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07U -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07U
KR20160001607U KR2020140008061U KR20140008061U KR20160001607U KR 20160001607 U KR20160001607 U KR 20160001607U KR 2020140008061 U KR2020140008061 U KR 2020140008061U KR 20140008061 U KR20140008061 U KR 20140008061U KR 20160001607 U KR20160001607 U KR 20160001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less pump
cosmetic solution
cosmetic
electr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300Y1 (ko
Inventor
유창규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40008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0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4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with electric stunning-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에 있어서, 특히 리필 가능한 화장액 펌핑수단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외측 일단에 버튼을 구비하여 펌핑수단을 펌핑하여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며, 아울러, 케이스의 상단부에 발광램프를 설치하여 비상시 조명으로 활용하고, 또한 전기 충격수단을 부가하여 호신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펌핑수단 안착용 구조체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1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화장용액을 저장후 외부 충격에 의해서 화장용액을 상부로 펌핑하는 에어리스 펌프부(20)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하단에 설치하되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양측에 임시멈춤용 돌기(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하 유동시 에어리스 펌프부(20)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누름버튼(3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리스 펌프부의 움직임을 지지하며, 중앙에 화장액 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리스 펌프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액을 상부로 토출시키는 화장액 토출부(4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퍼프수단(5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진동을 퍼프수단(50)에 전달하는 진동수단(60)과; 상기 진동수단(60)에 전기적 접점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온오프 수단(7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되 진동수단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80)와; 상기 외부 케이스(80)의 상부에 결합되며, 퍼프 수단(5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뚜껑(90)과;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100)와;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하여 전기 충격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기 충격부(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1차 전진에 의해서 조명부를 스위칭시켜 발광램프가 점등되도록하고, 2차 전진에 의해서 전기 충격부를 스위칭시켜 전기 충격회로가 작동되어 접촉자에게 전기충격을 제공하여 순간 쇼크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Cosmetic pumping device for flash and sef-defence}
본 고안은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필 가능한 화장액 펌핑수단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외측 일단에 버튼을 구비하여 펌핑수단을 펌핑하여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며, 아울러, 케이스의 상단부에 발광램프를 설치하여 비상시 조명으로 활용하고, 또한 전기 충격수단을 부가하여 호신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gel), 크림(cre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화장품들은 비교적 주입구가 작은 화장풍용기에 저장보관됨과 동시에 주입구는 별도의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에 따른 비사용시에는 뚜껑을 닫아서 보관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시에는 뚜껑을 개방한 후 화장품용기의 주입구를 꺼꾸로 위치시켜 내용물을 강제적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을 단순히 담아서 보관하는 정도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임으로써 주입구를 항상 긴밀하게 밀폐하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품용기를 내,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내부용기를 튜브형이나 또는 경질의 용기로 형성하고, 내부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별도의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구조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용기(1)와, 내용기(1)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형을 유지하는 외용기(2)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용기(1)(2)의 상부에는 에어리스 펌프(3)가 내용기와 연통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외용기(2)의 내부에는 내용기(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캡(4)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내용기(1)의 개구부에는 작동실린더(5)가 밀폐캡(6)에 의해 설치되며, 작동실린더(5)에는 피스톤밸브(7)와 함께 오리피스(8a)를 가지는 피스톤(8)이 승강작동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노즐캡(4)의 상부에는 노즐(9a)을 가지는 작동버튼(9)이 스프링(9b)에 의해 탄력설치되면서도 피스톤(8)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버튼(9)을 누름작동하게 되면, 