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24A - Sink for kitchen - Google Patents

Sink for kitch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24A
KR20160002324A KR1020150028074A KR20150028074A KR20160002324A KR 20160002324 A KR20160002324 A KR 20160002324A KR 1020150028074 A KR1020150028074 A KR 1020150028074A KR 20150028074 A KR20150028074 A KR 20150028074A KR 20160002324 A KR20160002324 A KR 2016000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hole
kitchen
guide groov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0225B1 (en
Inventor
신이치로 마베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0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a kitchen sink which is configured to reduce a sense of incompatibility against a formation of a drainage hole, and to highly improve its aesthetic l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itchen sink equipped with a drainage hole (120) on a corner part of a sink (100), a configuration of the kitchen sink [sink (100)] is equipped with a swelled part (150) to erect a water tap protruded to a front side from a surface in an inner side of the sink (100). The drainage hole (120) is disposed in a front side of the swelled part (150); the drainage hole (120) is triangular; and two sides of the drainage hole (120) follow a side of the sink (100) and a front surface (154) of the swelled part (150).

Description

키친용 싱크{SINK FOR KITCHEN}Kitchen sinks {SINK FOR KITCHEN}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 등의 키친 캐비닛에 내장되는 키친용 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sink that is embedded in a kitchen cabinet such as a system kitchen.

종래부터 키친에서는, 키친 캐비닛에 싱크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싱크에 있어서 식재의 조리나 식기의 세정이 행해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히 특허문헌 1의 싱크에서는, 싱크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수도꼭지의 우측의 부분을 절결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싱크의 안측의 벽면을 수도꼭지의 우측 부분만 전방측으로 팽출시키고 있다(이하, 팽출부라 칭함). 이에 의해, 싱크 내부의 공간을, 수도꼭지의 우측의 영역만큼 확장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Conventionally, in a kitchen, a sink is integrally incorporated in a kitchen cabinet. In such a sink, cooking of a cooking material and cleaning of a tableware are perform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Particularly, in the sin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faucet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sink is cut away. In other words, the wall surface on the inside of the sink is bulged to the front side only to the right side of the fauc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lge). Thereby, the space inside the sink can be extended by the area on the right side of the faucet,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5844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58443

키친용 싱크는 사용자의 눈에 띄는 것이므로, 높은 미관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싱크의 저면에 단순히 종래와 같은 배수구를 배치한 구성이면 위화감이 발생하므로, 미관이 우수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과 같이 팽출부가 설치된 키친용 싱크에 있어서의 미관의 향상이 검토되고 있었다.Since the sink for the kitchen is conspicuous to the user, a high beauty is required. Here, as in Patent Document 1, a configuration in which a drain hole is simp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sink may cause an uncomfortable feeling. As a result, improvement of aesthetics in a sink for a kitchen provided with a bulging portion as in Patent Document 1 has been studi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비추어,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키고, 높은 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한 키친용 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k for a kitchen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discomfort caused by the formation of a drain hole and obtaining a high aesthetic appeara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대표적인 구성은, 싱크의 코너부에 배수구를 구비하는 키친용 싱크에 있어서, 싱크의 안측의 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수도꼭지를 세우기 위한 팽출부를 구비하고, 배수구는 팽출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배수구는 삼각형이며, 배수구의 2변이 싱크의 측면과 팽출부의 전방면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ypical structure of a kitchen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chen sink having a drain hole at a corner portion of a sink, wherein a bulge for erecting a fauce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nk And the drain por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ulge, and the drain hole is triangular, and two sides of the drain hole follow the side surface of the sink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ulge.

상기 구성에 따르면, 팽출부의 전방측의 싱크의 코너부에 배수구가 배치됨으로써, 싱크의 저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가, 2변이 싱크의 측면과 팽출부의 전방면을 따르는 삼각 형상임으로써, 싱크와 배수구에 일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키친용 싱크에 있어서,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키고, 높은 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drain port is dispos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sink on the front side of the bulge,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the drain hole is triangular in shape with two sides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sink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ulge, so that the sink and the drain can have a sense of unity. Therefore, in the kitchen sink,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drain hole, and to obtain a high aesthetic appearance.

