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43U -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 Google Patents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43U
KR20160000943U KR2020140006685U KR20140006685U KR20160000943U KR 20160000943 U KR20160000943 U KR 20160000943U KR 2020140006685 U KR2020140006685 U KR 2020140006685U KR 20140006685 U KR20140006685 U KR 20140006685U KR 20160000943 U KR20160000943 U KR 20160000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grip
extension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6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웅
황인수
Original Assignee
박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웅 filed Critical 박성웅
Priority to KR202014000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943U/en
Publication of KR20160000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4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외면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단부측이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고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의 자중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부와 체결되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having grips that are easy to carry and reduc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by having a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which includes a main body fo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a container, And a grip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open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which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a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elf weight of the container, Lt; / RTI >

Description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0001]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0002]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provided with grips and having grip means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reduc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컵홀더는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컵홀더는 커피전문점,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의 외면에 결합되어 음료의 뜨겁거나 차가운 기운이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cup holder is used to grasp a cup containing hot or cold beverages. Such a cup holder is combi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a disposable cup used in a coffee shop, a convenience store, or a fast-food restaurant to prevent the hot or cold energy of the beverag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and .

이러한 컵홀더는 대략 부채모양으로 재단된 골판지의 양단부를 접합하여 하부 방향으로 외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종래의 컵홀더는 일회용 컵의 외경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손으로 음료의 열기나 냉기가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Such a cup holder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in a downward direction by joining both end portions of the corrugated paper cut in a fan shape. Such a conventional cup holder is coupl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posable cup, So that cold air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an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컵홀더는 테이크아웃(take-out) 시 일회용 컵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회용 컵에 담기는 뜨거운 음료, 예컨대 커피의 경우 끓는 물 대략 100℃의 온도에서 제조되는데, 이같이 뜨거운 커피를 들은 상태에서 아기를 안고 있다가 커피를 쏟게 되면 아이 또는 커피를 들고 있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up holder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stably hold the disposable cup at the time of take-out. That is, in a disposable cup, hot beverages, such as coffee, boiling water is produc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 C. When the coffee is poured while holding the baby with such hot coffee, There was a fear of safety accident such as wearing.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공개특허 10-2012-0102970호 등은 컵홀더에 손잡이를 구비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102970 has tried to provide a handle in a cup holder.

그런데, 제조 원가 등의 생산성 문제를 고려하여 컵홀더는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손잡이를 구비하여도 소정의 강도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우려는 더욱 증가되고 있다.However, in view of productivity problems such as manufacturing costs, the cup holder is generally made of a paper material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and even if equipped with a handle, the cup holder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특히, 최근 커피와 같은 음료의 테이크아웃 형태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컵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별도의 캐리어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캐리어의 제조공정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recently, take-out forms of beverages such as coffee have been increasing, and as the capacity of the cup increases, a separate carrier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 separate carrier manufacturing process is required and unnecessary resources are wasted .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일회용 컵의 휴대 및 파지가 가능한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capable of holding and gripping a disposable cup stably without adding a separate member.

또한, 본 고안은 추가적인 자원의 소요 없이 종래의 생산공정을 활용하여 손잡이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having gripping means capable of improving economical efficiency 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handle by utilizing a conventional production process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resources.

본 고안은, 용기의 외면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단부측이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고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의 자중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부와 체결되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having a body portion fo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a container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grip means for tightening the cup holder with the main body by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ntainer.

상기 연장부는,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서 내외면이 1차적으로 반전되어 파지 부위에서 내면이 외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되고, 삽입구가 형성되는 타측에서 2차적으로 반전되어 용기와 밀착되는 부위에서 내면이 내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is disposed such tha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extension portion are primarily inver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inner surface faces the outer side at the grip portion and is inverted from the other side where the insertion port is 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연장부는, 재단과정에서 하단이 본체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일체로서 재단되고 본체부와 함께 용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이후에, 선택에 따라 절취라인을 따라 절취되어 용기의 상측에서 그립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tending portion may be cut along the cut line according to the sel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cut as one body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main body portion. It is desirable to function to enable the operation.

상기된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는 본체부와 그립부가 일체로서 구성되어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지할 수 있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테이크아웃을 위한 일회용컵의 휴대 용도로서의 효용을 극대화하게 된다.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constitut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grip portion can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have. In particular, it maximizes the utility of the disposable cup for take-out as a portable application.

