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979A - Ramen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Ramen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79A
KR20160001979A KR1020140080582A KR20140080582A KR20160001979A KR 20160001979 A KR20160001979 A KR 20160001979A KR 1020140080582 A KR1020140080582 A KR 1020140080582A KR 20140080582 A KR20140080582 A KR 20140080582A KR 20160001979 A KR20160001979 A KR 2016000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amen
individual
water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7444B1 (en
Inventor
임종호
장석봉
Original Assignee
임종호
장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호, 장석봉 filed Critical 임종호
Priority to KR102014008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44B1/en
Publication of KR2016000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venting machine which provides an individual cooking control method of multiple ramen capable of cooking multiple ramen at the same time, of which manufacturing costs are inexpensive by having a simple structure for cooking ramen, which has improved load efficiency of ramen accommodated in the vending machine, and which has improved sanitary condition since contents such as ramen, soup, etc. accommodated in the vending machine are stored in a state of being sealed. The ramen vending machine comprises: ramen cooking heaters (110) for heating a ramen container (V); cooking buttons (120) equipped for each of the ramen cooking heaters (110), and generating a ramen cooking start signal for requesting heating of a corresponding ramen cooking heater (110) when operated; and a control unit (130) for receiving the ramen cooking start signal generated by the cooking buttons (120),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ramen cooking heater (110), which generates the inputted ramen cooking start signal, to be heated.

Description

라면자판기{Ramen vending machine}Rame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한번에 여러 개의 라면을 동시에 조리 가능한 다중 라면 개별 조리제어방식을 제공하고, 라면을 조리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장치에 수납되는 라면의 적재효율이 향상되고, 장치 내부에 적재되어져 있는 라면 및 수프 등의 내용물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어 향상된 위생 상태를 갖는 라면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aced individual cook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cooking multiple ramen noodles at the same time, and a simple structure for cooking ram noodles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is low, the loading efficiency of the ram noodles stored in the device is impr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vend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anitary condition in which contents such as ramen, soup and the like are stored in an enclosed state.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Generally, ramen is classified into a cup noodle which is prepared by pouring hot water into a ramen noodle which has already been cooked, a bag noodle which is prepared by adding soup into ramen noodles and boiling water, and adding various seasonings according to taste.

이와 같은 라면 중에서 컵라면은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에서도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었기 때문에, 컵라면을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가 개발되었으나 별도의 온수기가 필요하게 되며, 온수기에서 제공하는 온수의 온도가 낮아 충분히 라면을 익히지 못하는 것은 물론 봉지라면을 끓일 때 보다도 맛이 현저히 떨어져 실용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se ramen noodles, if you prepare only hot water, you can cook and eat quickly at outdoor time. Therefore,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selling cup noodles has been developed, but a separate water heater is needed and it is provided by a water heate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low, so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cook ramen noodles, and the taste of noodle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oiled noodl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봉지라면을 직접 끓여 공급하도록 하는 자동라면 조리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18063호 "라면 자동판매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automatic ramen cooker for directly boiling and supplying a bag nood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318063 entitled " Automatic vending machine ".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라면 자동판매장치는 한번에 하나씩 라면을 끓여 공급하는 구조로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봉지라면에서 봉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라면이 라면저장부에 적재되어 있고, 수프도 수프 공급부에 저장된 구조를 통해 라면을 조리하는 방식이는다. The conventional ram noodle automatic vending machin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am noodles are boiled and supplied one at a time. The structure of the ram noodle is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the bag is removed from the bag noodle, the ram noodle is loaded on the storage portion, It is a way to cook ramen through stored structure.

