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74A -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 Google Patents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74A
KR20160001874A KR1020140079799A KR20140079799A KR20160001874A KR 20160001874 A KR20160001874 A KR 20160001874A KR 1020140079799 A KR1020140079799 A KR 1020140079799A KR 20140079799 A KR20140079799 A KR 20140079799A KR 20160001874 A KR20160001874 A KR 2016000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r seat
button
mov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경숙
안정우
선섭희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4007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74A/en
Publication of KR2016000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er rack of a car seat for a baby, which can prevent the car seat for a baby from leaning in the front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a base part (10) to prevent the car seat for a baby from leaning forwards when the car seat for a baby comprising the base part (10) seated on the car seat and a seat part (2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10) to allow a baby to be seated thereon is installed on the car se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upporter rack of the car seat for a baby, comprising: a support bar (1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 to be able to rotate and forming a plurality of hooking holes (110) on one side surface; a moving bar (200) installed in the support bar (100) to be able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00); and a movement restriction unit (300) arranged in the moving bar (200) and restricting a sliding motion of the moving bar (200) to make a hooking protrusion (320) selectively hook in a hooking hole (110) such that the moving bar (200)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moved by sliding on the support bar (100).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er rack with one hand for supporting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front of the car seat for a baby when the car seat for a baby is installed on the car seat,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and enabling the us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er rack step by step,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car seat for a baby.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er rack for a car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유아용 카시트가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유아용 카시트의 하중을 잡아주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er rack for a child car seat that holds a load of a child car seat to prevent a child car seat from being pushed forward when the child car seat is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 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Generally, when a vehicle such as a passenger car is carried, the safety belt is operated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 However, since most of the safety belts are installed on the basis of adults, it is not possible to wear seat belts in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adults. Therefore, a separate protective sheet for infants, And the vehicle is operated while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mounted on the seat.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아가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부(20)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comprises a base portion 10 that is seated on a seat of a vehicle, and a seat portion 20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 and allows the infant to sit thereon .

베이스부(10)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부(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던가 혹은 시트부(20)의 설치방향을 전방과 후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se portion 10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seat portion 20 on which the infant seats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20 or adjust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ike.

시트부(20)는 유아가 안전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차량의 안전밸트가 시트부(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유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시트부(20) 자체에 별도의 안전밸트를 구비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The seat portion 20 serves to enable the infant to safely ride on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safety belt of the vehicle may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eat portion 20 so as to surround the infant, 2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afety belt so as to enclose the infan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에 있어서는, 베이스부(10)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하고 유아를 시트부(20)에 착석시킨 후에 차량을 운행하다가 급정거를 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시트부(20)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하중이 집중되므로 시트부(20)에 착석한 유아에게 신체적인 무리가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when the base unit 10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unit 20,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hysical discomfort may be applied to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 because the load is concent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유아용 카시트의 전방으로 쏠리는 하중을 잡아주기 위한 서포터랙의 길이를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서포터랙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아용 카시트를 지지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ild car seat which can be operated by one hand with a length of a supporter rack for holding a load for forwarding a child car seat when the child car seat is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er rack for a child car seat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child car seat 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er rack in stages.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유아가 착석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시트부(20)로 구성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전방으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공(110)이 형성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에 상기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200)와; 상기 이동바(200)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이동바(200)가 상기 지지바(1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공(11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320)를 구비한 이동구속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ild car seat comprising a base part (10) seated on a seat of a vehicle, and a seat part (20)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A supporter rack of a child car seat provided at one side of a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so as to prevent a forward deviation when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a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A supporting bar (100)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moving bar 200 slid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bar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The movable bar 200 may be provided with a hooking hole 110 to allow the moving bar 200 to be slidably moved on the supporting bar 100 by restric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200, A movable restraint part (30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320) selectively engag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pporter rack for a child car seat.