또한, 본 고안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는 제조 과정에서 재단을 위한 재질의 추가적인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부가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추가적인 사출재질이나 금속재질의 결합이 없으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도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the material for cutt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it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e additional injection material or metal material Since there is no bond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waste can be eliminated.

도 1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조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에서 그립부와 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내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가 용기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a cup holder including the grip means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from the inside,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contai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평면상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결되어 타측에 체결되는 그립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body portion 100 in the form of a ring on a plan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grip portion 200 connecte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본체부(100)는 컵의 외면을 지지하며,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진 평면상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주요하게는 용기의 음료로부터 열 또는 냉기가 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소정의 요철과 소정의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골판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body 100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is formed in a planar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grasped by hand. The main body 100 mainly functions to prevent heat or cool ai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hand from beverage in the container. For this purpose, a corrugated cardboard is generally used to form a space in which predetermined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nd predetermined air are accommod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래에서, 상기 본체부(100) 또는 그립부(200)의 재조 과정에서 용기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소정의 요철이 형성되는 부위를 내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되는 면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200)는 내면과 외면이 일부의 구간에서 반전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내면과 외면의 구분은 도 2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통일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concavity and convexity formed to look at the container in the process of re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or the grip portion 200 is defined as the in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defined as the out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200 can be formed by inverting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n a part of the section. The divis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s made uniform based on the developed view of FIG. .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은 직접 용기와 밀착되면서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고, 외면은 내면에 비하여 매끈한 면을 형성할 수 있고 미관을 향상하기 위하여 소정의 모양이나 광고가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directly contacted with the contain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The outer surface may be smooth as compared with the inner surface, and a predetermined shape or advertisement may be disposed to improve the appearance.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용기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전된 원뿔 형태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이러한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ody 100 may be formed as a part of an inverted conical shape so as to be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s a whole to support a load, and the shape of the body 100 may be optionally selected.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이에 대향되는 타측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upper side and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substantially opposite thereto.

상기 본체부(100)는 평면상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립부(200)가 연장되는 부위를 일측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그립부(200)와 본체부(100)의 연결부위는 연결부(220)로 이루어진다.Sinc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in a plan view, a portion where the grip portion 200 extends is defined as one side,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20 .

상기 연결부(220)는 본체부(100)의 일체로서 구성되고 이러한 연결부(220)는 본체부(100) 또는 그립부(200)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부(200)와 본체부(100)가 별도의 부재로서 사후공정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별도로 제작되고 결합공정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높이는 불리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그립부(200)와 본체부(100)가 일체로서 함께 재단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소정의 절취부위를 형성하여 그립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격된 이후에 단부측에서 체결되는 부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rm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rmed as a part of the body portion 100 or the grip portion 200 for economical efficiency. The case where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combined as a separate member in a post process may be considered. In such a case, however, it may be disadvantageous to increase manufacturing cost since it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requires a bond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integrally cut together, and after the grip portion 20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0 by forming a predetermined cut- It is preferable to have a portion that is fastened at the end side.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20)와 긴 끈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장부(2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장부(210)의 단부측은 다시 본체부(100)의 타측에서 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an extended portion 210 formed in a long cord shape. And may be fastened at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nection with such a structure.

본체부(100)와 그립부(200)의 제조관계 및 연결관계 등을 고려하면 연결부(220) 측에서 연장부(210)는 내면이 외측을 지향하도록 반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은 도시사항과 같다. 이 경우 비교적 매끄러운 재질의 외면이 파지시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촉감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본체부(100)의 외면과의 시각적인 차별성이 생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꼬인 형태를 가짐으로써 하중의 분산 및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꼬인 형태는 본체부(100)에 인접된 일측과 타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외면이 반전된 개수 및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relationship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grip par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ed part 210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20 is inverted so that the inner surface faces outward. This shape is the same as the illustration.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relatively smooth material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at the time of gripping, thereby improving the tactile sensation and visually distingui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er surfa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wisted shape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spersion of the load and the tensile strength can be improv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wisted shape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main body 100, bu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may be selectively reversed.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전개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는 대략 원뿔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재단이 완료되면 양단측이 상호 접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내면에 용기를 지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has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When the cutting is completed,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joined together in a manner such as to adhere to each other, thereby supporting the container on the inner surface.

