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72U -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 Google Patents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72U
KR20160000272U KR2020140005301U KR20140005301U KR20160000272U KR 20160000272 U KR20160000272 U KR 20160000272U KR 2020140005301 U KR2020140005301 U KR 2020140005301U KR 20140005301 U KR20140005301 U KR 20140005301U KR 20160000272 U KR20160000272 U KR 20160000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control box
water tank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0286Y1 (en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유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철 filed Critical 유성철
Priority to KR2020140005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86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8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2Heating only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전방커버, 베이스, 'ㄷ'자형 커버프레임 및 상판이 상호 조립가능하게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통해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온수탱크 및 냉수밸브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 및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전방커버의 상측 일면에 구비되며, 온수 및 냉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컨트롤박스에 입력함은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공급량에 따라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폐하여 냉,온수를 토출시키는 조작버튼을 갖는 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의 개구부 하측에는 결합공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회동하여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 및 커버프레임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수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for a busi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penser for a business, comprising: a case having a front cover, a base, a 'C' shaped cover frame and an upper plate; A hot water tank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heating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eans through a heater provided therein; A water supply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t water tank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valve; A control box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an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valve;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ver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amounts to the control box. The control unit also opens and closes the cold / hot water valve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set in the control box, And a front panel having an operation button.
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ront cover, and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so that the front panel is rotated from the opening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nd is openable and closable forward.
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set in the control box can be constantly supplied through the cold / hot water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front panel and the cover fram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the maintenance time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업소용 워터디스펜서{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본 고안은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의 전방커버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조작버튼을 갖는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회동방식의 개폐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커버의 양측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커버프레임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 및 커버프레임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수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for a busi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penser for a business, which comprises a front panel having an operation butto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front cover of the case, The water supply amount set in the control box can be constantly supplied through the cold / hot water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The front panel and the cover fram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so that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repair time can be shortened.

일반적으로 편의점, 식당, 커피숍 등의 업소에 설치된 워터디스펜서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담아 가열하는 온수탱크와,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밸브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 water dispenser installed in a business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 restaurant, a coffee shop, etc. is composed of a case capabl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 hot water tank provided inside the case for heating water and a hot water valve cock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It is common.

일 예로 상기한 구성에 따른 종래 워터디스펜서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51825호(온수기용 배수장치)가 제안된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온수밸브콕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온수밸브콕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온수밸브콕을 통해 온수탱크의 물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공급량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온수를 받아야 하며, 자칫 급수받는 컵에 온수가 넘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에 취약하며, 식당, 커피숍 등의 업소의 특성상 바쁜 시간대에 손님이 몰리므로 온수급수의 지연으로 생산성은 물론 영업이익에 차질이 발생한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0851825 (a drainage device for a water heater)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such a conventional hot water valve cock, a user arbitrarily sets the lever of the hot water valve cock It is necessary to receiv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valve cock through pulling or pushing the hot water valve cock. Since the supply amount is not fixed, the hot water should be received while checking with the naked eye. It is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 Due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 such as restaurants, coffee shops, etc., guests are caught in a busy time zone, resulting in delays in productivity as well as in operating profit due to delays in hot water supply.

또한, 종래의 워터디스펜서는 온수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냉수를 필요로 할 경우 별도의 냉수기 또는 정수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냉수기를 더 설치함에 따라 설치 비용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is configured to supply only hot water, when a cold water is required, a separate water cooler or a water purifier must be used. Thus, installation of a water cooler further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더불어, 종래 워터디스펜서의 제어부가 고장 났을 경우, 수리를 위해서는 케이스의 결합을 위해 체결된 피스를 일일이 풀어서 분해한 후 내부에 구비된 전자제품을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수리 및 보수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of the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is broken, it is necessary to repair or replace the electronic product inside after dis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pieces fastened to the case in order to repair it, so that workability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time is increased.

따라서, 워터디스펜서를 수리하기 위한 A/S 기사의 경우, 하루 동안 여러 지역의 업소에 들러 워터디스펜서를 수리 또는 보수해야 하는데, 워터디스펜서의 분해 조립이 번거로운 경우, A/S 시간이 지연되어 할당된 수리 구역을 다 채우지 못하므로 일에 능률성이 떨어지고, 업소로서도 영업의 지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case of A / S articles for repairing water dispensers, water dispensers must be repaired or repaired at various places throughout the day. However, when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water dispenser is troublesome, the A / S time is delayed It is difficult to fill the repair area, and the efficiency is lowered at wor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siness is hindered as busines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의 전방커버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조작버튼을 갖는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회동방식의 개폐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커버의 양측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커버프레임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 및 커버프레임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수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panel having an operation butto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front cover of the case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in a forward rotation manner,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engagement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fra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so that the water supply amount set in the control box can always be constantly supplied through the cold / hot water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cover fram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so that the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repair time can be shorten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커버, 베이스, 'ㄷ'자형 커버프레임 및 상판이 상호 조립가능하게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통해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온수탱크 및 냉수밸브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 및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전방커버의 상측 일면에 구비되며, 온수 및 냉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컨트롤박스에 입력함은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공급량에 따라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폐하여 냉,온수를 토출시키는 조작버튼을 갖는 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se having a front cover, a base, a C-shaped cover frame, A hot water tank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heating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means through a heater provided therein; A water supply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t water tank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valve; A control box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an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valve;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ver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amounts to the control box. The control unit also opens and closes the cold / hot water valve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set in the control box, And a front panel having an operation button.

