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69A -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69A
KR20160001569A KR1020140132987A KR20140132987A KR20160001569A KR 20160001569 A KR20160001569 A KR 20160001569A KR 1020140132987 A KR1020140132987 A KR 1020140132987A KR 20140132987 A KR20140132987 A KR 20140132987A KR 20160001569 A KR20160001569 A KR 20160001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earer
terminal
real
im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316B1 (ko
Inventor
백영교
조성연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812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62037A4/en
Priority to PCT/KR2015/006488 priority patent/WO2015199462A1/en
Priority to US14/753,953 priority patent/US10321385B2/en
Publication of KR2016000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69A/ko
Priority to US16/399,198 priority patent/US108125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8Web based protocols, e.g. webR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네트워크 엔터티는 단말로부터, WebRTC 서비스를 위해 상기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품질을 제어하는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된다.

Description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IVIDING QUALITY OF SERVICE OF WEB REAL-TIM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네트워크에서 웹(Web)을 통해 실시간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오늘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자원의 부족 현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PS) 네트워크(혹은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성 및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인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대한 규격화도 진행되고 있다.
최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이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단말기의 OS(Operating System)와는 무관하게 웹 브라우저의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을 통해서 실시간 통신(Real Time Communication: RTC)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고안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러한 기술을 WebRTC라고 칭한다.
단말이 WebRTC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WebRTC 서비스의 멀티미디어 트래픽에 적절한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와 차등 과금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단말이 웹 브라우저에 WebRTC 클라이언트와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WebRTC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WebRTC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에 대해 일반 웹 트래픽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Priority)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WebRTC를 위해서 단말을 웹을 통해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IMS 네트워크에 접속할 시 네트워크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IMS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WebRTC를 지원하기 위하여 WebRTC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적절한 수준의 QoS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WebRTC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WebRTC 서비스를 위해 상기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품질을 제어하는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에 있어서, WebRTC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대기할 것을 지시하는 인식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베어러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에 있어서, WebRTC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품질을 제어하는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터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에 있어서, WebRTC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베어러에 적용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PCC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와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단말로부터, WebRTC 서비스를 위해 상기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품질을 제어하는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터티로 전달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WebRTC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대기할 것을 지시하는 인식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베어러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하고,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WebRTC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고,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검출하고,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를, 상기 단말의 서비스품질을 제어하는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터티로 전달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WebRTC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근할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고, 상기 WebRTC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WebRTC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고,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베어러에 적용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PCC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를 생성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고,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와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ebRTC를 IMS를 통해서 서비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3GPP EUTRA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1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20)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100)은 ENB(110),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PDN) Gateway: P-GW)(16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ENB(110)는 RAN 노드로서,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대응된다. ENB(110)는 단말(100)과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RNC/BSC와 유사하게 단말(100)의 무선 통신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ENB(110)는 여러 개의 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LTE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단말(100)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10)가 담당한다.
MME(120)는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하나의 MME(120)는 다수의 ENB들과 연결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0)의 제어에 따라서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어플리케이션 기능부(Application Function: AF)(140)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IMS 네트워크 장비인 eP-CSCF(enhanced 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는 AF의 일종이다.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150)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과 관련된 정책(policy)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책은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rule)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PCC 규칙은 PDN 게이트웨이(160)에 전달되어 적용된다. 상기 PCC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PDN 게이트웨이(160)은 PCEF(Policy and Charging rule Enforcement Function) 기능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UP(User Plane)라 함은 사용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단말(100)과 RAN 노드인 ENB(110) 간, RAN 노드인 ENB(110)와 서빙 게이트웨이(130) 간, 및 서빙 게이트웨이(130)와 PDN 게이트웨이(160) 간을 이어주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 경로들 중 자원의 제한이 심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부분은 단말(100)과 RAN 노드인 ENB(110) 사이의 경로이다.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의 단위로 QoS를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동일한 QoS 요구사항을 갖는 IP 플로우(IP Flow)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PS 베어러에는 QoS와 관련된 파라미터가 지정될 수 있으며 여기엔 서비스 품질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와 할당 및 보유 우선순위(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QCI는 QoS 우선순위를 정의한 파라미터이며, ARP는 새로운 EPS 베어러 생성을 허락 또는 거절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EPS 베어러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의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PDP context)에 대응된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PDN 커넥션(PDN connection)에 속하게 될 수 있으며, PDN 커넥션은 APN(Access Point Name)을 속성으로 가질 수 있다. IMS 서비스를 위한 PDN 커넥션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PDN 커넥션은 잘 알려진(well-known) IMS APN을 사용해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이 웹 브라우저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를 위한 PDN 커넥션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APN을 통해서 생성되거나 혹은 IMS APN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의 WebRTC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에 대해 원하는 QoS와 과금을 적용하기 위하여 WebRTC 서비스를 IMS 네트워크에 연동시킬 수 있다. 즉, 단말은 웹 브라우저에 WebRTC 클라이언트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WebRTC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등록한다. 상기 WebRTC 클라이언트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은 IMS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ebRTC를 IMS를 통해서 서비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0)이 LTE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210)에 접속해서 패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단말(200)에서 발생한 패킷들은 이동통신 네트워크(210)의 PDN 게이트웨이(P-GW)(211)을 통해서 전송된다.
