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05A -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05A
KR20160000905A KR1020140077895A KR20140077895A KR20160000905A KR 20160000905 A KR20160000905 A KR 20160000905A KR 1020140077895 A KR1020140077895 A KR 1020140077895A KR 20140077895 A KR20140077895 A KR 20140077895A KR 20160000905 A KR20160000905 A KR 2016000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ignition
operating
roll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9800B1 (en
Inventor
이기철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102014007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800B1/en
Publication of KR2016000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00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typ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nd a gas lighter having the same. The ignition device for a flint ignition type lighter, which generates a spark required for igniting a lighter by rubbing with a firing stone through the rotation of a roller, comprises an igniting unit which is composed of a lifting plate and an operation body. The lifting plate has an operating wheel having multiple operating sawteeth in one side of the roller to be integrated and sawteeth engaged with the operating sawteeth of the operating wheel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ller. The operation body controls the instantaneous descent and automatic return of the lifting plate. If a push button formed in the igniting unit is pressed, the sawteeh of the lifting plate are engaged with the operating sawteeth of the operation wheel and instantaneously descends to instantaneously rotate the roller to generate a spark required for lighter igni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ignites the lighter through the bush button and secures ignition performance by leading the instantaneous friction with the firing stone through the instantaneous rotation of the roller.

Description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라이터{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nd a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돌점화식 라이터의 점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된 작동휠을 일체로 구비하고, 롤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순간적인 하강과 자동 복귀를 제어하는 작동몸체로 이루어지는 점화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점화 작동수단에 구비된 푸쉬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판의 톱니가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며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푸쉬버튼 방식을 통해 손쉽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확실한 점화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type lighter ignition device and a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type ignition lighter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a stone ignition lighter The apparatus comprising: a winch plat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wheel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on one side of the roller and formed with teeth to be engaged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ller; And an ignition actuation means comprising an operating body for controlling instantaneous descent and automatic return. When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is pressed, the teeth of the lifting plate engage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So as to generate a spark necessary for ignition of the lighter, A lighter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which can easily perform a lighter ignition through an ignition switch and an instantaneous friction between the igniter and an igniter, Lighter.

가스라이터는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가스라이터로 많이 제조되고 있으며, 그중에 가격이 저렴한 일회용 가스라이터의 경우에는 음식점, 주점 등에서 판촉물로 제작하여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의 가정에서는 다수개의 일회용 가스라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Gas lighters are widely used as disposable or rechargeable gas lighters because they can be conveniently used in everyday life. In the case of disposable gas lighters, which are cheap in price, they are produced as promotional products at restaurants and pubs, There are many disposable gas lighters in many case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일회용 가스라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0)와, 연료탱크(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료탱크(10)를 밀폐하는 인서트(20)와, 인서트(20)에 결합되어 연료탱크(10) 내부의 가스를 대기중으로 분출시켜주는 노즐조립체(30)와, 인서트(20)에 결합되며 롤러(43)를 통해 발화석(42)과의 마찰을 일으켜 노즐조립체(30)의 노즐(3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발화시키는 돌점화식 라이터 점화장치(40)와, 노즐(31)과 대향하는 상부 판면에 노즐(31)로부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51)이 형성되는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onventional disposable gas lighter generally used includes a fuel tank 10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 fuel tank 1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A nozzle assembly 30 coupled to the insert 20 for ejecting gas in the fuel tank 10 into the atmosphere and a nozzle assembly 30 coupled to the insert 20, A stone ignition type lighter ignition device 40 for generating a friction with the fossil 42 so as to ignite the gas ejected from the nozzle 31 of the nozzle assembly 30 and a nozzle 31 on an upper plate surface opposed to the nozzle 31, And a cap 50 on which a spark discharge hole 51 through which a spark ignited from the spark discharge hole 51 is formed is formed.

