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11A -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 Google Patents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11A
KR20160001511A KR1020140080181A KR20140080181A KR20160001511A KR 20160001511 A KR20160001511 A KR 20160001511A KR 1020140080181 A KR1020140080181 A KR 1020140080181A KR 20140080181 A KR20140080181 A KR 20140080181A KR 20160001511 A KR20160001511 A KR 20160001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arc
horizontal
horizontal member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719B1 (ko
Inventor
이성제
오영태
전석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42Connections between the shell and d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Abstract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평부재,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마감되어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마감판을 마련하여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연결 부분을 마감판으로 고정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설계 또는 제작 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캐스팅에 의해 수평부재 및 수평부재를 제작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Floating Unit with Stress Distribu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폰툰, 컬럼, 데크 박스와 컬럼 등의 연결 부위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이라 함은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수심에 따라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으로 분류되며,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 탐사와 채취 등의 해상 작업에 이용된다.
이러한 해양구조물 중에서 반잠수식 구조물은 잭업 리그(Jack-up rig)의 단점을 보완해 깊은 수심에서의 작업과 해상 작업 조건의 개선을 가져오는 설비로서, 배수량의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폰툰(pontoon)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례로 시추 장비 등을 탑재하여 해저 유전을 개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반잠수식 구조물에 적용되는 폰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잠수식 구조물의 폰툰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잠수식 구조물의 폰툰(10) 은 반잠수식 구조물의 배수량 확보를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서 선수미 방향으로 위치하고, 다수개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부(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면에 상부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칼럼(12)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반잠수식 구조물의 폰툰(10)은 트러스터 룸, 발라스트 탱크, 연료탱크, 드릴워터 등의 시추선 위치 제어, 드릴링, 운용 등에 필요한 장비 및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형(船型)을 띄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반잠수식 구조물은 상하 방향의 운동 변위(Heave motion)가 라이저 텐셔너(riser tensioner) 및 상하 방향의 운동 변위 보상기(Heave compensator)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반잠수식 구조물의 상하운동은 라이저 텐셔너 또는 능동/수동의 보상기(active/passive compensator)가 제공하는 허용 변위를 넘어서는 아니 되며, 과도한 상하 운동뿐만 아니라 이들 운동 변위에 따라 폰툰(10)과 연결부(11), 폰툰(10)과 컬럼(12)의 연결 부위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로팅 유닛(floating unit)의 연결 부위인 폰툰(10)과 연결부(11), 폰툰(10)과 컬럼(12), 컬럼과 데크 박스(미도시) 등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캐스팅(casting) 구조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품(폰툰, 연결부, 컬럼 등)을 제작하게 된다.
이들 플로팅 유닛의 폰툰, 컬럼, 데크 박스 등의 연결 부품을 일반 강재(steel plate)로 할 경우 피로 및 강도 측면에서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로 및 강도가 우수한 캐스팅으로 이들 부품을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캐스팅으로 제조하는 경우 대략 3개월 이상의 긴 제작 기간이 필요하게 되고, 긴 제작 기간 때문에 사전에 주문 제작을 해야 하며, 빈번하게 발생하는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고, 캐스팅으로 제조된 부품의 품질 검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들 부품의 제조 불량을 발견하게 되더라도 다시 제조하거나 이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유닛의 폰툰(10)과 컬럼(12)의 연결 부위에는 하중 또는 운동 변위에 따라 응력이 집중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모서리(특허 꼭지점) 부분에는 응력이 분산되지 못하고,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박의 강구조물 모서리부 응력집중 완화 부가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선박의 강구조물 모서리부 응력집중 완화 부가 구조물에는 선박의 필라(Pillar) 또는 수직 거더(Girder)와 수평 거더가 만나는 강구조물의 모서리부 응력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부가 구조물로서, 수평 거더와 필라(Pillar) 및 수평 거더와 수직 거더는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 거더와 필라 사이에 보강재로서 브라켓이 설치되거나 수평 거더와 수직 거더 사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거더 길이 L의 임의의 지점에 부가 구조물과 부가 구조물을 설치하고, 필라에도 상기 수평 거더에 설치된 부가 구조물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부가 구조물을 설치하고, 수직 거더에도 상기 수평 거더에 설치된 부가 구조물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가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박의 하부 호퍼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선박의 하부 호퍼 구조는 내부바닥 플레이트와 내부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제1 