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92A -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92A
KR20160001892A KR1020140079911A KR20140079911A KR20160001892A KR 20160001892 A KR20160001892 A KR 20160001892A KR 1020140079911 A KR1020140079911 A KR 1020140079911A KR 20140079911 A KR20140079911 A KR 20140079911A KR 20160001892 A KR20160001892 A KR 20160001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sitioning
terminal
node
location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to KR102014007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92A/en
Publication of KR2016000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determin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he location determining system comprises: determining terminal attached to a subscriber; a location determining node which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s with a location determining terminal; a location determining gateway which collects location determin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location determining server; and a location determining server which calculates and estimates location using the location determining information. The location determining method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comprise a step of: broadcasting periodically first information by the location determi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determining terminal by at least one location determining node; transmitting second information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by the at least one location determining node, to the location determi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by the location determining terminal, to the location determining server; estimating a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by the location determining server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timated at least one object, by the location determining server, to a location determining gateway composing a mesh network.

Description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 측위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측위노드,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 및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측위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ing gateway for collect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positioning server.

측위시스템은 고정된 객체 또는 이동하는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측위시스템의 일종으로 전지구측위시스템, 표준측위시스템, GPS 지원 측위 시스템 등이 있다.A positioning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recognizes the position of a fixed object or a moving object. One such positioning system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a standard positioning system, and a GPS-assisted positioning system.

예를 들어,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물의 위치, 고도,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GNSS는 글로벌 내비게이션새틀라이트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의 영어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글로벌위성항법시스템,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 전세계위성항법시스템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또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 고도,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작게는 1m 이하 해상도의 정밀한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으며, 군사적 용도뿐 아니라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교통수단의 위치 안내나 측지, 긴급구조, 통신 등 민간 분야에서도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refers to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ltitude, and speed of ground water using satellites. The GNSS i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i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at uses a satellite orbiting the Earth's orbits. It can be called a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or a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It i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ltitude, and speed of objects on the groun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an grasp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with resolutions of 1m or less, and it can be widely used in civilian fields such as location guidance, geodesy, emergency structure, communication, .

한편,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용이 늘면서 이러한 이동되는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use of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notebooks, mobile phones and the like is increasing,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s.

구체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pecifically,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In recent years, a terminal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and can watch a video or a television program. Generally, a mobile terminal is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It can be divid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 A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a combination of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recording of movies, playback of music and video files, reception of games and broadcasting, and the like.

전술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frequency of use of a mobile terminal providing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increases, a method of correct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is required, and a solution is sought.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10-0706342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0706342

본 발명은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 측위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측위노드,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 및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특정 객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ing gateway for collect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To quickly and accurately locate a particular object using a positioning system that includes a positioning system.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한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측위단말기의 이전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task periodically broadcasts firs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by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the positioning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to the positioning server by the positioning terminal, ;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1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ne,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by: a previous position of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 of a first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두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측위단말기의 이전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와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상기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2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itioning method, comprising: periodically broadcasting first information, the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transmitting at least one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terminal to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a positioning server, the positioning server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Transmitting;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1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re are two pieces of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A position of a first positioning node and a secon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세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 제 2 측위노드 및 제 3 측위노드의 위치; 상기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2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3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3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itioning method of a positioning terminal, the positioning terminal being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for periodically broadcasting first information, The positioning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The positioning server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1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 secon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 secon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And the location of the third positioning nod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which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thir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 측위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측위노드,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 및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특정 객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ing gateway for collect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a specific object by using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positioning server for calculation and estima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또는 수신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수의 메쉬망이 존재하는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측위정보 획득 및 전송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위치 추정에 이용되는 수신 신호세기의 기대값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수신세기 정보만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두 개의 수신세기 정보만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세 개의 수신세기 정보가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or a receiver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esh networks ex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concrete steps of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metho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ummarizing expected value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used for position estima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is only one received strength informa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are only two pieces of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are three pieces of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법(technique) 및 장치,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CDMA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technology)에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등과 같은 무선 기술에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802-20, E-UTRA(evolved-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에서 구현될 수 있다. UTR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N를 이용하는 E-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는 OFDMA를 채택하고, 상향링크에서는 SC-FDMA를 채택하고 있다. LTE-A(LTE-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형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3GPP LTE/LTE-A에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무선통신 시스템이 3GPP LTE/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기초로 설명되더라도, 3GPP LTE/LTE-A에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echniques, apparatuses, and systems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multiple access systems. Examples of multiple access systems includ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ystem,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C-FDMA) system, and a 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C-FDMA) system. CDMA may be implemented i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DMA may be implemented i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and the like. OFDMA can be implemented in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and evolved-UTRA (E-UTRA). UTRAN is part of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and 3GPP (Long Term Evolution) is part of E-UMTS using E-UTRAN. 3GPP LTE adopts OFDMA in the downlink and SC-FDMA in the uplink. LTE-Advanced (LTE-A) is an evolutionary form of 3GPP LT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3GPP LTE / LTE-A.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3GPP LTE / LTE-A systems, it is contemplated that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xcept those specific to 3GPP LTE / LTE- System.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지국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기기들을 통칭한다.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be fixed or mobile, and collectively refers to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The terminal may be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 PDA modem, a handheld device, and the like.

