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74U -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 Google Patents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74U
KR20160001274U KR2020140007342U KR20140007342U KR20160001274U KR 20160001274 U KR20160001274 U KR 20160001274U KR 2020140007342 U KR2020140007342 U KR 2020140007342U KR 20140007342 U KR20140007342 U KR 20140007342U KR 20160001274 U KR20160001274 U KR 201600012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ain body
present
opening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0683Y1 (en
Inventor
예 리우
Original Assignee
예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 리우 filed Critical 예 리우
Priority to KR2020140007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83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7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인용 등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각각에 물건이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가방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의 정면에는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for an adult such as a bag which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rticles are individually stor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an open portion, which is partially open,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손잡이로 이용 가능한 등가방{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본 고안은 성인용 등가방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가방 본체의 정면 하부 중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등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gs for adults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bag configured to open a part of a front lower portion of a bag body.

최근 대중교통의 발달로 다수의 사람이 대중교통을 즐겨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자리에 착석하거나, 착석하지 못한 경우 안전을 위해 대중교통 내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게 된다.Recently, many people enjoy public transportation by the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case of using such public transportation, in case of being seated or not seated, the handle provided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s used for safety.

이때 손잡이의 경우 성인을 기준으로 높이가 설정되어 있어, 성장중인 아동의 경우 손잡이를 잡을 수 없고 대중교통 이용시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고, 해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handle is set on the basis of an adult, so that a child who is growing can not catch a handle, and safety problems occur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a solution is required.

한편, 등가방은 과거에 등산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다양하고 많은 물품을 담을 수 있어, 현재는 일상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등가방은 어깨로 멜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다양한 소지품을 소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bag has been mainly used for climbing in the past, but it can accommodate a wide variety of goods, and is now widely used for everyday use. Such a backpack can be melted by a shoulder, which is easy to carry and has a merit that it is easy to carry various belongings.

다만, 물병, 물수건, 휴대용 티슈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의 경우 매 사용시마다 등가방에서 찾고 꺼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다수의 등가방 제작자는 보조수납부를 결합한 등가방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frequently used item such as a water bottle, a water towel, a portable tissue, etc., there was an inconvenience because it was necessary to retrieve it from the back bag every time it was used. Therefore, many lighter bag makers manufacture and sell bags by combining auxiliary storage parts.

다만 이러한 경우도 여전히 불편함이 뒤따르고 있어, 보다 간편하게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을 용이하게 빼고 넣을 수 있는 등가방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uch a case is still inconvenient, and a bag is deman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and insert an item having a higher frequency of use.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4123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20-0234123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9175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20-022917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동의 대중교통 이용시 안전을 위한 보조 손잡이로 사용되는 등가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pack for use as an auxiliary handle for safety when a child uses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을 용이하게 빼고 넣을수 있는 등가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bag in which an article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describ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각각에 물건이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가방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의 정면에는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back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space separat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body in which objects are individually stor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a bag strap connected to the other end, wherein an open portion, which is partially opened,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또한, 개방부는 아령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opening portion may be formed into a dumbbell-shaped cross section.

또한, 파지를 위하여 개방부의 내주변을 따라 구비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for gripping.

또한, 그립부는 교체를 위해 개방부의 내주변과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grip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engageable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for replacement.

또한, 본체는 개방부에 인가되는 힘에 따른 상기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opening portion.

