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037A -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 Google Patents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037A
KR20160002037A KR1020140080728A KR20140080728A KR20160002037A KR 20160002037 A KR20160002037 A KR 20160002037A KR 1020140080728 A KR1020140080728 A KR 1020140080728A KR 20140080728 A KR20140080728 A KR 20140080728A KR 20160002037 A KR20160002037 A KR 2016000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overlapping
overlap
ligh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6035B1 (en
Inventor
이승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35B1/en
Publication of KR2016000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controlling radiation and a light pattern by operating an inner reflector and an outer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comprises: a light source; and a reflector unit having the outer reflector and the inner reflector.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본 발명은, 내측 리플렉터와 외측 리플렉터를 작동하여 광량과 광패턴을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that operates an inner reflector and an outer reflector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and the light pattern.

일반적으로 리플렉터는 램프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증가시키고,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the reflector is installed in the lamp, and it increases the light amount of the irradiated light and serves to irradiate the light in a desired direction.

리플렉터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비엠씨(BMC: Bulk Moulding Compoune) 또는 연마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데, 램프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디기 위해 최근에는 비엠씨보다 내열성이 강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다.The material of the reflector is usually made of BMC (Bulk Molding Compoune) or polished aluminum. In order to withstand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lamp, aluminum which is more heat resistant than BMC has been used recently.

리플렉터의 형상은 원추형, 곡면형, 반구형, 포물선형 등이 있고, 원하는 광원의 방향 및 광량에 따라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reflector may be conical, curved, hemispherical, parabolic,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light desired.

만일,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균일도가 떨어지게 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비춰지지 아니하고 일부 범위에 얼룩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의 물체를 명확히 판단할 수 없게 됨으로 인하여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uniformity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and emitted to the outside is reduc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not uniformly illuminated, and some range of unevenness occur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clearly determine the object ahead, and various accidents can occu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되는 광원의 광량이나 패턴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리플렉터 조절 기술들이 실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reflector control techniques have been implemented that can improve the light amount and pattern performance of the irradiated light source.

예를 들면, 하나의 리플렉터를 이용하고, 상기 리플렉터 면의 형상 설계를 통해 광원의 광량이나, 패턴, 광폭 성능을 조절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For exampl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reflector is used and the light amount, pattern, and wide-width performance of the light source are adjusted through the shape design of the reflector surface.

또한, 하나의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리플렉터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하나의 리플렉터를 좌우측으로 회동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Further,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height of the reflector is adjusted by using one reflector, or one reflector is turned to the left and right.

하나의 리플렉터를 이용하면, 리플렉터의 반사상이 고정적이라 원거리나 근거리 성능을 둘 다 향상시키기 힘들다. 예컨대, 리플렉터의 원거리를 성능을 향상 시키게 되면 근거리 성능이 저하하게 되고, 반대로 근거리 성능을 향상 시키면 원거리 성능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ith a single reflector, it is difficult to improve both the distance and near performance because the reflections of the reflector are fixed. For example, if the distance of the reflector is improved to improve performance, the near distance performance is degraded. On the contrary, if the near distance performance is improved, the distanc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또한, 주행 조건에 맞게 빛의 패턴을 가변하기 힘들고, 차량 속도나 주변의 조도와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빛의 패턴으로 조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t is difficult to vary the light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ndition, and the light is always irradiated with a constant light pattern irrespective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surrounding illuminance.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32956호 (출원일: 1997년 07월16일)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1997-0032956 (filed on July 16, 19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 리플렉터와 외측 리플렉터를 사용하여, 램프의 근거리와 원거리에 대한 광량 및 빛을 조사하는 성능 향상과, 주행환경에 따라 빛의 패턴을 변환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rradiating a light amount and a light with respect to a near and far distance of a lamp by using an inner reflector and an outer reflector, To provide a light control device of a lamp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끝단부의 소정부분이 겹치는 중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외측 리플렉터와 내측 리플렉터를 구비한 리플렉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igh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nd an overlapping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the geometric center of the light source and overlapping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respective end portions, And a reflector portion having an inner reflector and an outer reflector that are operated to narrow or expan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reflector.

상기 리플렉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중첩 부분을 조절하는 중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verlap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reflector unit to adjust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조절부에 의해,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상기 중첩 부분이 각각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넓어지거나, 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linearly moves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y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so that the superimposed area is widened or linear motion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overlapping area can be narrowed.