또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 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국(fixed station)을 의미하며, 단말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기지국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다른 용어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se station generally refers to a fixed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or another base station, and exchanges variou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other base stations. The base station may be named with other terms such a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특정 신호가 프레임/서브프레임/슬롯/반송파/부반송파에 할당된다는 것은 특정 신호가 해당 프레임/서브프레임/슬롯의 기간 또는 타이밍에 해당 반송파/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signal is allocated to a frame / subframe / slot / carrier / subcarrier, it means that a specific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arrier / subcarrier in the period or timing of the corresponding frame / subframe / slot.

본 발명에서 랭크 혹은 전송 랭크는 하나의 OFDM 심볼 또는 하나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상에 다중화되거나 할당된 레이어의 개수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k or transmission rank means the number of layers multiplexed or allocated on one OFDM symbol or one resource element.

본 발명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CFI(Control Format Indicator)/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ACK/NACK(ACKnowlegement/Negative ACK)/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HI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Control Format Indicator) / ACK / NACK (ACKnowledge / Negative ACK) for uplink transmission / downlink data.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각각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나르는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refers to a set of resource elements for carry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 uplink data / random access signals .

특히,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에 할당되거나 이에 속한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각각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 RE 또는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 자원이라 명명한다.In particular, the PDCCH / PCFICH / PHICH / PHICH / PDSCH / PUCCH / PUSCH / PRACH resource elements (REs) assigned to or belong to the PDCCH / PCFICH / PHICH / PDSCH / PUCCH / / PDSCH / PUCCH / PUSCH / PRACH resource.

따라서, 단말이 PUCCH/PUSCH/PRA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PUSCH/PUCCH/PRACH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접속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PDCCH/PCFICH/PHICH/PDS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PDCCH/PCFICH/PHICH/PDSCH 상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하향링크 데이터 등을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xpression that the UE transmits the PUCCH / PUSCH / PRACH can be used to mean that the uplink control information / uplink data / random access signal is transmitted on the PUSCH / PUCCH / PRACH. Also, the expression that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DCCH / PCFICH / PHICH / PDSCH can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to transmit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ownlink data on the PDCCH / PCFICH / PHICH / PDSCH.