여기서, 돌점화식 라이터 점화장치(40)는, 연료탱크(10) 상부의 인서트(2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1)과, 연료탱크(10)의 상부에서 가스를 분출하는 노즐(31)과 인접하여 지지프레임(41)에 설치되는 발화석(42)과, 지지프레임에(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발화석(42)과의 마찰을 통해 노즐(3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롤러(43)와, 노즐(31)을 개폐하기 위한 레버(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one ignition lighter ignition apparatus 40 includes a support frame 41 coupled to the insert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and a nozzle 31 for spraying ga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A support frame 41 disposed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41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41 and a support frame 41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41 for igniting the gas ejected from the nozzle 31 through friction with the foot pedestal 42, A lever 4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31,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롤러(43)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발화석(42)과 롤러(43)의 외주면을 서로 마찰시킴으로써 발화석(42)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레버(44)를 눌러 노즐(31)을 개방시켜 탱크(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석유가스를 노즐(31)을 통하여 기화 상태로 분출시킴으로써 발화석(42)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 등으로 롤러(43)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레버(44)를 누르는 동작으로 라이터 점화를 수행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gas light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springs to be generated in the foot pedestal 42 by instantaneously rotating the roller 43 and rubb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oot pedestal 42 and the roller 43 against each other, Is operated to open the nozzle 31 to discharge the liquefied petroleum gas stored in the tank 10 into the vaporized state through the nozzle 31 so as to be ignited by the spark generated in the foot pedestal 42, The lighter is ignited by pushing the lever 44 while pressing the roller 43 with a finger or the lik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스라이터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 등으로 롤러에 지력(指力)을 가하여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라이터 점화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점화 조작이 번거롭고, 때때로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력이 부족할 경우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차 강한 지력으로 롤러를 회전시키야 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gas lighter, since the user has to perform a lighter ignition by momentarily rotating the roller by applying a finger force to the roller with a thumb or the like, the ignition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sometimes the roller is rotated instantaneously If the force is insufficient, ignition is not carried out, and the roller must be rotated again with strong force,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또한, 롤러와 발화석 간의 마찰시 발생되는 발화석 가루가 손가락에 묻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손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롤러에 물기가 묻게 되어 점화가 제대로 안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oot fossil powder generated during the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foot fossil is adhered to the finger, and when water is present on the hand, water is applied to the roller and inconvenience is inconvenient.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누름버튼을 통해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스라이터의 개발이 시도되었으며, 이러한 사례는 한국공개특허 제1999-0069836호의 "라이터의 점화장치"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0-0036420호의 "스위치를 가압하면 점화가 되는 일회용 라이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Accordingly, development of a gas lighter capable of rotating the roller through a push button has been attempt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Such an examp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9836 entitled " "Disposable lighter that ignites when the switch is pushed," etc. of patent No. 2000-0036420.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라이터는, 롤러의 일측에 톱니가 형성된 보조롤러를 일체로 구비하고, 누름버튼의 일측에 상기 보조롤러와 맞물리는 톱니를 형성하여, 누름버튼을 누르면 누름버튼의 톱니가 상호 맞물린 보조롤러의 톱니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와 발화석 간의 마찰을 유도하여 라이터 점화를 수행하고 있다.In the gas ligh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auxiliary roller having teeth formed on one side of the roller is integrally formed, the teeth engaging with the auxiliary rolle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 button, an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rolle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teeth of the interdigitated auxiliary rollers to in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foot fossil so as to perform the lighter ignition.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라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누르는 힘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빠르게 누름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롤러가 순간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일으켜 점화가 이루어지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롤러가 점화에 필요한 순간적인 회전을 하지 못하여, 발화석과의 마찰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gas ligh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user rotates the roller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the roller instantaneously rotates only when the user quickly presses the push button with a strong force, So that the roller can not rotate instantaneously, which is necessary for the ignition, so that the spark does not occur during friction between the spark plug and the spark plug so that ignition is not performed.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점화 실패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며, 라이터의 점화 실패시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재차 눌러 점화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ignition failure may frequently occu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when the ignition of the lighter fails, the user must press the push button again to perform ignition,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돌점화식 가스라이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누름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가스라이터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자식 가스라이터의 경우 압전소자를 통해 순간적으로 노즐 쪽에 전기 스파크를 발생시켜 노즐에 점화를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발화석과의 마찰로 사방으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돌점화식 가스라이터와 달리, 라이터 사용 과정에서 전기 스파크 발생 방향이 노즐과 약간이라도 어긋나는 경우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점화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of the gas ignition type gas lighter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developed an electronic gas lighter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lighter ignition through a push button. However,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gas lighter, The gas is ignited by generating an electric spark on the side of the igniter. In contrast to the gas ignition type gas lighter, which generates sparks in four directions by friction with the igniter, if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spark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nozzle during the use of the lighter, And the ignition failure frequently occurs.

