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78U -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78U
KR20160000278U KR2020140005316U KR20140005316U KR20160000278U KR 20160000278 U KR20160000278 U KR 20160000278U KR 2020140005316 U KR2020140005316 U KR 2020140005316U KR 20140005316 U KR20140005316 U KR 20140005316U KR 20160000278 U KR20160000278 U KR 201600002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odule
bracket
communication terminal
fixing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78U/en
Publication of KR20160000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7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 고안은 LCD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 있는 키패드 일체형의 고정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하여 복잡하지 않은 내부 구조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은 LCD 모듈이 끼워지는 장착부를 전면에 구비한 판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복수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를 전면에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본체와 상기 키패드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integrated fixing bracket capable of absorbing and cushioning shocks applied to an LCD modul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un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racket includes a plate-like bracket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LCD module is inserted, a bracket body having a plate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t least one edge of the plurality of edges of the bracket body, The bracket body and the keypad are integral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Description

고정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bracket,

본 고안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bracket for fixing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fixing bracket.

통신 단말기로서 송수신하는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화상 전화기 등이 제안되어 있다.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s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video telephon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상 시각적인 정보 표시를 위한 수단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이하, 'LCD 모듈'이라고 한다)을 구비한다.Such a communication terminal usually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module') as means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종래의 LCD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종래의 통신 단말기(1)는, 하우징 커버(10)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20) 내에 LCD 모듈(30), 고정 브래킷(40), 키패드(50) 및 인쇄회로기판(60) 등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In this regard,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LCD module. The illustrated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1 includes an LCD module 30, a fixing bracket 40, a keypad 5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60 (not shown) in a housing main body 20 in which the housing cover 10 is openably and closably engaged. And the like are assembled.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1)에 있어서, LCD 모듈(30)은 고정 브래킷(40)에 끼워져 장착되고, 고정 브래킷(40)에 의해 통신 단말기(1)의 내부에 위치 고정된다.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1 as described above, the LCD module 30 is fitted in the fixing bracket 40 and is fixed in the interio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by the fixing bracket 40.

종래의 통신 단말기(1)에서는, 통신 단말기(1)의 낙하로 인한 LCD 모듈(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LCD 모듈(30)의 전면에 완충 패드인 범퍼(70)가 부착된다. 또한, LCD 모듈(30)의 뒤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CD 모듈(30)의 상측에는 금속 박막을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굽힌 보강 프레임(80)이 결합된다.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1, a bumper 70, which is a buffer pad,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CD module 30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LCD module 30 due to drop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 In order to minimize distortion of the LCD module 30, a reinforcing frame 80 bent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metal thin film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CD module 30.

하지만, LCD 모듈(30)의 측면 및 후면을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40)이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1)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즉, 통신 단말기(1)의 낙하 시 LCD 모듈(30)의 파손이 방지되는 제품 신뢰성을 갖기 어렵다.However, since the fixing bracket 40 supporting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LCD module 30 is formed of a hard plastic material, there is a limit in absorbing and cushioning the impact due to the fal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roduct reliability in which the breakage of the LCD module 30 is prevent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dropped.

또한, LCD 모듈(30)은 고정 브래킷(40)에 구비되는 후크(41)에 걸려 고정 브래킷(40)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하지만, LCD 모듈(30)의 후크(41)가 걸리는 부분에는 과도한 응력이 집중될 수 있어 액정(화면) 깨짐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Also, the LCD module 30 is caught by the hook 41 provided on the fixing bracket 40,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40. However, excessive stress may be concentrated on the hook portion 41 of the LCD module 30, and damage such as breakage of liquid crystal (screen) may occur.