이러한 형상을 고려하여 전개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상하단 측은 상측으로 만곡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그립부(200) 또한 본체부(100)의 상측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is shap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 curved arc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grip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shape of the main body 100 Do.

즉, 재단 과정에서 상기 그립부(200)의 하측과 본체부(100)의 상측은 상호 연결된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모양을 이루어 재단되고 이러한 그립부(200)의 하측과 본체부(100)의 상단측은 절취가 가능하도록 절취라인(24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240)는 소위 칼선이나 탭과 같이 이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선택에 따라 절취가 가능한 구조이다. 즉, 최초 이용자에게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용기에 끼워질 수 있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뿔형태의 일부로서 이루어지고 손잡이 구성이 필요할 때 절취라인(240)을 통하여 절취된 연장부(210)를 상측으로 접거나 꼬아 이격시킨 이후에 단부측에 형성되는 삽입부(260)를 본체부(100)의 타측에서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utting process, and the lower side of the grip portion 200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0 are cut The cut line 240 can be formed. The cut line 240 is a structure such as a so-called curved line or a tab that can be cut by a user in the course of use. That is, it is formed as a part of an overall conical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ntainer in the state of being supplied to the first user, and when the knob construction is required, the extended portion 210 cut through the cut line 240 is folded upward or twisted The insertion portion 260 formed at the end side can be fasten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fter the separation.

전개된 상태에서 일측은 연결부(220)가 배치되는 부위를 나타낸다. 본체부(100)의 입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면 이에 대략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위에는 삽입부(26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관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조공정상의 편의와 재단되는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연장부(210)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20)는 본체부(100)의 전개도에서 상측의 양단에 인접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in the unfolded state represents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disposed. Whe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he insertion port 130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of about 180 degrees. . 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rm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eveloped view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maximize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210 while preventing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waste of the material to be cut desirable.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0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grip portion 200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a whole.

상기 절취라인(240)을 따라 절취가 된 이후에는 연결부(220)측에서 본체부(100)와 그립부(200)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연장부(210)의 반전동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부(210)와 연결부(220)의 사이에는 회동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230)는 절첩 또는 내외면을 반전하는 꼬임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절첩선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이다.After cutting along the cut line 240, the main body 100 and the grip par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ng part 220 side.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versing operation of the extended part 210, 210 and the connecting part 220. The rotating part 230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The turning unit 230 may be formed as a predetermined fold line so as to smoothly perform a folding operation or a twisting operation for revers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which is optional.

전개상태에서 상기 회동부(2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측에 인접되는 경사진 형태로서 구성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반전동작을 위하여 바람직하다.In the unfold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vel portion 230 is configured as a sloped shape adjacent to the cent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for a natural reversal operation.

상기 삽입구(130)는 전개상태에서 연장부(210)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삽입부(26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다만, 실질적으로 삽입부(2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최소한 삽입부(260)의 폭보다 더 길게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부(210)의 단부와 본체부(100)의 체결력은 용기의 하중에 의한 마찰력 및/또는 걸림부(250)에 의한 걸림상태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insertion port 130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210 in a deployed state, but it is sufficient that the insertion portion 260 can be inser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portion 260 is cut at least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260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60. The fastening force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body portion 100 may be provided by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load of the container and / or the fastening state by the fastening portion 2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걸림부(250)는 삽입부(260)에 인접된 절개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구(130)의 상단측이 이에 삽입되는, 즉 삽입구(130)의 상단측이 삽입부(260)측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관계 및 하중의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걸림부(250)의 형태는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측에 가까워지는 경사진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260 and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260. [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latching part 250 is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cent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rel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load.

본체부(100)는 대략 원통 내지는 원뿔형태의 일부 형상을 이루면서 내주면 측에서 용기를 지지하고 열전달을 방지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The main body 10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conical shape and supports the contain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prevent heat transfer.

비교적 넓은 판재 형태의 재료를 재단하는 방식으로 전개를 형성하고 이러한 평면적인 형상을 접착 또는 체결하는 방식으로 입체 형상을 구성하게 되는데, 생산공정에서 경제성의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컵홀더의 전개의 배열과 추가공정의 최소화가 요청된다.And a flat shape is formed by cutt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plate shape,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lat shape is adhered or fastened.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process, Minimization of additional processes is require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컵홀더에 그립부가 추가되되 재단 과정에서 소요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연장부(210)는 본체부(100)의 상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룬 상태로 재단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ip portion is added to the cup holder, and a method of minimizing the area required in the cutting process is provided. To this end, the extension 210 may be cut in a state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joined.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하단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립부(200)의 연장부(21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대응되도록 즉, 연장부(210)의 하단의 곡률과 형상은 본체부(100)의 상단의 곡률과 형상에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arc-shaped, and the extended portion 210 of the grip portion 200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curvature of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210 The shape is formed to substantially conform to the curvature and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따라서, 입체 형상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연장부(210)는 이용자에 의하여 절개되기 전에 본체부(1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the extension 210 can form a part of the main body 100 before being cut by the user.