1. 한국공개특허 제1999-0069836호(공개일: 1999.09.06) "라이터의 점화장치"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69836 (Publication Date: Sep. 9, 1999) " 2. 한국공개특허 제2000-0036420호(공개일: 2000.07.05) "스위치를 가압하면 점화가 되는 일회용 라이터"2.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0036420 (Disclosure: 2000.07.05) "Disposable lighter that is ignited when a switch is pres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켜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돌점화식 라이터의 점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된 작동휠을 일체로 구비하고, 롤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순간적인 하강과 자동 복귀를 제어하는 작동몸체로 이루어지는 점화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점화 작동수단에 구비된 푸쉬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판의 톱니가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며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푸쉬버튼 방식을 통해 손쉽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확실한 점화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gnition device for a stone igniter type lighter which generates friction necessary for igniting a lighter by rotating a roller, A stepped steel plat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wheel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and provided with teeth which engage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ller,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instantaneous descent and automatic return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spark of the ladle is instantaneously lowered to instantaneously rotate the roller so that the spark necessary for lighter ignition can be spun down So that the lighter ignition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push button method. At the same time, to the roller it provides instantaneously a gas lighter rotary operating ignition seats instantaneous inducing friction igniter and having the same for the lighter of the push button way to ensure reliable ignition performance to that as it is an obj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라이터에서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기 위한 라이터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발화석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화석과의 마찰을 통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과 동시 회전하도록 상기 스파크휠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작동휠로 이루어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노즐의 반대편에서 상기 롤러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판면 일단부에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가 형성되는 승강판과, 한 쌍의 케이스가 상하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판과 연결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각 케이스의 벽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과 자동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작동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점화 작동수단과; 상기 점화 작동수단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몸체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푸쉬버튼;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er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a spark in gas discharged from a fuel tank through a nozzle, the lighter igniter being disposed on a top of a fuel tank in a gas lighter, A support fram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 foot fossil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 spark wheel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for inducing ignition of gas ejected from the nozzle through friction with the ignition ston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ark wheel so as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spark wheel, A roller comprising an operating wheel o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are formed a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pair of cases which are provid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which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roller with the rolle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ich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ate surface with teeth for engaging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And a pair of sp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va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inside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mbers, An ignition actuating means composed of an actuating body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controlling the descending and automatic return, and being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A push butt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so as to be able to be pressed and transmit a pressing force to the operating body; And a lever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는, 푸쉬버튼을 누르면 점화 작동수단을 통해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킴으로써, 확실한 점화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롤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기존의 돌점화식 라이터 점화장치와 달리 푸쉬버튼을 통해 롤러를 회전시켜 손쉽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ush button type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roller is instantaneously rotated through the ignition operating means to induce momentary friction between the igniter and a spark necessary for ignition of the ignit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lighter ignition by rotating the roller through a push button, unlike the conventional stone ignition type lighter ignition device which manually rotates the roller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푸쉬버튼을 누르면 점화 작동수단이 롤러를 일정량 만큼만 회전시킴으로써 롤러와 마찰하는 발화석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라이터 점화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ignition operating means rotates the roller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reby reducing the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foot fossi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lighter ignition devic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는, 통상의 돌점화식 가스라이터와 동일하게, 연료탱크에 인서트를 결합하고, 인서트의 상부에 노즐조립체,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캡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가스라이터를 구성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of the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 is coupled to a fuel tank, and a nozzle assembly, a lighter igniter And the cap are sequentially assembled to constitute the gas lighter, so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simple and maintenance is easy.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가스라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점화 작동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점화 작동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점화 작동수단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osable gas ligh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 lighter equipped with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gnition operating means constituting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of the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gnition operating means constituting a lighter ignition device of a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unless they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 lighter having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0)와; 상기 연료탱크(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료탱크(10)를 밀폐하는 인서트(20)와; 상기 인서트(20)에 결합되어 연료탱크(10) 내부의 가스를 대기중으로 분출시켜주는 노즐조립체(30)와; 인서트(20)에 결합되며,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푸쉬버튼(140)을 누르면 롤러(130)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하여 발화석(120, 도4 참조)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노즐조립체(30)의 노즐(3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발화시키는 라이터용 점화장치(100); 및 노즐조립체(30) 상부에 씌워져 구비되며, 상부 판면에 노즐(31)로부터 점화된 불꽃이 토출되는 불꽃토출공(51)이 형성되는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igniter for the lighter of the push button type comprises a fuel tank 10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n insert 2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to seal the fuel tank 10; A nozzle assembly (30) coupled to the insert (20) to inject gas in the fuel tank (10) into the atmosphere; The nozzle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insert 20 and the push button 140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insert pushes the push button 140 to rotate the roller 130 momentarily to cause friction with the foot fossel 120 (100) for igniting the gas ejected from the nozzle (31) of the lighter (100); And a cap 5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assembly 30 and having a spark discharge hole 51 through which spark ignited from the nozzle 31 is discharg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경우, 롤러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발화석을 통해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기존의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와 달리, 푸쉬버튼을 누르면 점화장치의 내부 작동구조에 의해 롤러가 순간적으로 회전하면서 발화석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노즐조립체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점화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gniter for a lighter of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type in which the roller is manually rotated to generate spark through the foot fossil, The roller is momentarily rotated by the internal operating structure of the nozzle assembly to cause friction with the foot fossil, thereby inducing ignition of the gas ejected from the nozzle of the nozzle assembl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the ignition operation.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는, 통상의 돌점화식 가스라이터와 동일하게, 연료탱크(10)에 인서트(20)를 결합하고, 인서트(20)의 상부에 노즐조립체(30), 라이터용 점화장치(100) 및 캡(5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가스라이터를 구성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 20 is coupled to the fuel tank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gas ignition type gas lighter, The nozzle assembly 30, the lighter ignition device 100, and the cap 50 are assembled in sequen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0 to form a gas lighter, which facilitates assembly and disassembly,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ush 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ush 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100)는, 연료탱크(10) 상부의 인서트(2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연료탱크(10)의 상부에서 가스를 분출하는 노즐(31)과 인접하여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발화석(120)과; 지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발화석(120)과의 마찰을 통해 노즐(3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131)과, 상기 스파크휠(131)과 동시 회전하도록 스파크휠(1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133)가 형성되는 작동휠(132)로 이루어지는 롤러(130)와; 상기 롤러(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31)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롤러(130)에 구비된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리는 톱니(211)가 형성되는 승강판(210)과,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승강판(210)을 승강 작동시키는 작동몸체(220)로 이루어지는 점화 작동수단(200)과; 상기 점화 작동수단(200)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몸체(220)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푸쉬버튼(140); 및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푸쉬버튼(140)과 연동하여 노즐(31)을 개폐하는 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and 5, a push button type lighter igni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110 (not shown) coupled to an insert 20 on a fuel tank 10, )and; A foot pedestal 12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10 adjacent to a nozzle 31 for spraying ga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A spark wheel 131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110 and inducing ignition of gas ejected from the nozzle 31 through friction with the foot pedestal 120; A roller 130 comprising an operating wheel 13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ark wheel 131 to rot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133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tooth 211 which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zzle 31 with the roll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ngages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provided on the roller 130 An ignition actuation means (200) comprising an elevating plate (210) to be formed and an operating body (22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plate (210) by external pressurization; A push button (14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200) so as to be pressed and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operation body (220); And a lever 15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31 in cooperation with the push button 140.

여기서, 상기 점화 작동수단(200)은, 판면 일단부에 상기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211)가 형성되는 승강판(210)과; 한 쌍의 케이스(230,240)가 상하로 일부 중첩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판(210)과 연결되는 승강부재(250)와, 상기 승강부재(250)의 상·하부에 각각 승강부재(250)를 하강 및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260,270)이 구비되고, 각 케이스(230,240)의 벽면에는 승강부재(250)와 연동하여 승강부재(250)의 순간적인 하강과 자동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홈(231,232)이 형성되는 작동몸체(220);로 구성되어 있다. The ignition actuating means 200 includes a lift plate 210 having teeth 211 formed at one end thereof for engaging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A lifting member 250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210 so as to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upper and lower cases 230 and 240 and a lifting member 250 And a spring 260 and 270 for lowering and returning the lifting member 250. The wall of each of the cases 230 and 240 is provided with guide grooves (not shown) for controlling instantaneous descent and automatic return of the lifting member 250, 231, and 23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body 22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푸쉬버튼(140)을 눌러 작동몸체(220)의 상부측 케이스(230)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한 쌍의 스프링(260,27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승강부재(250)가 한 쌍의 케이스(230,24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231,232)과 연동하여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250)와 연결된 승강판(210)이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승강판(210)의 톱니(211)가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려 작동휠(132)을 순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휠(1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파크휠(131)을 통해 발화석(120)과 마찰을 일으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일으키게 된다.When the upper case 230 of the operating body 220 is pressed down by pushing the push button 140, the lifting member 250, which receives the elastic force by the pair of springs 260 and 270, The lift plate 210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250 is instantaneously lowered while the guide grooves 231 and 232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ir of cases 230 and 240 interlock with the guide grooves 231 and 232, The teeth 211 are engaged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to instantaneously rotate the operating wheel 132 to rotate the foot fosses 120 ) To cause a spark necessary for ignition.

이때, 상기 푸쉬버튼(140)은 상기 작동몸체(220)의 상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작동몸체(220)의 상부를 형상 변형하여 일체로 구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ush button 140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body 220, or i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e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body 220.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는, 푸쉬버튼 방식으로 손쉽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점화 작동수단을 통해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확실한 점화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perform a lighter ignition by a push button metho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And the momentary friction between the spark plug and the igniter is induced by the operation of instantly rotating the roller, thereby generating a spark necessary for ignition of the lighter, thereby ensuring reliable ignition performance.

