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06U -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 Google Patents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06U
KR20160001506U KR2020140007897U KR20140007897U KR20160001506U KR 20160001506 U KR20160001506 U KR 20160001506U KR 2020140007897 U KR2020140007897 U KR 2020140007897U KR 20140007897 U KR20140007897 U KR 20140007897U KR 20160001506 U KR20160001506 U KR 20160001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ofa
hooking
dining tab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순원
Original Assignee
양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원 filed Critical 양순원
Priority to KR2020140007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506U/en
Publication of KR20160001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0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5Children's chairs with tray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5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에 관한 것으로, 유아가 앉는 좌대의 양측에 팔걸이가 구비된 쇼파에 식탁이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상기 쇼파는 팔걸이의 상단부가 수평하게 안착면을 형성하고, 팔걸이의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걸이봉을 형성하며, 상기 식탁은 판재의 하측으로 팔걸이의 외부 측벽과 밀착되게 걸이바를 형성하고, 걸이바가 판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 걸이봉의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이홈을 형성하여 식탁을 쇼파에 걸어서 간단하게 조립하거나, 식탁을 들어올려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쇼파를 목재로 제작함에도 불구하고 식탁을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철물이 필요치 않도록 하여 쇼파의 본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식탁을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a which can be us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dining table to a sofa having an armrest on both sides of a seat on which an infant sits, And a hook bar protruding from an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wherein the dining table forms a hook ba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and the hook bar protrudes rearward from the plate, A hook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ooking rods so that the dining table can be easily assembled by hanging it on the sofa or the dining table can be easily lifted up to separate the sofa, So that the table is not easily damaged without harming the original beauty of the sofa. So that they can be used.

Description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An infant sofa having an attachable table,

본 고안은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팔받침대가 구비되는 쇼파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팔받침대에 식탁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a which can be us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dining table. In general, it is used as a sofa provided with an arm support, and the dining table can be mounted on an arm support as needed.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는 테이블에서 공부나 놀이를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단순히 의자의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유아에게 밥을 먹이거나 간식을 줄 때 성인식탁이나 테이블에 앉혀서 식사를 하도록 하는 마땅한 방안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의자로 사용함과 동시에 식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식탁의자가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baby chair is used for studying or playing at a table. In the past, the chair functioned merely as a chair. However, when the baby is fed or snacked, it is desirable that the baby sit on an adult table or table Since there is no such table, chairs that can be used as chairs and dining tables are mainly used.

한편, 최근에는 유아용 제품들이 점차 다양화되고 발전함에 따라서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용도뿐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책을 읽거나 하는 등의 목적으로 좌대 및 등받이에 쿠션을 장착한 유아용 쇼파가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baby product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and developed, not only the use for the table but also the baby sofa having the cushion on the seat and the back for the purpose of reading comfortably in the sitting state and reading books Has been proposed.

그런데 유아용 쇼파는 고급제품군에 속하므로 디자인적인 미감이 매우 중요하고, 고급 목재를 가공하여 조립하여 제작하므로 안락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도 일반적인 유아용 의자에 비해서 현저히 비싼 경우가 많다.However, because the baby sofa is in the high-end product group,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design is aesthetically pleasing. It is made by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high-quality wood, so that comfort is felt and the price i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a common baby chair There are many.

그런데 이러한 고급제품군에 속하는 유아용 쇼파에 식탁을 조립식 구조가 포함될 경우 미관이 저해되고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a dining table is assembled into a sofas of such a high quality product group, there is a problem that aesthetics are deteriorated and merchantability is deteriorated.

특히, 골격을 목재로 제작할 경우 가공할 수 있는 형태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식탁을 탈부착하는 구조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식탁의 탈부착을 위하여 철물이나 플라스틱 사출물 등의 부속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미관이 훼손되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Especially, when the frame is made of wood, the shape that can be processed is very limi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structure to detach and attach the table, and when the accessory materials such as hardware or plastic injection molding are used for detachment of the 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damaged.