이는 스프링(9b)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8)과 피스톤밸브(7)가 하강하면서도 작동실린더(5)내의 압축실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축에 의해 작동실린더(5)내의 내용물은 피스톤밸브(7)와 피스톤(8)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통하여 그 상부로 이동된 후, 오리피스(8a)를 통하여 피스톤(8)의 내부 이송통로를 거쳐 노즐(9a)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실린더(5)의 하부에 설치되는 역지밸브(5a)는 내용기(1)와 연통되는 유체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눌렀던 작동버튼(9)을 놓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9b)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피스톤밸브(7), 피스톤(8)들이 원위치로 상승 복귀되면서 작동실린더(5)내에는 강한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의 진공압력에 의해 그 하부의 역지밸브(12)는 개방되면서 내용기(1)내의 내용물이 작동실린더(5)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다음 토출을 위한 작동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리스 펌프는 상부에서 작동버튼을 눌러서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구성한 방식으로서 단순히 화장액 펌프에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어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화장액을 펌핑하는 용도 이외에는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어서 보다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펌핑수단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슬라이딩 버튼을 이용하여 펌핑 수단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을 외부로 토출하며, 아울러 케이스 내부에 진동수단을 내장하여 퍼프수단으로 화장하면서 맛사지가 가능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발광램프를 설치하여 비상시 조명기능으로 활용하며, 아울러 전기충격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위험시에 호신기능을 가능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부에 펌핑수단 안착용 구조체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1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화장용액을 저장후 외부 충격에 의해서 화장용액을 상부로 펌핑하는 에어리스 펌프부(20)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하단에 설치하되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양측에 임시멈춤용 돌기(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하 유동시 에어리스 펌프부(20)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누름버튼(3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리스 펌프부의 움직임을 지지하며, 중앙에 화장액 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리스 펌프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액을 상부로 토출시키는 화장액 토출부(4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퍼프수단(5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진동을 퍼프수단(50)에 전달하는 진동수단(60)과; 상기 진동수단(60)에 전기적 접점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온오프 수단(7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되 진동수단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80)와; 상기 외부 케이스(80)의 상부에 결합되며, 퍼프 수단(5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뚜껑(90)과;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100)와;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하여 전기 충격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기 충격부(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1차 전진에 의해서 조명부를 스위칭시켜 발광램프가 점등되도록하고, 2차 전진에 의해서 전기 충격부를 스위칭시켜 전기 충격회로가 작동되어 접촉자에게 전기충격을 제공하여 순간쇼크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기 충격부(110)는, 압력스위치(111)에 의해 배터리(63)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면 교류로 변환하는 발진부(또는 인버터: 112)와 발진주기와 리듬 및 강약을 제어하는 제어부(T)와, 발진된 전압을 1차 승압하는 1차 트랜스(113)와, 1차 승압된 전압을 큰세력의 신호로 증폭하는 증폭부(114)와, 증폭부(114)의 증폭도를 조정하는 가변저항기(116)와, 증폭된 전압을 다시 승압하여 더욱 높은 고압으로 변환하는 2차 트랜스(115)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C)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이 공급되는 충격침(117)으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장액이 투입되어지는 용기부(21)와; 상기 용기부(21)의 상단에 설치되는 펌핑수단(22)과; 상기 펌핑수단(22)이 상하로 유동되면서 펌핑수단(22)이 작동되도록 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용기부(21)의 하단에 설치되며 화장용액의 토출시 상승하는 밀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60)은, 하부 원통형 지지체(61)와; 상기 하부 원통형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 원통 지지체와 결합하는 상부 원통형 지지체(62)와;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배터리(63)와;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진동하는 진동자(64) 및; 상기 배터리 및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진동자로 전달되도록 하는 스위칭 입력수단(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펌핑수단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슬라이딩 버튼을 이용하여 펌핑 수단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을 외부로 토출하며, 아울러 케이스 내부에 진동수단을 내장하여 퍼프수단으로 화장하면서 맛사지가 가능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발광램프를 설치하여 비상시 조명기능으로 활용하며, 아울러 전기충격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위험시에 호신기능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리스 펌핑수단을 갖는 화장용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외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외부 하우징(10)과, 에어리스 펌프부(20)와, 누름버튼(30)과, 화장액 토출부(40)와, 퍼프수단(50)과, 진동수단(60)과, 전원 온오프 수단(70)과, 외부 케이스(80)와, 뚜껑(90)과, 조명부(100)와, 전기 충격부(110)와,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하우징(10)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는 오픈된 상태이다.