WebRTC 웹서버 기능부(WebRTC WebServer Function: WWSF)(224)은 단말(200)의 웹 브라우저에 WebRTC IMS 클라이언트(WebRTC IMS Client: WIC)(201)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인증 또는 단말(200)이 IMS 네트워크(2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eP-CSCF(221)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단말의 WIC(201)에 전달하는 역할 등을 담당하는 웹 서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WWSF(224)의 기능들 중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능은 WAF(WebRTC Authorization Function)(225)로 분리될 수 있다. WAF(225)는 인증 토큰(Authorization Token)을 발행하여 WWSF(224)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서 WWSF(224)는 사용자 인증 및 인증토큰의 발행을 수행하는 WAF(22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P-CSCF(221)는 단말(201)이 IMS 네트워크(220)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인 P-CSCF에 WebRTC를 위해 확장된 기능을 추가한 IMS 장치로서, 단말(201)의 WIC(201)와 통신하면서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와 IMS 제어 메시지 간의 변환 기능 등을 포함하고, WebRTC를 위해서 정의된 트래픽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eIMS-AGW(enhanced IMS - access gateway)(222)를 제어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WIC(201)와 eP-CSCF(221) 사이의 통신은 웹소켓(Websocket)을 통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SIP over Websocket), 웹소켓을 통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기반 인터페이스(REST-based interface over Websocket), 웹소켓을 통한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XMPP over Websocket)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eP-CSCF(221)는 상기의 방식들과 IMS 네트워크(220)의 SIP 메시지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웹소켓은 클라이언트(사용자의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웹 기반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불필요한 요청/응답 헤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실시간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200)의 WIC(201)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SIP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보안 웹소켓(Secure Websocket) 연결을 통해 IMS 네트워크(220)의 eP-CSCF(221)와 연동하여 IMS 네트워크(220)에 SIP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웹소켓을 통한 SIP 방식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지만, 이외의 방법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eIMS-AGW(enhanced IMS - access gateway)(222)는 IMS 네트워크에서 WebRTC 트래픽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IMS 네트워크에 알맞게 패킷들을 전환해 주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IMS-AWG이다.
단말(200)은 W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WWSF(224)로부터 WIC(201)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거나, 사용자 인증 등을 통해서 eP-CSCF(221)의 URL 또는 단말(200)이 사용할 IMS ID를 WWSF(224)로부터 받아올 수 있다. 여기서 IMS ID는 예를 들어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또는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가 될 수 있다. WIC(201)은 eP-CSCF의 URL과 같은 정보를 참조하여 eP-CSCF(221)에 접속하고 IMS 네트워크(220)에 등록한다.
