be more effectively selected. In addition, the selection rod can be rotated so that more effective sorting can be performed. Further, by forming a spiral protrus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rting ro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recycled products are caught in the sorting rod can be minimized and the sorting effect of the sorting apparatus can be maximized .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외면에 나선형의 회전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 및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ycled material sorter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d structur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4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 fastening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ort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iral rotating r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rt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sorting r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선별부(100), 체결 지지부(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cycled material sorter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d structur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recycling product sor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ro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rting unit 100, a fastening support unit 200, and a support 3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거되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 주로 PS 제품의 용기(주로, 요구르트병)를 다른 용기로부터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선별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다수의 원통형의 선별 봉(110)으로 구성되고, 선별 봉(110)은 모두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요구르트병 등의 PS 제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100), 즉 선별 봉(110)의 지면과의 바람직한 각도는 경험적으로 약 30 내지 40도이다. 또한, 선별 봉(110)의 간격은 요구르트병의 키기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여 해당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는 선별 봉(110) 사이로 낙하하고 그 이상의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는 선별 봉(110)을 타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선별 봉(110)의 간격이 고정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소정의 구성을 추가하여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elect containers (mainly yogurt bottles) of PS products from different containers, among various kinds of plastic containers to be collected. The sorting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sorting rods 110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orting rods 110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As shown in FIG. The preferred angle of the selection part 100, i.e., the selection rod 110, to the ground of the PS product such as the yoghurt bottle is about 30 to 40 degrees. Also, the gap of the sorting rod 110 is set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yogurt bottle, so that the plastic container of the corresponding size falls down between the sorting rods 110, and the plastic container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falls down on the sorting rod 110 . In the drawings, the spacing of the selection rods 110 is shown as being fix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adjust the spacing by adding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상기 체결 지지부(200)는 상기 선별 봉(110)의 일단을 체결하여 지지한다. 종래에 개시된 기술 중에서 체결 지지부가 선별 봉의 상단과 하단을 모두 지지하는 구성에 의하면, 하단으로 이동한 재활용품들이 하단의 체결 지지부에 의하여 서로 몰려서 엉키거나 하단 체결부에 끼이는 등으로 선별 봉(110) 사이로 떨어져야 할 재활용품들이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엉킨 재활용품을 타고 넘어감으로써 원치 않는 선별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단의 체결 지지부를 제거하여 상단에만 체결 지지부를 형성하였다.The fastening support part 200 fastens and supports one end of the sorting rod 110.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supports bo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ng bar among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recycled products moved to the lower end are tangled with each other by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at the lower end or are caught by the lower end fastening portion, The recycled materials that had to fall between them were not able to fall, and they ran through untouched recycled products, resulting in undesirable screening result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removed from the lower end to form a fastening support portion only on the upper end.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체결 지지부(200)를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대(300)의 바닥면을 마찰력이 높은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마찰력이 강한 재질의 미끄럼방지 부재를 부가하는 등으로 본 선별장치의 동작시 흔들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upporter 300 fixes the supporter 200 and supports the supporter 300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30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or a non-slip memb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is added,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so as not to shake or slip during operation of the screening apparatus.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별 봉(110)의 상부 측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두 개의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선별장치는 체결 지지부가 선별 봉(110)의 상단과 하단에 구성되었으나,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하단의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단의 체결 지지부 하나 만으로 소정의 무게를 갖는 선별 봉(110)을 경사진 상태로 계속하여 유지해야 하므로 체결 지지부를 하나 더 부가하여 선별 봉(110)의 상단에서 선별 봉(110)을 이중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별 봉(110)은 상기 체결 지지부(200)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112),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지지부(200)는 선별 봉(110)의 체결 영역(112)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체결 지지부(201, 203)와 체결되는 선별 봉(110)의 위측으로 하강 방지 부재(101, 103)을 형성하여 선별 봉(110)의 회전에 의한 아래측으로의 하강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4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 fastening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fastening supports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selection rod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sorting apparatus, the fastening and support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orting rod 110, but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fastening and supporting portion at the lower end. Accordingly, since the separating bar 11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continuously held in an inclined state by only one fastening and supporting part at the upper end thereof, one additional fastening supporting part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bar 110, Respectively. 5, the separating ba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region 112 at the upper end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support 200, The fastening support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support part 114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fasten and support two spaced apart points in the fastening area 112 of the sorting rod 110, (201) and a second fastening supporting portion (203). Preferably, the lowering preventing members 101 and 103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bar 11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supporting portions 201 and 203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parating bar 110 downward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100)의 선별 봉(110)과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지지부(201, 203)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봉(110)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선별장치에서는 선별 봉(110)의 회전을 모터에 의한 구동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구동 장치를 제거하여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의 움직임에 따른 선별 봉(110)의 자연적 회전에 의존함으로써 더욱 자연적으로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 선별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구동 장치의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upling between the selection rod 110 of the selector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upport portions 201 and 203 may be a rotatable coupling by bearing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orting rod 110 to rotate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while the recycling items having a weight are placed on the sorting rod 110. In the conventional sorting apparatus, the rotation of the sorting rod 110 is driven by a moto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apparatus is removed to rely on the natural rotation of the sorting rod 1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cycled articles having a large weight, The rotation direction is naturally set to enhance the sorting effect,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drive device has been obtain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의 선별 영역(114)의 말단에는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116)이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을 타고 내려오면서 선별 봉(110)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요구르트병 등의 소형 PS 제품의 재활용품들과 그렇지 못한 비교적 중대형의 재활용품들이 아래로 미끄러지거나 굴러 내려오게 되는데, 아래쪽까지 내려오는 재활용품들은 선별 봉(110) 사이에서 일정한 위치에 끼여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그 사이에 끼인 PS 제품도 선별 봉(110) 사이로 떨어지지 못하고 함께 중대형으로 잘못 선별되는데, 상기 걸림 방지 영역(116)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선별 봉(110)에 끼어 있는 재활용품들이 걸림 방지 영역(116)에 도달하면 선별 봉(11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기 때문에 끼어 있는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으로부터 벗어나서 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4, at the end of the sorting region 114 of the sorting rod 110 of the sorting unit 100, the latching region 116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orting region may be further extended . Generally, the recycled products of small PS products such as yogurt bottles falling down to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ing rods 110 as the recycled products descend down the separating rods 110 and the relatively large-sized recycled products which do not so slip down or roll down, The recycled products down to the bottom tend to be held in a fixed position between the selection rods 110 to maintain their state. As a result, the PS product sandwiched therebetween can not fall down between the separating rods 110 and is misjudged as a middle- or large-sized one. The above-described latching area 116 can prevent such a phenomenon. In other words, when the recycled products sandwiched in the separating bar 110 reach the engaging prevention area 116,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ng bars 110 increases, so that the recycled products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bar 110, .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영역(114)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116)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선별 봉(110)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서서히 넓어지는 상태로 변하도록 하여 재활용품들이 순간적으로 튀지 않도록 하여 더 좋은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5, the gap between the discriminating region 114 and the latching prevention region 116 may be gradually reduced to form a gentle slope. That is, the interval between the separating rods 110 is changed from a narrow state to a gradually widened state, so that the recycled products are prevented from being instantaneously splashed, so that better sorting can be performed.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외면에 나선형의 회전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에 따른 선별장치에서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120)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의 존재로 재활용품들은 선별부(100) 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다. 돌출부(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표면이 둥근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재활용품이 더 잘 미끄러질 수 있게 하여 선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iral rotating r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rt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n th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iral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orting rod 110 of the sorting unit 100. The presence of these protrusions 120 allows the recycled products to more effectively slide within the sorter 100, minimizing the phenomenon of recycled products being caught between the selector bars 110.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variously formed, but preferably,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so that the recycled product can be slipped more effectively, thereby maximizing the screening effect.