따라서, 종래의 라면 자동판매장치는 한번에 여러 개의 라면을 동시에 조리하는 제어방식은 제공하지 못하고, 라면을 조리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장치에 수납되는 라면의 적재효율이 떨어지며, 장치 내부에 적재되어져 있는 라면 및 수프 등의 내용물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지 못하여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ram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an not provide a control method of simultaneously cooking several ramen noodles at the same time, and the structure for cooking the ramen noodle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such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contents such as ramen and soup which are loaded in the apparatus can not be stored in a hermetically sealed state, resulting in poor hygienic condi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에 여러 개의 라면을 동시에 조리 가능한 다중 라면 개별 조리제어방식을 제공하고, 라면을 조리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장치에 수납되는 라면의 적재효율이 향상되고, 장치 내부에 적재되어져 있는 라면 및 수프 등의 내용물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어 향상된 위생 상태를 갖는 라면자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aced individual cook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cooking several ram noodl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m noodle machine which is inexpensive and has an improved loading efficiency of the ram noodles accommodated in the device and is stored in an enclosed state of the contents such as ramen and soup which are loaded in the devic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는, 놓여지는 라면용기를 가열하는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들과;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조작 시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의 가열을 요청하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개별 조리버튼들과; 상기 개별 조리버튼들 중에서 생성되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생성한 해당 개별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esent invention, a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dividual ramen noodle heaters for heating a noodle container to be laid, Individual cooking buttons provided for each of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for generating individual cooking utensils requesting heating of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during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dividual cooking utensil start signal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cooker buttons and for heating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for generating individual cooked utensil cooking start signals.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에는, 라면을 조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라면조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 입력 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만큼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ram noodle cooking time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for cooking ram noodles, So that the cooking heater is heated.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에는,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표시되는 개별 정보표시부;들을 더 포함한다. The ram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s provided for the respective individual ramen cooking heaters and displaying the ramen cook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ramen cooking time information.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에는,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라면조리가 완료된 경우 이를 안내하는 개별 라면조리 완료 안내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상기 개별 라면 조리 완료 안내용 부재를 조작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pective cooking surface completion guide member provided for each of the individual ram noodle cooking heaters and guiding the completion of the ram noodle cooking when the ram noodle cooking is completed, When the cooking time has elapsed,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control of the individual cooking surface finished contents member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상기 개별 라면 조리 완료 안내용 부재는 부저, 램프, 액정,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The individual cooking surface completed member may comprise a buzzer, a lamp, a liquid crystal, a speaker,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각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의 상부에는 놓여진 라면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들이 구비되고, 그 급수부는, 물이 수용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통에 연통되어 라면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개별 급수노즐;들로 이루어진다. And a water supply pa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noodle container placed on the upper part of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wherein the water supply part comprises: a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s received; A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tube to supply water; And individual water supply nozzles which are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s and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if they are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upply container.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에는, 상기 급수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용 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ter filter portion mounted on the water supply pipe and configured to purify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의 자면자판기에는, 자판본체와; 상기 자판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을 선택하는 라면선택부와; 상기 자판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선택부에서 선택된 라면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결재부와; 상기 자판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들이 적재되고, 그 적재된 라면들 중 상기 라면선택부에서 선택된 라면이 라면배출구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라면공급부;를 포함한다. The self-facing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body; A ramp selection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and selecting a ramp surface to be worn; A paymen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and paying the cost of the ramen selected by the ramen selection unit; And a ramp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keyboard to guide the ram noodles to be taken to be loaded and to transfer the ram noodles selected by the ram noodle selecting unit among the loaded ram noodles to the outlet.

상기 라면공급부는, 일측면이 개방된 전측 거치함, 상기 전측 거치함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측 모터, 상기 전측 거치함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전측 모터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전측 모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전측 이송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전측 라면공급부와;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의 후측 횡렬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후측 거치함, 상기 후측 거치함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후측 모터, 상기 후측 거치함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후측 모터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후측 모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후측 이송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후측 라면공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측 라면공급부의 후측 이송스프링에 라면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의 전측 거치함의 타측면이 회동가능하게 기준축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The ramp supply unit includes a front side mounting unit having one side opened, a front motor fixed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mounting unit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a spring mounted on the front mounting unit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motor, A front ramp supply part composed of a front transfer spring for guiding the ramp to be convey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motor by being laid between the springs, A rear motor disposed on the rear row of the front side ramp supply part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mounting rack, the rear mot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he rear motor disposed on the rear mounting rack, And a rear ramp supply part composed of a spring type connected to the rear motor and having a ramp surface between the springs so as to guide the ramp surface to be transpor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rear motor,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mounting portion of the front side ramp supply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ference shaft so that the rear side transfer spring of the rear ramp supply portion can easily receive the ramp surface.

본 발명은 한번에 여러 개의 라면을 동시에 조리 가능한 다중 라면 개별 조리제어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이 가능하여 라면조리시간을 감축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aced individual cook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cooking several ramen noodles simultaneously, thereby reducing the cooking time if many people can simultaneously use the same in a public place.

