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05U - 화장용 퍼프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05U
KR20160001405U KR2020140007583U KR20140007583U KR20160001405U KR 20160001405 U KR20160001405 U KR 20160001405U KR 2020140007583 U KR2020140007583 U KR 2020140007583U KR 20140007583 U KR20140007583 U KR 20140007583U KR 20160001405 U KR20160001405 U KR 20160001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inge
case
upper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욱
Original Assignee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405U/ko
Publication of KR2016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과, 퍼프의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재가 구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유출 방지부재가 삽입되는 하부 수용홈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힌지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 및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힌지부와, 상기 회전 힌지부에 결합되어 이 회전 힌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축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 힌지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용기{cosmetic puff case}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용 퍼프용기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퍼프용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한편, 뚜껑과 본체 간의 개폐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퍼프용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 퍼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내용물의 품질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담는 용기 디자인도 화장품을 선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화장품 제조사는 새로운 화장품의 품질 개량을 포함하여 기존의 화장품 용기와 비교되고 기능 및 디자인적으로 개량된 용기의 개발도 중요한 품질 관리의 하나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의 특성이 상시 이용이 가능한 점과 이에 따라 휴대하기 적합한 모양과 디자인을 갖추어야 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팩트 케이스는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그리고 디자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종래의 팩트 케이스는 뚜껑이 힌지로 열리도록 되어 있으며 반대편에는 푸쉬버튼을 장치하여 그 푸쉬버튼 작동으로 뚜껑이 힌지를 중심으로 여닫히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통상적인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58647호에 기재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2)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는 케이스 본체(11)의 상방 일측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화장도구수용체(13)를 갖는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10)에 있어서,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화장도구수용체(13)와 접하는 케이스본체(11)의 면에, 덮개(12)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지연시키는 완충지지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다른 예로서, 공고실용 20-1994-0004042호인 콤팩트 용기 개폐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부케이스에는 단부가 화살과 같은 형상을 가진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에는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체로 구성된 고정봉이 콤팩트 용기의 고정홈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봉의 양단부는 일체로 되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들은 콤팩트 용기의 개폐가 좀 더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용기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콤팩트 용기가 지닌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는 힌지에 의해서 화장도구 수용체를 결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화장도구 수용체를 단순히 개폐하는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화장도구 수용체의 하부에 존재하는 화장용품의 기밀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종래 콤팩트 용기는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콤팩트 용기의 생산단가가 올라가게 됨으로써 화장품의 가격 상승을 유발시켜 소비자들로 하여금 화장품의 구입비용에 많은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647호
(실용신안 문헌 2) 공고실용신안 제20-1994-0004042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용기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퍼프용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한편, 뚜껑과 본체 간의 개폐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퍼프용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 퍼프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과, 퍼프의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재가 구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유출 방지부재가 삽입되는 하부 수용홈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힌지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 및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힌지부와, 상기 회전 힌지부에 결합되어 이 회전 힌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축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 힌지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구성되며, 일면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개폐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지지수단의 지지돌기와 접촉되도록 만곡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홀에는 상기 탄성체가 고정되어 개폐 지지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지지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 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 힌지부에는 외주 일면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전방부측에는 내부 수용홈의 밀폐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고정홈 및 고정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의 상부 및 하부가 수용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구성된 회전 힌지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을 지지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상태에 따라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회전 가이드부재; 하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 브라켓;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되며, 하단이 개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가 삽입 및 이탈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고정패널과의 분리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된 가이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삽입, 또는 이탈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용 퍼프용기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퍼프용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한편, 뚜껑과 본체 간의 개폐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퍼프용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용 콤팩트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용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용기는 화장용 퍼프의 상부면이 수용되는 상부 케이스(110)와, 화장용 퍼프의 하부면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210)가 개폐장치(3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110)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화장용 퍼프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에는 후술할 하부 케이스(210)에 형성된 하부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210) 사이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는 소정의 틈을 밀폐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용 퍼프의 화장액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재(120)가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에는 후술할 개폐장치(310)의 회전 힌지부(320)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힌지부(320)의 작동에 따라 개폐 작동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화장용 퍼프의 인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힌지 