상기 팽출부의 측면은, 안측을 향함에 따라 배수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배수구의 싱크 중앙측의 변과 팽출부의 측면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방이나 상방에서 싱크를 관찰하였을 때에, 배수구의 싱크 중앙측의 변과 팽출부의 측면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보인다. 이에 의해, 팽출부와 배수구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고, 보다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side surface of the bulge portion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ain hole as it faces the inside, and the side of the sink center side of the drain hol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ulge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in plan view.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ink is observed from the front side or the upper side, the side of the sink center side of the drain hol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ulge portio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s a result, the sense of unity between the bulged portion and the drain port can be enhanced, and the beauty can be improved.

상기 싱크의 저면이며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전방측의 테두리로부터 측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배수구까지 연속하는 유도 홈을 더 구비하고, 배수구는, 경사면의 측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a bottom surface of the sink and slopes downwardly from an inner side toward a front side and an induction groove that extends from a rim of the front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along a side edge to the drain hole, It may be disposed along the side edge.

종래의 키친용 싱크에서는, 배수구를 향해 저면이 경사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싱크 저면은 배수구를 중심으로 하여 유발 형상의 경사를 갖고 있다. 싱크에 있어서 식재의 조리나 식기의 세정을 행하였을 때, 식기에 부착되어 있었던 음식 잔여물이나, 조리 시의 식재의 야채 찌꺼기 등(이하, 야채 찌꺼기 등이라 칭함)이 발생한다. 이때, 종래의 싱크에서는, 수도꼭지로부터의 토수 위치보다도 배수구측에 있는 야채 찌꺼기 등은 세정 시의 수류에 의해 배수구에 흘러가지만, 토수 위치보다 배수구의 반대측에 있는 야채 찌꺼기 등은 거기에 체류해 버린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체류한 야채 찌꺼기 등을 손으로 긁어모아 배수구에 흘리지 않으면 안 되어, 번잡한 수고가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야채 찌꺼기 등이 체류하기 쉬우면 오염물이 부착되기 쉬워지므로, 청소에 수고를 필요로 하여, 청소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In conventional kitchen sinks, it is general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drain port, and the sink bottom surface has a slope of a trigger shape centering on the drain port. When the food is cooked in the sink or the dishes are cleaned, food residues adhered to the dishes or vegetable resid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getable residue) in the vegetable material during cooking are generated. 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sink, the vegetable residue at the drain port side rather than the water outlet position from the faucet flows to the drain port by the water flow at the time of cleaning, but the vegetable residue and the lik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port stays there. As a result, the user has to scoop up the collected vegetable residue, etc., by hand, and to flow it to the drain hole, resulting in troublesome work. Further, if vegetable residue or the like is likely to stay, contaminants tend to adhere, requiring labor for cleaning and deteriorating the cleaning property.

상기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싱크의 저면은, 배수구가 아니라 전방측의 테두리를 따른 유도 홈을 향하는 대략 평탄한 경사이다. 또한, 「대략 평탄」이라 함은, 이상적으로는 평탄이지만, 성형상의 이유로부터, 엄밀하게는(부득이) 약간의 유발 형상 내지 북 형상의 만곡을 갖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고, 홈 등과 같은 요철이 의도적으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략 평탄」을 단순히 「평탄」이라고 표현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is not a drain hole but a substantially flat inclination toward the guide groove along the rim of the front side. The term " substantially flat " is ideally flat. However, the term " roughly flat " includes flattening in a slightly elongated shape or a curved shape in a north- As shown in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oughly flat" is simply referred to as "flat".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평탄함으로써, 야채 찌꺼기 등이 발생하는 싱크 전방측의 영역보다도, 수도꼭지로부터의 토수 위치의 쪽이 저면의 경사의 상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야채 찌꺼기 등은, 싱크의 저면인 경사면을 흐르는 수류에 의해 유도 홈을 향해 흘려 내려간다. 또한 저면이 평탄한 경사이므로, 유발 형상의 경사의 경우보다도 넓은 영역에 수류가 흐른다.The inclined plane is flatten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water jetting position from the faucet is position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face, as compared with the area on the sink front side where vegetable residue or the like is generated. Therefore, the vegetable residue or the like flows down toward the guide groove by the water flow flowing on the inclined surface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Further, since the bottom surface is a flat inclination, a flow of water flows in a wider area than in the case of a warp of the induced shape.