단말(200)이 IMPI 또는 IMPU를 WWSF(224)로부터 받아오지 않는 경우, WIC(201)는 eP-CSCF(221)을 통해서 IMS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WIC(201)는 IMS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절차 또는 SIP 다이제스트 등을 이용한 IMS 인증 절차를 이용하여 IMS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0)이 IMPI 또는 IMPU를 WWSF(224)로부터 받아오는 경우, WIC(201)는 별도의 추가 인증 없이 TNA(Trust Node Authentication) 절차를 수행해서 IMS 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TNA 절차는, 일 예로서 WAF(225)가 암호토큰(Security Token)을 발행하여 WWSF(224)를 통하여 WIC(201)에 전달하는 동작과, WIC(201)가 eP-CSCF(221)를 통해서 IMS 등록 메시지를 보낼 때 상기 암호토큰을 함께 eP-CSCF(221)에 전달하는 동작과, eP-CSCF(221)가 상기 암호토큰을 기반으로 WIC(201)를 인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WebRTC 서비스를 위한 QoS 베어러를 수립하는 절차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QoS 베어러라 함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일반 웹 트래픽용 EPS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 즉 다른 웹 트래픽용 EPS 베어러에 할당되는 값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QCI를 가지는 EPS 베어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QCI=5를 가지는 EPS 베어러가 WebRTC 서비스를 위한 QoS 베어러가 될 수 있고, 상기 EPS 베어러는 IMS 시그널링을 서비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200)이 W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WWSF(224)로부터, WIC(201)가 접속할 eP-CSCF(221)의 URL 또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서 단말(200)이 사용할 IMS ID를 받아오는 과정에서, WWSF(224)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전화번호 목록 또는 WIC 설정 등을 단말(200)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WIC(201)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WIC(201)에서 사용 중이거나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전화번호 목록, 또는 WIC 설정 등을 WWSF(224) 또는 지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단말을 사용해서 WWSF(224)에 접속한다고 하더라도, WWSF(224)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WIC 설정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해서 동일한 이용환경으로 WebRTC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용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예에 나타낸 모든 과정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일부 과정이 변형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를 참조하면, 과정 311에서 단말(300)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310)를 통해 WWSF/WAF(340)에 접속한다. 과정 341에서 웹 브라우저(310)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서 WWSF/WAF(340)를 인증한 후, WWSF/WAF(340)로부터 WebRTC를 구현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자바 스크립트로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310)에 설치되는 WebRTC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WebRTC를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단말(3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WWSF/WAF(340)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지 않을 수 있으며, 과정 341은 생략된다.
과정 312에서 웹 브라우저(310)에서 WebRTC를 위해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브라우저(310)는 WebRTC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WIC(WebRTC IMS Client)라고 칭한다.
과정 313에서 WIC(310)는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WWSF/WAF(340)에 접속한다. 상기 정보는 일 예로서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300)이 처음으로 접속하는 IMS 엔터티인 eP-CSCF(350)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안을 위해서 WWSF/WAF(340)는 웹 ID와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WWSF/WAF(340)는 WIC(310)로부터 받은 정보, 일 예로서 단말(300)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단말(300)이 접속할 eP-CSCF(350)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단말(300)에게 할당해줄 IMPI 및/또는 IMPU를 배정할 수 있으며, 또한 WWSF/WAF(340)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IMS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한 암호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WWSF/WAF(340)가 eP-CSCF(350)와 연동되어서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WWSF/WAF(340)은 단말(300)이 QoS 베어러의 사용을 고려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QoS 베어러 준비(bearer ready)와 같은 인식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QoS 베어러 준비 인식자는, 단말(300)에게 QoS 베어러가 설정되기 전까지 WebRTC 서비스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대기할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과정 343에서 WWSF/WAF(340)는 WIC(310)을 위해 선택된 eP-CSCF(350)의 URL, WIC(310)에게 할당된 IMPI와 IMPU, 암호토큰, QoS 베어러 준비 인식자, 전화번호 목록과 WIC 설정과 같은 사용자 개인정보 중 전부 혹은 일부를 WIC(310)에게 전달한다.
상기 QoS 베어러 준비 인식자가 수신된 경우, 과정 314에서 단말(300)은 SIP 시그널링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WebRTC 서비스에 관련된 QoS 베어러가 생성될 때까지 기다린다.
WWSF/WAF(340)가 eP-CSCF(350)와 연동되어서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과정 342에서 WWSF/WAF(340)은 단말(300)에 대한 단말 등록 정보(UE Registration Information: UE Reg info) 등과 같이 단말(300)과 관련된 정보를 eP-CSCF(350)에 전달하여,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수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등록 정보는 일 예로서 단말(300)이 사용하는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단말(300)에게 주어진 IMPU에 해당하는 과금 관련 정보와 IMS 네트워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와 같은 가입(subscrip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는 단말(300)이 WWSF/WAF(34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단말(300)이 WWSF/WAF(340)에 전달하거나, 혹은 WWSF/WAF(340)에 의해서 단말(300)과의 접속으로부터 직접 검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금 관련 정보 및 가입 정보 또한 WWSF/WAF(340)에 저장 혹은 검출되거나, 혹은 단말(300)이나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과정 351에서 eP-CSCF(350)은 WWSF/WAF(340)으로부터 전달된 단말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기로 결정하고, Rx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PCRF(370)에게 AA(Authentication Application) 요청(AA Request: AAR)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AA 요청 메시지는 단말(300)의 IP 주소와, 단말(300)이 eP-CSCF(35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IMS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플로우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전부 혹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371에서 PCRF(370)은 상기 AA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AA 응답(AA Answer: AAA) 메시지를 eP-CSCF(350)로 전송한 후, WebRTC 시그널링을 전송할 베어러에 적용하기 위한 PCC 규칙을 생성하고, 과정 372에서 Gx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PCC 규칙을 포함하는 재인증 요청(Re-Auth Request) 메시지를 PDN 게이트웨이(P-GW)(330)에게 전송한다.
