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87U - 휴대용 선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87U
KR20160002487U KR2020150000099U KR20150000099U KR20160002487U KR 20160002487 U KR20160002487 U KR 20160002487U KR 2020150000099 U KR2020150000099 U KR 2020150000099U KR 20150000099 U KR20150000099 U KR 20150000099U KR 20160002487 U KR20160002487 U KR 20160002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rear plate
presen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Priority to KR2020150000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487U/ko
Publication of KR20160002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휴대용 선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선반은, 후면 플레이트;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높이별로 다수 개 배치되며,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선반{Portable shelf}
본 고안은, 휴대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통상의 선반(shelf, 1)은 후면판(2)과, 후면판(2)의 양측면에서 후면판(2)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3)과, 후면판(2) 및 측면판(3) 사이에 층별로 배치되는 다수의 선반부재(5)를 포함한다.
선반부재(5)들은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다양한 물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1의 선반이 책장으로 사용될 때는 선반부재(5) 상에 책이 세워 꽂아질 수 있고, 도 1의 선반이 장식장으로 사용될 때는 선반부재(5) 상에 다양한 물품들, 예컨대 그릇, 액자 등이 올려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선반(1)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가구인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판(2)과 측면판(3)이 일체형인 것이 일반적이며, 선반부재(5)만을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반(1)의 경우, 후면판(2)과 측면판(3)이 일체형이라서 선반(1)의 전체적인 부피를 작게 하여 제조하더라도 휴대하기는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후면판(2)과 측면판(3)이 분리형으로 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휴대는 편리하더라도 조립이 불편하고 어려울 수 있으므로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 역시 편리한 휴대용 선반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584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109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117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26579호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후면 플레이트;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높이별로 다수 개 배치되며,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는 후면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은 차폐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되게 측면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선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선단부는 비직선형 라인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휴대용 선반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휴대용 선반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에서 후면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요부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에서 후면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요부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휴대용 선반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100)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후면 플레이트(1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후면 플레이트(1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130)는 모두 금속, 목재, 혹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100)은 도 6처럼 접은 상태에서 휴대가 가능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후면 플레이트(1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130)는 가급적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 재질이라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예컨대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100)의 후면판을 이룬다. 후면 플레이트(110)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와 함께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110)에는 다수의 후면 관통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130)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영역만 후면 관통부(111)가 형성되며, 후면 플레이트(110)의 상부 영역은 차폐된다.
따라서 가장 위쪽의 선반 플레이트(130)에는 뒤로 넘어지지 않을 물품을 진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는 후면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후면 플레이트(110)와 함께 지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120)들은 제1 힌지(141)에 의해 후면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다. 즉 측면 플레이트(120)들은 도 2처럼 펼쳐질 수도 있고, 도 6처럼 접혀질 수도 있다.
측면 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측면 관통부(121)가 형성된다. 이때, 측면 관통부(121)들은 선반 플레이트(130)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반 플레이트(130)가 3개 마련되므로 측면 관통부(121) 역시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130)는 후면 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 사이에 높이별로 다수 개 배치되어 물품을 진열할 때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 플레이트(130)들 모두는 제2 힌지(142)에 의해 후면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다. 즉 선반 플레이트(130)들은 도 2처럼 펼쳐질 수도 있고, 도 6처럼 접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 플레이트(130)들이 도 2처럼 펼쳐질 경우, 그 펼침 상태가 지지될 수 있도록 측면 플레이트(120)에는 선반 플레이트(13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122)가 마련된다. 지지돌기(122)는 선반 플레이트(130)를 지지할 수 있을 최소한의 부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용 선반(100)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휴대용 선반(100)을 사용하려면 도 2처럼 제1 및 제2 힌지(141,142)를 이용하여 후면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와 선반 플레이트(130)들을 펼친 후, 선반 플레이트(130)들이 지지돌기(122)에 지지시키면 된다.
반대로, 휴대용 선반(100)을 접어 보관하거나 휴대하려면 도 5 및 도 6처럼 제1 및 제2 힌지(141,142)를 이용하여 후면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0)와 선반 플레이트(130)들을 접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하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휴대용 선반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200) 역시, 후면 플레이트(2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2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측면 플레이트(220)의 선단부는 비직선형 라인을 이룬다. 즉 중앙에서 하부까지는 수직된 라인을 이루는 반면 중앙에서 상부까지는 경사진 라인을 이룬다. 이럴 경우, 전면이 날렵하기 때문에 외장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300) 역시, 후면 플레이트(3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후면 플레이트(310)의 모서리 영역에는 맞물림 홈(311)이 형성되며, 이 맞물림 홈(311)에 대응되게 측면 플레이트(320)에는 맞물림 돌기부(3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300)을 펼쳐 사용하고자 할 때는 측면 플레이트(320)의 맞물림 돌기부(321)가 후면 플레이트(310)의 맞물림 홈(311)에 맞물리기 때문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 없이도 후면 플레이트(310)와 측면 플레이트(320) 간의 상대적인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에서 후면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요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400) 역시, 후면 플레이트(4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면 플레이트(410)의 모서리 영역에는 맞물림 홈(411)이 형성되며, 이 맞물림 홈(411)에 대응되게 측면 플레이트(420)에는 맞물림 돌기부(4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후면 플레이트(410)의 맞물림 홈(411)과, 측면 플레이트(420)의 맞물림 돌기부(421)에는 각각 제1 및 제2 자석부재(412,422)가 마련된다.
이처럼 후면 플레이트(410)의 맞물림 홈(411)과, 측면 플레이트(420)의 맞물림 돌기부(421)에 제1 및 제2 자석부재(412,422)가 마련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400)을 펼쳐 사용하고자 할 때, 볼트 등의 체결부재 없이도 후면 플레이트(410)와 측면 플레이트(420) 간의 상대적인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에서 후면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요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500) 역시, 후면 플레이트(5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5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면 플레이트(510)의 모서리 영역에는 맞물림 홈(511)이 형성되며, 이 맞물림 홈(511)에 대응되게 측면 플레이트(520)에는 맞물림 돌기부(5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후면 플레이트(510)의 맞물림 홈(511)에는 끼움홈(512)이, 그리고 측면 플레이트(420)의 맞물림 돌기부(421)에는 끼움홈(512)에 끼워지는 끼움봉(522)이 형성된다.
이처럼 후면 플레이트(510)의 맞물림 홈(511)과 측면 플레이트(420)의 맞물림 돌기부(421)에 각각 끼움홈(512)과 끼움봉(522)이 마련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500)을 펼쳐 사용하고자 할 때, 볼트 등의 체결부재 없이도 후면 플레이트(510)와 측면 플레이트(520) 간의 상대적인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600) 역시, 후면 플레이트(610),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620), 그리고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6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측면 플레이트(620)와 선반 플레이트(630)의 전면 노출 단부에는 해당 플레이트를 발광시키는 야광부(650)가 마련된다. 야광부(650)는 야광페인트 혹은 야광테이프일 수 있는데, 이러한 야광부(650)가 적용됨으로써 어두운 밤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600)의 외곽이 보일 수 있어 아름다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휴대용 선반(700,800)은 모두 2단 선반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2단 선반으로서의 휴대용 선반(700,800)이 적용되더라도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와 조립이 편리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장소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주변 가구와의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선반 110 : 후면 플레이트
111 : 후면 관통부 120 : 측면 플레이트
121 : 측면 관통부 122 : 지지돌기
130 : 선반 플레이트 141 : 제1 힌지
142 : 제2 힌지