한편, ACK/NACK 정보를 특정 성상 포인트에 맵핑한다는 것은 ACK/NACK 정보를 특정 복소 변조심볼로 맵핑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ACK/NACK 정보를 특정 복소 변조심볼로 맵핑한다는 것은 ACK/NACK 정보를 특정 복소 변조심볼로 변조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mapping ACK / NACK information to a specific constellation point has the same meaning as mapping ACK / NACK information to a specific complex modulation symbol. Also, mapping ACK / NACK information to a specific complex modulation symbol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modulating ACK / NACK information to a specific complex modulation symbol.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장치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로 동작한다. 반대로,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장치로 동작한다.The terminal operates as a transmitter in an uplink and as a receiver in a downlink. Conversely, the base station operates as a receiving apparatus in the uplink and operates as a transmitting apparatus in the downlink.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은 정보, 데이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500a, 500b)와, 안테나를 제어하여 정보, 데이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송신기(100a, 100b), 안테나를 제어하여 정보, 데이터, 신호 또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는 수신기(300a, 300b), 무선통신 시스템 내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200a, 200b)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과 기지국은 송신기 및 수신기, 메모리 등의 구성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400a, 400b)를 각각 포함한다. 1,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clude antennas 500a and 500b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data, signals or messages, transmitters 100a and 100b transmitting information, data, signals, 100b, a receiver 300a, 300b for controlling the antenna to receive information, data, a signal or a message, and a memory 200a, 200b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clude processors 400a and 400b, respectively, operatively connected to components such a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 memory, and the like, and configured to control each component.

단말 내 송신기(100a), 수신기(300a), 메모리(200a), 프로세서(400a)는 각각 별개의 칩(chip)에 의해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하나의 칩(chip)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 내 송신기(100b), 수신기(300b), 메모리(200b), 프로세서(400b)는 각각 별개의 칩(chip)에 의해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하나의 칩(chip)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가 통합되어 단말 또는 기지국 내에서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minal transmitter 100a, the receiver 300a, the memory 200a and the processor 400a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by separate chips, ≪ / RTI > The transmitter 100b, the receiver 300b, the memory 200b and the processor 400b in the base station may be implemented as independent components by separate chips, ). ≪ / RTI >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may be integrated into one transceiver in a terminal or a base station.

안테나(500a, 500b)는 송신기(100a, 100b)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300a, 300b)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500a, 500b)는 안테나 포트로 불리기도 한다. 안테나 포트는 하나의 물리 안테나에 해당하거나 복수개의 물리 안테나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능을 지원하는 송수신기의 경우에는 2 개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antennas 500a and 500b transmit signals generated by the transmitters 100a and 100b to the outside or receive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signals to the receivers 300a and 300b. The antennas 500a and 500b are also referred to as antenna ports. The antenna port may correspond to one physical antenna or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hysical antennas. In case of a transceiver supporting multi-input multi-output (MIMO)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it can be connected to two or more antennas.

프로세서(400a, 400b)는 통상적으로 단말 또는 기지국 내의 각종 구성요소 또는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400a, 400b)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유휴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절약모드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a, 400b)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00a, 400b)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Processors 400a and 400b typical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r modules within a terminal or base station. Particularly,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are provided with various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a MAC (Medium Access Control) variabl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and a propagation environment, a power saving mode function for controlling an idle mode operation, A handover function, an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function, and the like.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or a microcomputer. Meanwhile,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400a, 400b)에 구비될 수 있다. Whe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using hardw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or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400a, 400b)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200a, 200b)에 저장되어 프로세서(400a, 400b)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lso,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firmware or softwar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dule, a procedure, or a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s or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mware or software may be contained within the processors 400a, 400b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ies 200a, 200b and driven by the processors 400a, 400b.

송신기(100a, 100b)는 프로세서(400a, 400b) 또는 프로세서와 연결된 스케줄러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500a, 500b)에 전달한다. 단말 및 기지국의 송신기(100a, 100b) 및 수신기(300a, 300b)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ers 100a and 100b perform predetermined coding and modulation on signals or data schedul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schedulers connected to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or the processor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ntennas 500a and 500b ). The transmitters 100a and 100b and the receivers 300a and 300b of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process of processing a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signal.