한편, 종래의 식탁 겸용 의자는 식탁이 절첩 방식인 경우 유아를 앉히거나 내리기가 매우 번거롭고 식탁을 절첩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손이 끼거나 하는 등의 부상의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able and chairs, when the dining table is folded, it is very cumbersome to seat or lower the infant, and there is a fear of injury such as the infant's hand being caught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table.

그리고 식탁을 탈부착하는 구조는 식탁의 조립위치가 특정되므로 유아가 성장에 맞춰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식탁의 조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조립구조상 식탁이 체결되는 부분에서 조립되는 위치와 조립하는 구조가 모두 외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육안으로 조립위치를 확인하면서 조립하기가 어렵고 대략적으로 가늠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is specif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can not be continuous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adjus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has been proposed.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assemble while confirming the assembly position with the naked eye because the assembling position and the assembling structure are not visible to the outside at the portion where the table is fastened.

KR 200433654 Y1KR 200433654 Y1 KR 1020120068903 AKR 1020120068903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쇼파의 골격을 목재로 제작함에도 불구하고 쇼파의 본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식탁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식탁이 탈부착되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쇼파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쇼파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dining table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sofa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or separated without harming the beauty of the sofa.

또한, 식탁의 체결부분이 유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식탁을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적합한 위치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탁의 조립위치를 보호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면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table can be positioned outside the child's hand, and the table can be assembled at a suitable position to match the body shape of the infant, and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can be easily confirmed by the naked eye There is another purpose in allowing the user to mount and dismou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유아가 앉는 좌대의 양측에 팔걸이가 구비된 쇼파에 식탁이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상기 쇼파는 팔걸이의 상단부가 수평하게 안착면을 형성하고, 팔걸이의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걸이봉을 형성하며, 상기 식탁은 판재의 하측으로 팔걸이의 외부 측벽과 밀착되게 걸이바를 형성하고, 걸이바가 판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 걸이봉의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이홈을 형성하여 식탁을 쇼파에 걸어서 간단하게 조립하거나, 식탁을 들어올려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fa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ofa having an armrest on both sides of a seat on which an infant sits, and the sofa has a seating surface with an upper end of the armrest horizontally, A hook bar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and the dining table forms a hook bar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member, and the hook bar protrudes rearward from the plate, It is possible to form the hooking groov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rod so that the table can be easily assembled by hanging it on the couch, or the table can be easily lifted and lifted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식탁에 형성되는 걸이봉을 복수로 구성하고, 그 걸이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식탁의 걸이바에는 안내홈을 마련하여 식탁의 조립위치를 유아의 성장발육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ok rods formed on the table are provided, and guide grooves are provided on the hook bars of the table so that the hook rods can be received, so that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table ar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infant Another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본 고안의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에 의하면, 고급제품군인 쇼파의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하면서도 팔걸이 부분에 식탁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활용도를 높이고 상품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by sofa which can be us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dining table on the armrest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beauty of the sofa, which is a high-quality product group.

또한, 식탁의 탈부착구조가 간단하므로 식탁을 쉽게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식탁이 거치된 상태에서 목재로 이루어진 쇼파의 팔걸이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쇼파와 식탁이 좌,우 측면으로 전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에서 취식이 가능하므로 유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을 흘리거나 쏟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table is simple, the table can be easily mounted or detached, so that it is very easy to use, and it is firmly supported by the wooden armrest of the sofa when the table is fixed. It is possible to eat in a stable posture without flowing at al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of the infant and preventing the shedding or pouring of the food in advance.

또한, 식탁의 체결부분이 유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외부에 위치하므로 식탁을 쇼파의 팔걸이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손가락 끼임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아의 성장상태나 발육상태에 따라서 보호자가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적합하게 식탁의 조립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table is located outside the reach of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such as fingers and the like when the table is assembled or separated from the armrest of the sofa, and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r development state of the infan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can be set appropriately while visually confirming the jointed part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convenient to use.