여기서, 상기 이동구속부(300)는 상기 이동바(20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부(310)와, 상기 이동바(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돌기(320)가 상기 이동바(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ement restraining part 300 includes a button part 3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bar 200 and a button part 310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r 200 and mov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part 310 And a driving unit 330 for selectively protruding the locking protrusion 320 from the moving bar 200.

그리고, 상기 버튼부(310)는 상기 이동바(200)의 일측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버튼지지부재(311)와, 상기 버튼지지부재(3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걸림돌기(320)와 접촉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 unit 310 includes a button support member 311 fix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bar 200 and a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slidably coupled to the button support member 311, 320 and a button member 312 for contacting and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버튼지지부재(311)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재(312)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 수용홈(311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0)는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311a)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A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is formed in the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and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member 312. The locking projection 320 is formed in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Not shown).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311a)의 저부면과 상기 걸림돌기(320)의 하면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320)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 Further, a separate elastic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20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320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버튼부재(312)의 내면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1)과, 상기 경사면(331)과 접촉되도록 상기 걸림돌기(320)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동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3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3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312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331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320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31, Lt; RTI ID = 0.0 > 332 < / RTI >

또한, 상기 지지바(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이동바(200)의 단부에는 지지바(100)의 단부가 차량의 바닥면과 지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지확인부(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support confirmation unit 340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movement bar 20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100 to confirm whether the end of the support bar 100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

아울러, 상기 지지확인부(340)는 상기 이동바(200)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에 수용공간(341a)이 함몰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면(341b)이 형성된 수용부재(341)와, 상기 수용공간(341a)에 상기 이동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면에 돌부(342a)가 돌출 형성된 이동부재(342)와, 상기 돌부(342a)와 접촉되는 경사면(343a)을 구비하여 일부가 상기 개구면(341b)가 돌출되게 상기 개구면(34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디케이터(3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confirmation unit 340 includes a receiving member 341 coupled to an end of the moving bar 20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341a formed at its lower surface and having an opening 341b at one side thereof, A moving member 342 movably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4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ar 200 and having a protrusion 342a protrud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inclined surface 343a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42a And an indicator 343 partly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341b so as to protrude from the opening surface 341b.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41b)의 상면과 상기 이동부재(342)의 저부면 사이는 탄성스프링(344)이 설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343)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부(342a)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인디케이터(343)를 복귀시키는 복귀돌기(343b)가 구비될 수 있다. An elastic spring 34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4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342.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34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42a, A return protrusion 343b for returning the indicator 343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바(100)의 단부에는 결합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120)에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축(121)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10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n engaging member 12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r 100 and a coupling shaft 121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member 12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gaging member 120, 1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아울러, 상기 지지바(100)의 배면 일측에는 걸림턱(13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는 상기 걸림턱(130)이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00)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 접촉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1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30 at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and a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locking protrusion 130 at the bottom of the base unit 10, Fol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유아용 카시트의 전방으로 쏠리는 하중을 잡아주기 위한 서포터랙의 길이를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서포터랙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아용 카시트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operate the length of a supporter rack for holding a load to be tilted forward of a child car seat when the child car seat is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for the user and improving the height of the supporter rack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hild car seat.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정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hild car seat provided with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ront surface of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ar surface of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4,
7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upporter rack of a child ca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정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랙의 이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hild car seat provided with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r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oving bar slidably move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er r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4,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 diagram.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은,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유아가 착석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시트부(20)로 구성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전방으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공(110)이 형성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에 상기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200)와; 상기 이동바(200)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이동바(200)가 상기 지지바(1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공(11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320)를 구비한 이동구속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upporter rack of a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ortion 10 that is seated on a seat of a vehicle, and a seat portion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so as to prevent the child seat from being deviated forward when the child car seat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wherein the base (10) A support bar 100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1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moving bar 200 slid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bar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The movable bar 200 may be provided with a hooking hole 110 to allow the moving bar 200 to be slidably moved on the supporting bar 100 by restric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200, A movable restraint part (30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320) selectively engaged; .