또한, 본 발명은 라면을 조리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장치에 수납되는 라면의 적재효율이 향상되고, 장치 내부에 적재되어져 있는 라면 및 수프 등의 내용물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어 향상된 위생 상태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for cooking a rame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is low, the loading efficiency of the ramen stored in the device is improved, and the content of the ramen, soup, It also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mproved sanitary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이루는 구성 중 자판본체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이루는 구성 중 자판본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이루는 구성 중 자판본체에 구비되는 라면공급부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를 이루는 구성 중 조리본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men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amen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the keyboard of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key board body among the constitutions of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views showing a ramp supply part provided in the key board body amo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oking main body of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는 크게 조리본체(100) 및 자판본체(2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amen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oking main body 100 and a keyboard body 200.

상기 조리본체(100)는 라면의 조리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The cooking main body 100 is a member for cooking the ramen.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리본체(100)의 세부구성은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 개별 조리버튼(120), 메모리부(140), 개별 정보표시부(150),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 급수부(170) 및 제어부(130)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100 for performing such functions includes a separate cooking surface heater 110, an individual cooking button 120, a memory unit 140, an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 150, A member 160, a water supply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30.

먼저,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는 라면 및 물이 수용된 라면용기(V)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부재로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110 is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a ram noodle and a ram noodle container V containing water.

이처럼,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개수를 복수개로 구비하는 주된 이유는 본 발명의 라면자판기가 적용되는 곳이 공공장소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 시 라면조리시간을 감축하기 위함이다. 이에,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개수는 설치되는 공공장소의 규모에 따라 2개에서 10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reason why the number of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is provided is that the cooking time is reduced if many people use the ram noodl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is a public place. Accordingly, the number of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may be two to ten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of a public place to be installed.

이러한,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종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레인지로서, 하이라이트, 인덕션 또는 핫플레이트 중 선택해서 사용가능하다. The kind of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110 is an electric range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heat energy, and can be selected from highlight, induction, or hot plate.

상기 개별 조리버튼(120)은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조작 시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가열을 요청하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부재로서, 개개의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를 구분하는 식별정보인 개별히터 식별정보가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에 취합되어 후술되는 제어부(130)로 입력되도록 제공한다. Each of the individual cooking buttons 12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and is a member for generating individual cooking utensils for requesting heating of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during operation, If the individual h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ndividual individual cooking surfaces of the cooking heater 110, is included in the cooking start signal, it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어부(130)는 라면의 선택부터 라면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조리본체(100) 및 자판본체(2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재이다. The control unit 130 is a member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king main body 100 and the keyboard main body 200, which are necessary for cooking ram noodles from the selection of ram noodles.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개별 조리버튼(120)들 중에서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가 생성된 경우 이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에 포함된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인지하여 해당 개별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order to perform such a function, the controller 130 receives a cooking start signal when individual cooking buttons 120 are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cooking buttons 120, receives individual cooking utensil start signals included in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 start signals And controls the cooking heater 110 to be heated if it is the individual individual.

상기 메모리부(140)는 라면을 조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라면조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부재로서, 라면의 종류에 따라 라면조리 시간이 상이할 경우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130)가 인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The memory unit 140 is a member for storing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e for cooking the ramen. If the cooking tim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amen, the memory unit 140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ler 130 to recognize .

여기서, 제어부(130)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 입력 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만큼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가 가열 및 가열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oking heater 110 to be heated and unheated if it is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individual cooking course start signal do.

이때, 제어부(130)에서 조리시간의 인지는 타이머를 구비하거나 또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가 입력된 시점을 조리시간의 시작시간으로 인지하여 라면조리시간을 계측할 수 있게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oking time to be measured if it recognizes the cooking time as a start time of the cooking time including a timer or a time when the cooking start signal is input.

상기 개별 정보표시부(150)는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표시되는 부재이다. The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 150 is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110, and is a member for displaying the cook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 정보표시부(150)는 3 내지 7 세그먼트를 구비한 FND(Flexible Numeric Display), LED(Luminescent Diode) 또는 액정(LCD) 등 다양한 표시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unction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 150 may be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flexible numeric display (FND), an LED (Luminescent Diode)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ving 3 to 7 segments.