도 1은 본 고안의 쇼파와 식탁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쇼파와 식탁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식탁이 쇼파에 안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식탁의 체결순서를 나타낸 조립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쇼파와 식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 sofa and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ofa an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where the table of Fig. 3 is seated on a couch
Fig. 5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a fastening procedure of the table of Fig. 3
6 to 8 are side views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ofa and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가 앉는 좌대(110)의 양측에 팔걸이(120)가 구비된 쇼파(100)에 식탁(2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식탁(200)이 팔걸이(120) 상부에 지지되게 안착되어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kitchen table 200 is detachably assembled to a couch 100 having armrests 120 on both sides of a seat 110 on which a baby sits,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mrest 120 to be used as a dining table.

상기 쇼파(100)는 좌판(112)과 등받이(114)로 이루어지는 좌대(110)와, 그 좌대(110)의 양측에 조립된 팔걸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팔걸이(120)는 하단에 다리부(126)가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sofa 100 includes a seat 110 made of a seat plate 112 and a backrest 114 and an armrest 120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seatrest 110. The armrest 120 has a lower end The leg portion 126 may be extended and formed integrally.

상기 좌대(110)는 좌판(112)과 등받이(114)가 연결되도록 원목으로 짜여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좌판(112)과 등받이(114)에는 쿠션(116)이 장착되어 쇼파에 착석할 때 안락함을 제공하게 된다.The seat cushion 116 is attached to the seat cushion 112 and the backrest 114 so that the seat cushion 116 can be comfortably positioned when sitting on the couch. Lt; / RTI >

상기 쿠션(116)은 외피의 내측에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스폰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이 내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쿠션(116)은 좌대(1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The cushion 116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sponge or the like or a rubber or silicone having a restoring force against the compression of the cushion 116. The cushion 116 may be optional .

좌대(110)의 양 측면으로는 원목이 노출되는 구조로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좌대(110)의 양 측면에 노출되는 원목과 쿠션(116)의 경계부에는 마감부재(118)를 장착하여 경계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미감을 향상시키고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ood is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bed 110. The closing member 118 is attach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wood and the cushion 116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bed 1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and give the ornamental property while preventing the artic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좌대(110)의 양 측면에 조립되는 팔걸이(120)는 상단부가 수평하게 안착면(122)을 형성하고, 팔걸이(120)의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걸이봉(124)을 형성하며, 상기 식탁(200)은 판재(210)의 하측으로 팔걸이(120)의 외부 측벽과 밀착되게 걸이바(220)를 형성하고, 걸이바(220)가 판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 걸이봉(12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이홈(224)을 형성하면 걸이바(220)를 걸이봉(124)에 걸친 후 판재(210)를 팔걸이(120) 상면에 안착시켜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armrest 120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armrest 110 forms a seating surface 122 with a top end horizontally and a hook rod 124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120, 20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while the hooking bar 220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120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210, When the hooking bar 220 is hooked on the hooking bar 124 and the plate 2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120 so that the hooking bar 220 can be used as a table do.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200)을 쇼파(100)의 팔걸이에 걸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리할 경우에도 판재(210)의 전방을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식탁(20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5, the dining table 200 can be easily used by hanging it on the armrest of the couch 100. When the front of the plate 210 is lifted,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이때, 상기 팔걸이(120)는 하단에 다리부(126)가 연장 형성되어 식탁(200)이 팔걸이(120)에 걸쳐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식탁(200)의 걸이바(220)에 의하여 팔걸이(120)의 외측을 지지하게 되므로 다리부(126)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4, when the dining table 200 is assembled over the armrest 120, the hanging bar 220 of the dining table 200 is rotated by the legs 126. At this time, So that the leg portion 126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moved because it supports the outside of the armrest 120.