또한, 하우징 커버(10)에 구비되는 표시창(11)의 주변에 버튼 조작부(1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키패드(51)를 고정 브래킷(40)의 주변에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1)의 내부에서 조립되는 부품수(예컨대, 키패드(50, 51)의 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므로, 통신 단말기(1)를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When the button operating part 13 is provided around the display window 11 of the housing cover 10, the corresponding key pad 51 must be provided around the fixing bracket 40. [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to be assembled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for example, the number of keypads 50, 51) is large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CD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 있으며 키패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bracket for absorbing and absorbing impact applied to an LCD module and having an integrated keypad.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여 복잡하지 않은 내부 구조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n un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y providing such a fixing bracke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LCD 모듈을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이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은 LCD 모듈이 끼워지는 장착부를 전면에 구비한 판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복수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를 전면에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본체와 상기 키패드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LCD module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ate-like bracket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LCD module is inserted, a bracket body extending outward from at least one edge of the plurality of edges of the bracket body, The bracket body and the keypad are integral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전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브래킷 본체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완충 돌기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sidewall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and extending along the edge from the edge of the bracket body, and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project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고정 구멍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를 모서리에 가진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has a fixing portion formed at an edge thereof through which the fixing hole penetrat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실리콘 러버로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bracket is formed of silicone rubbe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표시창 및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하우징 커버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장착되는 LCD 모듈과,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는 복수의 돔스위치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LCD 모듈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가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브래킷 본체는 상기 LCD 모듈의 화면이 상기 표시창을 통해 외부에 보이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버튼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돔스위치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ixing bracket.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ver having a display window and a plurality of buttons position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window, an LCD module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and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a housing main body to which the housing cover is coupled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received and fixed inside and the LCD module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bracket body of the fixing bracket Wherein the housing cover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such that a screen of the LCD module is visible through the display window, and a keypad of the fixing bracket is mounted on the housing cov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 plurality of dome switches can be pressed by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LCD 모듈의 전면에 부착되는 범퍼를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umper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LCD module.

본 고안에 따르면, LCD 모듈이 끼움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을 통해 통신 단말기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의 낙하에도 신뢰성 있게 LCD 모듈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에는 LCD 모듈이 밀착되게 장착되므로 후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LCD 모듈에 후크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아 액정 깨짐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에 키패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가 간단해져서 통신 단말기의 조립에 따른 시간적 및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due to dropping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through the fixing bracket to which the LCD module is fit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breakage of the LCD module even in the drop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reliability. Further, since the LCD module is closely attached to the fixing bracke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hook. Therefore, the LCD module can be prevented from damage such as breakage of the liquid crystal due to no stress concentrated portion due to the hook. In addition, the keypa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bracket, so that the number of parts provided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and cost burden of assembl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LCD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통신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LCD modul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fixing bracke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or par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 "전방" 등의 방향지시어는 LCD 모듈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 "후방"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direction indicators such as " front ", "front ", and the like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LCD module faces, and the direction indicators such as" rear "

본 명세서에서, 'LCD 모듈'에 사용된 "모듈"은 조립이 간편하도록 일체화된 제품 형태로 이루어지고,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의 요소 또는 부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odule" used in the " LCD module " means a minimum unit element or component that is formed in an integrated product form for easy assembly and performs a given func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LCD 모듈은 TFT-LCD 모듈(초박막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LCD 패널, 광원역할을 하는 BLU(Back Light Unit), LCD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IC(driver IC)가 합쳐진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LCD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네비게이션, PMP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LCD module includes a TFT-LCD module (ultra thin film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includes an LCD panel for implementing a display, a BLU (Back Light Unit) serving as a light source, a driving IC driver IC) are combined. Fixing brackets for fixing these LCD modules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navigation devices, and PMPs.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400)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래킷(400)은 LCD 모듈(300)을 통신 단말기(1000)의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 구조체이다. 이러한 고정 브래킷(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모듈(300)이 끼워지는 브래킷 본체(410)와, 브래킷 본체(41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키패드(420)를 포함한다. 브래킷 본체(410)와 키패드(42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브래킷 본체(410)와 키패드(420)는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 탄성을 갖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일래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2 to 5, a fixing bracke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xing bracket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the LCD module 300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2, the fixing bracket 400 includes a bracket body 410 to which the LCD module 300 is fitted and a keypad 420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bracket body 410 . The bracket body 410 and the keypad 420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n an embodiment, the bracket body 410 and the keypad 420 are formed of silicone rubb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of various polymer materials (elastomer) having rubber elasticity.