상기 PCC 규칙은 WebRTC 시그널링의 교환을 위해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QoS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서비스 데이터 필터(Service Data filter) 정보와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QCI(QoS Class Identifier),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인증 비트율(Authorized bit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데이터 필터 정보의 소스 IP 주소는 단말(300)의 IP 주소로 설정되며, 목적지(destination) IP 주소는 eP-CSCF(350)의 IP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QCI의 값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IMS 시그널링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 수준과 같거나 유사한 QoS 베어러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과정 321에서 PDN 게이트웨이(330)는 베어러 요청 갱신(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MME(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해서 MME가 단말(300)을 위한 EPS 베어러 변경(bearer modification) 절차를 수행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PDN 게이트웨이(330)는 베어러 요청 생성(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MME에 전달해서 MME가 단말(300)을 위한 EPS 베어러 활성화(bearer activation) 절차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WebRTC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QoS 베어러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QoS 베어러, 즉 우선순위가 높은 EPS 베어러를 통해서 WebRTC 시그널링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WebRTC 시그널링은 다른 웹 트래픽에 비해서 높은 QoS로 처리될 수 있다.
과정 322에서 모뎀(320)은 웹 브라우저(310)에게 상기 QoS 베어러가 생성됐음을 알릴 수 있다. 과정 315에서 웹 브라우저(310)는 과정 343에서 WWSF/WAF(340)으로부터 전달된 정보, 예를 들면 리다이렉션 정보를 기반으로 eP-CSCF(350)와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며, 과정 316에서 웹 브라우저(310)의 WIC는 IMS 등록을 위한 SIP 시그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하여 eP-CSCF(350)에 전달하고 eP-CSCF(350)는 상기 SIP 시그널링을 S-CSCF(Serving CSCF)(360)에게 전송하여 IMS 등록을 수행한다. IMS 등록이 완료된 이후, 과정 317에서 웹 브라우저(310)는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WebRTC 서비스를 위한 통화 세션(call session)의 수립/수정/종료와 같은 시그널링 절차를 수행한다. 과정 316,317에서 IMS 등록 혹은 호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상기 QoS 베어러를 통해 전달된다. 여기서 과정 315는 웹 브라우저(310)와 WIC(310)가 QoS 베어러가 생성되었음을 알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과정 315에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발생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는 QoS 베어러를 통해서, 혹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웹 트래픽용 베어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과정 313에서 단말(300)의 WIC(310)은 WWSF/WAF(340)으로 IMS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에, 웹 ID 및 패스워드와 함께, 단말(300)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면 과정 342에서 WWSF/WAF(340)은 상기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를 단말 등록 정보에 포함시켜 eP-CSCF(350)로 전달하며, eP-CSCF(350)는 상기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를 PCRF(370)으로 전달한다. PCRF(370)는 상기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를 QoS 베어러를 위한 PCC 규칙을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과정 313에서 단말(300)의 WIC(310)은 WWSF/WAF(340)으로 IMS 네트워크의 접속을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에, 단말(300)에서 지원 가능한 실시간 통신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WWSF/WAF(34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WWSF/WAF(340)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저장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WWSF/WAF(340)는 단말(300)로부터 받은 지원 가능한 실시간 통신기능에 대한 정보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가입정보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사용하여 단말(300)에게 지원할 QoS 레벨(예를 들어, Gold/Silver/Bronze 등과 같이 서비스품질의 단계를 나타내는 지시자)을 정하고, 과정 342에서 단말(300)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와 함께 상기 QoS 레벨값을 eP-CSCF(350)에게 전달한다. eP-CSCF(350)는 WebRTC를 위한 시그널링을 위한 베어러의 생성을 트리거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QoS 레벨을 참고하여 생성 또는 수정할 베어러의 QCI를 조정하도록 알리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과정 351에서 상기 파라미터를 PCRF(370)에게 전달한다. 또는 eP-CSCF(350)는 과정 351에서 상기 QoS 레벨을 PCRF(370)에게 전달할 수 있다. PCRF(370)는 상기 QoS 레벨을 참조하여, 생성 또는 수정할 베어러의 QCI를 직접 조정하고 새로운 PCC 규칙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며, 과정 372에서 P-GW(330)에게 상기 새로운 PCC 규칙을 전달한다. 