상기 본체부(100)는 하나의 단부측에서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측에서 이에 접착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보관 및 운송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양 단의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절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have a coupling part 120 formed at one end side thereof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sid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110) may be formed.

여기서, 이용자의 파지를 위한 연장부(210)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연결부(220)가 본체부(100)의 하나의 단부측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210)의 절취가 개시되는 단부는 실질적으로 본체부(100)의 다른 모서리부위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rm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maximize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210 for holding the user. In addition, the end of the extension 210 at which cutting is started may be configur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다만, 본체부(100)와 연장부(210)의 결합관계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extension 2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연결부(220)는 본체부(100)의 하나의 단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고, 후술될 바와 같이 연장부(210)의 절취 이후에도 본체부(100)와 연결된 상태로서 컵홀더에 지지되는 용기의 하중이 연장부(2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220 extends upwar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even after cutting the extended portion 210 as described later, So that the load of the extension part 210 can be supported by the extension part 210.

도 1과 관련하여 본 고안은 입체적인 컵홀더의 배치에서 일측을 연결부(220)가 배치되는 측으로, 타측을 연장부(210)가 본체부(100)에 체결되는 측으로 정의하였다. 전개상태에서는 입체적인 형상과의 배치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즉, 연결부(220)가 하나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연장부(210)와 체결되는 삽입구(130)는 대략 본체부(100)의 폭방향 중심측에 인접 형성되어야 입체적인 형상을 이룰 때 상호 대향 배치되는 것이다.1, one of the sides of the three-dimensional cup holder is defined as a sid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disposed, and the other side is defined as a side where the extending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When the connection part 220 is disposed on one end side, the insertion opening 130 to be coupled with the extension part 210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ain body part 100, They must be 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hen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삽입구(130)는 삽입부(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절개선 형태로 구성되는데, 도면에서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방향 또는 후술될 바와 같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cut-away shap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60 can be inserted. Although the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ertion port 130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be formed.

연장부(210)는 재단 과정에서 본체부(100)와 일체로서 구성되고, 이용자는 사용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연장부(210)를 절취라인(240)을 통하여 절취하여 삽입구(130)에 삽입부(260)를 체결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데, 이를 위한 작동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extension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0 in the cutting process and the user cuts the extension 210 through the cut line 240 as necessary and inserts the insertion portion 130 into the insertion portion 130. [ (260). The operation procedure for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에서는 사용상의 편리성과 전체적인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연장부(210)가 본체부(100) 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내면이 외측으로 반전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220)와 연장부(210)의 연결부위에는 절첩 또는 꼬임 동작이 용이하도록 회동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부(230)는 절첩되는 기준선으로서 기능하며 내외면의 반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칼선 내지는 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use and overall tensile strength, the inner surface may be reversed outwardly in the process of extending the extension 210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upper side, The coupling part of the coupling part 210 may b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folding or twisting operation. The turning unit 230 functions as a folding reference line and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curved line or a tab to facilitate the reversing ope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또한, 상기 삽입부(260)에 인접되는 연장부(210)에는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돌기, 홈 내지는 절개선 형태의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삽입구(130) 측의 내벽에 걸림되어 본체부(100)와 연장부(210)의 체결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tension 210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26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or a groove or a cutout 250 formed at the corner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port 130 side, Thereby enhanc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extension 210.

상기 걸림부(250)는 삽입부(260)에 인접되는 연장부(210)의 입체적인 형상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측 및/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portion 2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 or the low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relationship of the extending portion 210 adjacent to the insertion portion 260.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전개된 상태의 본체부(100)가 결합부(120)에서 양단측이 상호 연결되고, 원통형 내지는 원뿔의 일부의 형태를 이루면서 입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는 상태가 도 3의 (a)에 도시된다.2,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in a deployed st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coupling part 120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is formed while forming a part of a cylindrical shape or a conical shape is shown in FIG. 3 (a).