너클부와 제2 너클부를 배열하며, 상기 제1 너클부와 상기 제2 너클부가 서로 기울기를 달리하여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고정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02715호(2013년 1월 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34841호(2010년 4월 2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강구조물 모서리부 응력집중 완화 부가 구조물은 수평 거더와 수직 거더 사이에 라운드 형태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응력의 집중을 분산할 수 있으나, 캐스팅으로 제작되는 플로팅 유닛의 연결 부위에 적용하기에 곤란하고, 잦은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하부 호퍼 구조는 제1 너클부와 제2 너클부를 각각 다른 기울기로 고정하는 것으로, 폰툰과 컬럼 등의 연결 부위와 같이 캐스팅으로 제작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으며, 잦은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영역을 제거하여 주위의 부재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팅 유닛의 연결 부위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응력을 분산시키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평부재,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마감되어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판의 원호 길이는 상기 절단면 길이의 1.5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판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판, 상기 원호판과 동일한 원호를 가지면서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과 동일하게 마감되는 측면판,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에 마감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판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판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에 의하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연결 부분을 마감판으로 고정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설계 또는 제작 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설계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캐스팅에 의해 수평부재 및 수평부재를 제작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에 의하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스트레스 레벨(stress level)을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해 해양구조물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연결 부위 검사 시 품질 검사가 용이하고, 응력에 따른 보강 또는 불량 발견 시 보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폰툰을 보인 입체도,
도 2는 종래의 폰툰에 작용하는 응력 분포도,
도 3은 종래의 폰툰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의 절단된 단면을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유닛의 응력 분포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의 절단된 단면을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31)을 갖는 수평부재(30),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41)을 갖는 수직부재(40), 상기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31, 41)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마감되어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마감판(50)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은 일정 길이를 갖는 폰툰, 컬럼, 데크 박스 등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로팅 유닛은 폰툰, 컬럼, 데크 박스 등을 일체로 조립하는 것으로, 트러스터 룸, 발라스트 탱크, 연료탱크, 드릴워터 등의 시추선 위치 제어, 드릴링, 운용 등에 필요한 장비 및 화물 등이 적재되는 해양구조물을 지지하는 구조체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평부재(30)는 폰툰, 연결부(도 1의 11 참조)과 데크 박스 등과 같이 수평으로 고정되는 부재를 가리키고, 수직부재(40)는 컬럼과 같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부재를 가리킨다.
즉, 수평부재(30)는 수평 방향으로 조립되는 부재를 총칭하고, 수직부재(40)는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는 부재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수평부재(30)에는 수직부재(40)와의 연결 부위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절단면(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면(31)은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부재(3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3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됨과 함께 양 측면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된다.
이때 길이 방향의 절단 길이와 폭 방향의 절단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길이 방향의 절단 길이를 폭 방향의 절단 길이보다 더 길게 절단된다.
또한 수직부재(40)에는 수평부재(30)와의 연결 부위에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절단면(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단면(41)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부재(40)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된다.
즉,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동일한 형상 및 길이로 형성되며,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은 직각으로 맞댈 경우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아울러 이들 절단면(31, 41)은 서로 맞댈 경우, 2개의 절단면(31, 41)은 하나의 원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원호면(32, 42)이 형성된다.
즉,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수평부재(30)의 수평면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호면(32)이 형성된다.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호면(42)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들 원호면(32, 42)은 하나의 직경으로 된 원호를 이루게 된다.
