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50U -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50U
KR20160000950U KR2020140006716U KR20140006716U KR20160000950U KR 20160000950 U KR20160000950 U KR 20160000950U KR 2020140006716 U KR2020140006716 U KR 2020140006716U KR 20140006716 U KR20140006716 U KR 20140006716U KR 20160000950 U KR20160000950 U KR 20160000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portion
reinforcing bar
legs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원
Original Assignee
정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원 filed Critical 정석원
Priority to KR2020140006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950U/ko
Publication of KR20160000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의 일부를 구성하고,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1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1몸체, 상기 테이블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2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1다리부 및 상기 제2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2다리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Portable folding 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와 몸체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족 단위로 캠핑 등의 야외 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캠핑 또는 야영시 식사용 테이블의 이동 간소화가 시장의 핵심 기술로서 취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테이블은 상판과 다리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의 테이블로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은 운반 및 취급시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운반 비용이 증대되고, 운반 및 취급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테이블은 상판이 원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테이블에 화로대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화로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화로대가 상기 테이블과 떨어진 곳에 설치되므로 상기 화로대에서 조리된 음식을 다시 테이블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캠핑용 테이블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5374호(특허문헌 1)는 캠핑이나 야외 활동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다리를 접철하거나 펼칠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특허문헌 1에 따른 테이블은, 부피를 가장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 몸체의 공간 축소 기술이 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의 운반 및 취급의 불편함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부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지면에 대한 지지력이 약한 구조를 가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캠핑용 테이블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11839호(특허문헌 2)는 여러 개의 상판이 조립되어 하나의 테이블로 완성되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특허문헌 2에 따른 테이블은, 사용시 여러 개의 테이블 상판과 네 개의 다리를 모두 조립해야 사용이 가능하므로 실제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상판과 다리의 조립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테이블의 활용이 어려워지고, 이동시 복수의 구성이 모두 분해된 상태이므로 각각의 구성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5374호(2012. 07. 2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11839호(2009. 11. 23. 공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캠핑 또는 야외 활동시 간편하게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테이블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이블의 일부를 구성하고,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1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1몸체, 상기 테이블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2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1다리부 및 상기 제2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2다리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다리가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복수의 몸체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복수의 몸체 중 일 몸체가 중앙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복수의 몸체 중 다른 몸체 방향으로 접히므로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다리부가 안착되는 안착영역이 형성되므로 상기 테이블의 운반 또는 보관시 상기 다리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에는 복수의 장 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 공에 보조 받침대가 결합하므로, 테이블의 사용시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테이블의 상판 이외에도 상기 보조 받침대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보강대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보조 받침대를 제외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실제 사용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가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몸체의 안착영역에 안착된 상태를 테이블의 상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상기 다리부가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몸체의 안착영역에 안착된 상태를 테이블의 하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가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몸체의 안착영역에 안착된 상태를 테이블의 하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몸체가 중앙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보조 받침대를 제외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4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실제 사용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은 상면을 형성하는 몸체(10, 20)와, 상기 몸체(10, 20)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리부(30, 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는 제1다리부(30)와 제2다리부(40)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볼 때, 상기 접이식 테이블(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1다리부(30)는 좌측에 도시되고, 상기 제2몸체(20)와 상기 제2다리부(40)는 우측에 도시되며, 상기 제1몸체(10) 및 상기 제1다리부(30)는 상기 제2몸체(20) 및 상기 제2다리부(40)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몸체(10) 및 상기 제1다리부(3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몸체(20) 및 상기 제2다리부(40)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2몸체(20)의 하부 공간에는 화로가 설치되므로,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2몸체(20)의 중앙은 비어있는 