메모리(200a, 200b)는 프로세서(400a, 400b)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0a, 200b)가 버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또는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ies 200a and 200b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s 400a and 400b,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information. Also, the memories 200a and 200b can be utilized as buffers. The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or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 optical disc or the like.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또는 수신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or a receiver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 또는 수신기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 또는 수신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or receiv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a terminal or receiver having components with fewer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또는 수신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 또는 수신기와 단말 또는 수신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or receiv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or receiver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or receiver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 또는 수신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nclosed in a terminal or a receiver.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 또는 수신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or a receiver,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2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2,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단말 또는 수신기의 개폐 상태, 단말 또는 수신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 또는 수신기의 방위, 단말 또는 수신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 또는 수신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 또는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수신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the contact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terminal or receiver,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ing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 haptic module 154, 155,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 또는 수신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수신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 또는 수신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For example, when a terminal or a receiver is in a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단말 또는 수신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수신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For example, a terminal or a receiver may have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rang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 또는 수신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within an interior region of a terminal or receiver wrapped by the touch screen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fluorescent light sensor, a mirror reflection fluorescent light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 또는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at the terminal or receive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단말 또는 수신기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 또는 수신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a terminal or a receiver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a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At least two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 또는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using a terminal or a receiver and may be the same or at least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Some can display other images on an external screen or wall.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55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 light source And a lens (not shown)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Further,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to adjus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55 can be divided into a CRT (Cathode Ray Tube) modu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play means. In particular, the DLP module may b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projector module 151 by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on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 또는 수신기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단말 또는 수신기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referably,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longitudinally on the side, front or back of the terminal or receiver. Needless to say, the projector module 155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if necessary.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temporari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e.g., telephone directory, message, audio, For example. The memory unit 16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for example,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for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또는 수신기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A terminal or receiver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storage functions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 또는 수신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또는 수신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또는 수신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terminal and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receiver.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received data to each element in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or the receiver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단말 또는 수신기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a usage right of a terminal or a receiver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a channel through which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 또는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A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or receiver.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한편, 전술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as the frequency of use of a mobile terminal providing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increases, a method of accurate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is required, and a solution is sough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a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 측위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측위노드,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 및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측위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ing gateway for collect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positioning serv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rst, FIG. 3 show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단말 측위시스템을 위해서는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SU), SU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측위노드(LU), 측위 정보를 수집하여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MU),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가 필요하다. As shown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ing terminal (SU)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LU)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U, A positioning gateway (MU) for transmitting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erver for calculating and estimating the positioning using the positioning information.

또한, LU들은 SU들의 예상 동선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LU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locations according to the expected circulation of the SUs.

또한, SU들에 의해 수집된 각 SU의 측위정보는 LU, MU를 통하여 측위서버에 보고되고, 측위서버에서 전송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는 MU를 통하여 LU들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of each SU collected by the SUs is reported to the positioning server through the LU and the MU, and the system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ing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LUs through the MU.

도 3은 전술한 이동단말 측위시스템에서 MU와 LU의 배치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MUs and LUs in the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described above.

도 3에서 SU는 MU및 LU로 구성된 메쉬망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In FIG. 3, the SU moves on a mesh network composed of MU and LU.

메쉬망을 구성하는 측위게이트웨이(MU), 측위노드(LU), 측위단말기(SU), 측위 서버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positioning gateway (MU), a positioning node (LU), a positioning terminal (SU), and a positioning server constituting a mesh netwo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수의 메쉬망이 존재하는 이동 단말 측위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position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mesh networks ex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측위게이트웨이(MU)를 먼저 설명한다.The positioning gateway (MU)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MU는 다수 개의LU와 함께 메쉬망을 형성하고, 메쉬망의 coordinator 역할을 수행한다. The MU forms a mesh network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LUs, and acts as a coordinator of the mesh network.

또한, MU는 LU 및 SU들과 ZigBee 프로토콜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며, 측위서버 등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gateway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U exchanges information with LUs and SUs through the ZigBee protocol, and acts as a gateway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network such as a positioning server.