상기 리플렉터부의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넓어지면, 램프의 근거리 성능 및 광폭이 향상되고,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좁아지면, 램프의 원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of the reflector portion improve the near distance performance and the width of the lamp whe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s widened and the remote performance of the lamp can be improved i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s narrowed .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부분이 전부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중첩 부분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움직일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can move the overlapping portion entirely, or one of the overlapping portions can be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can move.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상기 중첩 부분에는,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may be formed with a hole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상기 구멍은 곡선으로 된 장공일 수 있다.The hole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may be a curved long hole.

상기 구멍의 내측부에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래크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And a ridge-shaped portion connected to the overlapp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e.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하부에 형성되는 데, 상기 내측 리플렉터에 1열, 상기 외측 리플렉터에 1열씩 서로 대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idge siz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of the hole, and the ridge size may be formed so as to face the inner reflector by one row and the outer reflector by one row.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이 곡면 형상일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may have curved inner and outer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중첩 조절부는, 상기 리플렉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플렉터부를 구동하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lap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ing device connected to the reflector and driving the reflector, and a power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generating power.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기어일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be a gear.

상기 중첩 조절부는, 자동차의 제어시스템 또는 영상 센서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상기 중첩 조절부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overlap control unit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connecting the overlap control unit with a control system or an image sensor of an automobile.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일 수 있다.The power unit may be a motor.

상기 동력장치는, 회전 운동하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The power unit may be a solenoid that is rot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에 의하면, 내측 리플렉터와 외측 리플렉터를 작동하여, 광폭이 확대되고 근거리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거나 또는 광원이 집중되고 원거리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ight control device for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the width of the light can be widened and the visibility to the near place can be improved, or the light source can be concentrated and the visibility for a long distance can be improved.

또한, 내측 리플렉터와 외측 리플렉터를 작동하여, 빛의 패턴을 주행환경이나 도로조건에 맞게 변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 및 구조로 작동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by operating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light pattern according to the traveling environment or the road condition, and it operate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structure, so that the production time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4는 도3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ontrol devic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in Fig.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1)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끝단부의 소정부분이 겹치는 중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혹은 중첩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를 구비한 리플렉터부(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light control device 1 of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isposed oppositely to each other at the geometric center of the light source, (10) having an inner reflector (12) and an outer reflector (14) which have overlapping portions where predetermined portions overlap and whose overlapping areas (or overlapping widths) of the overlapping portions are narrowed or widened can do.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는 상기 광원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geometric center of the light source,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1)는, 리플렉터부(10) 및, 상기 리플렉터부(10)와 연결되어,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중첩 부분을 조절하는 중첩 조절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ight control device (1) for a vehicle lamp includes a reflector portion (10) and an overlap adjust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reflector portion (10) and adjusting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20).

도3,4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14)는 상기 중첩 조절부(20)에 의해,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상기 중첩 부분이 각각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넓어지거나, 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3 and 4,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re arranged such that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overlapping area is widened, or the overlapping area can be narrowed by linear mo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는 중첩 조절부(20)에 의해 작동하는데, 별도의 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지 않고,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를 제작할 때,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에 각각 내측 리플렉터 구멍(12a)과 외측 리플렉터 구멍(14a)을 직접 성형하여 중첩 조절부(20)와 결합하므로, 구성이 단순해지게 된다.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re operated by the superposition adjuster 20 so that no additional apparatus is additionally required and when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re manufactured, Since the inner reflector hole 12a and the outer reflector hole 14a are formed directly on the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nd are combined with the superposition adjuster 20,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14)는, 상기 중첩 부분이 전부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중첩 부분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움직일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can move the overlapping portion entirely, or one of the overlapping portions can be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can move.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중첩 부분이 모두 움직이기 위해, 중첩 조절부(20)가 연결되는 중첩 부분의 대향하는 방향에,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중첩을 유지할 수 있게 내측 리플렉터(12)의 외측면과 외측 리플렉터(14)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미끄럼이 발생하는 홈과 돌기를 구비하여, 중첩 조절부(20)의 조절에 따라 소정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move both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verlapping portion where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20 is connected A groove and a proj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eflector 14 so as to slide in a sliding manner so that a predetermined movement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14)는 상부의 중첩 부분이 고정되고, 하부쪽의 중첩 부분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의 중첩 부분은 상기 하부쪽의 중첩 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고려하여,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하거나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can be operated such that the upper overlap portion is fixed and the lower overlap portion is narrowed or widened. In this case,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may be fixed with a predetermined gap or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considering th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moves .