그러면 P-GW(330)는 과정 321에서 상기 새로운 PCC 규칙을 적용하여, WebRTC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한편, eP-CSCF(350)는 과정 317과 같이 통화 세션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과정에서, WWSF/WAF(340)로부터 수신한 상기 QoS 레벨을 참고하여 통화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베어러에 대한 QCI를 조정하고, PCRF(370)에게 상기 통화 세션에 대한 정보(즉 상기 조정된 QCI)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QoS 레벨을 직접 PCRF(370)에게 전달하여 PCRF(370)가 상기 QCI을 직접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PCRF(370)는 상기 조정된 QCI를 참조하여 새로운 PCC 규칙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며, P-GW(330)에게 상기 새로운 PCC 규칙을 전달한다. 그러면 P-GW(330)는 상기 새로운 PCC 규칙을 적용하여 통화 트래픽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를 생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용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예에 나타낸 모든 과정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일부 과정이 변형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11에서 단말(400)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410)를 통해 WWSF/WAF(440)에 접속한다. 과정 441에서 웹 브라우저(410)는 TLS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서 WWSF/WAF(440)를 인증한 후, WWSF/WAF(440)로부터 WebRTC를 구현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자바 스크립트로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410)에 설치되는 WebRTC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WebRTC를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단말(4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WWSF/WAF(440)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지 않을 수 있으며 과정 441은 생략된다.
과정 412에서 웹 브라우저(410)에 WebRTC를 위해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브라우저(410)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WIC라고 칭한다.
과정 413에서 WIC(410)는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WWSF/WAF(440)에 접속한다. 상기 정보는 일 예로서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400)이 처음으로 접속하는 IMS 엔터티인 eP-CSCF(450)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안을 위해서 WWSF/WAF(440)은 웹 ID와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WWSF/WAF(440)는 WIC(410)로부터 받은 정보, 일 예로서 단말(400)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PLMN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단말(400)이 접속할 eP-CSCF(450)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단말(400)에게 할당해줄 IMPI 및/또는 IMPU를 배정할 수 있으며, 또한 WWSF/WAF(440)에서 인증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암호토큰을 생성할 수도 있다. 과정 442에서 WWSF/WAF(440)는 WIC(410)을 위해 선택된 eP-CSCF(450)의 URL, WIC(410)에게 할당된 IMPI와 IMPU, 암호토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일 예로 전화번호 목록과 WIC 설정) 중 전부 혹은 일부를 WIC(410)에게 전달한다.
과정 414에서 단말(400)의 WIC(410)는 WWSF/WAF(440)로부터 제공된 리다이렉션 정보를 기반으로 eP-CSCF(450)와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며, 과정 415에서 WIC(410)는 IMS 등록을 위한 SIP 시그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웹소켓 연결을 사용하여 eP-CSCF(450)를 통해서 IMS 네트워크의 S-CSCF(460)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서 IMS 등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IP 시그널링은 일반 웹 트래픽용 베어러를 통해 IMS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단말(400)의 WIC(410)로부터 전송된 SIP 시그널링 메시지는 IMS 네트워크에서 eP-CSCF(450)에게 처음 도달되며, eP-CSCF(450)에 의해 I/S-CSCF(460)로 전달된다. 과정 451에서 eP-CSCF(450)는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서 전달되는 SIP 메시지를 수신하면, WebRTC에 관련된 시그널링이 웹 트래픽용 베어러를 통해 전송됐음을 검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eP-CSCF(450)는 WebRTC 시그널링 메시지가 웹 트래픽용 PDN 게이트웨이로부터 발생한 것임을 식별함으로써, 웹 트래픽용 베어러를 통해서 WebRTC 시그널링이 전송됐음을 검출할 수 있다.
WebRTC 시그널링이 검출되면, 과정 452에서 eP-CSCF(450)는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기로 결정하고, Rx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PCRF(470)에 AA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AA 요청 메시지는 단말(400)의 IP 주소와, 또는 단말(400)이 eP-CSCF(45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IMS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플로우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전부 혹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471에서 PCRF(470)은 상기 AA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AA 응답 메시지를 eP-CSCF(450)로 전송한 후, IMS 시그널링을 전송할 플로우에 적용하기 위한 PCC 규칙을 생성하고, 과정 472에서 Gx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PCC 규칙을 포함하는 재인증 요청 메시지를 PDN 게이트웨이(P-GW)(430)에 전송한다.