여기서 각 SU의 위치정보는 메쉬망을 통해 MU로 전송되며 MU는 해당 정보를 3G/LTE또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측위서버로 보고한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 is transmitted to the MU through the mesh network, and the MU reports the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using 3G / LTE or Ethernet.

또한, 측위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넓을 경우 다수의 메쉬망 형성이 필요할 수 있고, 이 경우 다수 개의 MU가 존재하고 LU들은 미리 정해진 특정 MU와 함께 메쉬망을 형성한다. Also, if the service area of the positioning system is wide, a plurality of mesh networks may be requir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MUs exist and LUs form a mesh network together with predetermined MUs.

만약, 특정 MU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경우, 해당 MU와 연결되어 있던 LU 또는 망 형성을 시도하는 LU들은 주변의 다른 MU와 연결되어 메쉬망을 형성할 수 있다. If a particular MU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LUs connected to the MU or the LUs attempting to form a network may be connected to other nearby MUs to form a mesh network.

다음으로, 측위노드(LU)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positioning node (LU) will be described.

LU는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며 그 위치는 측위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The LU exists in a fixed location and its location must be registered in the location server in advance.

전술한 것과 같이, 각 LU는 특정 MU와 연결되어 메쉬망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LU is connected to a specific MU to form a mesh network.

또한, 측위단말기(SU)에 대해 설명한다.The positioning terminal SU will be described.

SU는 위치 추적을 위한 단말로서 일반적으로 가입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The SU can be generally attached to the subscriber as a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여기서, 각 SU는 주기적으로 1-hop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변 LU들로부터 측위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메쉬망을 통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한다.Here, each SU periodically transmits a 1-hop broadcast message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from neighboring LU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server through the mesh network.

한편, 측위 서버는 SU로부터 보고된 측위정보 및 LU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삼각 측량법을 활용하여 SU의 위치를 추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SU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he LU position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SU.

또한, 각 SU의 기존 추정 위치 정보도 활용하여 새로운 위치에 대한 추정 오차를 최소화 한다.In addition, we use the existing estimated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U to minimize the estimation error for the new position.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초로 측위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를 통신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cquir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측위정보 획득 및 전송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concrete steps of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metho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각 SU는 주기적으로 1-hop 방송메시지인 단말고유정보메시지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5, each SU periodically transmits a UE-specific information message, which is a 1-hop broadcast message.

또한, 전송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인접 LU들은 측위정보메시지를 송신 SU로 전송한다. In addition, neighboring LUs receiving the transmitted message transmit the positioning information message to the transmitting SU.

여기서, 측위정보메시지는 송신 LU의 고유번호와 SU로부터 전송된 단말고유정보메시지 수신시 측정한 신호 세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Herei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message includes the unique number of the transmitting LU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measured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unique info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U.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측위정보메시지를 수신한 SU는 이 정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측위정보 메시지를 만들고 LU등을 거쳐 MU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U receiving the one or more positioning information messages combines the information to create a single UE positioning inform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MU via the LU and the like.

이후, MU는 여러 SU로부터 오는 단말측위정보메시지를 수집하고, 이 정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측위정보메시지를 만들고 이를 측위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n, the MU collect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s from the SUs, integrates these information, creates one integrated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location server.

구체적인 위치 추정 방법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A concrete position estim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위치 추정에 이용되는 수신 신호세기의 기대값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6 is a table summarizing expected value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used for position estimation.

도 6과 같이, LU의 송신 전력, 설치 높이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른 수신 신호세기의 기대값을 표로 만든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표를 만들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expected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is tabul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LU and the installation height. For example, you can create the following table.

이는 open field에서 실측값을 활용할 수 도 있다. It can also use measured values in the open field.