지지바(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그 전면의 중앙 영역에는 지지바(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후술할 이동구속부(300)의 걸림돌기(32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공(1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 bar 10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mber having a hook hole 110 in which a hooking protrusion 320 of a movable restraint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caugh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00, As shown in Fig.

걸림공(110)은 지지바(1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바(200)의 이동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oking hole 110 slides in the support bar 100 a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00 so as to adjus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bar 200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1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heaters in a row.

지지바(100)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바(100)를 베이스부(1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21)이 구비된 결합부재(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100, a coupling member 120 having a rotation shaft 121 is protrude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

지지바(100)는 유아용 카시트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베이스부(1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회전시켜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When the child car seat is not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he support bar 100 is fol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So as to be arranged in a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0.

그리고, 지지바(100)가 유아용 카시트의 베이스부(10)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100)의 배면에는 걸림턱(130)이 구비되고, 베이스부(10)의 하면에는 걸림턱(130)이 걸리는 별도의 걸림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A hook 13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so that the support bar 100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of the child car seat. A separate latching member (not shown) for latching the latching jaw 130 is provided.

지지바(100)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200)가 지지바(100)에서 완전히 이탈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동바(200)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지지바(100)의 일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별도의 가이드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bar 200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bar 100 from being completely disengaged from the support bar 100 an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ar 100 And a separate guide hole (not shown)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이동바(200)는 지지바(100)의 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지지바(100)의 외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한 후에 유아용 카시트가 전방으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그 단부가 차량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movable bar 200 is a memb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0 so as to surround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bar 100. The infant car seat is moun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hereby supporting the child car seat.

이를 위하여, 이동바(200)는 지지바(100)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만큼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아용 카시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bar 200 is slidably disposed on the support bar 100, and it is effective to support the child car seat by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slid as much as the user desires .

이러한, 이동바(200)의 배면에는 이동바(200)가 슬라이딩 운동하여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시에 지지바(100)에서 완전히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100)의 가이드공(미도시)에 삽입되는 별도의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ing bar 100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ovable bar 200 to prevent the movable bar 200 from being completely disengaged from the supporting bar 100 when the movable bar 200 slides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 A separate guide rail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guide hole (not shown).

이동구속부(300)는 지지바(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인입출되는 이동바(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이동을 구속하는 부재로서, 이동바(200)의 이동을 견고하게 구속함으로써 유아용 카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able restraining part 300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ar 200 in order to fix the movable bar 200 to the user's desired position by sliding movement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bar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hild car seat.

이러한, 이동구속부(300)는 이동바(20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부(310)와, 이동바(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버튼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림돌기(320)가 이동바(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따. The movement restraining part 300 includes a button part 3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bar 200 and a button part 31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200, And a driving unit 330 for causing the moving bar 3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200.

버튼부(310)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동바(20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데, 버튼부(310)는 이동바(200)의 일측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버튼지지부재(311)와, 버튼지지부재(3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걸림돌기(320)와 접촉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31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utton unit 31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enter area of the movement bar 20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The button unit 310 includes a button And a button member 312 slidably movably coupled to the button support member 311 and having one side thereof contacted with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320.

버튼지지부재(311)는 이동바(2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버튼부재(312)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 수용홈(311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The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ar 200 and a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formed therei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member 312 is formed.

걸림돌기 수용홈(311a)은 양측면이 절개 형성되어 걸림돌기(3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동돌기(332)가 절개 형성된 양측면을 통하여 걸림돌기 수용홈(311a)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경사면(331)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311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311a by cutting the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311a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s 3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jection 320 are protrud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311a,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버튼부재(312)는 버튼지지부재(311)에 형성된 걸림돌기 수용홈(311a)을 감싸는 형태로 버튼지지부재(311)의 외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후술할 경사면(331)이 구비되어 있다. The button member 312 is a member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in such a manner as to enclose a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formed in the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and has an inclined surface 331 .