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장액이 투입되어지는 용기부(21)와, 상기 용기부(21)의 상단에 설치되는 펌핑수단(22)과, 상기 펌핑수단(22)이 상하로 유동되면서 펌핑수단(22)이 작동되도록 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용기부(21)의 하단에 설치되며 화장용액의 토출시 상승하는 밀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수단(22)은 화장액이 통과되는 관으로서 화장용액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펌핑용 실린더(22a)와; 상기 펌핑용 실린더(22a)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 승하강에 의해서 화장용액 케이스에 담기는 화장용액을 펌핑용 실린더(22a)의 공간부로 이동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용 피스톤(22b)과; 상기 펌핑용 실린더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것으로, 펌핑용 피스톤의 승하강에 상응하여 움직이며 펌핑용 실린더 내부를 밀폐하거나 통로를 확보하여 실린더 내부의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실링제(22c)와; 상기 펌핑용 실린더(22a)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화장용액 케이스에 담긴 화장용액을 펌핑 유도관 내측으로 빨아 올라가도록 함과 동시에 펌핑 작업시에 펌핑 유도관에 담긴 화장용액이 다시 화장용액 케이스로 후퇴하지 않고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책밸브(22d)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30)은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하단에 설치하되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하 유동시 탄발 스프링(23)의 작용에 의해서 에어리스 펌프부(20)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임시멈춤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임시멈춤용 돌기(31)가 하우징에 걸리도록하여 누름버튼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장액 토출부(40)는 에어리스 펌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리스 펌프부의 움직임을 지지하며, 중앙에 화장액 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리스 펌프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액을 상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퍼프수단(50)은 화장액 토출부(40)의 상부에 설치되고 브라켓(51)과, 퍼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출력된 화장액을 퍼프에 스며들게 하거나 또는 퍼프 외측으로 출력되도록하여 사용자가 퍼프에 묻은 화장용액을 이용하여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퍼프수단(50)은 브라켓(51)과, 퍼프(52) 및 루비셀(53)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루비셀(53)은 퍼프(52)를 감싸는 형태로 브라켓(51)에 결합된다.
상기 진동수단(60)은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며, 하부 원통형 지지체(61)와, 상부 원통형 지지체(62)와,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터리(63)와, 진동자(64) 및 스위칭 입력수단(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 입력수단(65)에 의해서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6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진동자(64)에 출력하여 진동자(64)가 자체 진동토록한다.
상기 전원 온오프 수단(70)은 진동수단(60)의 스위칭 입력수단(65)을 접점시켜 전기적 접점 신호를 진동자에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80)는 외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되 진동수단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90)은 외부 케이스(80)의 상부에 결합되며, 퍼프 수단(5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퍼프 수단(50)을 사용할 때에는 뚜껑(90)을 개방하고, 퍼프 수단(50)의 사용이 끝다면 폐쇄시켜 퍼프 수단(50)이 오염되지 않토록 한다.
상기 조명부(100)는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기 충격부(110)는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하여 전기 충격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1차 전진에 의해서 조명부를 스위칭시켜 발광램프가 점등되도록하고, 2차 전진에 의해서 전기 충격부를 스위칭시켜 전기 충격회로가 작동되어 접촉자에게 전기충격을 제공하여 순간쇼크를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화장용 퍼프에는 그 재질이 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아세테이트로 되고 표면에 보풀(Pile)이 구성된 벨벳(Velvet)형태의 퍼프와, 그 재질이 NBR(Nitrile Butadiene Rubber)라텍스 스폰지, 후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스폰지, SBR(Styrene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등으로 된 스폰지형 퍼프가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폰지형의 퍼프는 주로 트윈케익이나 리퀴드 파운데이션용으로 사용되는데 그 재질이 상기 NBR(Nitrile Butadiene Rubber)라텍스 스폰지일 경우에는 내유성이 강하여 유분이 많은 화장에 적합하고 내마모성과 내수성이 강하여 세탁시나 장기 사용시 체적변화와 셀 균열이 없고 탄성복원력이 뛰어나며 트윈케익, 스킨커버,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렌징용으로 권장된다.
