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73U -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 Google Patents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73U
KR20160000773U KR2020140006406U KR20140006406U KR20160000773U KR 20160000773 U KR20160000773 U KR 20160000773U KR 2020140006406 U KR2020140006406 U KR 2020140006406U KR 20140006406 U KR20140006406 U KR 20140006406U KR 20160000773 U KR20160000773 U KR 20160000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hrome wire
wire
mounting
nichrom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20140006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773U/ko
Publication of KR20160000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사람이 들어서 운반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접이식의 니크롬선 장착대에 니크롬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를 극도로 경량화하고, 부피의 소형화를 달성하여 휴대가 간편하여 공사 현장 등의 야외 현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절단기는 길게 형성되는 니크롬선장착대와 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장착핀,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측면 또는 상단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내부에는 구리선이 매립 또는 삽입 설치되며, 상기 구리선의 양 단과 니크롬선의 양 단을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선 또는 구리선은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력선이 형성되어 전력원과 연결된다.

Description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Simplified foam panel cutting device}
본 고안은 니크롬선을 이용하는 스티로폼판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들어서 운반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접이식의 니크롬선 장착대에 니크롬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를 극도로 경량화하고, 부피의 소형화를 달성하여 휴대가 간편하여 공사 현장 등의 야외 현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단열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성 수지재는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판넬 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제 건설 현장 등에서는 상기 스티로폼 판넬의 필요한 크기와 두께 등이 현장에 맞춰서 제각각 다르게 되므로, 시공자는 상기 스티로폼 판넬을 현장에서 필요한 크기와 두께로 잘라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티로폼 판넬을 절단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은 니크롬선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니크롬선에 전력을 공급하여 열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열에 취약한 스티로폼 판넬을 상기 니크롬 열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니크롬선을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스티로폼 판넬을 테이블과 같은 일정 높이가 있는 지지대 위에 올려 놓고, 둘 이상의 시공자가 직접 니크롬선을 안전 수단을 강구한 상태에서 양 쪽을 잡고, 이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스티로폼 판넬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시공자가 니크롬선을 직접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해야 하므로 불편하며, 또한 전기가 흐르고 열이 방출되고 있는 니크롬선을 직접 잡고 작업해야 하므로 아무리 안전 수단을 강구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 판넬의 절단 방법으로써, 작업대와 작업대 양쪽으로 각각 제1, 제2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양 측의 지지바에 다수의 전열선을 설치하여 스티로폼 판넬을 절단하는 전열선을 사용한 자동 절단기를 개시한 등록특허 10-0530364호(이하 선행기술 1), 스티로폼을 니크롬 열선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작업대와, 컴퓨터와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스티로폼 판넬을 절단하도록 하는 등록실용신안 20-0250050호(이하 선행기술 2), 스티로폴을 설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장치로써 이송테이블과 열선을 톱질하듯 좌우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갖추고 있는 스티로폴 오실레이팅 절단 장치를 개시한 등록실용신안 20-0381791호(이하 선행기술 3), 내화 피복제가 코팅된 발포 폴리스티렌 전용 절단장치를 개시한 등록실용신안 20-0433703호(이하 선행기술 4)가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 1~4는 모두 니크롬선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지지바와 작업 테이블을 필수적 요소로 구성하고 있고, 이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공장 등의 고정된 공간에 설치하여 플라스틱 판넬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장치로써는 적합하지만 본 고안과 같이 휴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그 구성도 전자적 조절수단 및 둘 이상의 지지바 등을 포함하여 지지바 없이 단순하게 접이 가능하고 니크롬선을 설치 및 해체 가능하게 구성한 니크롬선 장착대를 사용하는 본 고안과는 지향점 및 구성, 동작 방식이 다른 상이한 고안 및 고안이다.
그리고 휴대용 스티로폼 절단기로써 전원공급선휠 및 절단열선휠, 브레이크장치, 접속브라켓,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절단기본체와 절단기손잡이 등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스티로폼 절단기를 개시한 등록특허 10-1029781호(이하 선행기술 5)가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 5 역시 전기적으로 절단기를 구동시키고 있고 또한 전원공급선휠 및 절단열선휠, 브레이크장치 등 본 고안과는 전혀 상이한 구성 및 작동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과는 상이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니크롬선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니크롬선 장착대를 이용한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니크롬선을 이용하여 스티로폼판넬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로써 길게 형성되는 니크롬선장착대;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단부에 니크롬선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 설치할 수 있는 한 쌍의 장착핀;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측면 또는 상단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내부에는 구리선이 매립 또는 삽입 설치되며, 상기 구리선의 양 단과 니크롬선의 양 단을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선 또는 구리선은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력선과 연결되어 있는 간이 스티로폼 절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장착핀의 재질은 MC나일론(Mono Cast Nylon, 모노머캐스트나일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니크롬선장착대는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분리된 니크롬선장착대는 각각 상기 니크롬선을 접을 수 있고 또한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관절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 니크롬선장착대에는 전력공급 유무를 결정할 수 있는 동작스위치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니크롬선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니크롬선 장착대를 이용하여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를 쉽게 사용자가 설치 및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니크롬선 장착대를 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의 