상기 중첩 부분의 면적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광원의 광량과 광패턴이 변하게 된다.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상기 중첩 부분의 면적이 좁아지면, 조사되는 빛을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가 모아주어 집중적으로 길게 조사할 수 있어, 램프의 원거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중첩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면, 빛의 광폭이 넓어지고, 짧은 거리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근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pattern are changed as the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narrowed or widened. When the area of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is narrowed, the irradiated light can be collected by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o be intensively irradiated, Performance is improved. Further, if the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widened, the wide range of the light is widened and the short distance is intensively irradiated, so that the near distanc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14)의 중첩 부분에는, 상기 중첩 조절부(20)와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 리플렉터(12)에 생성되는 내측 리플렉터 구멍(12a)과 외측 리플렉터(14)에 생성되는 외측 리플렉터 구멍(14a)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overlap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may be formed with a hole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20). For example, an inner reflector hole 12a formed in the inner reflector 12 and an outer reflector hole 14a formed in the outer reflector 14 can be distinguished.

내측 리플렉터 구멍(12a)과 외측 리플렉터 구멍(14a)은 곡선으로 된 장공(Long hole)일 수 있다. 상기 장공은,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운동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은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hole 12a and the outer reflector hole 14a may be curved long holes. The long hole can broaden the range of motion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he long hole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s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상기 곡선으로 된 장공은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형상과 운동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다.The curved long holes may vary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외측 리플렉터(14)와 내측 리플렉터(12)에 구비된 상기 구멍의 내측부에 중첩 조절부(20)와 연결되는 래크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And a razor tooth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e provided in the outer reflector 14 and the inner reflector 12.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하부에 형성되는 데,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에 1열, 상기 외측 리플렉터(14)에 1열씩 서로 대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하부란,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부는 상기 광원방향의 내측면이고, 하부는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The ridge siz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of the hole, and may be formed so as to face one row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one row of the outer reflector 14. 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of the hole refer to the inn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ower side in the inner side of the hole refers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hole.

예컨대, 내측 리플렉터 구멍(12a)과 외측 리플렉터 구멍(14a)의 형상은 각각의 상부나 하부 중 1열에 기어가 형성된 내측 리플렉터 래크기어(12b)와 외측 리플렉터 래크기어(12a)가 될 수 있다. 각각의 1열의 기어만으로도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가 충분히 작동할 수 있고, 1열만 생산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inner reflector hole 12a and the outer reflector hole 14a may be an inner reflector rail size 12b and an outer reflector rail size 12a in which gears are form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rows, respectively .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can be fully operated by only one row of gears, and the production cost and time of the product can be saved because only one row is produced.

상기 내측 리플렉터(12)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14)는,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반구 형상이 될 수 있다. 리플렉터(10)의 형상은 곡면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형이 될 수 있고, 원추형이 될 수 있다. 온전한 형태를 기하학적 중심으로 대향하게 2분할 하여, 각각을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라 하였을 때, 소정의 중첩되는 부분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모두 치환할 수 있다.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may have curved inner and outer surfaces, respectively. It may be hemispherical,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reflector 10 is not limited to a curved surface but may be square and conical. When the complete shape is divided into two oppositely facing geometrical centers and each of them is referred to as an inner reflector 12 and an outer reflector 14, all of the overlapping portions can be replaced.

내측 리플렉터(12)의 양 끝단부 사이의 직경이 외측 리플렉터(14)의 양 끝단부 사이의 직경보다 작다. 내측 리플렉터(12)의 양 끝단부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양 끝단부에 중첩 부분을 만들기 위함이다. The diameter between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1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between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outer reflector 14. [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중첩 조절부(20)는 리플렉터부(10)와 연결되어 리플렉터부(10)를 구동하는 동력전달장치(22)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22)와 연결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lap control section 20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22 connected to the reflector section 10 to drive the reflector section 10 and a power device 26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2 for generating power, . ≪ / RTI >

상기 동력전달장치(20)는, 기어(22)일 수 있다. 동력장치(30)와 연결되어 동력장치(30)의 회전운동을 리플렉터부(10)에 전달한다. 상기 기어(22)의 기어 이는 내측 리플렉터 래크기어(12b)와 외측 리플렉터 래크기어(14b)에 결합되기 때문에 그 크기는 내측 리플렉터(12b)와 외측 리플렉터 래크기어(14b)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may be a gear 22.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30 to transmi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ower unit 30 to the reflector unit 10. [ The gears of the gear 22 are coupled to the inner reflector 12a and the outer reflector 14b so that the size of the gears is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inner reflector 12b and the outer reflector 14b It can be different.

