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19U -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19U
KR20160000519U KR2020140005856U KR20140005856U KR20160000519U KR 20160000519 U KR20160000519 U KR 20160000519U KR 2020140005856 U KR2020140005856 U KR 2020140005856U KR 20140005856 U KR20140005856 U KR 20140005856U KR 20160000519 U KR20160000519 U KR 20160000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state
fixing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현
박권순
Original Assignee
서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현 filed Critical 서동현
Priority to KR2020140005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519U/en
Publication of KR20160000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1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는 각종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 상태를 간편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개방상태로 고정,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간단히 발끝으로 하강 누름버튼(140)을 누름 조작을 함으로써 구동부(150)의 감속 모터(151)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부(170)가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돌출되면서 작동부(170) 하부에 구성한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가 바닥면에 밀착되므로써 도어의 개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고,
도어의 개방상태 해제시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간단히 발끝으로 상승 누름버튼(130)을 누름 조작을 함으로써 구동부(150)의 감속 모터(151)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부(170)가 상사점까지 상승하므로써 작동부(170) 하부에 구성한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가 바닥면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한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xing various door type doors in an open state or releasing a fixed state easily easily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fix and maintain various doors of the hinged type in an open state, the user pushes the downward push button 140 from the standing posture to the toe tip simpl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ng motor 151 of the driving unit 150 The operating portion 170 is lowered to the bottom dead point and protruded to form the non-slip fastening member 176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reby constituting means for fixing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Similarly, when the door is released from the open state, the operation portion 170 is raised to the upper dead point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on motor 151 of the driving portion 150 by simply depressing the upward push button 130 to the toe in a straight posture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means for releasing the door from the opened state by allowing the anti-slip fastening member 176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to be detached from the floor surface .

Figure utm00001
Figure utm00001

Description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door,

본 고안은 도어를 열린 상태로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형 도어의 열린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어의 하부 일측에 부착하는 고정하는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ixing a door in an open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open state fixing apparatus 100 for fixing a door to a lower side of a door to fix and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각종 여닫이 형식의 도어에 있어서 도어를 열린 개방상태로 고정,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어의 하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틈에 목재나 신문 등으로 만든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개방상태로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임시적이고, 그 사용이 불편하며, 도어의 개방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어 도어가 불시에 닫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출입자에게 상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는 노루발이라 칭하는 도어 고정장치와 도어 고정장치(특허 출원번호: 2020050008938), 도어 고정장치(특허 출원번호: 1020070118045),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특허 출원번호: 1020060020582) 가 특허 출원 등록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in order to fix and maintain a door in various openable door types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in an open open state, conventionally, a fixing member made of wood or newspaper is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A method of fixing it in an open state has been used. However, such a method is temporary, inconvenient in use, and can not accurately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causing the door to be closed unintentionally, resulting in injury to the passeng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a door fixing device and a door fix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umber: 2020050008938), a door fix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118045), a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20582) Is registered as a patent application.

종래기술의 노루발이라 칭하는 도어 고정장치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고정아암(13)을 상,하측으로 회동시켜 도어(20)의 개방상태를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or fixing device called a presser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fix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20 by rotating the fixing arm 13 upward and downward by using a hand or foot as shown in Fig. So that the fixed state can be canceled.

상기의 노루발 도어 고정장치는 도어를 개방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상태 해제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아암(20)을 회동시켜 하방향으로 내리거나 고정아암(20)을 회동시켜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접어야 하는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수반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발을 이용할 경우에는 발로 고정아암(20)을 회동시켜 하방향으로 내리거나 고정아암(20)을 회동시켜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접어야 하는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고정아암(20)이 흙이나 기타 이물질로 지저분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장치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은 구조물을 발끝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과 작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과 신발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When the user uses the hand at the time of fixing the door in the open state or releasing the fixed state, the user depresses the fixing arm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or rotates the fixing arm 20 by hand It is unsanitary and inconvenient and troublesome for the user to bend his / her back.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foot, the user pushes the fixed arm 20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f lowering or pushing up the fixed arm 20 and lifting it upwards, so that the fixed arm 20 may become dirty with soil or other foreign substances, The operation and operation can not be precisely controll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operation several times and the problem that the shoe is damaged .