Claims (4)

  1. 후면 플레이트;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높이별로 다수 개 배치되며,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철되는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는 후면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은 차폐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선반 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되게 측면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선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선단부는 비직선형 라인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반.
KR2020150000099U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선반 KR201600024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99U KR20160002487U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099U KR20160002487U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87U true KR20160002487U (ko) 2016-07-15

Family

ID=5649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099U KR20160002487U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487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579A (ko) 2001-09-26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워터펌프
KR200315595Y1 (ko) 2003-02-27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용 책장
KR20100002055U (ko) 2008-08-18 2010-02-26 박창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책장
KR20100002668U (ko) 2008-08-30 2010-03-10 신승욱 분리 가능한 책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579A (ko) 2001-09-26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워터펌프
KR200315595Y1 (ko) 2003-02-27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용 책장
KR20100002055U (ko) 2008-08-18 2010-02-26 박창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책장
KR20100002668U (ko) 2008-08-30 2010-03-10 신승욱 분리 가능한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45679S1 (en) Computer desk
USD860298S1 (en) Folding tripod
USD615772S1 (en) Frame assembly with shelves
RU2700822C2 (ru) Шкаф
USD943509S1 (en) Foldable solar panel with detachable kickstands
USD617577S1 (en) Frame for shelves
USD592422S1 (en) Cabinet
USD628409S1 (en) Hinge for furniture
USD746090S1 (en) Side panel for furniture drawer
USD618939S1 (en) Convertible foldout wall mount desk
USD577833S1 (en) Folding stool with step
USD632115S1 (en) Wall mount crafter's desk
USD920009S1 (en) Telescopic portable desk
USD625595S1 (en) Furniture corner bumper
USD579708S1 (en) Stand for barbecue stove
USD899628S1 (en) Ladder
USD527927S1 (en) Cabinet
USD630875S1 (en) Rack for guns
USD532627S1 (en) Cabinet
USD632117S1 (en) Small fold down wall mount laptop desk
USD617387S1 (en) Door hanger with fold-up skirt
US6848659B1 (en) Storage stand
USD661920S1 (en) Collapsible lectern
USD579693S1 (en) Desk canopy
USD913727S1 (en) Portable 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37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3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3

Effective date: 2018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