상기 PCC 규칙은 WebRTC의 시그널링을 위해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QoS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서비스 데이터 필터 정보와,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QCI, ARP, 인증 비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데이터 필터 정보의 소스 IP 주소는 단말(400)의 IP 주소로 설정되며, 목적지 IP 주소는 eP-CSCF(450)의 IP 주소로 설정된다. 샤상기 QCI의 값은 예를 들어 5로 설정되어, IMS 시그널링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 수준과 같은 QoS 베어러를 나타낼 수 있다.
과정 421에서 PDN 게이트웨이(430)는 베어러 요청 갱신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MME(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해서 MME가 단말(400)을 위한 EPS 베어러 변경을 수행하게 하거나, 혹은 베어러 요청 생성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MME에 전달해서 MME가 단말(400)을 위한 EPS 베어러 활성화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IMS 네트워크와 단말(400)의 모뎀(420) 간에 IMS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가 생성된다.
과정 422에서 모뎀(420)은 WIC(410)에게 상기 QoS 베어러가 생성됐음을 알릴 수 있다. 과정 416에서 WIC(410)는 상기 QoS 베어러가 생성되었음을 통보받은 이후 WebRTC 시그널링을 담은 SIP 메시지를 상기 QoS 베어러를 사용해서 eP-CSCF(450)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WebRTC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용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예에 나타낸 모든 과정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일부 과정이 변형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과정 511에서 단말(500)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510)를 통해 WWSF/WAF(540)에 접속한다. 과정 541에서 웹 브라우저(510)는 TLS와 같은 암호 알고리즘을 통해서 WWSF/WAF(540)를 인증한 후, WWSF/WAF(540)로부터 WebRTC를 구현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자바 스크립트로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510)에 설치되는 WebRTC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WebRTC를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단말(5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WWSF/WAF(540)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지 않을 수 있으며 과정 541은 생략된다.
과정 512에서 웹 브라우저(510)에 WebRTC를 위해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브라우저(510)은 WebRTC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WIC라고 칭한다.
과정 513에서 WIC(510)는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WWSF/WAF(540)에 접속한다. 상기 정보는 일 예로서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500)이 처음으로 접속하는 IMS 엔터티인 eP-CSCF(550)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안을 위해서 WWSF/WAF(540)은 웹 ID와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WWSF/WAF(540)는 WIC(510)로부터 받은 정보, 일 예로서 단말(500)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PLMN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단말(500)이 접속할 eP-CSCF(550)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단말(500)에게 할당해줄 IMPI 및/또는 IMPU를 배정할 수 있으며, 또한 WWSF/WAF(540)에서 인증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암호토큰을 생성할 수도 있다. 과정 542에서 WWSF/WAF(540)는 WIC(510)을 위해 선택된 eP-CSCF(550)의 URL, WIC(510)에게 할당된 IMPI와 IMPU, 암호토큰, 사용자의 개인정보(일 예로 전화번호 목록과 WIC 설정) 중 전부 혹은 일부를 WIC(510)에게 전달한다.
과정 514에서 단말(500)의 웹 브라우저(510)는 WWSF/WAF(540)로부터 제공된 리다이렉션 정보를 기반으로 eP-CSCF(550)와 웹소켓 연결을 설정한다.
WIC(510)는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WebRTC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WebRTC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과정 515에서 WIC(510)은 QoS 베어러 생성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모뎀(520)에 보낼 수 있고,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나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로부터 가입자의 지원 가능한 QoS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모뎀(520)은 과정 521에서 EPS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또는 EPS 베어러 자원 변경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을 MME에게 보냄으로써 원하는 QoS의 베어러 생성을 요청하게 되고, 상기 요청은 P-GW(530)에게 전달된다. 531과정에서 P-GW는 PCRF(570)에게 상기 QoS 베어러의 생성이 가능한지를 묻기 위해 CC(Credit Control)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과정 571에서 PCRF(570)은 HSS(Home Subscriber Server)의 지원을 통해서 상기 QoS 베어러의 생성이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과정 572에서 상기 결정에 따른 변경된 PCC 규칙을 CC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P-GW(54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PCC 규칙은 WebRTC 시그널링을 위해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QoS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서비스 데이터 필터 정보와,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QCI, ARP, 인증 비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531에서 상기 PCC 규칙에 기반하여 P-GW(530)는 단말(500)의 모뎀(520) 과의 사이에 QoS 베어러를 생성하고, QoS 베어러 생성이 완료되면 과정 522에서 모뎀(520)은 WIC(510)에게 QoS 베어러 생성이 완료됐음을 알리고, 과정 516,517에서 WIC(510)는 WebRTC 시그널링을 상기 QoS 베어러를 통해서 송수신하게 된다. 즉, 과정 516에서 웹 브라우저의 WIC(510)는 IMS 등록을 위한 SIP 시그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웹소켓 연결을 사용하여 eP-CSCF(550)를 통해서 IMS 네트워크의 S-CSCF(560)에게 전송함으로써 IMS 등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IP 시그널링은 상기 과정 515 내지 522를 통해 생성된 QoS 베어러를 통해 IMS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상기 SIP 시그널링은 IMS 네트워크에서 eP-CSCF(550)에게 처음 도달되며, eP-CSCF(550)에 의해 I/S-CSCF(560)로 전달된다.