또한, 상기의 노루발 도어 고정장치를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 장착편과 지지대 간의 결합, 접촉이 이완되거나 또는 연결핀의 고정력이 이완되어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격에 의해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고정아암(20)이 임의로 하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어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ser foot door fixing devic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frequently, the coupling and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piece and the supporting frame are relaxed or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ing pin is relaxed and a clearance is generated. The fixed arm 20 is arbitrarily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opening or closing the door or inconveniences.

도 2(B)에 도시된 사시도와 같이 종래기술 도어 고정장치 (특허출원번호: 2020050008938)는 도어(D)를 개방상태로 고정해야 할 경우 도어 고정장치(100)의 페달(130)을 밟아 가이드 홈(152)의 상부 고정홈(152a)에 고정된 고정핀(151)을 고정 해제시킨 후, 발을 치워 페달(130)을 자유롭게 두면 페달(130)은 하부에 위치한 탄성부재(143)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520) 역시 상부로 이송됨으로써 상부 고정홈(152a)에 위치하던 고정핀(310)은 하부 고정홈(521b)으로 가이드 되어 페달(13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스토퍼(120)는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도어(D)를 고정하게 된다.
2 (B), when the door D is to be fixed in an open state, the door fix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umber: 2020050008938) of the prior art is stepped on the pedal 130 of the door fixing device 100, The pedal 130 is released from the pedal 130 by the resilient member 14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edal 130 when the pedal 130 is freely lifted by removing the fixing pin 151 fixed to the upper fixing groove 152a of the groove 152, And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 520 is also upwardly moved so that the fixing pin 310 positioned in the upper fixing groove 152a is guided by the lower fixing groove 521b to fix the pedal 130 do. By this action, the stopper 120 rotates downward and contacts the floor surface, thereby fixing the door D.

도어(D)의 개방상태를 해제하여야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페달(130)을 밟아 누르면 슬라이딩부(132)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슬라이딩부(132) 일측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41)와 회동부(121) 외면에 형성된 렉기어(142)의 작용에 의해 스토퍼(120)가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올라감으로써 도어(D)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고, 페달(300)을 밟아 하부로 슬라이딩시키면 하부 고정홈(152a)에 고정된 고정핀(310)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페달(130)과 함께 하부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홈(152)에 의하여 상부 고정홈(152a)으로 가이드 되어 페달(130)을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20)는 상향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되고 도어(D)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edal 130 to depress the pedal 130, the sliding portion 132 slides downward, and the pinion gear 141 and the pinion gear 141,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portion 132, The stopper 120 is rotated upward by the action of the gear gear 14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dal body 121 so that the door D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the pedal 300 is slid down The fixing pin 310 fixed to the lower fixing groove 152a is released and the pedal 130 is guided to the upper fixing groove 152a by the guide groove 152 sliding downward together with the pedal 130, . Accordingly, the stopper 120 is rotated upward to be folded and the door D is released from being fixed.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열린 개방상태를 고정,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발끝으로 간단히 하강 누름버튼(140)을 누름 조작을 함으로써 구동부(150)의 감속 모터(151) 정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부(170)가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돌출되면서 작동부(170) 하부에 구성한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가 바닥면에 밀착함으로써 도어를 열린 개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발등으로 간단히 상승 누름버튼(130)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구동부(150)의 감속 모터(151) 역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부(170)가 상사점까지 상승하므로써 작동부(170) 하부에 구성한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가 바닥면으로부터 탈착되어 도어의 개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각종 여닫이 형식의 도어의 개방상태를 간편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fix and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casement type, The actuating part 170 is lowered to the bottom dead point by the positiv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ng motor 151 of the driving part 150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button 140 so that the non-skid fixing member 176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constitute means for fixing the door in the open state. In the case where the door is released from the open state,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upward push button 130 The actuating part 170 is raised to the top dead center by the reverse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ng motor 151 of the driving part 150, Preventive fastening member 176 is detached from the floor surface to release the door from the opened sta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release the opening state of various door-type doors or to open the door And a state fixing device (100).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는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발끝으로 간단히 하강 누름버튼(140)을 누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간편 용이한 수단을 제공하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간단히 발끝으로 상승 누름버튼(130)을 누름 조작하여 도의 개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간편 용이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and easy means by which the user can press the downward depressing button 140 from the standing position to the toe position to easily open the door, The user can easily release the opened state by simply depressing the upward push button 130 to the toe in the normal posture.