그리고, 유도 홈에 이른 야채 찌꺼기 등은, 이러한 유도 홈에 유입된 물에 의해 배수구를 향해 흘러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접시를 씻는 수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야채 찌꺼기 등도 흘려 내려가게 되고, 접시를 다 씻을 즈음에는 야채 찌꺼기 등의 청소도 종료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은 야채 찌꺼기를 긁어모으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번잡한 수고가 생략되고, 높은 쾌적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야채 찌꺼기 등의 체류가 방지됨으로써, 싱크 저면에의 오염물의 부착이 방지되어,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싱크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높은 청소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Then, the vegetable residue that has reached the guide groove flows toward the drain hole b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Therefore, for example, vegetable residue is naturally flowed down by the flow of washing the dish, and the cleaning of the vegetable residue etc. is finished when the dish is washed. Therefore, the user does not have to perform a task of scraping off the vegetable residue as in the prior art, and troublesome labor is omitted, and high comfort can be obtained. Further, the retention of the vegetable residue or the like is prevented, so that adhesion of contaminants to the sink bottom surface is prevented, and the clean state is always maintained. As a result, the sink can be easily cleaned, and high clean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키고, 높은 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한 키친용 싱크를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itchen sink capable of reducing uncomfortable feeling caused by the formation of a drain hole and obtaining a high aesthetic appearance.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b)의 단면도.
1 is an overall view of a kitchen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b). Fig.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키친용 싱크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itchen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materials and other specific numerical values shown in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ases mention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shown.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키친용 싱크[이하, 단순히 싱크(100)라 칭함]의 전체도이며, 도 1의 (a)는 싱크(100)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싱크(100)를 상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단면도이며, 도 2의 (a)는 도 1의 (b)의 A-A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1의 (b)의 B-B 단면도이며, 도 2의 (c)는 도 1의 (b)의 C-C 단면도이다.1 is an overall view of a kitchen sink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i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tire sink 100,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nk 100 of FIG. 1 (a) is observed from above. FIG.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b), Fig. 2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2 (c) is a CC sectional view of Fig. 1 (b).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싱크(100)는, 경사면(110), 배수구(120) 및 유도 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사면(110)은, 싱크(100)의 저면이며, 그 주위의 테두리로부터는 벽면(140)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안측의 좌측 코너에 있어서, 수도꼭지(도시하지 않음)를 세우기 위한 장착 구멍(152)이 상면에 배치된 팽출부(150)가, 싱크(100)의 안측의 면인 벽면(140)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1, the si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110, a drain hole 120, and an induction groove 130. [ The inclined surface 110 is a bottom surface of the sink 100, and a wall surface 140 is erec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surface. A swelling portion 150 in which a mounting hole 152 for erecting a faucet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ide of the sink 100,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wall surface 14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안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팽출부(150)의 전방측에, 경사면(110)의 측부 테두리(112b)를 따르도록 배수구(12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팽출부(150)의 전방측의 싱크(100)의 코너부에 배수구(120)를 배치함으로써, 다른 영역에 배수구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싱크(100)의 저면[경사면(11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수구(120)는, 상방에 배치되는 배수 덮개(160)에 의해 덮인다. 이에 의해, 배수구(120)가 사용자의 눈에 띄는 일이 없으므로, 싱크(100)에 있어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in port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long the side edge 112b of the inclined surface 110 at the corner por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sink 100. Since the dead spac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drain hole is arranged in another area by disposing the drain hole 120 in the corner of the sink 100 on the front side of the bulging portion 15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use the bottom surface (sloped surface 110) Further, the drain hole 120 is covered by a drain cover 160 disposed above. Thereby, since the drain hole 120 is not visible to the user, the appearance of the sink 100 can be improv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홈(130)은, 경사면(110)의 전방측의 테두리[이하, 전방 테두리(112a)라 칭함]로부터 측부 테두리(112b)를 따라 연장되어 배수구(120)에 연속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전방측의 좌측 코너를 경계로, 경사면(110)의 전방 테두리(112a)를 따라 연장되는, 즉, 싱크(100)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홈을 긴 측 유도 홈(130a)이라 칭하고, 경사면(110)의 측부 테두리(112b)를 따라 연장되는, 즉, 싱크(100)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도 홈을 짧은 측 유도 홈(130b)이라 칭한다. 또한 이들 긴 측 유도 홈(130a) 및 짧은 측 유도 홈(130b)의 양쪽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유도 홈(130)이라 칭한다.1, the guide groove 130 extends from the rim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rim 112a) of the inclined surface 110 along the side rim 112b to the drain port 120 It is continuou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corner on the front side of the sink 100 is defined as a boundary, which extends along the front edge 112a of the slope 110, The guide groove is referred to as a long side guide groove 130a and the guide groove extending along the side edge 112b of the slope 110, that is, the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short direction of the sink 100, Quot; In the case where both of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and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are referred to, the guide groove 130 is referred to.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110)은,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은, 화살표 D1 방향, 즉, 싱크(100)의 전방측을 향해 흘러가게 된다. 도 2의 (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홈(130)인 긴 측 유도 홈(130a) 및 짧은 측 유도 홈(130b)은, 경사면(110)보다도 하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홈이며, 배수구(120)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As shown in Fig. 2 (a), the inclined surface 11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inside direction. As a result, water from the faucet flows toward the direction of the arrow D1, that i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ink 100. [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and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which are the guide grooves 130 are formed in a groove recessed downwardly from the slope face 110 as shown in Figures 2 (b) and 2 (c) And is inclined downward as it faces the drain port 120.