도 5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WIC(510)은 긴급상황이 발생해서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과정 515에서 WIC(510)은 QoS 베어러 생성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모뎀(520)에 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정 521,531,571,572,531,522를 통해서 긴급상황용 QoS 베어러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상황용 QoS 베어러를 통해 긴급통화를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 구별되는 블록들을 구별하여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도시가 본 발명의 구현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600)은 무선 상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모뎀(610)과 웹 브라우저(620) 및 웹 브라우저(620)에 의해 실행되는 웹 어프리케이션인 WIC(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620) 및 WIC(630)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논리적인 개체들을 의미한다. 프로세서는 모뎀(610)과 통신하며, 웹 브라우저(620)를 통해 WIC(630)를 실행한다.
단말(600)에서 WebRTC를 위한 QoS 베어러가 생성되기 이전에 WIC(630)에서 SIP 시그널링 메시지가 발생하면, WIC(630)는 SIP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QoS 베어러가 생성되기를 기다리게 된다. 이 때, WIC(630)는 웹 브라우저(620)를 통해서 모뎀(610)에게 QoS 베어러가 생성되면 알려달라는 베어러 설정 지시 요청 신호 또는 모뎀(610)에게 QoS베어러를 생성해 달라는 베어러 설정 요청 신호(601)를 보낼 수 있다.
단말(600)이 액세스 네트워크(640)과의 EPS 베어러 활성화 절차 또는 EPS 베어러 변경 절차를 통해서 SIP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게 되면, 모뎀(610)은 웹 브라우저(620)에게 QoS 베어러가 생성됐음을 알리는 베어러 설정 완료 신호(602)를 전송하고, 웹 브라우저(620)는 WIC(630)에 QoS 베어러의 생성을 알리는 SIP 절차 트리거 신호(603)를 전송하여 WIC(630)가 SIP 시그널링의 전송을 시작하도록 한다.
WIC(630)는 상기 SIP 절차 트리거 신호(603)에 응답하여 SIP 메시지를 웹 브라우저(620)로 전달하면, 웹 브라우저(620)는 상기 SIP 메시지를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로 변환하여 모뎀(610)으로 전달한다. 모뎀(610)은 상기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를 상기 QoS 베어러를 통해서 액세스 네트워크(640)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IMS 네트워크의 eP-CSCF(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송된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는 상기 QoS 베어러를 통해서 단말(600)로 수신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WebRTC를 위한 QoS 베어러가 생성되기를 기다리기 시작할 때 또는 모뎀(610)에게 베어러 설정 지시 요청 신호(601)를 전송할 때, WIC(630) 또는 웹 브라우저(620)는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기되기까지 WebRTC를 위한 QoS 베어러가 생성되지 않으면, 일반 인터넷 베어러를 통해서 SIP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4의 과정 421에 따라 모뎀(610)에서 QoS 베어러가 생성되면, 모뎀(610)은 웹 브라우저(620)에게 QoS 베어러가 생성됐음을 알리는 베어러 설정 완료 신호(602)를 전송한다. 이후 WIC(630)로부터 전달되는 SIP 메시지는 웹소켓 연결을 통해서 상기 QoS 베어러에 의해 네트워크(640)로 전달되며, IMS 네트워크의 eP-CSCF에서 웹소켓 연결을 통해 발송된 SIP 메시지 또한 상기 QoS 베어러를 통해서 단말(600)로 수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네트워크 엔터티의 하드웨어 구조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 구별되는 블록들을 구별하여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도시가 본 발명의 구현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시한 네트워크 엔터티는 일 예로서 IMS 도메인의 eP-CSCF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엔터티(700)는 네트워크(730) 상의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720)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710)는 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웹소켓 연결을 설정한 후, 인터페이스부(720)가 수신한 메시지가 상기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인지를 감시한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710)는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710)는 WebRTC 시그널링에 관련된 인터넷 도메인으로부터 SIP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SIP 메시지가 WebRT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가 검출된 경우, 혹은 WebRTC 시그널링에 관련된 SIP 메시지가 검출된 경우, 프로세서(710)는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기로 결정하고, 인터페이스부(720)를 통해서 단말의 QoS를 제어하는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 일 예로서 PCRF에게 상기 단말에 대해 WebRTC 시그널링을 위한 QoS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한다.