이러한 경우 연결부(220)가 형성되는 일측으로부터 본체부(100)의 상단 원주를 따라 연장부(210)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내주면에서 용기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extended portion 210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side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21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s a whole.

이 경우 연장부(210)와 본체부(100)는 외면에서 전체적으로 파지가 가능한 컵홀더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220)가 형성되는 측에서 연장부(210)의 단부측은 연결부(220)와 밀착되거나 상호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220)와 연장부(210)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경우 빨대나 수저 등의 별도의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210 and the body part 100 only function as a cup holder which can be grasped entirely on the outer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connection part 220 is formed, the end part of the extension part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fix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a straw or a spoon when the ends of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e extension part 2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3의 (b)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절취라인(240)을 따라 연장부(210)가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21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long the cutout line 240 by the user's selection.

여기서, 상기 연장부(210)는 제조상의 편의를 고려하여 대략 완만한 곡률을 가지는 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자연스러운 형태를 구성하기 위하여 연결부(220) 측에 형성되는 회동부(230)를 따라 절첩되거나 꼬이는 형태로 상측으로 길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10)의 내면은 외측으로 반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도시사항과 같다.Since the extension part 210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gentle curvature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nvenience, the extension part 210 is folded or twisted along the rotation part 230 formed on the connection part 220 side to form a natural shap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210 may be arranged to be inverted outwardly.

도 3의 (c)는 컵홀더의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3 (c) is a view from the other side of the cup holder.

상기 연장부(210)의 단부측은 컵홀더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구(130)에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상기 삽입구(130)는 소정의 돌출되어 걸림되는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연장부(210)의 걸림부(250)가 이에 걸림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상기 삽입구(130)가 소정의 관통홀 내지는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경우로 설명되나 다양한 체결방식이 배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holder and is fastened. However, the insertion port 130 may be a protruding member, and in this case, the latching portion 250 of the extending portion 210 may be hooked and fastened thereto.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or a cutout, but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fastening methods are not excluded.

상기 연장부(210)는 최소한 파지 부위에서 내면이 외측으로 배치되어 반전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고, 후술될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용기에 면하는 삽입부(260)는 다시 내면이 내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마찰력의 향상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As described later, the extension part 210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60 Is further arranged so as to face the inner side again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이를 위하여 도시사항과 같이 삽입구(130) 측에서 상기 연장부(210)는 다시 한번 절첩되거나 꼬인 상태로 외면과 내면이 반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extension 210 may be folded or twisted again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130 as shown in the illustration, so that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may be reversed.

도 4는 본 고안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에서 삽입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rom the inside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insertion portion in 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연장부(210)는 삽입구(130) 측에서 내외면이 2차적으로 반전된 상태로 삽입부(260)가 삽입구(13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260)의 내면은 요철이 형성된 형태로서 용기의 지지상태에서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2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30 wi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extension 210 being secondarily inverted from the insertion port 130 side.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260 is form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container, thereby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실험 결과 걸림부(250)의 구성 없이도 삽입구(130)에 삽입된 삽입부(260)와 용기의 자중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대략 500cc까지의 하중 및 운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even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ing part 250, the load and movement of up to approximately 500cc were smoothly supported by the inserting part 26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130 and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container.

다만, 용기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됨을 고려하여 충격이나 과격한 흔들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구(130)가 절개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징방향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filling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in a cut-away shape in order to prevent a drop due to a shock or a violent shaking in consideration of a downward action of the container.

이러한 경사의 방향은 연결부(220)와의 관계, 절첩되거나 꼬이는 위치와 방향 및 연장부(21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is inclination can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e folded or twisted position and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extending portion 210.

한편, 지지력의 향상을 고려하여 상기 삽입부(260)에 인접된 연장부(210)에서는 모서리측으로부터 절개되거나 돌출된 형태로 걸림부(25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50)는 삽입구(130)의 상단측에서 걸림되어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the extension part 210 adjacent to the insertion part 260 may be formed with an engaging part 250 cut or protruded from the edge side, So that the fastening force can be improved by being hook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 130.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의 전개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of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에서도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그립부(200)가 형성되고 절취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본체부(100)와 그립부(200)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grip portion 2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arranged so as to be cut or separate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grip portion 200 will be omitted.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21)가 접착수단에 의하여 본체부(100)의 대응되는 단부측과 접착되어 입체형상을 이루는 개념을 제시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concept that the engaging portion 121 is adhered to the corresponding end side of the main body 100 by the adhering means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is presented.