여기서, P는 LU의 송신 전력이며 수신세기 및 송신 전력의 단위는 dBm이다. Table에 존재하지 않는 값은 table의 값을 interpolation하여 사용한다.Where P is the transmit power of the LU and the unit of receive power and transmit power is dBm. Values that do not exist in the table are interpolated using the values in the table.

이때,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측위정보메시지에는 SU인접 LU들의 고유번호와 각 LU로부터의 수신신호세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cludes the unique number of the SU neighbor LUs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rom each LU.

이를 바탕으로 측위 서버는 SU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Based on this, the positioning server can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SU.

측위 서버가 SU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1)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 하나의 수신세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2)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 두개의 수신세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3)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 세개 이상의 수신세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각 경우를 나누어 SU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2)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has two pieces of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3)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has the same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a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A case where an information message has three or more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a case where a position of the SU is estimated by dividing each case.

Case1Case1 : :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하나의  Single 수신세기Reception strength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If you have information

도 7은 하나의 수신세기 정보만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is only one received strength informa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수신신호세기 기대표를 바탕으로 해당 LU로부터의 거리(R)를 유추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istance R from the corresponding LU is inferr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presentative shown in FIG.

계산된 거리를 바탕으로 SU의 위치는 LU를 중심으로 반경 R인 원 위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해당 SU의 최근 추정 위치와 해당 LU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과 계산된 원과의 교차점을 새로운 추정 위치로 정한다.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SU exists on a circle having a radius R around the LU.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latest estimated position of the SU and the line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LU and the calculated circle is referred to as a new estimated position I decide.

Case2Case2 : :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두개의If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contains two 수신세기Reception strength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If you have information

도 8은 두 개의 수신세기 정보만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are only two pieces of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수신신호세기 기대표를 바탕으로 각 LU로 부터의 거리(R1, R2)를 유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distance (R 1 , R 2 ) from each LU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epresentative shown in FIG.

계산된 거리를 바탕으로 SU의 위치는 각 LU를 중심으로 반경 R1인 원과 R2인 원이 교차하는 지점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교차점이 두 개인 경우 최근 추정 위치에 가까운 교차점을 새로운 추정 위치로 정한다. Location of SU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s assumed to exist at the point where the radius R 1-one and R 2 circle intersect the center of each LU, and the intersection is the case with two new estimates near the intersection recently estimated Location Location .

Case3Case3 : : 단말측위정보메시지가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세개three 이상의  ideal 수신세기Reception strength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If you have information

케이스 3에서는 수신신호세기가 큰 순서대로 세 개의 LU에 대한 정보를 사용한다. In Case 3, information on three LUs is used in descending order of received signal strength.

도 6에 도시된 수신신호세기 기대표를 바탕으로 각 LU로 부터의 거리(R1, R2, R3)를 유추할 수 있다. The distance (R 1 , R 2 , R 3 ) from each LU can be deduc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shown in FIG.

이때, R1 ≥ R2 ≥ R3가 되도록 한다. 세 LU로 부터의 거리의 비가 R1:R2:R3에 가장 근사하는 지점을 새로운 추정 위치로 정한다. 구체적인 추정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다.At this time, let R 1 ? R 2 ? R 3 . The new estimated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ree LUs to R 1 : R 2 : R 3 . The concrete estimation method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도 9는 세 개의 수신세기 정보가 있는 경우에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when there are three pieces of reception intensity information.

도 9를 참조하면, 세 LU를 포함하는 지역을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 9, an area including three LUs is set.

이때,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서남북 각 방향으로 D 만큼의 거리 margin을 둔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a distance margin of D is set in the directions of north, south, east and west.

또한, 해당 지역을 L 단위의 grid로 나눈 다음 각 grid에 대해 d1, d2, d3를 계산한다.Also, divide the area by a grid of L units, and then calculate d 1 , d 2 , and d 3 for each grid.