즉, 원호면(32, 42)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선과 수평부재(40)의 절단면(41)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인 중심점에서 하나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호면(32, 42)의 원호는 절단면(31, 41) 길이의 1.5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감판(50)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원호면(32)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과 원호면(42)을 마감하는 것으로, 절단면(31, 41) 및 원호면(32, 42)을 폐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판(50)은 수평부재(30)의 원호면(32)과 수직부재(40)의 원호면(42)을 덮는 원호판(51),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 및 원호면(32, 4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측면판(52), 절단면(31, 41)을 각각 덮는 측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원호판(51)은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의 원호면(32, 42)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호판(51)은 수평부재(30)의 절단된 폭과 수직부재(40)의 절단된 폭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측면판(52)의 일측은 원호판(51)과 대응되게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판(52)의 타측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측판(53)은 2개로 이루어지는데, 수평부재(30)의 수평면과 원호판(51) 사이에 고정되는 측판과 수직부재(40)의 수직면과 원호판(51) 사이에 고정되는 측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50)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원호면(32)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과 원호면(42)을 원호 형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의 연결부위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게 된다.
이에 응력은 연결 부위 및 폭 방향의 양단에 집중되므로,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의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응력이 마감판(50)의 원호판(51)에 의해 분산된다.
이와 같은 마감판(50)은 원호판(51)에 의해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의 연결 부분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호상의 원호판(51)에 의해 응력 집중을 분산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을 보인 일부 절결 입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유닛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과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마감판(50)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은 원호 형상으로 절단되고,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도 원호 형상으로 절단된다. 또 수평부재(30)의 원호면(32)과 수직부재(40)의 원호면(42)은 하나의 직경으로 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판(50)은 원호면(32, 42)에 대응되는 원호 구체(55)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에 대응되는 절단면 구체(56)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41)에 대응되는 절단면 구체(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면 구체(56)는 수평부재(30)의 절단면 구체(55)와 수직부재(40)의 절단면 구체(56)의 2개로 이루어지며, 이들 절단면 구체(56)는 동일한 원호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서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팅 유닛은 폰툰(10, 도 1 참조)과 연결부(11, 도 1 참조), 컬럼(12, 도 1 참조), 컬럼 상면에 지지되는 데크 박스(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폰툰(10)과 연결부(11), 데크 박스 등의 수평부재(30)에는 수직부재(40)가 위치되는 지점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면(31)을 형성하고, 이와 함께 원호면(32)을 형성한다.
절단면(31)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함과 함께 수평부재(30)의 폭 방향으로도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한다.
상기 수직부재(40)의 저면에는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 및 원호면(32)과 동일한 크기로 절단면(41) 및 원호면(42)을 형성하며, 이때 절단면(41)과 원호면(42)은 수평부재(30)의 절단면(31) 및 원호면(3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면(31, 41) 과 원호면(32, 42)은 설계 조건에 따라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절단면(31, 41) 과 원호면(32, 42)은 설계 조건에 따라 기 절단된 절단면(31, 41)과 원호면(32, 42)을 보다 더 큰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즉, 설계 변경에 따라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면, 하중에 의한 응력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절단면(31, 41) 및 원호면(32, 42)을 더 크게 확장되도록 추가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의 절단면(31, 41)과 원호면(32, 42)을 폐쇄시키는 마감판(50)을 마련한다.
마감판(50)은 원호면(32, 42)에 고정되는 원호판(51), 절단면(31, 41)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판(52) 및 절단면(32, 42)에 고정되는 측판(5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감판(50)은 설계 변경에 따라 변경된 절단면(31, 41) 및 원호면(32, 42)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절단면(31, 41)과 원호면(32, 42)이 변경되면, 이들 크기에 적합하도록 곧바로 다른 크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판(50)은 절단면(31, 41) 및 원호면(32, 42)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마감판(50)에 의해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 및 마감판(50)은 모두 강판(steel plate)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스팅에 의한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설계 변경에 따른 조건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30) 및 수직부재(40)에 고정되는 마감판(50)은 원호면(32, 42)에 대응되는 원호 구체(55)와 절단면(31, 41)에 각각 대응되는 절단면 구체(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호면(32, 42)에는 절단면 구체(56)에 비하여 비교적 큰 크기로 이루어진 원호 구체(55)를 고정하며, 절단면(31, 41)에는 원호 구체(55)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절단면 구체(56)를 고정한다.