그리고 상기 SBR(Styrene Butadiene Rubber)은 부드럽고 터치감이 좋으며, 후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스폰지는 터치감이 뛰어나고 밀입자 화장에 용이하며 트윈케익, 파우더용으로 권장된다.
또한, 상기 NR(Natural Rubber)은 화장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일회용이나 여행용으로 사용되고 트윈케익, 스킨커버,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렌징용으로 적합하다.
즉, 본 고안은 엔비알(N.B.R;NITRILE BUTADIENE RUBBBER), 에스비알(
S.B.R;STYRENE BUTADIENE RUBBBER), 엔알(N.R;NATURAL RUBBER). 루비셀(RUBYCELL;습식 URETHANL), 코트 벨로라(COTTON VELOUR) 중 어느 하나로 퍼프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부 하우징(10)과, 에어리스 펌프부(20)와, 누름버튼(30)과, 화장액 토출부(40)와, 퍼프수단(50)과, 진동수단(60)과, 전원 온오프 수단(70)과, 외부 케이스(80)와, 뚜껑(90)으로 구성하며, 외측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외부 하우징(10)과, 외부 케이스(80)와, 뚜껑(90)이다. 상기 뚜껑(90)에는 조명부(100)와, 전기 충격부(110)가 설치되고, 외부 케이스 일단에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에어리스 펌프부(20)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하단에는 누름버튼(30)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상부에는 퍼프 수단이 결합되며, 이때 화장액 토출부를 통해 퍼프 수단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상부 외측에는 진동수단(60)이 장착되는바, 진동수단(60)을 구성하는 하부 원통형 지지체(61)와, 상부 원통형 지지체(62)와, 배터리(63)와, 진동자(64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63)와 진동자(64)는 전원 온오프 수단(7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모든 구성요소가 결합된 후에는 외부 케이스 및 뚜껑(90)을 결합하며,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는 진동수단을 보호하고, 뚜껑은 퍼프수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10)의 일단에는 전원 온오프 수단(70)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전원 온오프 수단(70)을 푸싱하여 진동자(64)에 배터리(63)의 전원이 공급되어 진동자(64)가 진동되도록하여 퍼프수단(50)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을 이용하여서 진동 맛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아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에어리스 펌프부(20)는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용기부(21)의 내부에는 화장액이 삽입되고, 용기부(21)의 상부에 펌핑수단이 결합되며, 용기부(21)의 하부에는 밀판(24)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펌핑수단(22)은 진동수단을 구성하는 상부 원통형 지지체(63)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외측에는 탄발 스프링(23)이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발 스프링(23)에 의해서 펌핑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 구성은 일반적인 에어리스 펌프와 구성이 동일한바, 탄발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용기부(21) 내측의 화장용액이 외부로 토출되고, 아울러 탄발 스프링(23)이 원상복귀되면서 화장용액이 에어리프 펌프부(20) 내측으로 강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화장용액이 에어리스 펌프부(20) 내측으로 강제 인입되면 화장용액이 줄어든 만큼 밀판(24)이 용기부(21) 내측에서 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탄발 스프링(23)의 압축 작용이 가능토록하기 위해 본 고안은 누름 버튼(30)을 더 구비하여 상기 누름버튼(30)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 내측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에어리스 펌프부(20)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에 존재하는 화장용액이 외부로 토출되고, 아울러 탄발 스프링(23)의 압축이 해제되면 진공압이 형성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으로 화장용액이 강제 인출된다.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에 의해서 토출되는 화장용액은 화장액 토출부(40)를 통해 출력되어 퍼프수단(50)으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퍼프수단(50)에 묻은 화장액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진동수단(60)을 구비하는바, 하부 원통형 지지체(61)와 상부 원통형 지지체(6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62)에 배터리(63)와 진동자(6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10)에는 전원 온오프 수단(7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온오프 수단(70)의 작동에 의해서 배터리(63)의 전원이 진동자(64)에게 전달되어 진동하게 된다.