상세하게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측 유도 홈(130a)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측(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측 유도 홈(130b)은, 안쪽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측, 즉, 안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2 (b),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the side where the drain hole 120 is formed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It is inclined downward. As shown in FIG. 2 (c),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where the drain hole 120 is formed, that is, toward the inside in the inside direction.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싱크(100)에 있어서, 그 저면으로 되는 경사면(110)은, 종래와 같은 배수구(120)를 향하는 유발 형상의 경사가 아니라, 이러한 경사면(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유도 홈(130)[엄밀하게는 긴 측 유도 홈(130a)]을 향하는 평탄한 경사이다. 그리고, 수도꼭지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152)이 싱크(100)의 안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면(110)에 있어서, 수도꼭지로부터의 토수 위치는, 야채 찌꺼기 등이 발생하는 전방측의 영역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야채 찌꺼기 등[이하, 야채 찌꺼기(102)라 칭함]은, 경사면(110)의 안측(상류측)으로부터 D1 방향으로 흘러온 수류에 의해 긴 측 유도 홈(130a)을 향해 흘려 내려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nk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110 serving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100 is not inclined in the induced shape toward the drain hole 120 as in the conventional art, Is a flat inclination toward the guide groove 130 (strictly,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Since the mount hole 152 in which the faucet is mounte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nk 100, the position of the water jetted from the faucet on the inclined surface 110 is located upstream of the area on the front side where the vegetable residue, . Thus, vegetable resid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getable residue 102)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is formed by the water stream flowing in the direction D1 from the inside (upstream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10 130a.

그리고, 긴 측 유도 홈(130a)이 배수구(120)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긴 측 유도 홈(130a)에 유입된 야채 찌꺼기(102)는, 그와 함께 긴 측 유도 홈(130a)에 유입된 수류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D2 방향, 즉, 배수구(120)와 연속하고 있는 짧은 측 유도 홈(130b)을 향해 흘러간다. 이때, 짧은 측 유도 홈(130b)에 있어서도 배수구(120)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짧은 측 유도 홈(130b)에 유입된 야채 찌꺼기(102)는, 거기에 유입된 물에 의해 화살표 D3 방향으로 흘려 내려가 배수구(120)에 이르고, 짧은 측 유도 홈(130b)을 흐르는 물은 배수구(120)로 유도된다.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120 so that the vegetable residue 102 flowing into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is guided by the long side guide groove 130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2 shown in Fig. 1, that is, toward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drain hole 120. In this way, At this time, even in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the vegetable residue 102 flowing into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drain hole 120, D3 direction to reach the drain port 120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is led to the drain port 120. [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식기 등을 세정할 때에 흐른 물이 경사면(110)을 흐름으로써, 경사면(110)의 전방측의 영역에 있는 야채 찌꺼기(102)가 자연스럽게 유도 홈(130)을 향해 흐르고, 배수구(120)로 안내된다. 따라서, 식기 등의 세정 작업이 종료될 즈음에는 야채 찌꺼기(102)의 제거도 완료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은 야채 찌꺼기(102)를 긁어모으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높은 쾌적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ter flowing when cleaning the tableware or the like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10, so that the vegetable residue 102 in the area on the front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10 flows naturally toward the guide groove 130,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tableware or the like is completed, the removal of the vegetable residue 102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user does not need to scrape up the vegetable residue 102 as in the prior art, and high comfort can be obtained.