삽입홈(114)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210)는 상부 케이스(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장용 퍼프의 하부가 수용되고, 유출 방지부재(120)가 삽입되는 하부 수용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210)의 후방측 상부에는 후술할 개폐장치(310)의 고정 힌지부(310)가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도록 하는 힌지 고정부(2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용 퍼프와 동일한 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형상 뿐만 아니라,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개폐장치(310)는 상부 케이스(110)가 하부 케이스(2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개폐장치(310)는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힌지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회전 힌지부(320)와, 회전 힌지부(320)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개폐 지지수단(360)이 구성된 힌지축(340)과, 하부 케이싱(110)에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1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고정 힌지부(330) 및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시, 힌지축(340)에 구성된 개폐 지지수단(360)에 의해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힌지부(320)는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힌지 삽입홈(114)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 작동시, 함께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소정의 회전력을 힌지축(340)으로 전달하여 힌지축(34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 힌지부(320)는 힌지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회전돌기(322)가 구성되며, 회전 힌지부(320)의 중앙으로 힌지축(340)이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시 힌지축(34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힌지부(320)는 고정 힌지부(330)의 양측 단부에 구성되어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시 안정적인 힌지축(34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힌지축(340)은 고정 힌지부(330)에 형성된 회전홀(332)을 관통하며, 그 양단이 회전 힌지부(320)에 결합되어 회전 힌지부(3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축(340)은 외주면 중앙측에 탄성체(350)를 가압하는 개폐 지지수단(360)이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 지지수단(3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면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362)가 구성되는 통상의 캠부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시, 힌지축(340)의 회전에 의해 돌출된 지지돌기(362)가 탄성체(350)를 가압하거나, 탄성체(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폐 지지수단(360)은 탄성체(350)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태, 또는 보다 용이한 폐쇄 작동 및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시, 탄성체(350)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고정 힌지부(330)는 힌지축(3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홀로 이루어지는 회전홀(332)이 형성되고, 외주 일면으로 하부 케이스(210)에 형성된 힌지 고정부(214)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패널(336)이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홀(332)의 내주에는 개폐 지지수단(360)과 접촉하면서 이 개폐 지지수단(36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0)가 구비되며, 이 탄성체(3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홈(334)이 형성된다.
탄성체(350)는 개폐 지지수단(360)측으로 만곡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개폐 지지수단(360)과 접촉하면서 이 개폐 지지수단(36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부 케이스(110)의 원활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탄성체(350)는 개폐 지지수단(360)의 위치에 따라 상부 케이스(1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 지지수단(36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상부 케이스(110)의 신속한 폐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고안은 개폐 지지수단(360)이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 작동시, 회전 힌지부(320) 및 힌지축(340)이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축(340)에 구성된 개폐 지지수단(36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돌기(362)가 탄성체(350)를 가압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 작동이 완료되면, 개폐 지지수단(360)의 지지돌기(362)는 탄성체(350)의 하부면에 위치하게 되고, 탄성체(35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개폐 지지수단(360)의 지지돌기(362)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부 케이싱(11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하부 케이스(210)의 하부 수용홈(212)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10)의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부 케이스(1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힌지부(320) 및 힌지축(340) 역시 상부 케이스(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힌지축(340)에 구성된 개폐 지지수단(360)은 지지돌기(362)가 탄성체(350)를 가압하면서 이 탄성체(350)의 상부로 회전하게 되고, 탄성체(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 지지수단(360)의 회전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상부 케이스(110)의 폐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용기의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210)의 전방부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스(110, 210)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 고정홈(132) 및 고정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용기의 개폐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부재(410), 회전 지지 브라켓(420), 고정패널(430) 및 패널 결합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 210)은 회전 힌지부(320)에 결합되는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회전 가이드부재(410)는 회전 지지 브라켓(420)에 의해 하부 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작동 여부에 따라 고정패널(430)의 내부로 삽입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가이드부재(410)는 고정패널(430)과의 분리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된 가이드홈(412)이 형성된다.
회전 지지 브라켓(420)은 하단이 하부 케이스(210)에 결합되며, 상부가 회전 가이드부재(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가이드부재(410)의 회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패널(430)은 패널 결합부(440)에 의해 상부 케이스(110)에 결합되며, 하단이 개방되게 구성되어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에 따라 회전 가이드부재(410)가 삽입 및 이탈되면서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패널(430)에는 회전 가이드부재(410)에 형성된 가이드홈(412)에 삽입, 또는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호의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돌기(432)가 가이드홈(4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폐 지지수단(36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 210)가 밀폐된 상태일 때에는 회전 가이드부재(410)가 고정패널(430)에 완전히 삽입되고, 가이드 돌기(432) 역시 가이드홈(4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시,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부재(410)가 회전 지지 브라켓(420)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패널(430)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부 케이스(110)의 폐쇄 작동시에는 고정패널(430) 및 회전 가이드부재(410)의 후방부, 즉 가이드 돌기(432) 및 가이드홈(412)과 대향되는 방향의 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후 회전 가이드부재(410)가 회전 지지 브라켓(420)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패널(430)에 완전히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용기는 그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퍼프용기의 생산단가를 절감하는 한편, 뚜껑과 본체 즉,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210) 간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퍼프용기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부 케이스 120: 유출 방지부재
210: 하부 케이스 310: 개폐장치
320: 회전 힌지부 330: 고정 힌지부
340: 힌지축 350: 탄성체
360: 개폐 지지수단 410: 회전 가이드부재
420: 회전 지지 브라켓 430: 고정패널
440: 패널 결합부