그런데, 종래와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추가적인 부재가 형성되어 접착물질의 도포 공정에 장애가 될 우려가 존재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dditional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which may hinder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adhesive material.

제2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접착공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전개상태에서 하나의 단부에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다른 단부측에 체결구(140)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접착 공정 없이도 입체형상의 구성이 가능한 구조를제시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121 is formed at on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coupling hole 1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corresponding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out an adhesive process.

상기 결합부(121)는 전개상태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소정의 고리 내지는 걸림턱 형상을 이루어 다른 단부측에서 내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개구인 체결구(140)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데, 도시사항은 일예시이며 이러한 체결구조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121)와 체결구(140)는 상호간에 돌출되어 소정의 단턱에 걸림될 수 있는 돌기형태로서 구성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21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to a fastener 140, which is a predetermined opening form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ther end side, having a predetermined annular shape or a protruding jaw shape protruding sideways in the deployed state , The illustra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such fastening structure can be selectively constructed. For example, it is conceiv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fastening tool 140 are formed as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other to engage with a predetermined step.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 종래에는 생산공정에서 전개상태의 재단이 이루어지고 접착공정이 구성되어 있음에 반하여, 재단공정이 한 번만 수행되고 난 이후에 바로 생산이 완료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종이재질의 컵홀더의 경우는 생산비용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이렇게 접착제 도포, 절곡 및 접착의 공정이 생략되는 경우 생산시간과 비용에 있어서 비약적인 효과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conventionally, the cutting process is complet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bonding process is formed, but the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only once and then the production can be completed immediatel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up holder made of paper, production cost is an important factor.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the bending and the bonding process are omitted, there is a great effect on the production time and cost.

또한, 상기된 결합부(121)와 체결구(140)의 구성을 통하여 접착공정이 생략되므로 그립부(200)를 이루는 연장부(210)의 길이의 선택이 자유로울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step is omit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121 and the coupling part 140, the length of the extended part 210 constituting the grip part 200 can be freely selected.

제1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20)가 접착부로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접착공정을 위하여 결합부(120)의 상측에 연장부(210)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접착공정이 생략되는 경우 이러한 접착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연장부(210)의 길이를 더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engaging portion 120 is formed as an adhering por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xtending portion 210 is no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20 for the adhering process. However, if the bonding step is omitted, since the bonding step can be omitted, the length of the extending part 210 can be secured longer.

상기한 바와 같이 연장부(210)는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야 하는데, 용기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최소한 용기 덮개의 절반 이상의 개방 면적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nding portion 210 should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other side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supported.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tainer, It is necessary that an open area of at least half of the cover is secured.

따라서, 연장부(210)는 본체부(100)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장부(210)가 결합부(121)가 형성되는 측으로 더 연장된 상태가 도시되었으나 연장부(210)와 연결부(220)의 배치는 상호 치환될 수 있다.The extended portion 210 may be longer tha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extended portion 210 may be extended to the side where the engaging portion 121 is formed The arrangement of the extension part 21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interchanged.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장부(210)는 최소한 본체부(100)의 좌우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210 is preferably at least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main body 100.

이러한 경우 종래의 경우 접착공정에 따라, 수납 및 이송 과정에서 두께가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고, 평판 형상으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과 운송상의 이점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onding process,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to half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transporting, and storage in a flat plate shape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도 6은 상기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가 용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having grip mean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container.

용기(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본체부(100)가 배치되고, 연결부(220)가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부(210)를 지지하며, 연장부(210)의 단부측은 삽입구(130)에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그립부(200)가 고리 형태를 구성하여 파지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body portion 10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protrudes upward from one side to support the extension portion 210. The end portion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 130 So that the grip part 200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to grip and carry the grip part 200.

이때, 그립부(200)의 내면은 반전된 상태로서 배치되어 그립을 용이하게 하며, 이 경우 모양과 형상이 본체부(100)의 외면과 다르게 구성되므로 미관적인 이점도 가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00 is disposed in an inverted state to facilitate the grip. In this case, since the shape and the shape are differen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grip portion 200 has an aesthetic advantage.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220)가 형성되는 측과 삽입구(130)가 형성되는 측에서 연장부(210)가 각각 내면과 외면이 반전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특히 삽입구(130) 측에서 다시 내면이 내측을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자중에 의하여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210 may be reversed from the side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formed and the side where the insertion hole 130 is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is directed to the inner sid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can be improved by the self weight of the container.