상기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는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라면조리가 완료된 경우 이를 안내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의 종류는 부저, 램프, 액정, 스피커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individual noodle cooking finished guide member 16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individual noodle cooking heaters 110 and is a member for guiding the individual noodle cooking finished guide members 160 when the noodle cooking is completed. ) May be implemented by a buzzer, a lamp, a liquid crystal, a speaker,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어부(130)는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해당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가 작동되도록 조작 제어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ok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the cooking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ooking completion guide member 160 to be operated by the user so that the cooking time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do.

상기 급수부(170)는 각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상부에 놓여진 라면용기(V)에 물을 공급하는 부재이다. The water supply unit 170 is a memb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ram noodle vessel V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cooking surface heater 110.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급수부(170)의 세부구성은 물이 수용되는 급수통(171), 상기 급수통(171)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72) 및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통(171)에 연통되어 라면용기(V)에 물을 공급하는 개별 급수노즐(173)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급수제공원으로부터 급수관(172)을 통해 급수통(171)으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 및 급수통(171)에서 각 개별 급수노즐(173)들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수행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70 that performs the function is such that the water supply pipe 171 in which water is received, the water supply pipe 172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ipe 171 to supply water, And water supply nozzles 173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V if the water supply pipe 171 is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171. The water supply pipe 17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2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ube 171 and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hrough the individual water supply nozzles 173 in the water supply tube 171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130.

그리고 급수통(171)에는 그 급수통(171)에 수용된 물이 80℃ 정도의 온수가 되도록 가열하는 온수유지용 히터(174)가 탑재되어 제공되며, 이러한 온수유지용 히터(174)의 가동제어도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수행된다. The water supply tube 171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holding heater 174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feed tube 171 to be hot water of about 80 ° C, Th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as well.

또한, 급수관(172)에는 그 급수관(172)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용 필터부(175)가 연결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17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portion 175 for purify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2.

이러한 정수기능을 수행하는 정수용 필터부(175)에는 외부의 수도공급원을 통해 유입되는 급수인 원수(수도수나 지하수 등)중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을 부직포에 의해 매크로사이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콜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등을 말함),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0.0001미크론크기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역삼투막 필터(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osmosis filter(R/O)) 및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정수처리하여 물 맛을 개선하는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가 적용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rust filter unit 175 that performs the water purifying function is provided with rust, soil, sand,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raw water (water or running water) flowing through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by means of a nonwoven fabric, Sediment filter which removes water, chlorine component (referred to as trihalomethane etc.) remaining in water by adsorption method of coal minerals or activated carbon made by burning palm trees at high temperature, and organic chemicals are removed A membrane filter or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that treats various pollutants in water, bacteria, inorganic substances, heavy metals, etc. through fine pores having a size of 0.0001 microns by using a pre-carbon filter and polyamide composite membrane. post-carbon filter that improves the water taste by treating the foreign substance such as osmosis filter (R / O)) and water odor and gas component is applied Or it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m.

상기 자판본체(200)는 사용자가 라면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라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The keyboard body 200 is a member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ramen and guide the selected ramen to be provided to the user.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자판본체(200)의 세부구성은 라면선택부(201), 결재부(202), 라면배출구(203), 라면공급부(A), 용기배출부(230)로서 자판본체(200)의 내부 및 외함에 설치된다. 이때, 자판본체(200)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04)가 구비되어 제공된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keyboard body 200 that performs the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keyboard body 200 as the ramp selection unit 201, the payment unit 202, the ramp discharge port 203, the ramp supply unit A, (200) and an enclosure. At this time, a front door 20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200.

먼저, 라면선택부(201)는 자판본체(200)의 전면인 전면도어(204)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튼의 누름과 같은 조작을 통해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을 종류별로 선택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First, the noodle selection unit 201 is installed on the front door 204, which is the front face of the keyboard body 200. The noodle selection unit 201 is a member for guiding the user to select the type of noodles desired to be eaten by operation such as pressing a button.

상기 결재부(202)는 자판본체(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선택부에서 선택된 라면의 비용을 지불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현금, 신용카드, 체크가드 및 교통카드(일명, 티머니) 등을 이용하여 결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ayment unit 20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200. The payment unit 202 is a member for guiding the user to pay for the ramen selected by the ramen selection unit. The payment unit 202 includes cash, a credit card, a check guard and a transportation card ) Can be used to perform a payment function.