또한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 구동력으로 작동부(170)의 정확한 상하 작동과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와 바닥면과의 밀착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고, 도어의 정확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ightening force between the anti-slip fastening member 176 and the bottom surface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ng motor 151 of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correct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unit 17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73, Thereby preventing slippage and providing an effect of maintaining an accurate opening state of the door.

도 1은 종래기술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작동부(150)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본체 상부 뚜껑(120)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작동 단계별 작용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 coupled state of the sliding operation par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 coupled state of the main body upper li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도어 열림 고정장치(100)는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oor opening and fix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fix a door of a hinged type in an open state or to release a fixed state, and a preferred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작동부(150)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본체 상부 뚜껑(120)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작동 단계별 작용을 도시한 예시도 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of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operation par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n engagement state of the upper li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는 본체(110), 본체 상부뚜껑(120), 상승 누름버튼(130), 하강 누름버튼(140), 구동부(150), 브래킷(160), 작동부(170), 위치감지 자석 센서(180), 배터리(19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main body upper lid 120, an upward push button 130, a down push button 140, a driving portion 150, a bracket 160, A position sensor 170, a position sensing magnet sensor 180, and a battery 190.

상기의 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0)의 하부 일측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 구성하고, 본체 상부뚜껑(120)을 나사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네귀퉁이 부분 일정위치에 체결나사 구멍(111)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10 is screw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200, and the main body 110 is faste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four corners so that the main body upper lid 120 can be screw- And a screw hole (111) is formed.

상기의 본체 상부 뚜껑(1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체결나사(121), 결합 체결나사 구멍(122), 상승 누름버튼 구멍(123(A)), 하강 누름버튼 구멍(123(B)),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A)),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B))를 구성한 것으로서 결합 체결나사 구멍(122)은 본체(110)의 체결나사 구멍(111)과 일치하여 나사체결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 상부 뚜껑(120)의 상부면 네귀퉁이 부분 일정위치에 형성하고, 상승 누름버튼 구멍(123(A))과 하강 누름버튼 구멍(123(B))은 상승 누름버튼(130)과 하강 누름버튼(140)이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 상부 뚜껑(120)의 상부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일정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A))와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B))는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131)와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141)를 체결 결합할 수 있도록 상승 누름버튼 구멍(123(A))과 하강 누름버튼 구멍(123(B))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일정 크기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the main body upper lid 120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fastening screw 121, an engagement fastening screw hole 122, an upward push button hole 123 (A), a lower push button hole 123 (B ) And the downward push button protector fixing protrusion 124 (B), and the engaging threaded hole 122 is formed in the fastening screw hole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24 (B) And the upper push button hole 123 (A) and the lower push button hole 123 (B)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pper lid 120, The button 130 and the downward push button 140 are inserted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id 120 of the main body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the upper and lower predetermined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The lower push button protector 124 (A) and the lower push button protector fixing protrusion 124 (B)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s of the upward push button holes 123 (A) and the downward push button holes 123 (B) so that the escape hood 131 and the downward push button protector 141 can be tightly coupled And is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의 상승 누름버튼(130)은 작동부(170)를 상승 작동시키도록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에 전기를 공급하는 원터치 버튼 방식의 스위치로서 외부충격 완화를 위해 상부에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131)를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A))에 체결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하강 누름버튼(140)은 작동부(170)를 하강 작동시키도록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에 전기를 공급하는 원터치 버튼 방식의 스위치로서 외부충격 완화와 편의성 제고를 위해 상부에는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141)를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124(B))에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 push button 130 is a one-touch button type switch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deceleration motor 151 of the driving unit 150 so as to elevate the operation unit 170. As the push button 130, The lowering push button 140 is configured to lower the operation part 170 by operating the deceleration motor 150 of the driving part 150 so as to lower the operation part 170 151 as a one-touch button type switch, the downward push button protector 141 is fastened to the downward push button protector fixing protrusion 124 (B) at the upper part for alleviating the external shock and improving convenience. do.