판 형상의 브래킷 본체(410)는 LCD 모듈(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브래킷 본체(410)의 전면(411)에는 LCD 모듈(300)이 끼워지는 장착부(412)가 구비된다. 장착부(412)는 브래킷 본체(410)의 전면(411)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브래킷 본체(410)의 모서리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측벽(413)과, 복수의 측벽(413)으로 에워싸인 브래킷 본체(410)의 전면(411)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완충 돌기(414)를 포함한다.The plate-shaped bracket body 410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CD module 300. A mounting portion 4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411 of the bracket body 410 to receive the LCD module 300. The mounting portion 412 is vertic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411 of the bracket main body 410 and has a plurality of side walls 413 extending along the edge from the edge of the bracket body 410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413 And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414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411 of the bracket body 410.

복수의 측벽(413)으로 에워싸인 브래킷 본체(410)의 전면(411)은 LCD 모듈(300)의 후면과 같거나 또는 공차 범위 내에서 작은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 브래킷(400)의 장착부(412)에 종래와 같은 후크(41)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LCD 모듈(300)이 타이트하게 물리도록 끼워지기 때문에 LCD 모듈(30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411 of the bracket main body 410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side walls 413 has the same size as the rear surface of the LCD module 300 or a small size within the tolerance range. Therefore, even if the conventional hook 41 is not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412 of the fixing bracket 400, the LCD module 300 can be fitted to tightly fit the LCD module 300, have.

장착부(412)의 측벽(413)은 LCD 모듈(300)의 측면에 밀착되고, 완충 돌기(414)는 LCD 모듈(300)의 후면에 접촉된다. 측벽(413)과 완충 돌기(41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1000)의 낙하 시에 LCD 모듈(30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 있다.The side wall 413 of the mounting portion 4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CD module 300 and the buffering projection 4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CD module 300. Since the side wall 413 and the buffer projection 41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he impact applied to the LCD module 300 at the time of dropp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실시예에서, 장착부(412)에는 완충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완충 돌기(414)가 구비되었지만, 하나의 완충 돌기(4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완충 돌기(414)는 사각형,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4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414 for increasing the buffering force, but one buffering protrusion 414 may be provided. The buffering protrusion 414 may protrude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quadrangle, a rectangle with rounded corners, an ellipse, a circle, and a polygon,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when a plurality of buffers are provided.

전술한 브래킷 본체(41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키패드(420)가 구비된다. 브래킷 본체(410)로부터 확장되는 키패드(420)의 개수는, 통신 단말기(1000)에 있어서의 표시창(110)의 주변에 구비되는 버튼 조작부(130)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시창(110)의 주변 중 좌측, 우측 및 하측에 각각 버튼 조작부(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브래킷 본체(410)의 4개의 가장자리 중 좌측, 우측 및 하측의 가장자리에 각각 키패드(420)가 확장 형성된다.At least one of the edges of the bracket body 410 is provided with a keypad 420 extending outwardly. The number of keypads 420 extending from the bracket main body 410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button operation portions 130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window 11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When the button operating portion 130 is provided on the left,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window 110, the left, right, and lower edges of the four edges of the bracket body 410, respectively, (420).

키패드(42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전면(421)에는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422)가 돌출 형성된다. 키패드(420)에서 돌출 형성되는 버튼 삽입 돌기(422)의 수는 대응하는 버튼 조작부(130)에 구비되는 키버튼의 수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키패드(420)는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422)가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 돌기(423)을 구비하여, 키패드(420)의 뒤틀림을 최소화한다. 실시예에서는, 브래킷 본체(410)의 좌우 양측에서 확장된 키패드(420)에만 보강 돌기(423)가 구비되지만, 하측에서 확장된 키패드(420)에도 보강 돌기(4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keypad 42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button insertion protrusions 422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421. The number of the button insertion protrusions 422 protruded from the keypad 4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key button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utton operation unit 130. The keypad 420 also has a reinforcing protrusion 423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utton inserting protrusions 422 are aligned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keypad 420.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3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420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alth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3 are provided only on the keypad 420 extending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body 410. [