즉,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는, 푸쉬버튼을 누르면 롤러와 발화석 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가 사방으로 튀면서 노즐에 점화가 이루어짐으로써 확실하게 라이터 점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 스파크 발생 방향이 노즐과 약간이라도 어긋나는 경우 점화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전자식 점화장치에 비해서 점화 성공률이 훨씬 개선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ush button type lighter ign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spark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foot fossa strikes in all directions and the nozzle is igni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performance in which the ignition success rate is much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onic ignition device in which ignition failure frequently occurs whe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spark generation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nozzl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료탱크(10) 상부에는 롤러(130)와 발화석(120)이 장착되는 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push button igniter for a ligh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roller 130 and a pedestal 120 are mounted on a top of a fuel tank 10 The support frame 110 is coupled.

즉,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1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111) 사이에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측벽(111) 사이에는 발화석(120)이 장착되는 발화석 장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 pair of side walls 1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so that the roller 13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ide walls 111, and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111 A foot fossil mounting portion 112 on which the foot fossil 120 is mounted is formed.

이때, 발화석 장착부(112)는 상부측으로 일부분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스프링(114)과 발화석(120)이 수용되는 수용홈(113)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oot fossil mounting part 112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upper side, and a receiving groove 113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114 and the foot pedestal 120 is formed at the center part.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벽(111)에는 롤러(130)가 축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화석 장착부(112)에는 발화석(120)이 스프링(114)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발화석(120)의 상단부가 롤러(130)의 하부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A roller 13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walls 111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walls 111. The foot fossil 1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114 The upper end of the foot fossil 120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130. [

여기서, 상기 롤러(130)는 외주면의 둘레에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되어 발화석(120)과 마찰을 일으키는 스파크휠(131)과, 상기 스파크휠(131)과 동시 회전하도록 스파크휠(131)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133)가 형성되는 작동휠(132)로 구성된다.The roller 130 includes a spark wheel 131 having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cause friction with the foot pedestal 120 and a spark wheel 131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spark wheel 131. [ And an operating wheel 132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133 formed therearound.

즉, 스파크휠(131)의 동축상에는 일측에 상술한 작동휠(13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작동휠(132)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작동톱니(133)를 통해 후술되는 점화 작동수단(200)과 연동하여 상기 점화 작동수단(20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작동휠(132)이 회전하는 경우 작동휠(132)에 일체로 결합된 스파크휠(131)이 작동휠(132)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The spark wheel 131 is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wit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eel 132. The operation wheel 132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operation means (described later) through a plurality of operation teeth 133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park wheel 131 integrally coupled to the operation wheel 132 when the operation wheel 132 rotates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200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on wheel 200, (Not shown).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에는 연료탱크(10)의 상부에 구비된 노즐(31)을 개폐하기 위한 레버(150)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 lever 150 for opening and closing a nozzle 31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1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즉, 상기 레버(150)에는 중앙부에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프레임(110)에서 일부분 돌출 형성된 발화석 장착부(112)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51)을 통해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150)의 관통공(151)은 발화석 장착부(11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레버(150)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서 발화석 장착부(112)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lever 150 has a through hole 151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ot fossil mount part 112 protruding partly from the support frame 110, The through hole 151 of the lever 15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oot fossil mount 112 so that the lever 150 can flow from the foot fossil mount 11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Respectively.

이와 같은 레버(150)는 일측에 노즐(31)과 결합되는 결합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발화석 장착부(112)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152)의 반대측에는 누름편(15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lever 150 is formed at one side with a coupling part 152 to be coupled with the nozzle 31. A pressing piece 153 protrude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art 152 with the foot pedestal mounting part 112 therebetween Respectively.

즉, 레버(150)는 누름편(153)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누름편(153)의 반대편에 형성된 결합부(152)가 노즐(31)을 들어올려 개방하여 노즐(31)에서 가스가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when the pressing piece 153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lever 150 is lifted up by the engaging portion 15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ing piece 153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gas is sprayed from the nozzle.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10)에서 롤러(130)를 사이에 두고 노즐(31)의 반대편에는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롤러(130)를 순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화 작동수단(200)이 삽입되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ignition actuating means 200, which is configured to instantaneously rotate the roller 130 by external pressur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zzle 31 with the roll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support frame 110,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점화 작동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점화 작동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점화 작동수단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gnition operating means constituting a lighter igniter for a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 FIG.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작동수단(200)은, 하부 일측이 승강부재(250)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211)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판(210)과; 상기 승강판(210)의 톱니(211)가 상기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리며 순간적으로 하강하고 자동 복귀하도록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승강판(210)을 작동시키는 작동몸체(220)로 구성되어 있다.6 and 7, the ignition actuating means 200 has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250 and an upper portion provided with teeth for engaging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A lift steel plate 210 on which a steel plate 211 is formed; An operating body 220 for operating the lifting plate 210 by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teeth 211 of the lifting plate 210 are engaged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and are momentarily lowered and automatically returned ).

여기서, 상기 작동몸체(220)는, 경사면을 갖는 제1 가이드홈(231)이 양 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230)와; 단턱(242)을 갖는 제2 가이드홈(241)이 양 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230)가 승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4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30,240) 내에 수용되어, 승강판(210)과 연결되고 몸체 양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홈(231,241)을 연통하여 삽입되는 가동핀(251)이 돌출 형성되는 승강부재(250)와; 상부 케이스(230) 내에서 승강부재(250)의 상부에 탄성 지지되는 제1 스프링(260)과; 하부 케이스(240) 내에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23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2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Here, the operating body 220 includes an upper case 230 having a first guide groove 231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e upper case 230 being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A lower case 240 which i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groove 241 having the step 242 and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upper case 230 ascends and descends; A movable pin 251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230 and 240 and is connected to the lift plate 210 and inserted into the both sides of the bod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31 and 241, Member 250; A first spring 260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member 250 in the upper case 230; And a second spring 270 installed in the lower case 2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case 230.