도 7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 및 배열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별부(100)의 선별 봉(110)은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선별하면 재활용품들이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에서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a)는 상이한 크기의 반경의 선별 봉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시된 선별 봉 사이의 간격에는 구애되지 않고 선별 봉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로 떨어질 재활용품의 크기에 맞추어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sort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discriminating bar 110 of the discriminat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riminating bar 110a having a small radius of the discriminating region 114 and a discriminating bar 110b having a large radius of the discriminating region 114. [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cycled products tend to be inclined to the small-diameter separating rod 110a having a small radius of the screening region 114 in the screening rod 110b having a large radius of the screening region 114, . Fig. 7 (a) is a view for showing that alternating arrangement of the separating bars having different radii,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acing between the separating rod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eparating rods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cycling product And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or adjustable in alignment.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not.

100: 선별부 110: 선별 봉
120: 나선형 돌출부 102, 103: 보조 체결 부재
112: 체결 영역, 114: 선별 영역, 116: 걸림 방지 영역
110a: 선별 영역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
110b: 선별 영역의 반경이 큰 선별 봉
200: 체결 지지부 201: 제1 체결 지지부
203: 제2 체결 지지부 300: 지지대
310: 선별 재활용품 수령부 320: 이탈 방지 벽
100: selector 110: selector rod
120: spiral protrusion 102, 103: auxiliary fastening member
112: fastening area, 114: selection area, 116:
110a: a selection rod having a small radius of the selection region
110b: a selection rod having a large radius of the selection region
200: fastening supporting part 201: first fastening supporting part
203: second fastening support part 300: support part
310: Selective recycled product reception unit 320:

Claims (4)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원통형의 다수 개의 선별 봉(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구성된 선별부(100);
상기 선별 봉(110)의 상단을 체결하여 상기 선별 봉(110)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200); 및
상기 체결 지지부(200)를 고정하여 지면 상의 일정한 높이에 지지하고, 상기 선별부(100)의 아래 측에 상기 선별 봉(110) 사이로 걸려져 낙하한 재활용품을 수령하기 위한 선별 재활용품 수령부(310)가 형성된 지지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110)은 상기 체결 지지부(200)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112),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114)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110)은 상기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상기 선별 영역(112)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체결 지지부(200)는 상기 선별 봉(110)의 상기 체결 영역(112)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과 상기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 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 봉(110)의 상기 선별 영역(114)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A plurality of cylindrical selection rods 11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fastening support part 200 for fastening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bar 110 to maintain the separating bar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screening recycled product receiving unit 310 for receiving the recycled product which is hel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fixing the clamping support unit 200 and hanged between the screening rods 110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ing unit 100, A support base 300 having a support base 300 formed thereon;
Lt; / RTI >
The screening rod 110 includes a fastening region 112 at the upper end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support 200 and a screening region 114 for the remainder of the screen,
The discriminating bar 110 includes a discriminating bar 110a having a small radius of the discriminating region 114 and a discriminating bar 110b having a large radius of the discriminating region 112,
The fastening support part 200 includes a first fastening support part 201 and a second fastening support part 203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sten and support two spaced points in the fastening area 112 of the sorting rod 110 ),
The coupling between the selection rod 110 and the first coupling support part 201 and the second coupling support part 203 of the selector 100 is a rotatable coupling by a bearing, Wherein the sorting rod (11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rientation of the recycled articles having weight in the sorting region (114) of the recycling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선별 영역의 말단에는 상기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riminating rod of the sorting section further has an end portion of the sorting region at the distal end thereof further extending an engagement preventing reg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orting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영역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riminating region and the engaging preventing region are formed to have a gradually decreasing width so as to form a gentle incl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iral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sorting rod of the sorting unit.
KR2020160003343U 2016-06-15 2016-06-15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KR2004845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en) 2016-06-15 2016-06-15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en) 2016-06-15 2016-06-15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23 Division 2016-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2U true KR20160002502U (en) 2016-07-15
KR200484561Y1 KR200484561Y1 (en) 2017-10-23

Family

ID=5649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en) 2016-06-15 2016-06-15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61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1578A (en) * 1985-09-24 1987-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mb screening machine
JPH06253805A (en) * 1993-03-02 1994-09-13 Toyo Seikan Kaisha Lt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of orange berry or the like
US5824356A (en) * 1996-08-07 1998-10-20 Silver; Barnard Stewart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oots, tubers, bulbs, and the like
JP2000084492A (en) * 1998-07-15 2000-03-28 Nissho Corp Valve sorter
KR200181247Y1 (en) 1999-11-25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Device for separating stone coal from mixed stone coal material using adjusting roller´s space
KR20120051509A (en) 2010-11-12 2012-05-22 대건산업(주) The roller type recyclable goods sorting apparatus
KR20130027969A (en) * 2011-09-08 2013-03-18 박윤희 Automatic multipurpose selector for farm produc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1578A (en) * 1985-09-24 1987-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mb screening machine
JPH06253805A (en) * 1993-03-02 1994-09-13 Toyo Seikan Kaisha Lt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of orange berry or the like
US5824356A (en) * 1996-08-07 1998-10-20 Silver; Barnard Stewart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oots, tubers, bulbs, and the like
JP2000084492A (en) * 1998-07-15 2000-03-28 Nissho Corp Valve sorter
KR200181247Y1 (en) 1999-11-25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Device for separating stone coal from mixed stone coal material using adjusting roller´s space
KR20120051509A (en) 2010-11-12 2012-05-22 대건산업(주) The roller type recyclable goods sorting apparatus
KR20130027969A (en) * 2011-09-08 2013-03-18 박윤희 Automatic multipurpose selector for farm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61Y1 (en)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572Y1 (en) A trommel system
US54859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lastic items
US5344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lastic items
US6460706B1 (en) Disc screen apparatus with air manifold
WO199201631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orting plastic items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KR101832142B1 (en) Work Auto Align and Transport Conveyor Apparatus
EP2933201A1 (en)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US4593821A (en) Belt separator for blow molding parts
US20110297591A1 (en) Conveyor system for separating mixed recycled materials
US20150033927A1 (en) Continuous-type automatic label separating apparatus
KR200484561Y1 (en)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KR20150087906A (en) 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CN114558793A (en) Bar-shaped material screening device and screening and feeding mechanism thereof
CN106542313B (en) A kind of plastic bottle automatic sequencing device
US20230294106A1 (en)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US3361246A (en) Article aligning device
US10625950B2 (en)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serrated impact bar
US20080135464A1 (en) Separating system for separating articles
KR100314687B1 (en) The selecting system of garbage for recycling
KR20130087449A (en) Multi-groder for a multipurpose
KR200373528Y1 (en) Quantitative supply Apparatus for selection system of recycling goods
CN109290215A (en) A kind of straight device of material and color selector
CN113844868B (en) Queuing conveying device for recycling plastic bottles
KR102299101B1 (en) Ballistic Scre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