이후, RSSI로부터 추정된 거리 비율이 R1/R2 = R12, R1/R3 = R13, R2/R3 = R23이라 하면, 각 grid에 대해 cost= K1(d1/d-R12) + K2(d1/d3-R13) + K3(d2/d3-R23)가 최소가 되는 grid를 SU의 위치로 선택한다. Then, for each grid, cost = K1 (d1 / d-R12) + K2 (d1 / d3-d12) is calculated assuming that the estimated distance ratio from RSSI is R1 / R2 = R12, R1 / R13) + K3 (d2 / d3-R23) is selected as the position of SU.

상기에서 K1 ≥ K2 ≥ K3는 각 거리 ratio 오차에 대한 가중 상수이다.
In the K 1 ≥ K 2 ≥ K 3 is a weighting coefficient for each distance ratio error.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ccurate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a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various functions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입자에 부착된 측위단말기, 측위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측위노드, 측위정보를 수집하여 측위서버로 전송하는 측위게이트웨이 및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를 계산 추정하는 측위 서버를 포함하는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특정 객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ing terminal that is attached to a subscriber, a positioning node that collects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ing gateway that collects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server can be u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locate a specific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전술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understandable.

Claims (3)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한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측위단말기의 이전 위치;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periodically broadcasts first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1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positio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ing terminal,
Wherein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when there is on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nformation,
A position of a first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which is determined by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두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측위단말기의 이전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와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상기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2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periodically broadcasts first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1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positio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ing terminal,
Wherein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nformation is two,
A previous position of the positioning terminal; A position of a first positioning node and a secon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측위단말기가주기적으로 제 1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측위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가 상기 수신한 제 1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제 2 정보를 상기 측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측위단말기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위 서버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측위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수신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보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가 세 개인 경우, 상기 측위 서버가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위노드 중 상기 제 2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측위노드, 제 2 측위노드 및 제 3 측위노드의 위치; 상기 제 1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1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제 2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2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제 3 측위노드의 위치 및 상기 신호 세기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 3 측위노드와측위단말기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A positioning terminal attached to at least one object periodically broadcasts first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1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terminal, the positio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server; And a positioning server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ing terminal,
Wherein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server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nformation is three,
A position of a first positioning node, a second positioning node and a third positioning n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nod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sitioning node and the positioning termin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third positioning node and the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object.
KR1020140079911A 2014-06-27 2014-06-27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KR201600018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1A KR20160001892A (en) 2014-06-27 2014-06-27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1A KR20160001892A (en) 2014-06-27 2014-06-27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92A true KR20160001892A (en) 2016-01-07

Family

ID=5516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11A KR20160001892A (en) 2014-06-27 2014-06-27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0935A (en) * 2016-12-31 2017-04-26 武汉领普科技有限公司 Bluetooth mesh-based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42B1 (en) 2006-06-13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positioning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42B1 (en) 2006-06-13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positioning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0935A (en) * 2016-12-31 2017-04-26 武汉领普科技有限公司 Bluetooth mesh-based control system
CN106600935B (en) * 2016-12-31 2020-07-07 武汉领普科技有限公司 Control system based on bluetooth me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0643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EP3751890A1 (en)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945897B (en) Beam failure detec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4358454A1 (en) Information indicating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US20240063979A1 (en) Beam indication method, beam ind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4008014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eam failure detection (bfd) resourc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315795B2 (en) Beam failure request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4304240A1 (en) Beam failure detection method, beam failure de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4223299A (en)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805957A (en) Resource set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763847A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terminal
CN105338245A (en) Photo-taking sharing method, photo-taking sharing terminal and photo-taking sharing system
KR201301291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833827B1 (en) Method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by a user quipment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user quipment by a network node
US202401474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beam
EP4319257A1 (en) Beam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network side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439472A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992505B (en) Webpa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KR20160001892A (e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KR20160001891A (e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reof
KR2014002356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ystem time differences of 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gn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RU2781815C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system and information carrier
KR20130085758A (en) The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WO2023010358A1 (en) Uplink coordinated trp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40515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