상기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은 단턱(242)을 갖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이 단턱(242)에 걸리거나 또는 단턱(242)으로부터 이탈하여 하강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The second guide groove 241 of the lower case 240 is formed in a letter shape having a step 242 so that the movable pin 251 of the elevation member 250 is caught by the step 242, And is guided to move downward from the step 242.

또한, 상부 케이스(230)의 제1 가이드홈(231)은 홈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 이동을 유도하는 제1 유도 경사면(232) 및 제2 유도 경사면(2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가이드홈(231)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유도 경사면(232)은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을 상기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유도하고, 제1 가이드홈(231)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유도 경사면(233)은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이 상기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걸리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guide groove 231 of the upper case 230 has a first guide slope 232 and a second guide slope 232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ove, The first guide sloping surface 2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is inserted into the step 234 of the second guide groove 241 And the second guiding slant surface 23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guides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to move away from the step 234 of the second guide groove 241, (242).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230)의 제1 가이드홈(231)과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은 승강부재(250)의 한 쌍의 가동핀(251)이 양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양측 벽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uide groove 231 of the upper case 23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41 of the lower case 240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re formed such that a pair of the movable pins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And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 walls of the cas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또한, 상부 케이스(230)에 수용된 제1 스프링(260)은 승강부재(2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부재(250)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부 케이스(240)에 수용된 제2 스프링(270)은 승강부재(2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230)를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spring 260 housed in the upper case 2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member 25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ifting member 250 and the second spring 270 housed in the lower case 24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member 250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case 230.

이에 따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동핀(251)이 상부 케이스(230)의 제1 가이드홈(231)을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부재(250)의 상부가 제1 스프링(2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부 케이스(230)의 하부는 제2 스프링(2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이때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은 제1 가이드홈(231) 하단의 제2 유도 경사면(233)에 의해 유도되어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삽입되어 있다.5 to 7, the movable pin 25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member 250 passes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231 of the upper case 230 and is guided to the lower case 240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member 25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260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23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second spring 270,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is guided by the second guiding sloping surface 233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ing groove 231 and is guided by the step 242 of the second guiding groove 241 ).

상기 승강판(210)은 상부 케이스(23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 케이스(230,240) 내에 구비된 승강부재(250)와 연결되는데, 승강판(210)의 판면 하부에는 승강부재(25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승강부재(250)의 하부에 승강판(210)의 연결부(212)를 배치하고 결합핀(213)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승강부재(250)에 승강판(210)의 연결부(212)를 연결하게 된다.The lifting plate 21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250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230 and 240 in parallel with the upper case 230. The lifting member 250 is disposed below the lifting plate 210, A connecting portion 212 for connecting the elevating member 250 to the elevating member 250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12 of the elevating plate 210 is disposed below the elevating member 25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2 is coupled through the connecting pin 213,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2 of the steel plate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12 of the steel plate 210.

이때, 승강부재(250)와 연결되는 연결부(212)가 승강판(210)을 지지하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30,240)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케이스(230,240)에는 각각 보조 가이드홈(234,244)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cases 230 and 240 are provided with auxiliary guide grooves 234 and 244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12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250 supports the lifting plate 210 and can move up and down from the upper and lower cases 230 and 240. [ Respectively.

또한, 승강판(210)에서 롤러(130)의 작동휠(132)과 인접한 판면의 상부 일측에는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2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 tooth 211 for engaging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30 adjacent to the operating wheel 132 of the roller 130 in the lifting plate 210.

그리고, 승강판(210)에서 톱니(211)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상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돌출 가이드(2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가이드(214)가 형성된 부분은 외부 가압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승강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되어 있다.A projecting guide 214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its upper en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teeth 211 are formed on the lifting plate 210. The portion where the projecting guide 214 is formed can be moved So that one side is partially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2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화 작동수단(200)은 작동몸체(220)의 상부 케이스(230) 상단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쉬버튼(140)과 연동하여 롤러(130)의 작동휠(1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gnition operating means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otates the operating wheel 132 of the roller 130 in cooperation with the push button 140 which is pushed and opera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230 of the operating body 220 Respectively.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이 제1 가이드홈(231)을 통과하여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140)이 가압되면, 푸쉬버튼(140)이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승강판(210)의 돌출 가이드(214)를 롤러(130) 측으로 밀게 되어, 승강판(210)에서 돌출 가이드(214) 반대편에 형성된 톱니(211)가 롤러(130)의 작동휠(132)을 향해 돌출되며, 이와 더불어 푸쉬버튼(140)에 의해 상부 케이스(230)가 하부 케이스(240) 내로 하강하면서 상부 케이스(230)를 지지하고 있는 제2 스프링(270)이 가압되어 압축되는 동시에, 제1 스프링(260)이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걸려있는 승강부재(250)를 가압하며 압축된다.8 (a),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is inserted into the step 242 of the second guide groove 241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231, 8 (b), when the push button 140 is pressed, the push button 140 is lowered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protrusion guide 214 of the lift plate 210 is pressed against the roller The teeth 211 protruding from the lift plate 2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sion guide 214 protrude toward the operating wheel 132 of the roller 130. In addition, The upper case 230 is lowered into the lower case 240 while the second spring 270 supporting the upper case 230 is pressed and compressed and the first spring 2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241, And is compressed by pressing the lifting member 250 hooked on the step 242 of the lifting member.

이때, 푸쉬버튼(140)이 더욱 가압되어 상부 케이스(230)가 하부 케이스(240) 내로 더 하강하게 되면, 제1 가이드홈(231) 상단에 형성된 제1 유도 경사면(232)이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삽입된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을 밀어내어 단턱(242)으로부터 이탈시키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50)는 압축된 제1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가이드홈(241)을 따라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ush button 140 is further pressed to lower the upper case 230 further into the lower case 240, the first guiding slope 2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231,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inserted in the step 242 of the lifting member 250 is pushed out and released from the step 242. As shown in Figure 8C, The second guide groove 241 is instantaneously lowe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first spring 260.