구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기 중 관절의 동작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기 중 제2장착핀의 구조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100)의 정면도로, 도 1은 상기 절단기(100)의 외부면을 드러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절단기(100)의 내부 투사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상기 절단기(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기(100)는 직선형의 니크롬선장착대(110)가 몸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의 니크롬선장착대(1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대(111)와 제2장착대(112)로 구분하도록 하고, 이를 관절(120)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을 접이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사용자가 운반 및 보관하는 데 편리하므로 바람직하며, 이하의 설명 또한 상기와 같은 니크롬선장착대(110)를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에는 사용자가 운반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손잡이(131, 132)가 부착되는데, 상기 손잡이(131, 132)의 개수는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절단기(100)의 길이 및 작업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2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의 양 단부측 상단에 각각 하나씩의 손잡이(131, 132)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의 설명 또한 상기와 같이 한 쌍으로 된 손잡이(131, 132)의 구성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의 양 단부측 하단에는 각각 하나씩의 장착핀(141, 142)이 설치되는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핀(141, 142)을 통하여 니크롬선(L)을 거치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장착핀(141, 142)은 약간의 유연성을 가지는 MC나일론(Mono Cast Nylon, 모노머캐스트나일론)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니크롬선(L)이 전력에 의해 가열될 경우, 상기 니크롬선(L)이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으로 상기 장착핀(141, 142)이 완전히 경화된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니크롬선(L)이 열팽창하여 장력을 잃게 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장착핀(141, 142)을 MC나일론 재질로 형성할 경우, 니크롬선(L)이 열팽창할 경우에도 상기 장착핀(141, 142)의 모양을 조정하여 상기 니크롬선(L)에 다시 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에는 또한 상기 니크롬선(L)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부로 구리선이 삽입되는데, 상기 니크롬선(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장착대(111)와 제2장착대(112)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상기 구리선 역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리선(C1)과 제2구리선(C2)으로 구분되어 각각 제1장착대(111)와 제2장착대(112)에 삽입되며, 상기 관절(120)의 작용으로 인하여 제1장착대(111)와 제2장착대(112)가 펼쳐질 때 상기의 제1구리선(C1)과 제2구리선(C2)은 서로 맞닿도록 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리선(C1) 및 제2구리선(C2)의 단부 중 어느 하나는 각각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전선들은 각각 제1장착핀(141)과 제2장착핀(14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니크롬선(L)에 전력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구리선(C1, C2) 중 어느 하나 또는 구리선(C1, C2)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선 중 어느 하나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전력선(P)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니크롬선(L)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니크롬선장착대(110)에는 추가적으로 동작스위치(11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동작스위치(113)는 상기 구리선(C1, C2)의 전류 개통 또는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로폼판넬 절단기(1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120)의 동작에 의해 접힘과 펼침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관절(120)은 또한 상기 제1장착대(111)와 제2장착대(112)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절(120)은 도 4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관절(120)의 동작 구조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절(120)은 상기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대(111, 112)가 펼쳐졌을 때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121~124) 및 상기 장착대(111, 112)를 접을 수 있는 회전경첩(125)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121~124)는 걸릴 수 있는 헤드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122)과 상기 고정핀(122)을 회전 가능하도록 제2장착대(112) 상에 설치하는 고정부(121), 그리고 제1장착대(111)상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122)의 헤드를 걸어서 거치할 수 있도록 고정핀홈(12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이(123)로 구성되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핀(122)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핀홈(124)에 걸어서 장착대(111, 112)를 서로 펼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핀(141, 142) 역시 접을 수 있도록 니크롬선장착대(110) 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제2장착핀(142)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장착핀(142)를 일예시로 하여 장착핀(141, 142)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핀(141)의 경우 제2장착핀(142)과 설치 형태가 완전히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제2장착핀(142)은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2장착핀(142)이 펼쳐져서 니크롬선(L)에 장력을 가해야 할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제2장착핀(142)과 제2장착대(112)의 연결부위에는 제1조임부(114)가 설치되어, 상기 제1조임부(114)를 회전시켜 상기 제2장착핀(142)와 제2장착대(112)의 연결부위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2장착핀(142)가 펼쳐진 상태나 접혀진 상태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제1조임부(114)를 회전시켜 상기 제2장착핀(142)와 제2장착대(112)의 연결부위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장착핀(142)가 제1조임부(114)를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1조임부(114)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제2장착핀(142)를 접거나 펼친 뒤에는, 다시 제1조임부(114)를 조여 상기 제2장착핀(142)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고 사용하거나 접어서 수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장착대(112)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제2구리선(C2, 도 2 참조)에서 연결된 제2전선(e2)이 니크롬선(L)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100 :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110 : 니크롬선장착대.
111 : 제1장착대. 112 : 제2장착대. 113 : 동작스위치.
120 : 관절. 131 : 제1손잡이. 132 : 제2손잡이.
141 : 제1장착핀. 142 : 제2장착핀. C1 : 제1구리선.
C2 : 제2구리선. L : 니크롬선. P : 전력선.