상기 라면공급부(A)는 자판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들이 적재되고, 그 적재된 라면들 중 라면선택부(201)에서 선택된 라면이 라면배출구(203)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부재이다. The ramp supply unit A is installed inside the key board main body 200 and is provided with ram noodles to be taken in. When the ram noodle selected by the ram noodle selecting unit 201 among the loaded ram noodles is transported to the outlet 203 .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라면공급부(A)의 세부구성은 전측 라면공급부(210) 및 후측 라면공급부(220)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mp supply unit A functioning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the supply unit 210 and the ramp-type ramp-supply unit 220 on the front side.

먼저, 전측 라면공급부(210)는 일측면이 개방된 전측 거치함(211), 상기 전측 거치함(211)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측 모터(212), 상기 전측 거치함(211)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전측 모터(212)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전측 모터(21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전측 이송스프링(213)으로 이루어진다. The front side ramp supply unit 210 includes a front side mount 211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front side motor 212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mount 211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he front motor 212 is connected to the front motor 212. The front motor 212 is disposed on the housing 21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motor 212.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s, And a front transferring spring 213 for guiding the transferring.

상기 후측 라면공급부(220)는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210)의 후측 횡렬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후측 거치함(221), 상기 후측 거치함(221)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후측 모터(222), 상기 후측 거치함(221)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후측 모터(222)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후측 모터(22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후측 이송스프링(223)으로 이루어진 후측 라면공급부(220);로 이루어진다.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ly part 210 a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r mounting part 221, A rear motor 222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and a spring type which is positioned on the rear mount box 221 an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motor 222, And a rear ramp supply part 220 composed of a rear side transfer spring 223 for guiding the ramp surface to be convey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rear motor 222.

이때, 상기 후측 라면공급부(220)의 후측 이송스프링(223)에 라면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210)의 전측 거치함(211)의 타측면이 회동가능하게 기준축(214)에 결합됨으로써, 후측 라면공급부(220)의 후측 이송스프링(223)에 라면수납 시 전측 라면공급부(210)의 전측 거치함(211)을 축회전한 상태에서 후측 라면공급부(220)의 후측 이송스프링(223)에 간편하게 라면을 수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front mount 211 of the front side ramp supply part 2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ference shaft 214 so that the ramp surface can be easily stored in the rear side transfer spring 223 of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The rear transfer spring 223 of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can be rotated so that the rear transfer spring 221 of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is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side mounting part 211 of the supply part 210 is rotated, 223). ≪ / RTI >

또한, 전측 라면공급부(210) 및 후측 라면공급부(220)는 종열로 적층되어 라면 수납 개수를 최대화 되도록 제공한다. Further, the front ramp supply part 210 and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are provided so as to maximize the number of housings if they are stacked with the longitudinal heat.

상기 용기배출부(230)는 자판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납된 라면용기(V)들을 배출하는 부재이다. The container discharging unit 230 is installed inside the keyboard body 200 and discharges the stored noodle containers V.

이와 같은, 자판본체(200)의 각 구성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라면선택부(201)에서 자신이 원하는 해당 라면의 버튼을 조작하면, 이를 인지하여 해당 라면이 위치되는 전측 라면공급부(210) 또는 후측 라면공급부(220)를 구동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라면이 라면배출구(203)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Each constitution of the keyboard body 2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rresponding button on the desired face in the selecting unit 201,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button and operates the front side ramp-up side supplying unit 210 or the rear side ramp supplying unit 220 And guiding a user to select a ram noodle to be delivered to the outlet 203.

100 : 조리본체 110 :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
120 : 개별 조리버튼 130 : 제어부
140 : 메모리부 150 : 개별 정보표시부
160 :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 170 : 급수부
171 : 급수통 172 : 급수관
173 : 개별 급수노즐 174 : 온수유지용 히터
175 : 정수용 필터부 200 : 자판본체
201 : 라면선택부 202 : 결재부
203 : 라면배출구 204 : 전면도어
210 : 전측 라면공급부 211 : 전측 거치함
212 : 전측 모터 213 : 전측 이송스프링
214 : 기준축 220 : 후측 라면공급부
221 : 후측 거치함 222 : 후측 모터
223 : 후측 이송스프링 230 : 용기배출구
A : 라면공급부 V : 라면용기
100: Cooking body 110: Individual ramen cooking heater
120: Individual cooking button 130:
140: memory unit 150: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
160: individual noodle cooking completion guide member 170: water supply unit
171: water tank 172: water supply pipe
173: Discrete water nozzle 174: Heater heater
175: water filter unit 200: keyboard body
201: Ramen selection unit 202: Payment unit
203: Ramen outlet 204: Front door
210: front side supply part 211: front side mounting
212: Front motor 213: Front conveying spring
214: Reference axis 220:
221: rear mount 222: rear motor
223: rear side feed spring 230: container outlet
A: ramen supply part V: ramen container