공간인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15)는 상기 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지지부(15)는 화로에서 생성되는 불길을 모아주고, 재와 같은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가이드 판(80)이 걸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판(80)에는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판(81)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판(81)이 상기 가이드 판(80)과 걸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판(8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판(80)의 중앙은 비어있는 공간인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몸체(20)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부(25)가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가이드 판(80)이 상기 제2지지부(25)에 걸림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 판(80)의 개수 또는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5)와 제2지지부(25)에는 테이블의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는 덮개(70)가 안착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지지부(25)에는 상기 가이드 판(80)이 걸림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판(80) 위에 덮개(70)가 안착되어 테이블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70)는 식사 공간 등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면이 평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1다리부(30)는 제1리벳(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다리부(30)는 상기 제1몸체(10)에 대해 상기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다리부(40)는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제2리벳(5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몸체의 하면(11)에는,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상기 제1몸체(10)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다리부(30)를 수용하는 공간인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은 상기 제1몸체의 하면(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몸체(10)의 상측 방향으로 함몰된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1)은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1)의 운반 또는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테이블의 전체적인 부피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다리부의 하면(21)은 상기 제2다리부(40)가 수용되는 제2 다리부 안착영역(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다리부(40)은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제2리벳(5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부(30)는 상기 제1몸체(10)의 폭 방향 양단에 한 쌍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10)의 폭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제1리벳(51)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다리부(30)는 상기 한 쌍의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다리부(30)의 하단은 제1보강대(3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보강대(35)는 상기 한 쌍의 제1다리부(30)가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다리부(3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보강대(35)와 상기 제1다리부(3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보강대와 상기 제1다리부(30)의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다리부(40)도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다리부(40)의 하단에는 제2보강대(45)가 결합한다.
상기 제1다리부(30)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 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장 공(31)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장 공(31)이 하나의 제1다리부(30)를 기준으로 세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장 공(31)의 개수는 제조 방식 또는 제조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장 공(31)에는 보조 받침대(60)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받침대(60)의 말단부에는 상기 장 공(31)을 관통하는 체결 고리(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1)의 실제 사용시 받침대의 공간이 부족할 때, 사용자는 상기 체결 고리(61)를 상기 장 공(31)에 결합하여 상기 보조 받침대(60)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 공(31)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상기 보조 받침대(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다리부(40)에도 보조 받침대(60)의 체결 고리(61)와 결합하는 복수의 장 공(41)이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1)의 실제 사용시의 모습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상기 덮개(70)를 제거하고, 석쇠(91) 또는 화로대(92)를 상기 몸체(10, 20)에 걸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쇠(91) 또는 화로대(92)는 상기 지지부(15, 25)에 안착된다. 상기 석쇠(91)는 상기 몸체(10, 20)의 하부에 숯불을 놓고 고기 등을 구워 먹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화로대(92)는 상기 가이드 판(80)의 중공에 가스 화로나 알코올 화로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화로대(92)의 상부에 냄비 등을 올려서 음식을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이드 판(80)을 제거하고 상기 몸체(10, 20)의 하부에 직접 화로를 놓은 상태에서 상기 화로대(9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석쇠(91)와 상기 화로대(92)의 단부는 상기 지지부(15, 25)에 걸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음식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에 안착되고, 상기 제2다리부(40)가 상기 제2 다리부 안착 영역(22)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다리부(30)는 상기 제1몸체(10)에 대해 상기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에 안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다리부(40)는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상기 제2리벳(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다리부 안착 영역(22)에 안착된다.
상기 제1보강대(35)는 상기 제1몸체의 하면(11)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30)와 상기 제2다리부(4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 다리부 안착영역(12)에 안착되어 상기 제1보강대(35)가 상기 제1몸체의 하면(11)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테이블(1)은 전체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보강대(35, 45)들의 안착 위치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의 하면(11)에는 상기 제1보강대(35)가 안착되도록 상기 하면(1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 보강대 안착 영역(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대 안착 영역(13)은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의 양단을 연결하는 홈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에 안착되면, 상기 제1보강대(35)는 상기 제1 보강대 안착 영역(13)에 안착된다.