예컨대, 기어(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상기 중첩부분이 넓어지게 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가 겹쳐지는 부분이 좁아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gear 2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widens. When the gear 22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he overlapping portion becomes narrow.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장치(20)는 구성이 단순하여 생산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어(22)로 되어 있어, 기어(22)의 기어 이 수를 조절하여,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장치(30)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20 as described above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reduce production time and cost. Further, since the gear 22 is provided to adjust the power of the gears of the gear 22 to operate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he power unit 30 can be miniaturized can do.

상기의 동력전달장치(20)는 꼭 기어(2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의 축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측 리플렉터 구멍(12a)과 외측 리플렉터 구멍(14a)은 상기 축과 끼움 결합하여, 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운동할 수 있는 평평한 형상이 되거나 축과 회전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20 is not limited to the gear 22 but may be a circular shaft so that the inner reflector hole 12a and the outer reflector hole 14a are fitted to the shaft A roller having a flat shape capable of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haft, or a roller capable of rotating with the shaft.

상기 동력장치(30)는 제어시스템과 연결되거나 영상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주변의 조도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제어시스템이나 영상센서가 중첩 조절부(20)의 작동을 조절하여 리플렉터부(10)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조사되는 광량이나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The power unit 3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system or may be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The control system or the image sens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perimposition adjus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or the speed of the vehicle so that the reflector unit 10 is adjusted and thus the quantity of light to be irradiated and the pattern thereof can be changed.

중첩 조절부(20)가 제어시스템이나 영상 센서와 연결되면, 주변환경이나 조건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중첩 조절부(20)가 작동되어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를 작동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성도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overlap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or the image sensor, the overlap control unit 20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respons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conditions to operate and adjust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Therefor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Also,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동력장치(30)는 모터(32)일 수 있다. 모터(32)는 스텝모터를 사용하여 특정한 각도 또는 단계별로 리플렉터부(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unit 30 may be a motor 32. Fig. The motor 32 can control the reflector unit 10 at specific angles or step by step motors.

동력장치(30)는, 회전 운동하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상기 모터(32)와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원의 극성을 조절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30) may be a solenoid for rotating motion. The motor 32 and the solenoid may adjust the polarity of the power source to adjust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by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동력장치(30)는 동력전달장치(20)와 직접 연결되어, 동력전달장치(20)에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장치(30)와 동력전달장치(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모터(32)와 솔레노이드의 크기는 내측 리플렉터(12)와 외측 리플렉터(14)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동력전달장치(20)의 구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The power unit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to transmit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This is to prevent a loss that may occur between the power unit 3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 The size of the motor 32 and the solenoid may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and size of the inner reflector 12 and the outer reflector 14 and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20. [

동력장치(30)의 전력원은 기존 차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별도의 전력원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장치(30)는 모터(32)와 솔레노이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The power source of the power unit 30 may be a battery of an existing vehicle or may have a separate power source. The power unit 30 is not limited to the motor 32 and the solenoid, but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unit as far as it can perform rotational mo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램프의 광 조절장치 10: 리플렉터
12: 내측 리플렉터 12a: 내측 리플렉터 구멍
12b: 내측 리플렉터 래크기어 14: 외측 리플렉터
14a: 외측 리플렉터 구멍 14b: 외측 리플렉터 래크기어
20: 중첩 조절부 22: 동력전달장치
24: 기어 26: 동력장치
28: 모터
1: light control device of lamp 10: reflector
12: Inner reflector 12a: Inner reflector hole
12b: inner reflector size 14: outer reflector
14a: outer reflector hole 14b: outer reflector radius
20: overlap control section 22: power transmission device
24: gear 26: power unit
28: Motor