따라서 식탁(200)을 팔걸이(120)에 걸쳐 고정한 상태에서 팔걸이(120) 및 다리부(126)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식탁(200)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도 3과 같이 식탁(200)의 걸이홈(224)이 팔걸이(120)의 걸이봉(124)에 지지되므로 식탁(200)이 전,후방으로도 유동되지 않게 되며, 식탁(200)이 어느 방향으로든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유아가 쇼파에 앉은 상태에서 식탁에 음식물을 놓고 안정적으로 취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armrest 120 and the leg portion 126 is restricted by fixing the dining table 200 across the armrest 120, so that the dining table 200 is prevented from flowing left and r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table 200 is not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table 200 is not moved in any direction because the hooking grooves 224 of the table 200 are supported by the hooking rods 124 of the armrests 120, While sitting on the couch, you can place food on the table and eat it steadily.

이때, 상기 식탁(200)의 판재(210)는 유아의 복부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내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aterial 210 of the table 200 is inwardly inserted so as to cover the abdomen portion of the infant.

한편, 상기 팔걸이(120)의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봉(124)은 두 개 이상의 복수로 구성하면 유아의 체형에 따라서 식탁(200)의 조립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The hooking rods 124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walls of the armrests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wo or more pieces to se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200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child.

이때, 복수로 구성되는 걸이봉(124)은 모두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식탁(200)의 걸이바(220)에는 식탁(200)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때 걸이봉(12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홈(22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hook bar 220 of the dining tab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hook bar 124 when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table 200 is chang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guide groove 226 to accommodate the guide groove 226.

또한, 상기 복수의 걸이봉(124)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하면 식탁(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걸이봉(124)의 높낮이를 가장 낮게 구성하고, 전방으로 점차 높낮이가 높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발육에 따라서 식탁을 게재할 경우 식탁 높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7,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ining table 200, and most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hook rods 124) is set to be the lowest, and the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forward, so that the height of the dining table can be varied when the dining table is placed according to the body development.

이때, 상기 걸이바(220)의 안내홈(226)은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이봉(124)을 안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깊이로 내입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s 226 of the hooking bar 2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epths so that the hooking rods 124 having different elevations can be seated.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바(220)는 안내홈(226)에 체결홈(228)을 형성하면 팔걸이(120)의 걸이봉(124)을 끼워 슬라이드 조립함으로써 식탁(200)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8, when the hooking bar 2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228 in the guide groove 226, the fastening groove 228 of the hooking bar 220 is slidably assembled with the hooking bar 124 of the armrest 12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prevent lifting.

이때, 상기 체결홈(228)은 안내홈(226)의 후방으로 내입되게 형성함으로써 식탁(200)을 쇼파(100)에 거치한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식탁이 체결되어 들어올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식탁(2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탁(200)을 후방으로 밀어서 들어올림으로써 식탁(20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간단하게 탈부착이 이루어짐은 물론, 유아가 취식중에 식탁이 들어올려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취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ning table 200 is mounted on the couch 100 and then pulled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of the dining table 200, 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table 200, the table 200 can be separated by pushing back the table 200 by lifting the table 200 backwardly. Therefore, not only can the detachment and attachment be easily performed, You will be able to eat.

100: 쇼파
110: 좌대 112: 좌판
114: 등받이 116: 쿠션
120: 팔걸이 122: 안착면
124: 걸이봉 126: 다리부
200: 식탁
210: 판재
220: 걸이바 224: 걸이홈
226: 안내홈 228: 체결홈
100: Sofa
110: seat 112: seat
114: backrest 116: cushion
120: armrest 122: seat face
124: hook rods 126: legs
200: Dining table
210: plate
220: Hook Bar 224: Hook Home
226: guide groove 228: fastening groove

Claims (5)