상기의 구동부(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모터(151), 모터 고정 부재(152), 평기어(A)(153), 평기어(B)(15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평기어(B)(154)는 중심에 일정 크기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 내주면에 작동부(170)의 스크루 부재(171)와 동일한 사양의 나사산을 형성하여 스크루 부재(171)를 삽입 체결하므로써 감속모터(151) 구동시 평기어(B)(154) 회전에 따라 스크루 부재(171)가 상하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the drive unit 150 includes a deceleration motor 151, a motor fixing member 152, a spur gear A 153, and a spur gear B 154 . The spur gear B 154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t the center and a screw thread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s as those of the screw member 171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screw member 171 is caus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ur gear (B) 154 when the reduction motor 151 is driven.

상기의 브래킷(16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A)(161), 브래킷(B)(162) 로 구성된 것으로서 브래킷(A)(161)와 브래킷(B)는 동일한 형상으로 작동부(170)의 스크루 부재(171)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브래킷(A)(161)와 브래킷(B)(162)의 수직면 중앙부에 스크루 부재(171)가 상승 또는 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실린더형fg;으로 돌출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하부 수평면에는 본체(110)의 바닥면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하는 2개의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 사이의 중앙부에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181)를 삽입 설치하는 돌출홈을 형성하고, 브래킷(A)(161)와 브래킷(B)(162) 사이에 평기어(B)(154)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110)의 바닥면에 대칭으로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racket 160 is composed of a bracket A 161 and a bracket B 162 as shown in Fig. 3. The bracket A and the bracket B have the same shape, And serves to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crew member 171 of the screw 170.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ne of the bracket A 161 and the bracket B 162 so as to protrude into a cylindrical fg guiding the screw member 171 to be moved up or down, And two projecting grooves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op dead center sensor sensor 181 at the center between the threaded fastening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horizontal plane, (B) 154 is received between the bracket (A) 161 and the bracket (B) 162, and is fastened symmetric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do.

상기의 작동부(1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 부재(171),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 슬라이딩 결합부재(174), 슬라이딩 로드 결합부재(175),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 결합 체결나사(177), 스크루 부재 고정 나사(17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the operating portion 170 includes a screw member 171, a lifting operation body 172, an urging force compression spring 173, a sliding engaging member 174, a sliding rod engaging member 175 An anti-slip fastening member 176, an engagement fastening screw 177, and a screw member fixing screw 178.

상기의 스크루 부재(171)는 일정 길이의 환봉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 부재(171)의 하부 일측을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 상부측에 나사 체결한 후 스크루 부재 고정 나사(178)로 고정 구성하고, 상기의 브래킷(A)(161)와 평기어(B)(154), 그리고 브래킷(B)(162)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 설치하므로써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 구동시 평기어(B)(154)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작동부(170)를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lower end of the screw member 171 is screwed to the upper 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and the screw 171 is screw- (B) 154 and the bracket (B) 162 through the bracket (A) 161, the spur gear B (B) 154 and the bracket When the decelerating motor 151 is driven, the rotary motion is converted into a vertical linear 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pur gear (B) 154,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170 is moved upward or downward.