Claims (12)

놓여지는 라면용기(V)를 가열하는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과;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조작 시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가열을 요청하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개별 조리버튼(120)들과;
상기 개별 조리버튼(120)들 중에서 생성되는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를 생성한 해당 개별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Cooking utensils 110 for heating the instant noodle vessel V;
Individual cooking buttons (120) which are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s (110) and generate individual cooking surface start signals requesting heating of the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s (110) during operation;
A control unit 130 for receiving individual cooking utensil start signals generated from the individual cooker buttons 120 and for heating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that generate individual cooking utterance start signals, ; And a ramn vend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라면을 조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라면조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개별 라면조리 개시신호 입력 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만큼 해당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가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ory unit (140) for storing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e for cooking the ramen,
Wherei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oking heater 110 so that the cooking heater 110 is heated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when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 start signal is inputted. vending mach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표시되는 개별 정보표시부(150);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dividual information display unit (150) which is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110) and displays a cook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ime information of the cooking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라면조리가 완료된 경우 이를 안내하는 개별 라면조리 완료 안내부재(160);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라면조리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라면조리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상기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를 조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provided for th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10 may further include individual cooking utensils 160 guiding the cooking utensils when they are cooked,
Wherein the controller (130) operates and controls the individual ram noodle cooking completion guide member (16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ram noodle cook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ram noodle cooking tim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라면요리 완료 안내부재(160)는 부저, 램프, 액정,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dividual ramen noodle finish guide member 160 is a buzzer, a lamp, a liquid crystal, a speaker,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의 상부에는 놓여진 라면용기(V)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70);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 supply unit (170) for supplying water to the noodle container (V)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individual cooking surface heater (1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70)는,
물이 수용되는 급수통(171)과;
상기 급수통(171)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72)과;
상기 개별 라면조리용 히터(110)들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통(171)에 연통되어 라면용기(V)에 물을 공급하는 개별 급수노즐(173);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ater supply unit (170)
A water supply tube (171) for receiving water;
A water supply pipe (172)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ipe (171) to supply water;
And a separate water supply nozzle 173 provided for each of the cooking utensils 110 for supplying individual water to the vessel V if it is communicated with the water feed tube 171. [ .
제7항에 잇어서,
상기 급수통(171)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통(171)에 수용된 물이 온수가 되도록 가열하는 온수유지용 히터(1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of claim 7,
And a heater (174)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1)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1) so as to be hot water.
제7항에 잇어서,
상기 급수관(172)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관(172)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용 필터부(1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ater filtration unit (175) mounted on the water supply pipe (172) for purify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2).
제1항에 있어서,
자판본체(200)와;
상기 자판본체(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을 선택하는 라면선택부(201)와;
상기 자판본체(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라면선택부에서 선택된 라면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결재부(202)와;
상기 자판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취식하고자 하는 라면들이 적재되고, 그 적재된 라면들 중 상기 라면선택부에서 선택된 라면이 라면배출구(203)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라면공급부(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eyboard body (200);
A ramp selecting unit 201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200 and selecting a ramp to be worn;
A payment unit 202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board body 200 and paying the cost of the ramen selected by the ramen selection unit;
A ramp supply unit A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keyboard body 200 and which guides ram noodles to be wished to be loaded and guides the ram noodle selected by the ram noodle selecting unit to be delivered to the outlet 203, And a ramp vending machi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공급부(A)는,
일측면이 개방된 전측 거치함(211), 상기 전측 거치함(211)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측 모터(212), 상기 전측 거치함(211)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전측 모터(212)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전측 모터(21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전측 이송스프링(213)으로 이루어진 전측 라면공급부(210)와;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210)의 후측 횡렬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후측 거치함(221), 상기 후측 거치함(221)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후측 모터(222), 상기 후측 거치함(221) 상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후측 모터(222)에 연결되는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그 스프링 사이마다 라면이 놓여짐으로써, 상기 후측 모터(22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라면이 이송되게 안내하는 후측 이송스프링(223)으로 이루어진 후측 라면공급부(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측 라면공급부(220)의 후측 이송스프링(223)에 라면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측 라면공급부의 전측 거치함의 타측면이 회동가능하게 기준축(21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amp supply section A is a device for supplying,
A front motor 212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and being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mount 211, a front motor 212 for driving the front motor 211, And a front conveying spring 213 for guiding the noodle to be convey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motor 212. The front conveying spring 213 is a spring type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motor 212, A front ramp supply part 210 made up of a front ramp;
A rear mounting shelf 221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ramp supply unit 210 and having one side opened, a rear motor 221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mounting housing 221, The rear motor 222 is connected to the rear mount 221 and the rear motor 222 is connected to the rear motor 222. The rear motor 222 is connected to the rear motor 222, And a rear side feed spring (223) for guiding the side to be f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ar side feed face (220)
Wherei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ront ramp supply part of the front ramp supply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ference axis 214 so that the rear side transfer spring 223 of the rear ramp supply part 220 can easily store the ramp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납된 라면용기(V)들을 배출하는 용기배출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container discharge unit (230) installed inside the keyboard body (200) and discharging the stored ram noodle containers (V).
KR1020140080582A 2014-06-30 2014-06-30 Ramen vending machine KR101597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82A KR101597444B1 (en) 2014-06-30 2014-06-30 Ramen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82A KR101597444B1 (en) 2014-06-30 2014-06-30 Ramen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79A true KR20160001979A (en) 2016-01-07
KR101597444B1 KR101597444B1 (en) 2016-02-24