상기 진동자(64)가 진동하면 상부 원통형 케이스(62)에 떨림이 발생하고 이는 상부 원통형 케이스(62)에 결합되는 퍼프수단(50)에 전달되어 퍼프(52)에 떨림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동되는 퍼프(52)를 이용하여 맛사지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뚜껑(90)에 조명부(100)와, 전기 충격부(110)가 설치되고, 외부 케이스 일단에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을 설치하였는바, 상기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을 작동시켜 조명부 또는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고전압발생장치(110)의 회로 블럭도로, 압력스위치(111)에 의해 배터리(63)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면 교류로 변환하는 발진부(또는 인버터: 112)와 적당한 발진주기와 리듬 및 강약을 제어하는 제어부(T)와, 발진된 전압을 1차 승압하는 1차 트랜스(113)와, 1차 승압된 전압을 큰세력의 신호로 증폭하는 증폭부(114)와, 증폭부(114)의 증폭도를 조정하는 가변저항기(116)와, 증폭된 전압을 다시 승압하여 더욱 높은 고압으로 변환하는 2차 트랜스(115)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C)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이 공급되는 충격침(117)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전압발생장치(100)의 발진부(112)에 접속된 제어부(T)를 통하여 발진주기(발진기간과 발진 휴지기간)와 발진리듬과 발진강약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충격침(117)으로 인가되는 고전압을 지속적이거나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거나 주기적으로 인가할 때 고전압의 강약이나 발진리듬을 조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자극과 쇼크를 줄 수 있다.
10: 외부 하우징
20: 에어리스 펌프부
21: 용기부
22: 펌핑수단
23: 탄발 스프링
24: 밀판
30: 누름버튼
31: 임시멈춤용 돌기
40: 화장액 토출부
50: 퍼프수단
51: 브라켓
52: 퍼프
53: 루비셀
60: 진동수단
61: 하부 원통형 지지체
62: 상부 원통형 지지체
63: 배터리
64: 진동자
70: 전원 온오프 수단
80: 외부 케이스
90: 뚜껑
100: 조명부
110: 전기 충격부
120: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

Claims (4)

  1. 상부에 펌핑수단 안착용 구조체가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1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화장용액을 저장후 외부 충격에 의해서 화장용액을 상부로 펌핑하는 에어리스 펌프부(20)와;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하단에 설치하되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양측에 임시멈춤용 돌기(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하 유동시 에어리스 펌프부(20)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에어리스 펌프부(20)의 내측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용액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누름버튼(3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리스 펌프부의 움직임을 지지하며, 중앙에 화장액 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리스 펌프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액을 상부로 토출시키는 화장액 토출부(40)와;
    상기 화장액 토출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장액을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퍼프수단(50)과;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의 외측 일단에 설치되어 진동을 퍼프수단(50)에 전달하는 진동수단(60)과;
    상기 진동수단(60)에 전기적 접점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온오프 수단(70)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되 진동수단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80)와;
    상기 외부 케이스(80)의 상부에 결합되며, 퍼프 수단(5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뚜껑(90)과;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100)와;
    상기 뚜껑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하여 전기 충격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기 충격부(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1차 전진에 의해서 조명부를 스위칭시켜 발광램프가 점등되도록하고, 2차 전진에 의해서 전기 충격부를 스위칭시켜 전기 충격회로가 작동되어 접촉자에게 전기충격을 제공하여 순간쇼크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 및 전기충격부 스위칭 수단(1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충격부(110)는,
    압력스위치(111)에 의해 배터리(63)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면 교류로 변환하는 발진부(또는 인버터: 112)와 발진주기와 리듬 및 강약을 제어하는 제어부(T)와, 발진된 전압을 1차 승압하는 1차 트랜스(113)와, 1차 승압된 전압을 큰세력의 신호로 증폭하는 증폭부(114)와, 증폭부(114)의 증폭도를 조정하는 가변저항기(116)와, 증폭된 전압을 다시 승압하여 더욱 높은 고압으로 변환하는 2차 트랜스(115)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C)와, 2차 트랜스(115)의 출력 고전압이 공급되는 충격침(117)으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스 펌프부(20)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장액이 투입되어지는 용기부(21)와;