상기의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환봉의 상부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일정 깊이, 직경의 중공 홈을 형성하고; 스크루 부재(171)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상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 홈의 외주면상에 나사를 형성하고;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과 슬라이딩 결합부재(174)를 수용하여 결합 구성할 수 있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면에서 상방향으로 일정직경, 길이의 중공 홈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로드 결합부재(175)를 삽입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의 상하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defines a hollow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diame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groove so that the screw member 171 can be screwed into a fixed state; A hollow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so as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compression spring 173 and the sliding engagement member 174; A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rod engaging member 175 and inserted therethrough; .

상기의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은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의 하부 중공 홈에 삽입 체결하여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로 하여금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부재(174)에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force spring 173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low groove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to urge the non-slip fastening member 176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engagement member 174, .

상기의 슬라이딩 결합부재(17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을 수용한 상태로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의 하부 중공 홈에 삽입 체결되어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의 탄성력을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the sliding engagement member 174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low groov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to receive the urging force compression spring 173, To the anti-slip fastening member (176).

상기의 슬라이딩 로드 결합부재(17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일정 길의의 육각 렌찌볼트 형상으로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와 슬라이딩 결합부재(174)의 중앙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너트 체결로 고정 결합하고,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을 삽입한 후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의 관통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너트 체결로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닥면의 높낮이가 평탄하지 못한 경우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173)이 압축되면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여 높낮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sliding rod coupling member 175 is formed in a hexagonal wrench bol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er through hole 174 of the sliding engagement member 174, And then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and fixed by the nut tightening, so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is not flat The compression spring 173 which is provided with the urging force is compressed and slides upward so as to adjust the height.

상기의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는 바닥면에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도어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으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 직경, 길이의 중공 홈을 각각 형성하고, 중심에는 슬라이딩 로드 결합부재(175)를 삽입 체결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nti-slip fastening member 176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provide frictional force by tightl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slippage and fixing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has a constant And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sliding rod coupling member 17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groove.

상기의 위치감지 위치감지 자석 센서(180)은 작동부(17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작동 움직임을 제한하여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181)는 브래킷(A)(161)의 수평면 중앙에 형성하여 작동부(170)의 상방향 작동을 감지하여 상사점에서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하사점 감지 자석 센서(182)는 본체(1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측 바닥면에 형성하여 작동부(170)의 하방향 작동을 감지하여 하사점에서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작동부 위치 감지 자석 센서(183)는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에 형성하여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181)와 하사점 감지 자석 센서(182)로 하여금 작동부(170)의 작동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부(17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작동을 상사점, 하사점에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detecting magnet sensor 180 detects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70 by limiting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unit 170, The bottom dead point detecting magnet sensor 182 dete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170 by stopping the movement at the top dead center by dete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unit 170, And detec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art 170 to stop the movement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actuating part position detecting magnet sensor 183 is formed on the up / down actuating body 172, The top dead center detecting sensor 181 and the bottom dead center detecting magnetic sensor 182 are configured to detec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so that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is performed at the top dead center, Thereby stopping the operation.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의 단계별 작동 작용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발끝으로 도 4에 도시한 하강 누름버튼(140)을 누름 조작을 하면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 정회전 구동에 따른 평기어(A)(153), 평기어(B)(154)의 회전운동으로 인한 스크루 부재(171)의 스크루 작용에 의해 하방향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에 체결 구성되어 있는 작동부 위치 인식 자석 센서(183)가 본체(110)의 바닥면에 구성되어 있는 하사점 감지 자석 센서(182)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는 정지하게 되고,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는 바닥면에 밀착되 도 7(2)의 상태가 되어 도어의 움직임을 고정하게 된다.
7, when the user depresses the downward push button 140 shown in Fig. 4 from the standing posture to the toe in the state of Fig. 7 (1), the driving unit 153 are lowered by the screw action of the screw member 171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pur gears (A) 153 and the spur gears (B) 154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deceleration motor 151 4, the operating position recognizing magnet sensor 183, which is fasten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ng body 172, is moved downward by the body 110, The deceleration motor 151 of the driving unit 150 is stopped and the non-slip fastening member 17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ottom dead center detecting sensor 18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 7 (2), and the movement of the door is fixed.