걸림돌기(320)는 걸림돌기 수용홈(311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걸림공(110)에 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지지바(100)에 대하여 이동바(20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The locking protrusion 320 is received in the locking protrusion receiving groove 311a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110 so that the moving bar 200 can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ar 100 And at the same time, it maintains the state of sliding movement.

그리고, 걸림돌기(320)는 버튼부재(312)의 이동에 따라 연동가능하도록 걸림돌기(320)의 양측면에는 버튼부재(312)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경사면(331)과 접촉되는 연동돌기(3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locking protrusions 3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32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member 312. The locking protrusions 332 contact the sloping surfaces 33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member 312, Are protruded.

이러한 연동돌기(332)는 버튼부재(312)를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경우에 일측으로 쏠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여 밸런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경사면(331)과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When the button member 312 is slid downward, the cooperating protrusions 332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button member 312 in the same length so as to maintain balance and balance, It is effective to be provided.

그리고, 버튼부재(312)의 복귀와 더불어 걸림돌기(320)의 복귀를 위하여 걸림돌기 수용홈(311a)의 저부면과 걸림돌기(320)의 하면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스프링(333)이 설치되어 걸림돌기(320)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A separate elastic spring 333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320 for returning the locking projection 320 together with the return of the button member 312 The locking protrusion 32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구동부(330)는 버튼부재(312)의 움직임에 따라 걸림돌기(320)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312)의 내면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1)과, 상기 경사면(331)과 접촉되도록 상기 걸림돌기(320)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동돌기(332)를 포함하며, 버튼부재(312)와 걸림돌기(320)의 복귀를 위하여 구비되는 탄성스프링(333)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riving unit 330 serves to enable the locking protrusion 320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member 312.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330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312 And an interlocking protrusion 33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3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31. The locking protrusion 332 is provided for returning the button member 31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2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n elastic spring 333.

경사면(331)은 버튼부재(312)의 양측 내면에 구비되며, 버튼부재(312)의 이동방향과 걸림돌기(320)의 이동방향이 수직하는 상태로 배치된 경우에는 걸림돌기(320)의 인입출 거리와 버튼부재(312)의 누름동작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고려했을 때 그 경사각이 4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clined surface 331 is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button member 312.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member 312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32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to be 45 degrees in consideration of the outgoing distance and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member 312. [

경사면(331)의 경사각이 45°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경사면(331)과 연동돌기(332) 사이의 마찰력을 작지만 걸림돌기(320)의 인입출 거리가 짧아져서 걸림공(110)에서 걸림돌기(320)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face 331 is larger than 45 degre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face 331 and the interlocking projection 332 is small.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20 and 320 may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each other.

반대로, 경사면(331)의 경사각이 45°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돌기(320)의 인입출 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경사면(331)과 연동돌기(332)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버튼부재(312)의 누름 조작이 용이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331 is less than 45 degrees, the engaging protrusion 320 is pulled out longer. However,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331 and the interlocking projection 332 increase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ember 312 may not be easy.

한편, 지지바(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동바(200)의 단부에는 지지바(100)의 단부가 차량의 바닥면과 지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지확인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confirmation part 340 at an end of the bar 20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100 to confirm the end of the support bar 100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vehicle have.

지지학인부(340)는 서포터랙이 유아용 카시트의 전방 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용 카시트와 차량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시에 유아용 카시트가 안정적으로 차량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pedestrian section 340 is provided to allow the supporter rack to check whether or not the infant car seat is stab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infant car seat is installed between the infant car sea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o as to prevent the infant car seat from being forward- It plays a role.

이러한, 지지확인부(340)는 이동바(200)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에 수용공간(341a)이 함몰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면(341b)이 형성된 수용부재(341)와, 수용공간(341a)에 이동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면에 돌부(342a)가 돌출 형성된 이동부재(342)와, 돌부(342a)와 접촉되는 경사면(343a)을 구비하여 일부가 개구면(341b)가 돌출되게 개구면(34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디케이터(3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support confirming portion 340 includes a receiving member 341 coupled to an end of the moving bar 200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341a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341b at one side thereof, A movable member 342 which is movably recei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bar 200 and has a protrusion 342a protrud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inclined surface 343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42a, And an indicator 343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341b so that the opening surface 341b is protruded.