LCD 모듈(300)은 고정 브래킷(400)에 끼워진 부분이 완충력이 있는 브래킷 본체(410)의 장착부(412)에 감싸여 지지되고, 브래킷 본체(410)는 보강 돌기(423)를 구비한 키패드(4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와 같은 보강 프레임(80)을 결합시키지 않더라고 LCD 모듈(300)의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1000)의 내부에 조립되는 부품수를 줄여 복잡하지 않은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CD module 300 is supported on the mounting portion 412 of the bracket main body 410 having the buffering force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400. The bracket main body 410 is supported by a keypad 420 are integrally formed, the distortion of the LCD module 300 can be minimized, even if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frame 80 is not assemb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to be assembled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thereby having an un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브래킷 본체(410)는 모서리에 리브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부(416)를 포함하며, 고정부(416)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고정 구멍(417)이 형성된다. 고정 브래킷(400)을 통신 단말기(100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416)의 나사 구멍(417)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1000)의 내부에서 돌출하는 사출 구조물이 끼워질 수 있다.The bracket body 410 includes a fixing portion 416 provided at a corner thereof in a rib shape and a fixing hole 417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portion 416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 screw may be fastened to the screw hole 417 of the fixing portion 416 to fix the fixing bracket 400 to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and a projection structure projecting from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may be inserted Can be.

이하에서는, 전술한 고정 브래킷(400)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통신 단말기(1000)로서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 모듈을 구비하는 화상 전화기, 특히 스탠드형 또는 탁상형 화상 전화기를 예시한다.Hereinaft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having the above-described fixing bracket 400 will be described. Figs. 3 to 5 illustrate a picture telephone, especially a stand-type or table-top videophone, equipped with an LCD module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can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통신 단말기(1000)는 전면부의 일측에 송수화기(미도시)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송수화기는 통신 단말기(1000)에 코드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코드 없이 무선 링크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handset (not shown)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ont face. The handse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via a code or wirelessly without a code.

통신 단말기(1000)는 부품을 내장하는 외관 구조물로서 하우징 커버(100)와 하우징 본체(200)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200)는 전면부가 개방되는 상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 커버(100)가 전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하우징 본체(200)의 후면에는 스탠드 결합홈(211)(도 4 참조)이 형성되고, 스탠드 결합홈(211)에는 스탠드(210)가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0)는 스탠드(210)를 통해 거치 시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includes a housing cover 100 and a housing main body 200 as an external structure including components. The housing body 200 has a box shape in which a front portion is opened, and the housing cover 100 is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portion. 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200 and the stand 210 is hinged to the stand coupling groove 211. [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when it is mounted through the stand 210.

하우징 커버(100)에는 송수화기가 거치되는 거치홈부(140)가 좌측에 구비되고, 거치홈부(140)의 우측으로는 표시창(110)과 버튼 조작부(120)가 상하로 구비된다. 또한, 표시창(110) 주변의 좌측, 우측, 하측에 버튼 조작부(130)가 구비되고, 표시창(110) 주변의 상측에는 사용자 영상을 담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150)이 구비된다.The housing cover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portion 140 on the left side where the handset is mounted and a display window 110 and a button operation portion 120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40. A button operation unit 130 is provided on the left,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window 110, and a camera module 15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window 110 to hold a user image.

표시창(110)은 하우징 커버(100)의 관통된 구멍에 투명판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표시창(110)은, 통신 단말기(1000)의 내부에 구비되는 LCD 모듈(300)의 화면을 외부에 보이도록 하면서도 LCD 모듈(30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isplay window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plate is attached to a through hole of the housing cover 100. Such a display window 110 prevents the LCD module 300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damaged while allowing the screen of the LCD module 300 provided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to be displayed on the outside.