Family

ID=5516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582A KR101597444B1 (en) 2014-06-30 2014-06-30 Ramen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4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7947A (en) * 2016-06-16 2016-11-16 无锡绿野食品有限公司 Automatic selling face, boil face all-in-one
CN108765754A (en) * 2018-05-17 2018-11-06 重庆邮电大学 24 hours full-automatic facet vending machines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440402B1 (en) * 2022-04-22 2022-09-07 안상근 A ramen vend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12Y1 (en) * 1999-05-10 2000-04-15 노순구 Round shoe table
KR20060001869A (en)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40098Y1 (en) * 2006-11-27 2008-05-23 이봉철 Noodle cooker
KR20130121456A (en) * 2012-04-27 2013-11-06 뉴퓨리텍 주식회사 Vending machine for korean cak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12Y1 (en) * 1999-05-10 2000-04-15 노순구 Round shoe table
KR20060001869A (en)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KR200440098Y1 (en) * 2006-11-27 2008-05-23 이봉철 Noodle cooker
KR20130121456A (en) * 2012-04-27 2013-11-06 뉴퓨리텍 주식회사 Vending machine for korean cak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7947A (en) * 2016-06-16 2016-11-16 无锡绿野食品有限公司 Automatic selling face, boil face all-in-one
CN108765754A (en) * 2018-05-17 2018-11-06 重庆邮电大学 24 hours full-automatic facet vending machines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440402B1 (en) * 2022-04-22 2022-09-07 안상근 A ramen ve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44B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444B1 (en) Ramen vending machine
EP1593328B1 (en) Single/multiple beverage machine
KR101245077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JP5059769B2 (en) Hot water generating device and coffee machine equipped with the device
US11039712B2 (en) Beverage machine, in particular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everage machine
US20080041236A1 (en) Device for Preparing Food for Young Children
CN102573585A (en) User-friendly start-up mode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201052455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beverage and use of the apparatus
AU2019318477B2 (en) Liquid contro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0752977B1 (en) A device for cooking instant noodle
WO2006108142A2 (en) Dual coffee maker
KR101731819B1 (en) Ramen vending machine
JP5276752B1 (en) Beverage extractor
US20170057803A1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U2005240216A1 (en) Single/multiple beverage machine
CN112155425A (en) Full-automatic beverage machine
CN205722163U (en) Automatic selling face, boil face all-in-one
CN106127947A (en) Automatic selling face, boil face all-in-one
JP2020179899A (en) Beverage quantitative feeding device
KR102387440B1 (en) Combine coffee machine and instant heated bread steamer
WO2016014584A1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modular water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unit
CN107545647A (en) A kind of unattended automatic coffee beverage dispenser
CN203647100U (en) Tea making machine
KR20060115832A (en) Automatic noodle(ramyeon)cooker combination water purifier
JP2020179898A (en) Beverage quantitative feeding device and dispensing control system of beverage quantitative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