이 과정에서, 승강부재(250)에 연결된 승강판(210)이 승강부재(250)와 함께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롤러(130)를 향해 돌출된 승강판(210)의 톱니(211)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며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려 작동휠(132)을 순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휠(1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파크휠(131)이 발화석(120)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일으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lifting plate 210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250 is instantaneously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member 250. The teeth 211 of the lifting plate 210 protruding toward the roller 130 are momentarily So that the spark wheel 131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operating wheel 132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oot fossa 120 by rotating the operating wheel 132 instantly by engaging with the operating spur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Causing momentary friction and generating sparks necessary for ignition.

이후, 상부 케이스(230)를 누르는 푸쉬버튼(14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압축된 제2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케이스(230)와 승강부재(250)가 상승하여 복귀되며, 이 과정에서 제2 가이드홈(241)을 따라 상승하는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이 제1 가이드홈(231) 하단의 제2 유도 경사면(233)에 의해 유도되어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삽입됨으로써, 상술한 도 8의 (a)와 같은 최초의 상태로 원위치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by the push button 140 pressing the upper case 230 is released, the upper case 230 and the lifting member 250 are raised and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econd spring 270,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ris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41 is guided by the second guiding slope 233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A) of FIG. 8 by being inserted into the step 242 of the step (241).

이와 더불어, 승강부재(250)와 연결된 승강판(210)도 동시에 복귀되는데, 승강판(210)이 상부 케이스(230)와 푸쉬버튼(140)과 같이 상승 복귀됨에 따라 돌출 가이드(214)가 푸쉬버튼(140)에 위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이때에는 승강판(210)의 톱니(211)가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간섭되지 않고 원위치로 복귀된다.
In addition, the lifting plate 210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250 is simultaneously returned. As the lifting plate 210 is lifted upward as the upper case 230 and the push button 140, The teeth 211 of the lifting plate 210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ng teeth 133 of the operating wheel 132. At this time,

한편,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점화 작동수단(200)의 상부 케이스(230) 상단에 구비되는 푸쉬버튼(140)은 지지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벽(111)에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4 and 5, the push button 14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230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200 is coupled to the pair of side walls 111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As shown in Fig.

즉, 지지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벽(111)과 대향하는 푸쉬버튼(140) 전면 양측에는 승강 가이드돌기(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지지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벽(111)에는 푸쉬버튼(140)의 한 쌍의 승강 가이드돌기(141)가 각각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홈(115)이 형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elevation guide projections 1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sh button 140 facing the pair of side walls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a pair of side walls 111 An elevation guide groove 115 is formed in which the pair of elevation guide projections 141 of the push button 140 are respectively engaged.

이때, 푸쉬버튼(140)의 한 쌍의 승강 가이드돌기(141) 중 한 쪽은 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된 레버(150)의 누름편(153)을 가압하도록 누름편(15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pair of lifting guide projections 141 of the push button 140 pushes the pushing piece 153 of the lever 15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으로, 푸쉬버튼(140)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푸쉬버튼(140)의 승강 가이드돌기(141)가 레버(150)의 누름편(153)을 가압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레버(150)에서 누름편(153) 반대측에 형성된 결합부(152)가 노즐(31)을 들어올려 노즐(31)을 개방하게 되고, 동시에 푸쉬버튼(140)에 의해 점화 작동수단(200)이 작동하게 되어 개방된 노즐(31)에서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pushing button protrusion 141 of the push button 140 presses the pushing piece 153 of the lever 150 to push the lever 150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engaging portion 15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ing piece 153 lifts the nozzle 31 to open the nozzle 31 and at the same time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200 is operated by the push button 140, The gas ejected from the nozzle 31 is igni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9 to 11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gniter for a lighter of a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를 위해 푸쉬버튼(140)을 가압하여 누르는 과정에서는, 푸쉬버튼(140)이 하강하면서 승강판(210)의 돌출 가이드(214)를 롤러(130) 측으로 밀게 되어, 승강판(210)에서 돌출 가이드(214) 반대편에 형성된 톱니(211)가 롤러(130)의 작동휠(132)을 향해 돌출되며, 이와 동시에 푸쉬버튼(140)에 의해 상부 케이스(230)가 가압되면서 상부 케이스(230)를 지지하고 있는 제2 스프링(270,도6 참조)이 가압되어 압축되는 동시에, 제1 스프링(260,도6 참조)이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에서 단턱(242)에 걸려있는 승강부재(250)를 가압하며 압축된다.9, in the process of pressing and pushing the push button 140 for ignition, the push button 140 is lowered and pushes the protrusion guide 214 of the lift plate 210 toward the roller 130 The teeth 211 formed on the lift plate 210 opposite to the protrusion guide 214 are projected toward the operation wheel 132 of the roller 130 while the push button 140 presses the upper case 230 The second spring 270 (see FIG. 6) supporting the upper case 230 is pressed and compressed while being pressed and the first spring 260 (see FIG. 6) 241 by pressing the elevating member 250 which is hooked on the step 242. [

이 상태에서, 푸쉬버튼(140)을 더욱 가압하면, 푸쉬버튼(140)의 승강 가이드돌기(141,도4 참조)가 레버(150)의 누름편(153)을 가압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레버(150)에서 누름편(153) 반대측에 형성된 결합부(152)가 노즐(31)을 들어올려 노즐(31)을 개방하게 되고, 동시에 푸쉬버튼(140)에 의해 상부 케이스(230)가 하강하면서 상부 케이스(230)의 제1 가이드홈(231) 상단에 형성된 제1 유도 경사면(232)이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 단턱(242)에 삽입된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을 밀어내어 단턱(242)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50)는 압축된 제1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을 따라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4) of the push button 140 presses the pushing piece 153 of the lever 150 so that the lever 150 is pushed by the lever principle, The engaging portion 152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ushing piece 153 of the upper case 150 lifts the nozzle 31 to open the nozzle 31. At the same time, the lower case 230 is lowered by the push button 140 The first guide slope 2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of the upper case 230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mber 250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241 ' The lifting member 250 moves the movable pin 25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p 242 by the resilient force of the compressed first spring 260. As a result, 2 guide grooves 24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 과정에서, 승강부재(250)에 연결된 승강판(210)이 승강부재(250)와 함께 순간적으로 하강하면서, 승강판(210)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211)가 작동휠(132)의 작동톱니(133)와 맞물려 작동휠(132)을 순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휠(1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파크휠(131)이 발화석(120)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일으켜 스파크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레버(150)에 의해 개방된 노즐(31)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lift steel plate 210 connected to the lift member 250 is instantaneously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 member 250 so that the teeth 211 formed on the lift steel plate 210 a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heel 132 The spark wheel 131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wheel 132 causes instantaneous friction with the foot fossil 120 to generate a spark by momentarily rotating the operation wheel 132 by engaging with the teeth 133 At this time, the gas ejected through the nozzle 31 opened by the lever 150 is ignited.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1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압축된 제2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케이스(230)와 승강부재(250)가 상승하면서, 하부 케이스(240)의 제2 가이드홈(241)을 따라 상승하는 승강부재(250)의 가동핀(251)이 상부 케이스(230)의 제1 가이드홈(231) 하단에 형성된 제2 유도 경사면(233)에 의해 유도되어 제2 가이드홈(241)의 단턱(242)에 삽입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되며, 승강부재(250)에 연결된 승강판(210)도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된다.11, when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push button 140 is released, the upper case 230 and the lifting member 250 are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econd spring 270, The movable pin 251 of the lifting member 250 rising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41 of the case 240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slope 23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231 of the upper case 230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step 242 of the second guide groove 241. The lifting plate 210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250 is also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at the same time.