수용부재(341)의 상면은 이동바(200)의 하단에 체결되며, 수용부재(341)의 하면은 개구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341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42)는 수용공간(341a)에 일정 간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341)의 일부가 수용부재(3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341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ar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341 is formed with an opening to form a receiving space 341a therein. The moving member 342 is mov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341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part of the indicator 341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member 341 as the moving member 342 moves.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342)의 일측면에는 인디케이터(343)에 형성된 경사면(343a)과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부(342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인디케이터(343)의 일측에는 경사면(343a)이 형성되어 있다. The movable member 342 has a protrusion 342a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34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43a formed in the indicator 343, 343a are formed.

인디케이터(343)는 하부 일측이 수용부재(341)의 개구면(34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재(342)의 이동에 의하여 인디케이터(343)가 회전하여 인디케이터(343)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The lower part of the indicator 34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341b of the receiving member 341 and the indicator 343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342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dicator 343 And protrudes outward.

그리고, 외부로 돌출되는 인디케이터(343)의 상면 일부에는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붉은 색상의 페인트가 도포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dicator 343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coated with a red color paint so as to increase discrimination power.

수용공간(341b)의 상면과 상기 이동부재(342)의 저부면 사이는 탄성스프링(344)이 설치되고, 인디케이터(343)의 하단부에는 돌부(342a)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인디케이터(343)를 복귀시키는 복귀돌기(343b)가 구비될 수 있다. An elastic spring 34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4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342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dicator 34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42a, The return protrusion 343b may be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을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전방 쏠림을 방지하는 과정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of preventing the forward lean of the child car seat using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유아용 카시트의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바(100)를 회전시켜 걸림부재에서 걸림턱(130)이 이탈되도록 하여 지지바(100)가 베이스부(10)에 대하여 직립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The supporting bar 100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10 of the child car seat is rotated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130 is released from the engaging member, As shown in Fig.

그 후,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안착시키고 안전벨트를 체결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고정한다. 그리고, 유아용 카시트의 전방 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부(310)의 버튼부재(312)를 누르면 버튼부재(31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331)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reafter, the child car seat is sea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the seat belt is fastened to fix the child seat to the seat of the vehicle. When the button member 312 of the button unit 310 is pressed to prevent the child car seat from leaning forward, the button member 312 moves downward and the inclined surface 331 moves downward.

경사면(331)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경사면(331)과 접촉되어 있는 연동돌기(332)가 경사면(33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기(320)가 걸림돌기 수용홈(311a)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걸림공(110)에서 이탈하게 된다.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inclined face 331 causes the cooperating projection 33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face 331 to move along the inclined face 33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320 is drawn into the engaging recess receiving groove 311a And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110.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용 카시트 설치자는 이동바(200)를 슬라이딩 구동시켜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바(200)가 연장되도록 한 후에 이동바(200)의 일단면이 차량의 바닥면과 완전히 닫게 하여 유아용 카시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In this state, the child car seat installer slides the movable bar 200 to allow the movable bar 200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So that the child car seat can be stably supported.

그 후에, 버튼부재(312)에서 손을 떼면 걸림돌기(320)가 탄성스프링(333)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림돌기 수용홈(311a)에서 일부가 돌출되어 걸림공(110)에 삽입되어 지지바(100)에 대하여 이동바(200)가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Thereafter, when the button member 312 is released, the latching protrusion 320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 spring 333 to protrude from the latching recess receiving groove 311a and inserted into the latching hole 110,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bar 200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bar 100 is maintained.