Claims (4)

  1. 니크롬선을 이용하여 스티로폼판넬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로써, 길게 형성되는 니크롬선장착대;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단부에 니크롬선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 설치할 수 있는 한 쌍의 장착핀;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측면 또는 상단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의 내부에는 구리선이 매립 또는 삽입 설치되며, 상기 구리선의 양 단과 니크롬선의 양 단을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선 또는 구리선은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력선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스티로폼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핀의 재질은 MC나일론(Mono Cast Nylon, 모노머캐스트나일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크롬선장착대는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분리된 니크롬선장착대는 각각 상기 니크롬선을 접을 수 있고 또한 펼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크롬선장착대에는 전력공급 유무를 결정할 수 있는동작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KR2020140006406U 2014-08-27 2014-08-27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KR201600007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06U KR20160000773U (ko) 2014-08-27 2014-08-27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06U KR20160000773U (ko) 2014-08-27 2014-08-27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73U true KR20160000773U (ko) 2016-03-08

Family

ID=5553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06U KR20160000773U (ko) 2014-08-27 2014-08-27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7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252B1 (ko) 2022-02-18 2022-08-16 조충환 열선의 자동 세팅이 가능한 스티로폼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252B1 (ko) 2022-02-18 2022-08-16 조충환 열선의 자동 세팅이 가능한 스티로폼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44293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polymethacrylimidskum
ATE412558T1 (de) Schwenkbarer überrollbügel
DE60239861D1 (de) Vorrichtung zum steuern der heizung in einem trockner
TWI524615B (zh) 理線支撐裝置及其安裝組件
WO2005028169A3 (en) Power tool and components therefor
DE60226005D1 (de) Nicht orthogonale mram-einrichtung
KR20160000773U (ko) 간이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DE60110662D1 (de) Tragbares Kraftwerkzeug mit Vorrichtung zum Vibrationsausgleich
DE602005008695D1 (de) Zusammenklappbarer Schlauchwagen
US10286580B2 (en) Soap recycling assembly
KR20150004633U (ko) 휴대용 스티로폼판넬 절단기
KR20190135440A (ko) 이동식 휴대용 스티로폼 절단기
KR101711915B1 (ko) 절단 장치
CN204397265U (zh) 固定装置
BR0209307B1 (pt) aparelho para uso em bombas.
KR20200002117U (ko) 작업대의 전도 방지를 위한 지지대 고정용 클램프
JP2006043795A (ja) 発泡材切断具
ITBO20100678A1 (it) Dispositivo per il taglio di sagome in pelli
CN105422556A (zh) 固定装置
ITMI20000886A0 (it) Miscele stabilizzanti liquide per polimeri organici
JP2019089280A (ja) 平行定規および携帯用加工機
ITMI20010750A0 (it) Dispositivo per il posizionamento ed il bloccaggio dei pezzi su macchine per la lavorazione del legno e relativa macchina
KR20150000929U (ko) 사다리 지지장치
DE50311361D1 (de) Vorrichtung zum Überbrücken von Dehnungsfugen an Bauwerken
KR101998156B1 (ko) 블라인드 클립용 설치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