상기된 본 고안에 따른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는 본체부와 그립부가 일체로서 구성되어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지할 수 있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경우 단순히 측면에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데 그치므로 테이크아웃을 위한 일회용컵의 휴대 용도로서는 효용이 극히 적으며 측면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도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본 고안의 경우는 손잡이를 본체의 상측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의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constitut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so that a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can be selectively formed, I have.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it is merely constituted by a grip which can be grasped from th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osable cup for taking-out is not very useful for carrying and the ability to support the load is very low. It is noted that the portable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can be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carrying ability.

또한, 본 고안의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는 제조 과정에서 재단을 위한 재질의 추가적인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부가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추가적인 사출재질이나 금속재질의 결합이 없으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도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cup holder having the grip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the material for cutt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it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e additional injection material or metal material Since there is no bond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waste can be eliminated.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10...용기 100...본체부
110...절첩부 120...결합부
130...삽입구 200...그립부
210...연장부 220...연결부
230...회동부 240...절취라인
250...걸림부 260...삽입부
10 ... container 100 ... main body part
110 ... folded attaching part 120 ... engaging part
130 ... insertion port 200 ... grip portion
210 ... extension part 220 ... connection part
230 ... turning portion 240 ... cut line
250 ... engaging portion 260 ... insertion portion

Claims (3)

용기의 외면을 지지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0)를 구비하는 그립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단부측이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구(130)에 삽입되고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의 자중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
A body portion (100) fo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nd a grip part (200) having an extension part (210)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The extension
And th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 (1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by a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elf weight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서 내외면이 1차적으로 반전되어 파지 부위에서 내면이 외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되고, 삽입구가 형성되는 타측에서 2차적으로 반전되어 용기와 밀착되는 부위에서 내면이 내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reversed from one sid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inner surface faces the outer side at the grip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at the portion where the inner surface is inversely secondarily reversed from the other side where the insertion port is formed, Wherein the gripping means comprises a gripp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재단과정에서 하단이 본체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일체로서 재단되고 본체부와 함께 용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이후에, 선택에 따라 절취라인을 따라 절취되어 용기의 상측에서 그립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in the cutting process and is integrally cut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main body part and then cut along the cut line according to the selection to function as a grip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means comprises a gripping means.
KR2020140006685U 2014-09-12 2014-09-12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KR2016000094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85U KR20160000943U (en) 2014-09-12 2014-09-12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85U KR20160000943U (en) 2014-09-12 2014-09-12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43U true KR20160000943U (en) 2016-03-23

Family

ID=5564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685U KR20160000943U (en) 2014-09-12 2014-09-12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94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64A1 (en) * 2016-04-15 2017-10-19 (주)한불화농 Disposable cup slee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764A1 (en) * 2016-04-15 2017-10-19 (주)한불화농 Disposable cup slee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7751B2 (en) Recyclable beverage container handle
US6394265B1 (en) Foldable carrier means for simultaneously carrying central container and side container
US10399742B2 (en) Container system
KR101707467B1 (en) Disposable cup holder
US10961040B2 (en) Cup sleeve structure
US20050103834A1 (en) Fordable cup
US20110266335A1 (en) Gift wrap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60000943U (en) Cup holder with gripping means
TWM578683U (en) Cup sleeve structure
JP2008080072A (en) Cup holder
KR101579167B1 (en) Paper cup with integrated sleeve
KR200258661Y1 (en) Portable for a paper cup holder
TWM574596U (en) Food container
KR200451943Y1 (en) The apparatus of combination a double can
JP2014128396A (en) Folding container
KR102238587B1 (en) Foldable multi-purpose holder
TWI686332B (en) Cup sleeve
KR200322230Y1 (en) Cup holder
TWM625067U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CN213801056U (en) Packaging box and packaging structure of beverage cup
JP2013052887A (en) Container having horizontal attitude keeping feature and carrying handle or carrying bag
KR20120001792U (en) A Cup Holder Having Grips
JP2007062799A (en) Bottle holder and bottle unit
KR200420658Y1 (en) A Box For Containning The Food
JP2741503B2 (en)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