유아가 앉는 좌대(110)의 양측에 팔걸이(120)가 구비된 쇼파(100)에 식탁(2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쇼파(100)는 팔걸이(120)의 상단부가 수평하게 안착면(122)이 형성되고, 팔걸이(120)의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걸이봉(124)이 형성되며,
상기 식탁(200)은 판재(210)의 하측으로 팔걸이(120)의 외부 측벽과 밀착되게 걸이바(220)가 형성되고, 걸이바(220)는 판재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그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 걸이봉(12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이홈(224)이 형성되어
식탁을 쇼파에 간단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
A table 200 is detachably assembled to a sofa 100 provided with armrests 120 on both sides of a seat 110 on which an infant sits,
The couch 100 has a seating surface 12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rmrest 120 horizontally and a hook bar 124 protruding from an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120,
The dining table 200 is formed with a hook bar 2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wall of the armrest 120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210. The hook bar 220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plate, A hooking groove 22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ing rod 124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ooking rod 124
A sofa which can be us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dining tabl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or separated from a dining 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10)는 좌판(112)과 등받이(114)로 이루어지고, 좌판(112)과 등받이(114)에는 쿠션(116)이 장착되며,
상기 팔걸이(120)는 하단에 다리부(126)가 연장 형성되어 식탁(200)이 팔걸이(120)에 걸쳐 조립된 상태에서 다리부(126)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
The cushion (116)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110) comprises a seat (112) and a backrest (114)
The armrest 1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rmrest 120 by a leg 12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rmrest 120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eg 126 when the dining table 200 is assembled over the armrest 120 Infant sofa that can 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20)는 외부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봉(124)이 복수로 이루어지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걸이바(220)는 식탁(200)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때 걸이봉(12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홈(2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mrests (120) have a plurality of hook bars (124) protruding from outer side walls,
Wherein the hook bar 22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226 for receiving the hook bar 124 when the table 200 is changed in its assembling posi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이봉(124)은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식탁(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걸이바(220)의 안내홈(226)은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이봉(124)을 안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깊이로 내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hooking rods (124)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elevations so that the height of the table (200)
The guiding groove (226) of the hooking bar (220)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6) of the hooking bar (220) at different depths so that the hooking rods (124) formed to have different elevations can be seated.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바(220)는 팔걸이(120)의 걸이봉(124)이 끼워져 슬라이드 조립되어 식탁(200)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홈(22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탁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쇼파.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hooking bar (220)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228) for preventing the lifting of the table (200) by sliding the hooking rod (124) of the armrest Wherein the tab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able.
KR2020140007897U 2014-10-30 2014-10-30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KR2016000150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97U KR20160001506U (en) 2014-10-30 2014-10-30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97U KR20160001506U (en) 2014-10-30 2014-10-30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06U true KR20160001506U (en) 2016-05-11

Family

ID=5602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97U KR20160001506U (en) 2014-10-30 2014-10-30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0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3533B2 (en) Children's chair
KR101396857B1 (en) Baby chairs for table use with amusement function
KR101018729B1 (en) A multi-functional chair
KR20160001506U (en) infant sofa having attachable table
CN207979388U (en) Novel children seat
GB2440113A (en) Headboard with arm rest
US20070257532A1 (en) Chair with interchangeable upholstery
US8613484B2 (en) Detachable chair
KR200430639Y1 (en) A chair can be separated the leg
KR200440799Y1 (en) A sofa with backplate
CN206453579U (en) A kind of sofa with sliding support plate
KR100714394B1 (en) Connected table, folding and unfolding type of railing chair
US20050269849A1 (en) Baby couch seat
US20100186160A1 (en) Child shampooing lounger
CN211298870U (en) Telescopic safe dual-purpose tea table for children
CN206137641U (en) Take two -seated integral type table chair
CN213962656U (en) Multi-stage height-adjustable child dining chair
KR200377422Y1 (en) Head supporter for chair
US20230355006A1 (en) Sit-to-stand convertible highchair
KR101263344B1 (en) Cushion for desk
KR20120011203A (en) Foldable chair for bath
KR200334531Y1 (en) A chair that contain a desk can easily move
KR20240028636A (en) sedentary type body supporting fixture in which pillow is included
US20100175180A1 (en) Child shampoo lounger
US2177309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