본 고안은 아동의 대중교통 이용시 안전을 위한 보조 손잡이로 사용되는 등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This design can provide a bag for children to use as an auxiliary handle for safety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을 용이하게 빼고 넣을수 있는 등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g can be provided such that the article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easily taken out and put in.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at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at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을 착용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을 보조손잡이로 이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pack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backpack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ight side view of a backp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wearing a backpack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tate of use in which a backpack is used as an auxiliary handle in connection with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최근 대중교통의 발달로 다수의 사람이 대중교통을 즐겨 이용하고 있으며, 안전을 위해 대중교통 내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용하게 된다. 다만, 성장중인 아동의 경우 손잡이의 이용에 제한이 있고 대중교통 이용시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해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many people enjoy public transportation and use the handles provided in public transportation for safety.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use of handles in growing children, and there are safety problems i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등가방은 많은 장점을 갖지만, 물병, 물수건, 휴대용 티슈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의 경우 매 사용시마다 등가방에서 찾고 꺼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어, 보다 간편하게 사용빈도가 높은 물품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등가방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back bag has many advantages, it is inconvenient to retrieve it from the back bag every time when it is used frequently such as a water bottle, a water towel, a portable tissue, etc., And a bag is requi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be unnecessary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제안하는 손잡이로 이용 가능한 등가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g, which can be used as a handl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우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pack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and Fig. 3 is a right sid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10)은 본체(100), 가방끈(400) 및 가방손잡이(50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backpack 10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 bag strap 400, and a bag handle 500.

이때 본체(100)는 상부(110)와 하부(120)로 분리된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 합성섬유, 피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결합부재는 금속, 플라스틱, 직물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120)에 인가되는 힘에 따라 본체(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be a spac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110 and the lower portion 120, and may be composed of synthetic resin, synthetic fiber, leather, etc., and some coupling members may be composed of metal, plastic, .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to the opening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s made of synthetic resin.

그리고 상부(110)는 본체의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부(110)는 걸쇠, 지퍼 등 현재 등가방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으로 여닫고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110 is open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an object can be stored therein.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110 can be closed and fixed by any method commonly used in bags, such as a latch, a zipper, and the like.

또한, 하부(120)의 정면 일부는 개방되어 개방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개방부(200)는 본체(100)의 타단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또한 개방부(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아령형 단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120 may be opened to form the opening 200. At this time, it is proper that the opening part 200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Also, the opening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a dumbbell-shaped cross-section.

개방부(200)를 통해 등가방 하부(120)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고, 사용빈도가 높은 물건의 경우(예를 들면, 물이 담긴 PET병, 물수건, 휴대용 휴지, 간식거리등)극히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tore goods in the lower part 120 of the back bag through the opening part 200 and to use them in the case of a frequently used object (for example, a PET bottle containing water, a towel, a portable toilet, You can put it in and out.

이때 개방부(200)가 아령형 단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개방부(200) 중단의 만입된 형태로 인해 인위적으로 꺼내지 않는한 등가방 하부(120)에 수납된 물건이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하여 개방부(200)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pening 200 is formed of a dumbbell-shaped cross-section, the article stored in the lower part 120 of the back bag 120 can not be easily released unless artificially taken out due to the recessed shape of the opening part 200, 200).

한편, 개방부(200)의 내주변을 따라 그립부(300)가 구비된다. 그립부(300)는 개방부(200)를 사용자가 보조손잡이로 이용하는 경우 파지를 용이하게 하며, 소정 두께 및 높이로 구성된다. 또한, 그립부(300)는 개방부(200)의 내주변과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그립부(300)는 다양한 색이 구비될 수 있음 자명하다. 또한 그립부(30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ip portion 300 is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200. The grip portion 300 facilitates gripping when the user uses the opening portion 200 as an auxiliary handle, and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Further, the grip portion 3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engageable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200 and can be replaced. At this time, it is apparent that the grip part 3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lors. Also, the grip part 3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한편, 가방끈(400)은 본체(100)의 일단에서 본체(100)의 타단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가방을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가방끈(400)은 기존의 공지된 가방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bag strap 4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bag strap 400 is formed of one or more pieces and allows the user to carry the bag. The bag strap 4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 known bag strap.

한편, 가방손잡이(500)는 본체(100)의 일단에 위치되고, 한 개 이상 구비되며, 등가방을 손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g handles 500 are locat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and are provided to easily move the back bag by hand.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10)을 착용한 사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10)을 보조손잡이로 이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FIG. 4 is a photograph of a user wearing the backpack 10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ing the backpack 10 as an auxiliary handle in connection with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등가방(10)은 성인이 착용함이 바람직하며, 대중교통에서 성인이 대중교통의 손잡이를 잡고, 성장중인 아이들이 등가방의 그립부(300)를 잡는 방법을 통해 보조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it is desirable that an adult wears the backpack 10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ult transportation, an adult catches the handle of public transportation, 300) can be used as an auxiliary handle.