Claims (9)

  1. 화장용 퍼프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과, 퍼프의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재가 구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유출 방지부재가 삽입되는 하부 수용홈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힌지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 및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힌지부와, 상기 회전 힌지부에 결합되어 이 회전 힌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축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 힌지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구성되며, 일면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개폐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지지수단의 지지돌기와 접촉되도록 만곡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에는 상기 탄성체가 고정되어 개폐 지지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지지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힌지부에는 외주 일면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전방부측에는 내부 수용홈의 밀폐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고정홈 및 고정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7. 화장용 퍼프의 상부 및 하부가 수용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구성된 회전 힌지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작동을 지지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폐 상태에 따라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회전 가이드부재;
    하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 브라켓;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되며, 하단이 개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가 삽입 및 이탈하는 고정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고정패널과의 분리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된 가이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의 삽입, 또는 이탈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용기.

KR2020140007583U 2014-10-20 2014-10-20 화장용 퍼프용기 KR20160001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83U KR20160001405U (ko) 2014-10-20 2014-10-20 화장용 퍼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83U KR20160001405U (ko) 2014-10-20 2014-10-20 화장용 퍼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05U true KR20160001405U (ko) 2016-05-02

Family

ID=5602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83U KR20160001405U (ko) 2014-10-20 2014-10-20 화장용 퍼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40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03Y1 (ko) 2017-03-24 2018-02-23 (주)트랜서핑 화장용 퍼프 보관용기
KR101893541B1 (ko) * 2017-04-28 2018-08-31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90127031A (ko) * 2018-05-03 2019-11-13 (주) 이니스프리 외부 용기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03Y1 (ko) 2017-03-24 2018-02-23 (주)트랜서핑 화장용 퍼프 보관용기
KR101893541B1 (ko) * 2017-04-28 2018-08-31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90127031A (ko) * 2018-05-03 2019-11-13 (주) 이니스프리 외부 용기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2018509257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化粧品容器
KR101758360B1 (ko) 콤팩트 용기
KR200423018Y1 (ko) 화장품용기
KR20160001405U (ko) 화장용 퍼프용기
JP2019524332A (ja) 構造が単純で化粧料充填工程が改善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US20180317625A1 (en) Compact container for preventing remnants by rotating content container
KR200473787Y1 (ko) 화장용 이중 퍼프용기
JP202002930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190010756A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0933621B1 (ko)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KR101726355B1 (ko) 자석을 이용한 콤팩트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4472Y1 (ko) 판스프링 힌지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20152953A1 (en) Packaging device for cosmetic products
KR200492587Y1 (ko) 화장품 용기
KR102383572B1 (ko) 콤팩트 용기
KR101787340B1 (ko) 열과 자외선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콤팩트 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KR101799243B1 (ko)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EP3878771B1 (en) Bin comprising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odor
KR200473585Y1 (ko) 투명덮개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용기
KR200464717Y1 (ko) 화장품 용기
KR20130007248U (ko) 콤팩트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