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48U - 공간 밴드 - Google Patents

공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48U
KR20160000748U KR2020140006337U KR20140006337U KR20160000748U KR 20160000748 U KR20160000748 U KR 20160000748U KR 2020140006337 U KR2020140006337 U KR 2020140006337U KR 20140006337 U KR20140006337 U KR 20140006337U KR 20160000748 U KR20160000748 U KR 201600007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urface
sheet
space
pres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744Y1 (ko
Inventor
강영준
Original Assignee
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준 filed Critical 강영준
Priority to KR2020140006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4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093Wound bandages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65Wound bandages not touching the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55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p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8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 A61F2013/00889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waterpro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시트지; 시트지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환부주변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면; 및 시트지 중앙에 배치되고, 통풍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구비되며, 환부와 대항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간(S)을 형성하는 거즈부;를 포함하여, 환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 밴드{SPACE BAND}
본 고안은 공간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처와 밴드와의 공간을 두어 밴드가 직접 상처에 닿지 않으며, 공기 구멍으로 통풍이 되어 상처부위가 부르트고 진물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처부위가 사람이나 지형지물에 부딪혀도 완충시키며, 세수나 샤워를 할 때 공기 구멍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여 물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공간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판되는 일회용 배드들은 상처에 사용했을 때 사용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통증과 함께 상처의 딱지가 떨어지며 피도 날 수 있고 상처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이나 발가락 또는 몸의 상처가 있으면, 세수나 샤워를 하고 싶어도 상처에 스며드는 물 때문에 마음 놓고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처부위가 물이나 벽, 사람 등과 부딪히는 충격시, 엄청난 통증과 함께 2차 부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일회용 밴드인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문제점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일회용 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즈(3)가 접착면(4)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환부(상처부위)를 압박하는 원리로 부착됨에 따라, 거즈와 환부가 밀착되게 환부에서 피 또는 진물이 나는 경우 환부에 거즈가 달라 붙어 일회용 밴드 제거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증과 함께 상처의 딱지가 떨어지며 피도 날 수 있고 상처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3100호(2002. 01. 22)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시트지; 시트지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환부주변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면; 및 시트지 중앙에 배치되고, 통풍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구비되며, 환부와 대항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간(S)을 형성하는 거즈부;를 포함하되, 접착면이 `=` 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과, 접착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을 소정길이만큼 중첩되게 접착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일측면이 폐쇄되고 시트지가 손가락 또는 발락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른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시트지 내주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거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린이, 어른 할것 없이 상처가 완치되어 가면 가려움 증을 느끼고, 기타 가려움 증의 상처부위의 경우 잠을 잘 때도 자기도 모르게 긁어서 상처를 덧나고 재발하게 되고, 더불어 상처에 연고 종류를 바르고 장시간 있어야 하는 부분의 경우 옷이나 다른 물체에 묻어 씻겨야 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회용 밴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공간 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형 공간 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형 공간 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무형 공간 밴드의 방수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골무형 공간 밴드의 일반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시트지(100), 접착면(110), 거즈부(120), 및 공간부(S)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지(100)는 본 고안에 다른 공간 밴드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기본 구성이다.
상기 접착면(110)은 상기 시트지(100)의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사람의 환부(상처부위) 주변에 접착됨으로써, 본 고안에 다른 공간 밴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즈부(120)는 상기 시트지(100)의 중앙 면에 형성되어 본 고안에 다른 공간 밴드의 부착시 환부에서 발생되는 피나 진물을 흡수함으로 로서 환부의 청결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거즈부(120)가 형성된 부분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와 대항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공간(S)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간(S)이 형성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상기 공간(S)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이 도포된 환부를 비접촉방식으로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간(S)이 형성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상처부위가 주변사람이나 지형지물에 부딪치는 경우 1차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의 일반형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구멍(121)이 형성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처부위가 부르트거나 진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의 특수형은 방수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수영이나 샤워 및 세안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원형의 공간 밴드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공간 밴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길이에 따라 연속적을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상기 접착면(110)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가 배치되고, `ㄷ`자형으로 상기 접착면(110)이 형성된 공간밴드 사이로, 접착면(110)이 `=` 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착면(110)이 `=` 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110)과 상기 접착면(110)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110)을 소정길이만큼 중첩되게 접착시켜 상처 길이에 따라 공간 밴드 길이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공간 밴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발가락 등에 골무처럼 끼워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시트지(100)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면은 폐쇄되고 다른 일측면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지(100) 내주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거즈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용이 아닌 일반형의 경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골무 형태의 밴드 경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끼워지는 입구쪽에 접착면(110) 테잎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끼운 후, 접착면(110)을 감아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착면(110)의 말단부위가 소정의 길이만큼 겹쳐져서 접착된다.
이때, 상기 골무 형태의 밴드 경우 손가락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사용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정링(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 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시트지
110 : 접착면
120 : 거즈
121 : 구멍
130 : 고정링
S : 공간