상기와 같은 등가방을 통해, 아동의 대중교통 이용시 안전을 위한 보조 손잡이로 사용되는 등가방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이 빈번한 물품을 용이하게 넣고 꺼낼수 있는 등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The bag can be used as an auxiliary handle for safety when a child uses public transportation through the back bag, and the bag can be easily put in and taken out, and the bag can be provided.

10 : 등가방,
20 : 사용자,
30 : 아동,
100 : 본체,
110 : 본체 상부,
120 : 본체 하부,
200 : 개방부,
300 : 그립부,
400 : 가방끈,
500 : 가방손잡이.
10: Backpack,
20: user,
30: Children,
100: main body,
110: upper body,
120: Lower part of main body,
200: opening part,
300: grip portion,
400: Bag strap,
500: Handle of the bag.

Claims (5)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각각에 물건이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가방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의 정면에는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가방.
A bod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body being individually hous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respectively; And
And a bag strap connecte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an opening portion, which is partially opened,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아령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in a dumbbell-shaped cross-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지를 위하여 상기 개방부의 내주변을 따라 구비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가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grip portion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for gripp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교체를 위해 상기 개방부의 내주변과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가방.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grip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engageable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for replac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개방부에 인가되는 힘에 따른 상기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synthetic resin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force applied to the opening portion.
KR2020140007342U 2014-10-08 2014-10-08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KR2004806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42U KR200480683Y1 (en) 2014-10-08 2014-10-08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42U KR200480683Y1 (en) 2014-10-08 2014-10-08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74U true KR20160001274U (en) 2016-04-18
KR200480683Y1 KR200480683Y1 (en) 2016-06-23

Family

ID=559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42U KR200480683Y1 (en) 2014-10-08 2014-10-08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83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181A (en) * 1989-11-10 1991-07-02 J S K:Kk Reader for optical read card
KR200229175Y1 (en) 2001-01-10 2001-07-19 김홍열 Bag by transparency synthetic resin producted
KR200234123Y1 (en) 2001-02-15 2001-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Rucksack
KR20120085584A (en) * 2011-01-24 2012-08-01 맹주한 Shopping bag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81B2 (en) * 1991-02-19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Semiconductor las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181A (en) * 1989-11-10 1991-07-02 J S K:Kk Reader for optical read card
KR200229175Y1 (en) 2001-01-10 2001-07-19 김홍열 Bag by transparency synthetic resin producted
KR200234123Y1 (en) 2001-02-15 2001-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Rucksack
KR20120085584A (en) * 2011-01-24 2012-08-01 맹주한 Shopping bag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83Y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7576S1 (en) Bag
USD804959S1 (en) Bag with compartments
USD824172S1 (en) Handbag
US10076170B2 (en) Children's zipper pull
USD822427S1 (en) Lid with a loop-shaped handle
USD583559S1 (en) Handbag
USD833736S1 (en) Baby changing bag
USD812898S1 (en) Bag
USD655583S1 (en) Lunch purse
CA148296S (en) Combined drink bottle and lid with lockable push button
USD773773S1 (en) Scarf
USD775823S1 (en) Handbag
USD703954S1 (en) Bag organizer
USD791680S1 (en) Motorcycle bag
USD922764S1 (en) Handbag
USD807033S1 (en) Display tote bag
USD793206S1 (en) Foldable bicycle lock
KR200480683Y1 (en) Back pack which can be used as a strap
USD547945S1 (en) Handbag
KR200474326Y1 (en) Switchable Bag
USD877502S1 (en) Satchel handbag
USD806516S1 (en) Locking and closing device
USD627159S1 (en) Handbag
USD798601S1 (en) Linked locket strap for a handbag
USD784823S1 (en) Pouch bag with a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