그와 동시에 걸림돌기(320)에 구비된 연동돌기(33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을 밀어올리게 되어 버튼부재(312)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At the same time, the interlocking protrusion 332 provided on the locking protrusion 320 moves forward to push up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button member 31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이동바(200)가 차량의 바닥면에 완전히 눌린 상태에서는 이동바(200)의 단부에 구비된 지지확인부(340)의 이동부재(34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343)에 형성된 경사면(343a)을 밀어올리면서 인디케이터(343)가 회전하여 상측 일부가 수용부재(341)의 외부로 돌출되어 유아용 카시트 설치자는 인디케이터(343)를 확인하여 유아용 카시트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었음을 확인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When the moving bar 200 is fully pres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the moving member 342 of the support confirmation part 340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ving bar 200 is moved upward to be formed in the indicator 343 The indicator 343 rotates and the upper part of the indicator 343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341 so that the infant car seat installer checks the indicator 343 to confirm that the infant car seat is stably installed, .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부 20 : 시트부
100 : 지지바 110 : 걸림공
120 : 결합부재 121 : 회전축
130 : 걸림턱 200 : 이동바
300 : 이동구속부 310 : 버튼부
311 : 버튼지지부재 311a : 걸림돌기 수용홈
312 : 버튼부재 320 : 걸림돌기
330 : 구동부 331 : 경사면
332 : 연동돌기 333 : 탄성스프링
340 : 지지확인부 341 : 수용부재
342 : 이동부재 343 : 인디케이터
344 : 탄성스프링
10: base portion 20: seat portion
100: support bar 110:
120: coupling member 121:
130: hanging jaw 200: moving bar
300: moving restraining part 310: button part
311: Button supporting member 311a:
312: Button member 320:
330: driving unit 331:
332: cooperating projection 333: elastic spring
340: support confirmation part 341: housing member
342: moving member 343: indicator
344: Elastic spring

Claims (11)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유아가 착석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시트부(20)로 구성되는 유아용 카시트를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설치시에 전방으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공(110)이 형성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에 상기 지지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200)와;
상기 이동바(200)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이동바(200)가 상기 지지바(1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공(11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320)를 구비한 이동구속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A child car seat comprising a base part (10) seated on a seat of a vehicle and a seat part (20)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A supporter rack for a child car seat provided on one side of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 so as to prevent leaning,
A support bar 100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1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moving bar 200 slid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bar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100;
The movable bar 200 may be provided with a hooking hole 110 to allow the moving bar 200 to be slidably moved on the supporting bar 100 by restric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200, A movable restraint part (30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320) selectively engaged;
Wherein the supporting rac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속부(300)는 상기 이동바(20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버튼부(310)와, 상기 이동바(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돌기(320)가 상기 이동바(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동부(3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restraining part 300 includes a button part 3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bar 200 and a button part 310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r 200 and selectively mov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part 310. [ And a driving part (330) for causing the locking protrusion (3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2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10)는 상기 이동바(200)의 일측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버튼지지부재(311)와, 상기 버튼지지부재(3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걸림돌기(320)와 접촉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버튼부재(31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unit 310 includes a button support member 311 fix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bar 200 and a button support member 311 slidably coupled to the button support unit 310, And a button member (312) to be in contact with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지지부재(311)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재(312)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 수용홈(311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0)는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311a)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The method of claim 3,
The button supporting member 311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which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member 312. The locking projection 320 is formed in the lock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 Of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 수용홈(311a)의 저부면과 상기 걸림돌기(320)의 하면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320)가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eparate elastic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11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20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320 is resiliently suppo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버튼부재(312)의 내면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1)과, 상기 경사면(331)과 접촉되도록 상기 걸림돌기(320)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동돌기(3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33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331 inclined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312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33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320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31 ) Of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이동바(200)의 단부에는 지지바(100)의 단부가 차량의 바닥면과 지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지확인부(3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ar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confirmation part 340 at an end of the movement bar 200 tha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100 to confirm whether the end of the support bar 100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Wherein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확인부(340)는 상기 이동바(200)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에 수용공간(341a)이 함몰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면(341b)이 형성된 수용부재(341)와, 상기 수용공간(341a)에 상기 이동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면에 돌부(342a)가 돌출 형성된 이동부재(342)와, 상기 돌부(342a)와 접촉되는 경사면(343a)을 구비하여 일부가 상기 개구면(341b)가 돌출되게 상기 개구면(34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디케이터(34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verifying unit 340 includes a receiving member 341 coupled to an end of the moving bar 20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341a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surface 341b at one side thereof, A moving member 342 movably recei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ar 200 and having a protrusion 342a protrud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inclined surface 343a contacting the protrusion 342a, And an indicator (343)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surface (341b) with a part of the opening surface (341b) protruding from the opening surface (341b) of the supporter rack of the child car se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341b)의 상면과 상기 이동부재(342)의 저부면 사이는 탄성스프링(344)이 설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343)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부(342a)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인디케이터(343)를 복귀시키는 복귀돌기(343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9. The method of claim 8,
An elastic spring 34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4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342.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34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42a, (343b) for returning the restricting member (343) to the rear of the child car sea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0)의 단부에는 결합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120)에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축(121)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10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supporting bar 1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120 and a coupling shaft 1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12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0, Is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0)의 배면 일측에는 걸림턱(13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는 상기 걸림턱(130)이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00)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부면에 접촉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ing bar 10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130 at one side of the back surface and a latching member for latching the latching jaw 1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folded state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KR1020140079799A 2014-06-27 2014-06-27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KR201600018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99A KR20160001874A (en) 2014-06-27 2014-06-27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99A KR20160001874A (en) 2014-06-27 2014-06-27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74A true KR20160001874A (en) 2016-01-07