Claims (15)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끝단부의 소정부분이 겹치는 중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외측 리플렉터와 내측 리플렉터를 구비한 리플렉터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nd
A reflector portion having an outer reflector and an inner reflector,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geometric center of the light source and have overlapping portions in which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verlap each other and are operated so that the overlapping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becomes narrower or wider, ;
And a 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lam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중첩 부분을 조절하는 중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verlap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reflector unit to adjust an overlapped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조절부에 의해,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상기 중첩 부분이 각각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넓어지거나, 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중첩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reflector
The overlapping portion adjusts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to linearly mov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o expand the overlapping area or linear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narrow the overlapping area Of the lamp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부의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넓어지면, 램프의 근거리 성능 및 광폭이 향상되고,
상기 중첩 부분의 중첩 면적이 좁아지면, 램프의 원거리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of the reflector portion
Whe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s widened, the short-range performance and wide width of the lamp are improved,
Wherei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s narrowed, thereby improving the remote performance of the lam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상기 중첩 부분이 전부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중첩 부분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움직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reflector
The overlapping portion is entirely moved,
Or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mov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의 중첩 부분에는,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inner reflector and the outer reflector includes:
And a hole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art is formed in the light adjust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상기 구멍은 곡선으로 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ole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is a curved long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측부에 상기 중첩 조절부와 연결되는 래크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ridge-like portion connected to the overlap adjust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구멍의 내측부 상하부에 형성되는 데,
상기 내측 리플렉터에 1열, 상기 외측 리플렉터에 1열씩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bove-
And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of the hole,
Wherein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by one row in the inner reflector and one row in the outer reflec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플렉터와 상기 외측 리플렉터는,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이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reflector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are curved surfaces,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조절부는
상기 리플렉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플렉터부를 구동하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verlap control unit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to the reflector part to drive the reflector part,
And a power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generating pow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a gear.
제 2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조절부는,
자동차의 제어시스템 또는 영상 센서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상기 중첩 조절부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11,
The overlap control unit includes: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overlap control par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connect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or the image senso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unit includes:
Wherein the lamp is a moto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회전 운동하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 조절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unit includes:
Wherein the solenoid is a solenoid for rotational movement.
KR1020140080728A 2014-06-30 2014-06-30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KR102226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28A KR102226035B1 (en) 2014-06-30 2014-06-30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28A KR102226035B1 (en) 2014-06-30 2014-06-30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37A true KR20160002037A (en) 2016-01-07
KR102226035B1 KR102226035B1 (en) 2021-03-10

Family

ID=5516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728A KR102226035B1 (en) 2014-06-30 2014-06-30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3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889U (en) * 1993-11-24 199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 active headlight angle adjustment device
KR970032956A (en) 1995-12-14 1997-07-22 이영서 Water diagnosis valve self diagnosis device and method
KR19980028853A (en) * 1996-10-24 1998-07-15 양재신 Direction indicator with an enlarged view
KR19990017066A (en) * 1997-08-21 1999-03-15 정몽규 Reflector for car forgram
JP2002289011A (en) * 2001-03-27 2002-10-04 Ichikoh Ind Ltd Head lamp for use in vehicle
JP3139290U (en) * 2007-11-27 2008-02-07 有限会社アネット Variable reflector for photographic lighting
KR20140085921A (en) * 2012-12-28 2014-07-08 이주일 lamp assembly with controller for reflection ang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290B2 (en) 1994-07-06 2001-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airba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889U (en) * 1993-11-24 199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 active headlight angle adjustment device
KR970032956A (en) 1995-12-14 1997-07-22 이영서 Water diagnosis valve self diagnosis device and method
KR19980028853A (en) * 1996-10-24 1998-07-15 양재신 Direction indicator with an enlarged view
KR19990017066A (en) * 1997-08-21 1999-03-15 정몽규 Reflector for car forgram
JP2002289011A (en) * 2001-03-27 2002-10-04 Ichikoh Ind Ltd Head lamp for use in vehicle
JP3139290U (en) * 2007-11-27 2008-02-07 有限会社アネット Variable reflector for photographic lighting
KR20140085921A (en) * 2012-12-28 2014-07-08 이주일 lamp assembly with controller for reflection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35B1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9014B2 (en) Lighting device and moving body
KR102436326B1 (en) Symbol-displaying signa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signal light equipped with such a lighting device
JP6770790B2 (en) Vehicle drawing device
KR101470194B1 (en) Guide lamp apparatus for vehicle
JP2006261117A (en) Headlight
EP2623373A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EP2623372A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TWI546492B (en) Vehicle lamp module
BR102013018985A2 (en) ADAPTABLE LIGHTING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2321099B1 (en) Rotating drive apparatus
CN107448854B (en) Rotary lamp module
EP2623371A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CN110566899B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TW201534504A (en) Headlamp for vehicle
JP6545588B2 (en) Beam pattern adjustment system for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KR20160002037A (en) Ligh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lamp
CN103439852B (en) Contrast control device and projector provided with same
KR20160069083A (en) Lamp for vehicle
KR101485802B1 (en) Automotive headlamp
JP2019516613A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device and scanning device for headlights of motor vehicles
KR20140014513A (en)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140079962A (en) Module for controlling specular surface, vehicle lamp applied to the same
KR101363900B1 (en) Optical source module
JP6203541B2 (en) Rear fog lamp device
JP7053370B2 (en) Vehicle headligh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