    상기 용기부(21)의 상단에 설치되는 펌핑수단(22)과;
    상기 펌핑수단(22)이 상하로 유동되면서 펌핑수단(22)이 작동되도록 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용기부(21)의 하단에 설치되며 화장용액의 토출시 상승하는 밀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60)은,
    하부 원통형 지지체(61)와;
    상기 하부 원통형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 원통 지지체와 결합하는 상부 원통형 지지체(62)와;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배터리(63)와;
    상기 상부 원통형 지지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진동하는 진동자(64) 및;
    상기 배터리 및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진동자로 전달되도록 하는 스위칭 입력수단(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KR2020140008061U 2014-11-05 2014-11-05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KR200482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61U KR200482300Y1 (ko) 2014-11-05 2014-11-05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61U KR200482300Y1 (ko) 2014-11-05 2014-11-05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07U true KR20160001607U (ko) 2016-05-16
KR200482300Y1 KR200482300Y1 (ko) 2017-01-10

Family

ID=5609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61U KR200482300Y1 (ko) 2014-11-05 2014-11-05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8531A (zh) * 2017-10-13 2017-12-29 但唐仁 一种可防身的多功能钥匙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974U (ko) * 2012-05-25 2013-12-04 (주)에스엔피월드 화장 내용물을 충진한 진동형 화장용기
KR20140037587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탭코리아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140091433A (ko) * 2013-01-10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진동 겸용 화장액 펌핑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974U (ko) * 2012-05-25 2013-12-04 (주)에스엔피월드 화장 내용물을 충진한 진동형 화장용기
KR20140037587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탭코리아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140091433A (ko) * 2013-01-10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진동 겸용 화장액 펌핑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8531A (zh) * 2017-10-13 2017-12-29 但唐仁 一种可防身的多功能钥匙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00Y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458B1 (ko) 진동 겸용 화장액 펌핑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8679039B2 (en) Ultrasonic device with integrated specimen dispenser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RU2506211C2 (ru) Противокапельное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остной среды
US20160227903A1 (en) Foundation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pump having short stroke distance and content diffusion member
CN109395948B (zh) 一种雾化瓶驱动装置
CA2586158A1 (en) Fluid sprayer employing piezoelectric pump
JPH05138081A (ja) 液体分配器具
JP2016514975A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US10980703B2 (en) Pressure field stimulation device
KR200464876Y1 (ko) 진동수단이 구비된 펌프형 마사지 용기
KR200482300Y1 (ko) 플레쉬 및 호신 겸용 화장액 펌핑장치
KR101387520B1 (ko)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US11065176B2 (en) Pressure field stimulation device
KR200482297Y1 (ko) 리필 용기를 구비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 용기
WO2020056206A1 (en) Pressure field stimulation device
KR200481524Y1 (ko) 스크린망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0895882B1 (ko)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101900025B1 (ko) 압축 토출장치
KR20130043833A (ko) 유액분사장치
KR101649099B1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JP2007029773A (ja) 噴霧装置
KR20210100846A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20140000362A (ko) 휴대용 자외선차단제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