Family

ID=5516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99A KR20160001874A (en) 2014-06-27 2014-06-27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7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738A (en) * 2016-09-13 2018-03-20 株式会社波利贝贝 Bracket upright post and child's safety seat using it
CN109532600A (en) * 2017-09-22 2019-03-29 佛吉亚汽车座椅公司 Headrest installation system, the component including this installation system and the vehicle seat including this compon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738A (en) * 2016-09-13 2018-03-20 株式会社波利贝贝 Bracket upright post and child's safety seat using it
CN109532600A (en) * 2017-09-22 2019-03-29 佛吉亚汽车座椅公司 Headrest installation system, the component including this installation system and the vehicle seat including this component
CN109532600B (en) * 2017-09-22 2021-05-25 佛吉亚汽车座椅公司 Headrest mounting system, assembly comprising such a mounting system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n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8612B (en) Child seat
TWI624386B (en) Child safety seat
EP3444143B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20100060053A1 (en) Child safety seat
KR101421876B1 (en) Front and Rear Two Way Type Clamp Device for ISOFIX Car Seat
JP2021120273A (en) Child seat and adjustment mechanism of side protection width of the same
US8919889B2 (en) Adjustable harness and chair therewith
CN110893802B (en) Child restraint system and child restraint carrier thereof
JP3813468B2 (en) Buckle device
KR20020028852A (en) Child car seat
US20120261960A1 (en) Child restraint with movable headrest
KR20160001874A (en) Supporter rack of car-seat for baby
CN108688521B (en) Vehicle seat
US20160332655A1 (en) Stroller and accessory device for same having integrated mounts for an infant car seat
JP3201637U (en) child seat
US9320359B2 (en) Backrest translation mechanism
US20160059746A1 (en) Adjustable Foot For A Child Car Seat Base
JP2001186954A (en) Chair
KR102118015B1 (en) Webbing guide of rear seat for car
TWI654102B (en) Child seat
KR20150075920A (en) Bicycle for child having a direction-changable and slidable seat
KR101358653B1 (en) Sliding headrest
KR20190138184A (en)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JPH07124040A (en) Chair for infant
CN109984519B (en) Shoulder strap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infant carri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