이전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제1다리부(30)와 상기 제2다리부(4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져서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보강대(35)는 보다 원활하게 상기 제1 보강대 안착 영역(13)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몸체의 하면(21)에는 상기 제2보강대(45)가 안착되도록 상기 하면(2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 보강대 안착 영역(23)이 형성된다.
도 7에서는, 상기 제1몸체(10)가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회동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2몸체(20)는 중앙 리벳(5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10)는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상기 중앙 리벳(5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다리부(30)가 상기 제1몸체(10)에 대해 상기 제1리벳(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다리부 안착 영역(12)에 안착되고 상기 제2다리부(40)가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상기 제2리벳(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다리부 안착 영역(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는 상기 제2몸체(20)에 대해 상기 중앙 리벳(5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몸체(10)와 상기 제2몸체(20)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상기 테이블(1)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은, 리벳(50, 51, 5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다리부(30, 40)와 몸체(10, 20)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접이식 테이블 10: 제1본체
20: 제2본체 30: 제1다리부
40: 제2다리부 50: 중앙 리벳
51: 제1리벳 52: 제2리벳
60: 보조 받침대 61: 체결 고리
70: 덮개 80: 가이드 판

Claims (7)

  1. 테이블의 일부를 구성하고,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1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1몸체;
    상기 테이블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2 다리부 안착영역을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1다리부; 및
    상기 제2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 가능한 제2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걸림 결합하고 중앙에 상기 홀과 연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상부를 덮고 상기 테이블의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판 및 상기 덮개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걸림 결합하는 석쇠 및 화로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석쇠 및 상기 화로대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걸림 결합하는 보조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보조 받침대의 체결 고리가 관통하여 상기 보조 받침대를 상기 다리부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 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다리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1다리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대 및 복수의 상기 제2다리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2다리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와 상기 제2다리부가 각각 상기 제1 다리부 안착영역과 상기 제2 다리부 안착영역에 안착되면, 상기 제1보강대와 상기 제2보강대는 각각 상기 제1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몸체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다리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1다리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대 및 복수의 상기 제2다리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2다리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몸체의 하면 각각에는, 상기 제1보강대와 상기 제2보강대를 각각 안착하기 위한 공간인 보강대 안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KR2020140006716U 2014-09-15 2014-09-15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1600009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16U KR20160000950U (ko) 2014-09-15 2014-09-15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16U KR20160000950U (ko) 2014-09-15 2014-09-15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50U true KR20160000950U (ko) 2016-03-23

Family

ID=5564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16U KR20160000950U (ko) 2014-09-15 2014-09-15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9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9441A (zh) * 2018-11-15 2019-01-25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翻转滑盖的互动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9441A (zh) * 2018-11-15 2019-01-25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翻转滑盖的互动桌
CN109259441B (zh) * 2018-11-15 2024-03-15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翻转滑盖的互动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063B1 (en) Barbeq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KR200447410Y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US20050229917A1 (en) Gas grill
US20090025567A1 (en) Folding le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KR20160024695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160000950U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US8375870B2 (en) Detachable table device
KR101718905B1 (ko) 구이장치
KR20130005589U (ko) 휴대용 화로 테이블
KR101273447B1 (ko) 야외용 조리대
KR20130005794U (ko) 확장기능을 가지는 야외테이블
US10736462B2 (en) Portable cooking grill system
KR200442364Y1 (ko) 휴대용 로스터
KR20160086601A (ko) 야외용 로스터
CN107661025B (zh) 一种便携蒸笼
KR101230258B1 (ko) 버너 받침대를 구비한 레저용 테이블
KR20110124496A (ko) 캠핑용 테이블
KR101565800B1 (ko) 원터치 화로대
KR102582682B1 (ko) 다기능 캠핑용 그릴
JP2021035470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20130005652U (ko) 순차적으로 다리가 접히는 숯불구이용 삼각 화덕받침대
KR102389758B1 (ko) 야외용 캠핑 조리테이블
JP7292693B1 (ja) 焚火台及び補助板
CN218650776U (zh) 户外用多功能组合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