또한 야채 찌꺼기(102)가 세정 작업 시의 수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수구(120)로 이동함으로써, 싱크(100)의 저면[경사면(110)]에의 야채 찌꺼기의 체류가 방지된다. 특히 경사면(110)이 평탄하게 경사져 있음으로써, 종래와 같은 유발 형상의 경사의 경우보다도 넓은 영역에 수류가 흐르고, 야채 찌꺼기(102)의 체류가 한층 더 억제된다. 이에 의해, 야채 찌꺼기(102)의 체류에 기인하는 싱크(100)의 저면에의 오염물의 부착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싱크(100)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높은 청소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the vegetable residue 102 is naturally moved to the drain 120 by the flow of wat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so that the retention of the vegetable residue in the bottom surface (inclined surface 110) of the sink 100 is prevented. Particularly, since the inclined surface 110 is inclined flatly, a flow of water flows in a wider area than in the case of tilting of the induced shap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retention of the vegetable residue 102 is further suppressed. As a result, adhesion of contaminant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100 due to the retention of the vegetable residue 102 can be appropriately prevented, and the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sink 100, and high clean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구(120)를, 경사면(1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수도꼭지가 배치되는 측, 즉, 장착 구멍(152)이 형성되는 측에 치우치게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의 흐름에 의해 경사면(110)에 떨어진 야채 찌꺼기(102)가 배수구(120)를 향해 흐르기 쉬워져, 상술한 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drain hole 120 is disposed at a side where the faucet is arranged, that is, on the side where the mounting hole 152 is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0. As a result, the vegetable residue 102, which has fallen on the inclined surface 110 due to the flow of water from the faucet, flows easily toward the drain port 120, so that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배수구(120)는, 경사면(1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키친의 조리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친의 조리 스페이스가 싱크(10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배수구(120)를 싱크(100)의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키친의 조리 스페이스에서 발생한 야채 찌꺼기(102)가 배수구(120)측에 낙하하므로, 야채 찌꺼기(102)가 유수에 의해 흐르기 쉬워진다.Further, the drain hole 120 may be disposed at a side where the cooking space (not shown) of the kitchen is install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0.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oking space of the kitchen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ink 100, and the drain port 120 is disposed to the left side of the sink 100 in a biased manner. As a result, the vegetable residue 102 generated in the cooking space of the kitchen falls to the side of the drain port 120, so that the vegetable residue 102 is easily flowed by the flowing water.