표시창(110)의 하측에 이격된 버튼 조작부(120)는 통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작동을 위한 입력부로서, 전화번호 입력 버튼(121), 단말기 설정 버튼(122), 볼륨 조절 버튼(123), 카메라 조절 버튼(124) 등의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 조작부(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은 푸시 버튼(push button)으로서, 하우징 커버(100)에 관통 형성된 버튼 구멍에 눌림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키버튼(key button)을 포함한다.The button operation unit 120 spaced below the display window 110 is an input unit for the basic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cludes a telephone number input button 121, a terminal setting button 122, a volume control button 123, A camera control button 124, and the like. The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button operation unit 120 are push buttons and include a key button that can be pressed into a button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cover 100. [

표시창(110)의 주변에 구비되는 버튼 조작부(130)는 LCD 모듈(300)의 작동을 위한 입력부로서, 전술한 버튼 조작부(120)와 같이 푸시 버튼이며, 하우징 커버(120)에 관통 형성된 버튼 구멍에 눌림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키버튼을 포함한다(도 5 참조).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provided around the display window 110 is an input unit for operating the LCD module 300 and is a push button like the button operation unit 120. The button operation unit 130 includes a button hole (See Fig. 5).

LCD 모듈(300)이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400)은, LCD 모듈(300)의 액정 화면이 표시창(110)을 통해 외부에 보여지도록 하우징 커버(1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 브래킷(400)은 브래킷 본체(410)에 구비되는 고정부(416)를 통해 하우징 커버(100)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브래킷 본체(410)의 키패드(420)는 버튼 조작부(130)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The fixing bracket 400 on which the LCD module 300 is mounted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cover 100 such that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LCD module 300 is visible through the display window 110. [ For this purpose, the fixing bracket 400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1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416 provided on the bracket body 410. In addition, the keypad 420 of the bracket body 4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operation portion 130.

LCD 모듈(300)의 전면에는 완충 패드인 범퍼(700)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LCD 모듈(300)은 범퍼(700)를 통해 표시창(110)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도 5 참조). 범퍼(700)는 LCD 모듈(300)의 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LCD 모듈(300)의 파손을 방지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LCD module 300, a bumper 700 as a buffer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LCD module 3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display window 110 through the bumper 700 (see FIG. 5). The bumper 700 cushions the impact applied to the front of the LCD module 300 to prevent the LCD module 300 from being damaged.

고정 브래킷(400)이 하우징 커버(100)에 고정될 때, 고정 브래킷(400)의 키패드(420)에 형성된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422)는 표시창(110)의 주변에 구비되는 버튼 조작부(130)에 끼워진다(도 5 참조).The plurality of button inserting protrusions 422 formed on the keypad 420 of the fixing bracket 400 are inserted into the button operation portion 130 (not shown)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window 110 when the fixing bracket 400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100, (See Fig. 5).