Claims (6)

  1. 시트지(100);
    상기 시트지(100) 가장자리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환부주변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면(110); 및
    상기 시트지(100)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환부와 대항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간(S)을 형성하은 거즈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부(120)에
    통풍을 위한 복수의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110)이 `=` 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110)과 상기 접착면(110)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공간밴드의 접착면(110)을 소정길이만큼 중첩되게 접착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면이 폐쇄되고 상기 시트지(100)가 손가락 또는 발락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른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지(100) 내주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거즈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110)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끼워지는 입구쪽에 테잎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끼운 후, 접착면(110)을 감아 접착시키게 되는데, 말단부위가 소정의 길이만큼 겹쳐져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밴드.
  6. 제 4항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움직임 방지를 위한 고정링(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밴드.

KR2020140006337U 2014-08-26 2014-08-26 공간 밴드 KR200480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37U KR200480744Y1 (ko) 2014-08-26 2014-08-26 공간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37U KR200480744Y1 (ko) 2014-08-26 2014-08-26 공간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48U true KR20160000748U (ko) 2016-03-07
KR200480744Y1 KR200480744Y1 (ko) 2016-07-01

Family

ID=5553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37U KR200480744Y1 (ko) 2014-08-26 2014-08-26 공간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07A (ko) 2017-08-30 2019-03-08 윤형준 공기방수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65Y1 (ko) * 1995-02-04 1998-06-01 홍창표 상처 보호밴드
KR100323100B1 (ko) 2001-08-27 2002-02-27 주진용 일회용밴드
KR200317689Y1 (ko) * 2003-04-11 2003-06-25 서재경 일회용 손가락 반창고
KR101248920B1 (ko) * 2010-10-18 2013-04-03 이성빈 골무형 밴드
KR200472060Y1 (ko) * 2012-09-12 2014-04-08 서동민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565Y1 (ko) * 1995-02-04 1998-06-01 홍창표 상처 보호밴드
KR100323100B1 (ko) 2001-08-27 2002-02-27 주진용 일회용밴드
KR200317689Y1 (ko) * 2003-04-11 2003-06-25 서재경 일회용 손가락 반창고
KR101248920B1 (ko) * 2010-10-18 2013-04-03 이성빈 골무형 밴드
KR200472060Y1 (ko) * 2012-09-12 2014-04-08 서동민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07A (ko) 2017-08-30 2019-03-08 윤형준 공기방수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44Y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0341S1 (en) Skin cover set for a game controller
USD797197S1 (en) Skin cover for a game controller
USD902938S1 (en) Skin cover for a game controller
USD744662S1 (en) Arm tissue holder
USD800301S1 (en) Adult swim diaper
USD827306S1 (en) Finger mounted toothbrush
USD944980S1 (en) Nasal dilator
US20160256327A1 (en) Ear pick sequentially discharging disposable cotton swab
USD907849S1 (en) Headband
AR091346A1 (es) Pañal descartable y metodo de fabricacion de un pañal descartable
USD859633S1 (en) Absorbent penis sheath
KR200480744Y1 (ko) 공간 밴드
USD884167S1 (en) External nasal dilator
USD946934S1 (en) Gym towel
USD860581S1 (en) Knee and core warmer
USD824268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a pouch of a sanitary absorbent article
KR20160128827A (ko)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KR200485109Y1 (ko) 고무장갑용 속장갑
USD975848S1 (en) Disposable absorbent pants with containment system
KR102153909B1 (ko) 레저용 장갑
USD711120S1 (en) Tissue sheet with applied pattern
CO6382168A2 (es) Prenda unitaria estrechada y estirada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KR20170003145U (ko) 고무장갑
USD711119S1 (en) Tissue sheet with applied pattern
US20160279001A1 (en) Fluid shiel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