그리고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해제하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 자세에서 발끝으로 도 4에 도시한 상승 누름버튼(130)을 누름 조작을 하면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 역회전 구동에 따른 평기어(A)(153), 평기어(B)(154)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스크루 부재(171)가 상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강 작동 몸체(172)에 체결 구성되어 있는 작동부 위치 인식 자석 센서(183)가 브래킷(A)(161)에 구성한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181)에 도달하면 구동부(150)의 감속모터(151)는 정지하게 되고,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던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176)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탈착되어 도 7(2)의 상태에서 도 7(1)의 상태가 되어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7, when the user presses the upward push button 130 shown in Fig. 4 from the standing posture to the toe in the state of Fig. 7 (2), the driving unit 150 (A) 153 and the spur gear (B) 154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eed reduction motor 151 of the reduction gear 151, the screw member 171 ascend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ody 172 is moved upward and the operating portion position sensing magnet sensor 183 fastened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body 172 as shown in Fig. The deceleration motor 151 of the driving unit 150 is stopped and the non-slip fastening member 176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removed and removed while moving upward, 2), the state shown in Fig. 7 (1) is reached, and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is released.

100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
110 본체 111 체결나사 구멍
120 본체 상부 뚜껑
121 결합 체결나사 122 결합 체결나사 구멍
123(A) 상승 누름버튼 구멍 123(B) 하강 누름버튼 구멍
124(A)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
124(B)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 고정 돌출부
130 상승 누름버튼 131 상승 누름버튼 보호구
140 하강 누름버튼 141 하강 누름버튼 보호구
150 구동부
151 감속 모터 152 모터 고정 부재
153 평기어(A) 154 평기어(B)
160 브래킷
161 브래킷(A) 162 브래킷(B)
170 작동부
171 스크루 부재 172 상승하강 작동 몸체
173 밀착력 제공 압축 스프링 174 슬라이딩 결합부재
175 슬라이딩 로드 결합부재 176 미끄럼 방지 고정부재
177 결합 체결나사 178 스쿠루 부재 고정 나사
180 위치감지 자석 센서
181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 182 하사점 감지 자석 센서
183 작동부 위치 감지 자석 센서
190 배터리
200 도어
100 door open state fixing device
110 Main body 111 Tightening screw hole
120 Body top cover
121 Coupling screw 122 Coupling screw hole
123 (A) Rising pushbutton hole 123 (B) Lowering pushbutton hole
124 (A) Upward push button protector fixing protrusion
124 (B) Lower push button protector fixing protrusion
130 Rising pushbutton 131 Rising pushbutton guard
140 Lower push button 141 Lower push button protector
150 driver
151 Reduction motor 152 Motor fixing member
153 Spur Gears (A) 154 Spur Gears (B)
160 bracket
161 Bracket (A) 162 Bracket (B)
170 operating part
171 screw member 172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body
173 Provided with an urging force Compression spring 174 Sliding engagement member
175 sliding rod engaging member 176 anti-slip fastening member
177 Attachment screw 178 Screw member fixing screw
180 Position Sensing Magnetic Sensor
181 Top dead center detection magnet sensor 182 bottom dead center detection magnet sensor
183 Position sensing magnetic sensor
190 Battery
200 doors