이때, 제2 스프링(270)에 의한 상부 케이스(230)의 상승에 의해 푸쉬버튼(140)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푸쉬버튼(140)의 승강 가이드돌기(141)에 의한 레버(150)의 누름편(153)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누름편(153) 반대측에 형성된 결합부(152)가 노즐(31)을 다시 폐쇄시키게 된다.
The push button 14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case 230 by the second spring 270 so that the push button 140 is pushed by the lifting guide protrusion 141 of the push button 140, The pressing portion 153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5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ing piece 153 closes the nozzle 31 aga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는, 푸쉬버튼을 누르면 점화 작동수단을 통해 롤러를 순간적으로 회전시켜 발화석과의 순간적인 마찰을 유도하여 라이터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킴으로써, 확실한 점화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롤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기존의 돌점화식 라이터 점화장치와 달리 푸쉬버튼을 통해 롤러를 회전시켜 손쉽게 라이터 점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roller is instantaneously rotated through the ignition operating means to induce momentary friction between the igniter and the spark , It is possible to ensure reliable ignition performance and unlike the existing stone ignition lighter ignition device which rotates the roller manually, the lighter can be easily ignited by rotating the roller through the push butt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푸쉬버튼을 누르면 점화 작동수단이 롤러를 일정량 만큼만 회전시킴으로써 롤러와 마찰하는 발화석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라이터 점화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ignition operating means rotates the roller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reby reducing the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foot fossi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lighter ignition devic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를 구비한 가스라이터는, 통상의 돌점화식 가스라이터와 동일하게, 연료탱크에 인서트를 결합하고, 인서트의 상부에 노즐조립체,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캡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가스라이터를 구성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ignition device for a lighter of the push butt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 is coupled to a fuel tank, and a nozzle assembly, a lighter igniter And the cap are sequentially assembled to constitute the gas lighter, so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simple and maintenance is easy.

10 : 연료탱크 20 : 인서트
30 : 노즐조립체 31 : 노즐
50: 캡 51 : 불꽃토출공
100 : 라이터 점화장치 110 : 지지프레임
111: 측벽 112 : 발화석 장착부
113 : 수용홈 114 : 스프링
115 : 승강 가이드홈 120 : 발화석
130 : 롤러 131 : 스파크휠
132 : 작동휠 133 : 작동톱니
140 : 푸쉬버튼 141: 승강 가이드돌기
150 : 레버 151 : 관통공
152 : 결합부 153 : 누름편
200: 점화 작동수단 210 : 승강판
211 : 톱니 212 : 연결부
213 : 결합핀 214 : 돌출 가이드
220 : 작동몸체 230 : 상부 케이스
231 : 제1 가이드홈 232 : 제1 유도 경사면
233 : 제2 유도 경사면 234,244 : 보조 가이드홈
240 : 하부 케이스 241: 제2 가이드홈
242 : 단턱 250 : 승강부재
251 : 가동핀 260 : 제1 스프링
270 : 제2 스프링
10: fuel tank 20: insert
30: nozzle assembly 31: nozzle
50: cap 51: flame discharge ball
100: lighter ignition device 110: support frame
111: side wall 112: foot fossil mounting portion
113: receiving groove 114: spring
115: lift-up guide groove 120: foot fossil
130: roller 131: spark wheel
132: Operation wheel 133: Operation tooth
140: push button 141: lift guide projection
150: lever 151: through hole
152: engaging portion 153:
200: Ignition actuation means 210:
211: tooth 212:
213: engaging pin 214: extrusion guide
220: operating body 230: upper case
231: first guide groove 232: first guide slope
233: second guide slope 234, 244: auxiliary guide groove
240: Lower case 241: Second guide groove
242: step 250:
251: actuating pin 260: first spring
270: Second spring

Claims (12)