고정 브래킷(400) 및 버튼 조작부(120)에 대응하는 키패드(500)의 후방으로는 복수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600)이 조립된다. 인쇄회로기판(600)은 하우징 본체(200)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600)에 LCD 모듈(300)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우징 커버(100)는 하우징 본체(200)에 결합된다. 고정 브래킷(400)에 일체로 형성된 키패드(420) 및 버튼 조작부(120)에 대응하는 키패드(500)는 인쇄회로기판(6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돔스위치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버튼 조작부(120, 130)의 눌림에 따라 키패드(420, 500)가 돔스위치를 가압하여 통신 단말기(1000)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 printed circuit board 600 hav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is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keypad 50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racket 400 and the button operating portion 120. [ The housing cover 100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200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600 is received and fixed inside the housing body 200 and the LCD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00. [ do. The keypad 420 integrally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400 and the keypad 500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unit 120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dome switche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00. [ Accordingly, the keypad 420 or 500 presses the dome switch to input a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when the button operation units 120 and 130 are pressed.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0)에서는, 내부에 구비되는 키패드 중 일부가 고정 브래킷(40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키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사출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a part of the keypads provided inside the keypa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bracket 400,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n injection structure for fixing the keypad,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의 낙하 시 LCD 모듈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켜 통신 단말기의 조립 시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fixing bracke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hich prevents breakage of the LCD modu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falls, can be improved. Furth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difficulty in assembl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100: 하우징 커버 110: 표시창
120, 130: 버튼 조작부 200: 하우징 본체
300: LCD 모듈 400: 고정 브래킷
410: 브래킷 본체 413: 측벽
414: 완충 돌기 416: 고정부
420: 키패드 422: 버튼 삽입 돌기
423: 보강 돌기 500: 키패드
600: 인쇄회로기판 700: 범퍼
1000: 통신 단말기
100: housing cover 110: display window
120, 130: Button operating part 200: Housing body
300: LCD module 400: Fixing bracket
410: bracket body 413: side wall
414: buffer protrusion 416:
420: keypad 422: button insertion projection
423: reinforcing projection 500: keypad
600: printed circuit board 700: bumper
1000: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6)

LCD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으로서,
상기 LCD 모듈이 끼워지는 장착부를 전면에 구비한 판상의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복수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복수의 버튼 삽입 돌기를 전면에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본체와 상기 키패드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
A fixing bracket for fixing an LCD module,
A plate-shaped bracket main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LCD module is inserted,
And a keypad extending outwar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dges of the bracket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 insertion protrusions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Wherein the bracket body and the keypad are integral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래킷 본체의 전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브래킷 본체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완충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 브래킷.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side wall formed to be higher than a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and extending along an edge from an edge of the bracket body, and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project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고정 구멍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를 모서리에 가지는, 고정 브래킷.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body has a fixing portion at a corner at which a fixing hol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실리콘 러버로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bracket is formed of a silicon rubb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브래킷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로서,
표시창 및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하우징 커버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장착되는 LCD 모듈과,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는 복수의 돔스위치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LCD 모듈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가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브래킷 본체는 상기 LCD 모듈의 화면이 상기 표시창을 통해 외부에 보이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버튼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돔스위치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통신 단말기.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housing cover having a display window and a plurality of buttons located around the display window,
An LCD module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a housing main body to which the housing cover is coupled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received and fixed inside and the LCD module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bracket body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so that a screen of the LCD module is visible through the display window, and the keypad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plurality of dome switches can be pressed by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is located between the housing cov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CD 모듈의 전면에 부착되는 범퍼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bumper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LCD module.
KR2020140005316U 2014-07-15 2014-07-15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2016000027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16U KR20160000278U (en) 2014-07-15 2014-07-15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16U KR20160000278U (en) 2014-07-15 2014-07-15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78U true KR20160000278U (en) 2016-01-25

Family

ID=5531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16U KR20160000278U (en) 2014-07-15 2014-07-15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7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3245S1 (en) 2018-01-09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phone
JP2020155978A (en) * 2019-03-20 2020-09-24 サクサ株式会社 Wall-hang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3245S1 (en) 2018-01-09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phone
JP2020155978A (en) * 2019-03-20 2020-09-24 サクサ株式会社 Wall-hang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JP7354562B2 (en) 2019-03-20 2023-10-03 サクサ株式会社 Wall-mounted structure for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13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6299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EP226220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70065786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2138842A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7067971B (en) Display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10099516A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JP3220672U (en) Electronic device and holding structure thereof
US6982698B2 (en) LCD dustproof structur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tructure
JP2006251241A (en) Attachment structure of display element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display element
EP3962071A1 (en) Image display device
US8767132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200823513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00278U (en) Fixing bracket and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704626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nit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CN108803106B (en) Display device
JP6952805B2 (en) Display device
JP6428056B2 (en) Cas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025001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2043968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camera module
KR101966256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housing for portable terminal
JP2005210407A (en) Mobile equipment
US20150042876A1 (en) Holding structure for display panel and imaging device
JP2005242047A (en)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