Claims (2)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에 있어서
구동부(150)는 직류 전기로 구동되는 감속모터(151)와; 감속모터(151)를 본체(110)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시키는 모터 고정 부재(152); 감속모터(151) 축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평기어(A)(153); 중심선을 기준으로 관통구멍 원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함으로써 평기어(A)(153)에 맞물려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작동부(170)의 스크루 부재(171)를 상하로 직선 운동하게 하는 평기어(B)(154);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deceleration motor 151 driven by a DC electric power; A motor fixing member 152 for fixing the deceleration motor 15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spur gear (A) 153 which is coupled to the reduction motor 151 and rotates; A spur gear B which is engaged with the spur gear A to form a female threa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n the basis of the center line and which is engaged and rotated so that the screw member 171 of the operating portion 170 linearly moves up and down, (154); And a control unit.
본 고안의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에 있어서
브래킷(160)은 동일한 형상의 브래킷(A)(161)와 브래킷(B)(162) 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수직면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의 관통 구멍 원주에 일측 방향으로 실린더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본체(110)의 바닥면과 나사 체결하여 결합되는 하부 수평면에는 2개의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의 나사 체결용 관통구멍 사이의 중앙부에 상사점 감지 자석 센서(181)를 삽입 체결하는 돌출 홈을 형성하고; 브래킷(A)(161)와 브래킷(B)(162) 사이에 평기어(B)(154)를 수용하여 본체(110)의 바닥면에 대칭으로 체결하여 구성; 함으로써 작동부(17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작동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상태 고정장치(100)
In the "door opening stat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160 is composed of brackets A and 161 of the same shape and bracket B 162.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rface and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at one side ; Two screw-threading through-holes are formed in a lower horizontal surface which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protruding groove for inserting the top dead center detecting magnet sensor 181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through holes for screw fastening; (B) 154 is received between the bracket (A) 161 and the bracket (B) 162 and is symmetrically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reby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part (170)
KR2020140005856U 2014-08-05 2014-08-05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KR2016000051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56U KR20160000519U (en) 2014-08-05 2014-08-05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56U KR20160000519U (en) 2014-08-05 2014-08-05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19U true KR20160000519U (en) 2016-02-15

Family

ID=5535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56U KR20160000519U (en) 2014-08-05 2014-08-05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519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8874A (en) * 2016-08-16 2016-11-09 苏州市顺仪五金有限公司 A kind of replaceable screws door-inhale
CN106958396A (en) * 2017-05-05 2017-07-18 杨悦榕 A kind of vertical hinged door remote control limiter
CN108952381A (en) * 2018-07-16 2018-12-07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A kind of with automatic support le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8874A (en) * 2016-08-16 2016-11-09 苏州市顺仪五金有限公司 A kind of replaceable screws door-inhale
CN106958396A (en) * 2017-05-05 2017-07-18 杨悦榕 A kind of vertical hinged door remote control limiter
CN108952381A (en) * 2018-07-16 2018-12-07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A kind of with automatic support le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269B1 (en) Suction device
KR20160000519U (en)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US8947022B2 (en) Garbage container
US5370019A (en) Jar lid remover
CN105804525A (e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for sealing door of pressure vessel in sterilizer
US9339156B2 (en) Cover installation
CA2840770A1 (en) Sash cam for side load window balance system
KR20160000518U (en)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KR101019282B1 (en) Door stopper
KR20160000516U (en)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RU2015128796A (en) ACCESSORIES FOR CUTTING VARIABLE MOVEMENT FOOD PRODUCTS AND SAFETY MEANS
KR100810529B1 (en) Holding device for door
CN1627462A (en) Padlockable push-button
KR20100020773A (en) Door supporting device
CN217786370U (en) Passive wireless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of moving contact
KR200325011Y1 (en) Switch type apparatus for fixing door
JP4378758B2 (en) Stopper device for door
KR20090000767U (en) Door Stopper
CN203769525U (en) Disengagement and engagement driving device and a bathroom door
KR200300601Y1 (en) A fixing device for door
KR200300464Y1 (en) fixing apparatus of a door
ATE481023T1 (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SIMPLIFIED SAFETY DEVICE
CN205405652U (en) Liftable entrance guard control device
KR200433940Y1 (en) Device for maintaing door open
CN215973294U (en) Garbage 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