가스라이터에서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기 위한 라이터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발화석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화석과의 마찰을 통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유도하는 스파크휠과, 상기 스파크휠과 동시 회전하도록 상기 스파크휠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작동톱니가 형성되는 작동휠로 이루어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노즐의 반대편에서 상기 롤러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판면 일단부에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가 형성되는 승강판과, 한 쌍의 케이스가 상하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판과 연결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각 케이스의 벽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과 자동 복귀를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작동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점화 작동수단과;
상기 점화 작동수단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몸체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푸쉬버튼;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1. A lighter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a spark in gas discharged from a fuel tank through a nozzle, the igniter being provided in a gas lighter at an upper portion of a fuel tank,
A support fram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A foot fossil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 spark wheel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for inducing ignition of gas ejected from the nozzle through friction with the ignition ston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ark wheel so as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spark wheel, A roller comprising an operating wheel o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eth are formed a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pair of cases which are provid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which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roller with the rolle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ich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ate surface with teeth for engaging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And a pair of sp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va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inside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mbers, An ignition actuating means composed of an actuating body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controlling the descending and automatic return, and being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A push butt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gnition actuation means so as to be able to be pressed and transmit a pressing force to the operating body; And
A lever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And an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the igni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몸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케이스는,
경사면을 갖는 제1 가이드홈이 양 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단턱을 갖는 제2 가이드홈이 양 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가 승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cases provided in the operating body,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guide groov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both sides,
Wherein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groove, and the lower case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upper case ascends and descend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몸체 양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홈을 연통하여 삽입되는 가동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member
And a movable pin accommodated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and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스프링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서 승강부재의 상부에 탄성 지지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air of springs respectively provid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A first spring elastically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in the upper case,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in the lower cas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cas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단턱을 갖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가동핀이 단턱에 걸리거나 또는 단턱으로부터 이탈하여 하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guide groove
Wherein said guide member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 a " having a step, so that the movable pin of said elevating member is guided to move downward or away from the step.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홈의 상단에 상기 승강부재의 가동핀을 상기 제2 가이드홈의 단턱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유도하는 제1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고,
홈의 하단에 상기 승강부재의 가동핀이 상기 제2 가이드홈의 단턱에 걸리도록 유도하는 제2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irst guide groove,
A first guiding slop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roove to guide the movable pin of the lifting member to be separated from the step of the second guide groove,
And a second guiding slop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roove to guide the movable pin of the elevating member to be caught by the step of the second guide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판면 하부 일측에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핀을 통해 상기 연결부가 승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plate,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elevating member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ifting member via the coupling p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서 상기 톱니가 형성된 판면의 반대측 판면에는,
상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돌출 가이드가 형성되어,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푸쉬버튼이 상기 돌출 가이드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하면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출 가이드를 롤러측 방향으로 밀어, 상기 톱니가 상기 작동휠의 작동톱니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plat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late surface on which the teeth are formed,
A protruding guide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an upper end portion is forme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by external pressurization,
Wherein the push button is in contact with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guide and pushes the protruding gu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roller so that the teeth can be engaged with the operating teeth of the operating wheel. Type igniter for a ligh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ush button,
And a lifting guide protrusion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is form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일측에 상기 노즐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와 상하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누름편이 돌출 형성되어,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푸쉬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승강 가이드돌기가 상기 누름편을 가압함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누름편 반대측의 상기 결합부가 노즐을 들어올려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lever,
And a pushing piece protru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elevation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lock,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by the external pressurization, the engaging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ing piece lifts the nozzle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age when the pushing piece pushes the pushing piece. Button type igniter for light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작동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Wherein the ignit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ng body.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를 밀폐하는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에 결합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가스를 대기중으로 분출시켜주는 노즐조립체와; 상기 인서트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조립체에 구비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발화시키는 라이터용 점화장치; 및 상기 노즐조립체 상부에 씌워져 구비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라이터용 점화장치는,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따른 푸쉬버튼 방식의 라이터용 점화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라이터.
A fuel tank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n insert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to seal the fuel tank; A nozzle assembly coupled to the insert for ejecting gas from the fuel tank into the atmosphere; A lighter ignition device coupled to the insert for igniting a gas ejected from a nozzle of the nozzle assembly; And a cap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assembly,
The lighter ignition device includes:
A gas lighter comprising a push-button lighter i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140077895A 2014-06-25 2014-06-25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629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95A KR101629800B1 (en) 2014-06-25 2014-06-25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95A KR101629800B1 (en) 2014-06-25 2014-06-25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05A true KR20160000905A (en) 2016-01-06
KR101629800B1 KR101629800B1 (en) 2016-06-15

Family

ID=5516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95A KR101629800B1 (en) 2014-06-25 2014-06-25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80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62Y2 (en) * 1989-05-19 1994-05-25 イワックス株式会社 Ignition device such as lighter
KR19990069836A (en) 1998-02-13 1999-09-06 이상종 Lighter ignition
KR20000036420A (en) 1999-12-07 2000-07-05 모해종 A disposable lighter which is lighted by switching
KR200205608Y1 (en) * 2000-07-20 2000-12-01 대안무역주식회사 Non-recyclable lighter
KR200226160Y1 (en) * 2000-12-26 2001-06-01 주식회사일산금속 An igniter of ligh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62Y2 (en) * 1989-05-19 1994-05-25 イワックス株式会社 Ignition device such as lighter
KR19990069836A (en) 1998-02-13 1999-09-06 이상종 Lighter ignition
KR20000036420A (en) 1999-12-07 2000-07-05 모해종 A disposable lighter which is lighted by switching
KR200205608Y1 (en) * 2000-07-20 2000-12-01 대안무역주식회사 Non-recyclable lighter
KR200226160Y1 (en) * 2000-12-26 2001-06-01 주식회사일산금속 An igniter of ligh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00B1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8254B2 (en) Writer
US6244858B1 (en) Multi-purpose lighter with child resistant device
RU2244219C2 (en) Domestic lighter
US6046528A (en) Selectively actuatable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US6540506B1 (en) Disposable piezoelectric lighter
US7364427B2 (en) Laborsaving and safety lighters
MXPA01011729A (en) Utility lighter.
KR101629800B1 (en)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CA2413716C (en) Ignition operating mechanism for slide type lighters
KR101629801B1 (en) A push-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lighter and the gas lighter equipped with the same
EP1628074A1 (en) Disc-like piezoelectric lighter with a safety lock
US6520768B1 (en) Lighter structure
JP3159580U (en) Piezoelectric lighter with child prevention measures
US20070287114A1 (en) Lighter having safety device
US20050266366A1 (en) Safety lock mechnaism of a lighter
US20030013058A1 (en) Lighter
WO2003064929A2 (en) Multi-button piezoelectric child-resistant cigarette lighter
US6299434B1 (en) Double-button piezoelectric child-resistant cigarette lighter
US20100047729A1 (en) Lighter with childproof windshield
WO2003085325A1 (en) Lighter with lockup device
EP1881271A1 (en) Lighter having a safety device
US6435859B1 (en) Flint gas lighter with ignition resistant mechanism
CN201137961Y (en) Grinding wheel cigarette lighter preventing opened by children
KR20150002013U (en) Chld resistant lighter
US6655953B1 (en) Disposable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