이들 구체는 절단면(31, 41)과 원호면(32, 42)를 일체로 감싸는 하나의 구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유닛은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의 연결 부위 중에서 이들 부재(30, 4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고, 연결 부위에 마감판(50)을 용접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가 연결되는 꼭지점(또는 교차점) 부분에 원호판(51) 또는 구체(55, 56)으로 된 마감판(50)을 고정함으로써 하중 또는 운동 등에 따른 응력이 마감판(50)의 원호판(51) 또는 구체(55, 56)에 의해 분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30)와 수직부재(40)가 만나는 꼭지점 부분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지만, 응력은 원호 형상을 갖는 원호판(51) 또는 구체(55, 56)의 표면을 따라 분산된다.
도 3과 도 7의 응력 분포를 비교하여 보면, 종래의 플로팅 유닛의 꼭지점에는 하중에 따른 응력이 집중되지만, 마감판(50)이 고정된 플로팅 유닛의 꼭지점에는 하중에 따른 응력이 원호판(51)을 따라 길게 분산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0: 수평부재 31: 절단면
32: 원호면 40: 수직부재
41: 절단면 42: 원호면
50: 마감판 51: 원호판
52: 측면판 53: 측판
55: 원호 구체 56: 절단면 구체

Claims (5)

  1.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평부재,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단된 절단면을 갖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마감되어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의 원호 길이는 상기 절단면 길이의 1.5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판,
    상기 원호판과 동일한 원호를 가지면서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과 동일하게 마감되는 측면판,
    상기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절단면에 마감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KR1020140080181A 2014-06-27 2014-06-27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KR10215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181A KR102155719B1 (ko) 2014-06-27 2014-06-27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181A KR102155719B1 (ko) 2014-06-27 2014-06-27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1A true KR20160001511A (ko) 2016-01-06
KR102155719B1 KR102155719B1 (ko) 2020-09-15

Family

ID=5516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181A KR102155719B1 (ko) 2014-06-27 2014-06-27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368A (ko) * 2017-10-20 2019-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괴 인성이 개선된 각형 구조체와 제조 방법 및 각형 압력 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489A (ja) * 1997-11-13 1999-07-27 Kawasaki Steel Corp 接合金物付鋼管柱および環状接合金物
KR20100034841A (ko) 2008-09-25 2010-04-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선박의 하부 호퍼 구조
JP4580220B2 (ja) * 2004-11-24 2010-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継手溶接部の疲労性能向上構造及び疲労性能向上方法
KR20130002715A (ko)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강구조물 모서리부 응력집중 완화 부가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489A (ja) * 1997-11-13 1999-07-27 Kawasaki Steel Corp 接合金物付鋼管柱および環状接合金物
JP4580220B2 (ja) * 2004-11-24 2010-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継手溶接部の疲労性能向上構造及び疲労性能向上方法
KR20100034841A (ko) 2008-09-25 2010-04-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선박의 하부 호퍼 구조
KR20130002715A (ko)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강구조물 모서리부 응력집중 완화 부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368A (ko) * 2017-10-20 2019-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괴 인성이 개선된 각형 구조체와 제조 방법 및 각형 압력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19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2085B1 (en) Platform structure
CN108883815B (zh) 具有空隙空间的船舶货舱
Kyoung et al. Low motion semisubmersible hull for dry tree application
KR20160001511A (ko)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KR101403619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US7503728B2 (en) Stabilized floating support
CN204473084U (zh) 连接结构、具有该连接结构的立柱及半潜式平台
CN205773006U (zh) 系泊绞车基座及系泊绞车
KR20090006891U (ko) 선체 내부에 라이저 보호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Mansour et al. Novel Dry-Tree Semisubmersible Solutions for Deepwater Marginal Field Development
KR20150120731A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593977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50015960A (ko) 트리플 폰툰을 가지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KR102138915B1 (ko) 라이저 인스텔레이션용 리프팅 지그
KR20150012437A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해양 구조물
KR20130034520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40006359U (ko)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Ivanov et al. Design Considerations on Semi-Submersible Columns and Pontoons for Floating Wind
CN113602437B (zh) 分体式大型海上作业平台结构
KR101488871B1 (ko) 선박
KR20120045858A (ko) 극지용 시추선
KR102234535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50002494U (ko) 해양 구조물의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