본 실시 형태의 특징으로서, 도 1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측면(142) 및 팽출부(150)의 전방면(154)을 따르는 2변을 포함하는 삼각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배수구(120)는, 싱크(100)의 코너부를 따르는 형상으로 되므로, 싱크(100)와 배수구(120)에 일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이 저감되어, 싱크(100)에 있어서 높은 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1 (a) and 1 (b), the drain hole 120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142 of the sink 100 and the front surface 154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nd a triangular shape including two sides that follow. Thus, the drain hole 120 has a shape along the corner of the sink 100, so that the sink 100 and the drain hole 120 can have an integrated feeling. Therefore, the feeling of discomfort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drain hole 120 is reduced, and a high aesthetic appearance can be obtained in the sink 100.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팽출부(150)의 전방측의 싱크(100)의 코너부에 있어서, 팽출부(150)의 전방면(154)을 따르도록 배수구(120)를 배치함으로써, 팽출부(150)를 갖지 않고 싱크(100)의 코너부에 배수구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짧은 측 유도 홈(130b)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짧은 측 유도 홈(130b)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는, 즉, 유도 홈(130b)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으므로, 싱크(100)의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청소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By arranging the drain port 120 along the front surface 154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t the corner of the sink 100 on the front side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s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of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can be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rain hole is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sink 100 without the guide groove 150. [ As a result, the inclination of the short side guide groove 130b can be made smooth, that is,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130b can be made shallow, so that the sink 100 can be easily formed, It becomes possible.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싱크(100)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출부(150)의 측면(156)은, 싱크(100)의 안측을 향함에 따라 배수구(1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다른 특징으로서,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배수구(120)의 싱크 중앙측의 변(122)과 팽출부(150)의 측면(156)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전방이나 상방에서 싱크(100)를 관찰하였을 때에, 배수구(120)의 싱크 중앙측의 변(122)과 팽출부(150)의 측면(156)이, 연결되어 있는 1개의 직선과 같이 관찰된다. 따라서, 팽출부(150)와 배수구(120)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고, 싱크(100)에 있어서 더욱 높은 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1 (b), the side surface 156 of the swelling portion 150 is formed to face the drain hole 120 as it faces the inside of the sink 100. In the sink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b), the sides 122 on the sink center side of the drain hole 120 and the side surfaces 156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r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a result, when the sink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upper side, the side 122 on the sink center side of the drain port 120 and the side surface 156 of the swelling portion 150 are aligned with one straight line . Therefore, the sense of unity between the bulging portion 150 and the drain 120 can be enhanced, and a higher aesthetic appearance can be obtained in the sink 100. [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싱크(100)의 형상을 가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싱크(100)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L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팽출부(150), 나아가서는 수도꼭지[장착 구멍(152)]의 위치에 있어서도, 반드시 싱크(100)의 안측의 좌측 코너로 할 필요는 없고, 중앙이나 우측 코너 등,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ink 100 is rectangular, but the shape of the sink 10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ink 100 may be circular or L-shaped . Also in the position of the bulging portion 150 and further the faucet (mounting hole 152),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the left corner on the inside of the sink 100, and it may be arranged at any position such as the center or right corner do.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 등의 키친 캐비닛에 내장되는 키친용 싱크로서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kitchen sink incorporated in a kitchen cabinet such as a system kitchen.

100 : 싱크
110 : 경사면
112a : 전방 테두리
112b : 측부 테두리
120 : 배수구
122 : 변
130 : 유도 홈
130a : 긴 측 유도 홈
130b : 짧은 측 유도 홈
140 : 벽면
142 : 측면
150 : 팽출부
152 : 장착 구멍
154 : 전방면
156 : 측면
100: sink
110:
112a: front edge
112b: side border
120: Drain
122:
130: guide groove
130a: Long side guide groove
130b: short side guide groove
140: wall
142: side
150:
152: Mounting hole
154: front side
156: side

Claims (3)

싱크의 코너부에 배수구를 구비하는 키친용 싱크에 있어서,
싱크의 안측의 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수도꼭지를 세우기 위한 팽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팽출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는 삼각형이며, 상기 배수구의 2변이 상기 싱크의 측면과 상기 팽출부의 전방면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A sink for a kitchen comprising a sink at a corner portion thereof,
And an bulge portion for erecting the faucet projecting forwar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nk,
The drain por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ulge portion,
Wherein the drain hole is triangular and two sides of the drain hole follow the side surface of the sink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ul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의 측면은, 안측을 향함에 따라 배수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배수구의 싱크 중앙측의 변과 상기 팽출부의 측면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bulge portion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ain port toward the inside,
Wherein the side of the center of the sink of the drain hole and the side of the bulge ar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when viewed in pla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의 저면이며 안쪽 방향에서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전방측의 테두리로부터 측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까지 연속하는 유도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경사면의 측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친용 싱크.
The slide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surface which is a bottom surface of the sink and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from an inner side toward a front side;
Further comprising an induc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side edge from the rim on the front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continuing to the drain hole,
Wherein the drain hole is disposed along a side edge of the inclined surface.
KR1020150028074A 2014-06-30 2015-02-27 Sink for kitchen KR1023902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5157A JP6080808B2 (en) 2014-06-30 2014-06-30 Kitchen sink
JPJP-P-2014-135157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24A true KR20160002324A (en) 2016-01-07
KR102390225B1 KR102390225B1 (en) 2022-04-25