상기 QoS 베어러가 단말에 대해 설정된 이후 상기 웹소켓을 통한 SIP 메시지는 상기 QoS 베어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엔터티(700)로 전달되게 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WebRTC 서비스를 위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받을 때, WebRTC 시그널링 메시지를 일반 Web 트래픽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QoS 베어러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도, 기존 IMS 클라이언트를 통한 서비스와 동일한 수준으로 IM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0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4)

  1.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접속할 IMS(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 정보는,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IMS 네트워크 상의 과금 관련 정보,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웹 ID 및 패스워드와,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5.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대기할 것을 지시하는 인식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베어러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웹 ID 및 패스워드와,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의 모뎀으로부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9.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1.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의 모뎀으로부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4.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베어러에 적용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PCC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6.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와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18.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접속할 IMS(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등록 정보는,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IMS 네트워크 상의 과금 관련 정보,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웹 ID 및 패스워드와,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2.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대기할 것을 지시하는 인식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베어러가 생성되기 전까지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하고,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접속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웹 ID 및 패스워드와, 상기 단말의 IP 주소 및/또는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고, 상기 웹소켓 연결을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검출하고,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IM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의 모뎀으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단말과 설정하고,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베어러에 적용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규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PCC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베어러를 생성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과 상기 IMS 네트워크 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3.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과,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접속할 IMS 네트워크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할 상기 IMS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고,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와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웹 소켓 연결과 상기 베어러를 통해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IMS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상의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베어러는,
    다른 웹 트래픽용 베어러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40132987A 2014-06-27 2014-10-02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6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12742.3A EP3162037A4 (en) 2014-06-27 2015-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based real-time communication
PCT/KR2015/006488 WO2015199462A1 (en) 2014-06-27 2015-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based real-time communication
US14/753,953 US10321385B2 (en) 2014-06-27 2015-06-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based real-time communication
US16/399,198 US10812536B2 (en) 2014-06-27 2019-04-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based real-tim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46 2014-06-27
KR20140080246 2014-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69A true KR20160001569A (ko) 2016-01-06
KR102265316B1 KR102265316B1 (ko) 2021-06-16

Family

ID=5516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987A KR102265316B1 (ko) 2014-06-27 2014-10-02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162037A4 (ko)
KR (1) KR102265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5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4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7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20180121236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31285A (ko) 2017-05-31 2018-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SSA, Study on WebRTC access to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2 (Release 12)", 3GPP TR 23.701 V12.0.0 (2013.12.17.)* *
3GPP TSGSSA,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2 (Release 12)", 3GPP TS 23.228 V12.5.0 (2014.06.24.)*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5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4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7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20180121236A (ko)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31285A (ko) 2017-05-31 2018-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316B1 (ko) 2021-06-16
EP3162037A4 (en) 2018-03-07
EP3162037A1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net communications
US10812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for web-based real-time communication
US11134103B2 (en) Method of enabling slice security separation
US10595250B2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JP715846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セッションタイムアウト情報を動的にプロビジョ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US101937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onsoring service between user equipments
KR102172468B1 (ko) WebRTC서비스를 위해 단말이 브라우저를 통해 IMS망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102024815B1 (ko) 로밍 시스템에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65316B1 (ko) 웹 기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장치
EP3445081B1 (en) Flow-based beare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EP3288325B1 (en) Service chain policy making method and device
EP30782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 initial attachment of a ue to p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7174014A1 (zh) 为终端提供紧急号码的方法和装置
JP2018518113A (ja) モバイル通信ネットワークのハンドオーバ機能を発見するための方法、モバイル通信ネットワークのハンドオーバ機能を発見するためのシステム、ユーザ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7207764B2 (ja) サービスデータフロー処理方法および関連デバイス
WO2016180179A1 (zh) WiFi网络中获取终端位置的方法、终端、LTE通信设备及系统
US20180092061A1 (e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1110022A1 (zh) 数据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674362B2 (en) Notifying the HSS of failure of connectivity request for a packet data session
KR102273762B1 (ko)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PGW(PDN Gateway) 및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과 그 제어방법
JP63249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効率的に伝達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