Family

ID=5516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74A KR102390225B1 (en) 2014-06-30 2015-02-27 Sink for kitche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80808B2 (en)
KR (1) KR102390225B1 (en)
CN (1) CN105317085B (en)
TW (1) TWI649481B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291U (en) * 1986-05-21 1987-11-30
JPH05329027A (en) * 1992-06-04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nk unit
JPH08158443A (en) 1994-12-09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nk
JPH11140935A (en) * 1997-11-06 1999-05-25 Inax Corp Sink device
KR20060128161A (en) * 2005-06-09 2006-12-1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A dry kitchen system
KR20080002344U (en) * 2006-12-28 2008-07-03 주식회사 백조씽크 Sink bowl
US20120151672A1 (en) * 2010-12-21 2012-06-21 As Ip Holdco, L.L.C. Hand Wash Wall Hung Sink To Avo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KR20120006391U (en)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천일 Sink Ball With Steriliz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2290Y1 (en) * 1964-11-13 1968-05-27
JPH09256435A (en) * 1996-03-22 1997-09-30 Sun Wave Ind Co Ltd Sink for sink cabinet
JP3635447B2 (en) * 1998-02-25 2005-04-06 株式会社ノーリツ sink
RU2174574C1 (en) * 2000-06-20 2001-10-10 Егоров Сергей Степанович Wash-bowl
DE102004007818A1 (en) * 2004-02-18 2005-09-08 Niro-Plan Ag Kitchen sink with drainer
JP2007262673A (en) *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nk
CN201055318Y (en) * 2007-04-09 2008-05-07 上海甲秀工业设计有限公司 Kitchen sink with ditch and water outlet on the edge
JP6080796B2 (en) * 2014-03-31 2017-02-15 クリナップ株式会社 Kitchen sin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291U (en) * 1986-05-21 1987-11-30
JPH05329027A (en) * 1992-06-04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nk unit
JPH08158443A (en) 1994-12-09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nk
JPH11140935A (en) * 1997-11-06 1999-05-25 Inax Corp Sink device
KR20060128161A (en) * 2005-06-09 2006-12-1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A dry kitchen system
KR20080002344U (en) * 2006-12-28 2008-07-03 주식회사 백조씽크 Sink bowl
US20120151672A1 (en) * 2010-12-21 2012-06-21 As Ip Holdco, L.L.C. Hand Wash Wall Hung Sink To Avo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KR20120006391U (en)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천일 Sink Ball With Steriliz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7085A (en) 2016-02-10
TWI649481B (en) 2019-02-01
JP2016014218A (en) 2016-01-28
KR102390225B1 (en) 2022-04-25
TW201600681A (en) 2016-01-01
JP6080808B2 (en) 2017-02-15
CN105317085B (en)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907B2 (en) Splash guard for sink
KR20150113820A (en) Sink for kitchen
JP2009183565A (en) Sink cabinet
JP6602068B2 (en) Bathroom vanity
KR20160002324A (en) Sink for kitchen
JP6104849B2 (en) Kitchen sink
JP5980281B2 (en) Kitchen sink
JP6080815B2 (en) Kitchen sink
JP6555871B2 (en) Kitchen sink
TWI654355B (en) Kitchen sink
JP6080816B2 (en) Kitchen sink
JP3214697U (en) Kitchen sink
JP4936957B2 (en) Kitchen sink
JP2017113399A (en) Bathroom vanity
JP2016033312A (en) Kitchen sink
JP5980280B2 (en) Kitchen sink
JP2016033311A (en) Rack for sink
JP6053136B2 (en) Bathroom counter
JP2002212993A (en) Sink
TW201604354A (en) Garbage basket of drain outlet
JP2009189530A (en) Sink
JP2006083579A (en)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