여기서,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온수탱크의 상측 내벽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센서바와; 상기 센서바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에 신호를 보내는 제1수위센서와; 상기 센서바의 하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에 신호를 보내는 제2수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hot water tank may include a sensor bar connected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ot water tank and extending downwardly; A first level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ba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And a second level senso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nsor ba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또한, 상기 전방커버의 개구부 하측에는 결합공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회동하여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ront cover, and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so that the front panel is rotated from the opening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nd is openable and closable forward.

한편, 상기 전방커버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양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커버의 양측 단부에 상기 커버프레임의 양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engag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front cover, and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are fit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s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첫째, 본 고안에 의한 워터 디스펜서는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First, th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antly supply the water amount set in the control box through the cold / hot water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둘째, 상기 전면패널 및 커버프레임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특히 전면패널은 상부패널을 제거하고 나사를 풀기만 하면 편기하게 수리할 수 있으며,Second, since the front panel and the cover fram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repairing time can be shortened. In particular, the front panel can be repaired only by removing the upper panel and unscrewing it. ,

셋째, 온수뿐만 아니라, 냉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냉수기를 구매하지 않으므로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수는 직수가 공급되므로 별도의 저장탱크가 없어도 되며,Third, since it is possible to supply not only hot water but also cold wat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purchase cost since a separate water cooler is not purchased, and cold water is supplied as direct water,

넷째, 제1수위감지센서와 제2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온수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켜서 업소에서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ot water is minimized by using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so that the hot water of a certain temperature can be continuously used in the busines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서 전면패널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의 조직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업소용 워터디스펜서에서 전면패널과 전방커버의 요부사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siness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business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front panel in the business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dispenser for business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rganization chart of a business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cover of the business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업소용 워터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110), 베이스(120), 'ㄷ'자형 커버프레임(130) 상판(140)이 상호 조립가능하게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102)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02)에 구비되며, 물공급수단(50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 구비된 히터(미도시)를 통해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온수탱크(200)와; 상기 온수탱크(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온수탱크(200) 및 냉수밸브(116)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50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 및 상기 냉,온수밸브(114,116)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와; 상기 전방커버(110)의 상측 일면에 구비되며, 온수 및 냉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컨트롤박스(400)에 입력함은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설정된 공급량에 따라 상기 냉,온수밸브(114,116)를 개폐하여 냉,온수를 토출시키는 조작버튼(310)을 갖는 전면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business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10, a base 120, a C-shaped cover frame 130, A case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102 therein; (Not show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20 and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02 to supply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ing unit 500 through a heater A tank 200; A water supply means 5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t water tank 200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to the hot water tank 200 and the cold water valve 116, ; A control box 400 provided in the case 10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200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and cold water valves 114 and 116; The control box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amounts to the control box 400. In addition, And a front panel 300 having an operation button 3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door units 114 and 116 to discharge cold and hot water.

여기서, 상기 조작버튼(310)은 설정버튼(312)과 복수의 냉수버튼(315) 및 온수버튼(320)으로 구분되며, 상측 두 개의 냉수버튼(315) 및 온수버튼(320)은 물의 토출량을 지정하여 일정한 토출량으로 공급하며, 하측에 한 개의 냉수버튼(315) 및 온수버튼(320)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에만 냉수밸브(116) 및 온수밸브(114)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button 310 is divided into a set button 312, a plurality of cold water buttons 315 and a hot water button 320. The upper two cold water buttons 315 and the hot water button 320 are used to calculate the water discharge amount And one cold water button 315 and a hot water button 320 are preferably discharged through the cold water valve 116 and the hot water valve 114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

또한, 상기 전면패널(300)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온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버튼들에 인접하여 버튼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LED표시등(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display unit 330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200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panel 300, and the operation of the buttons adjacent to the buttons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LED indicator 350 may further be provided.

이때, 도 2, 도 4, 도 6에 의하면, 상기 전방커버(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12)의 둘레에는 상기 전면패널(300)의 개폐 및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벽(113)이 형성된다.2, 4, and 6, an opening 112 of the front cover 110 is form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panel 300 is facilitated around the opening 112, The guide wall 113 is formed.

상기 가이드벽(113) 중 상측 가이드벽(113)에는 체결공(113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113) 중 하측 가이드벽(113)에는 결합공(118)이 관통 형성된다.A coupling hole 113 is formed in the upper guide wall 113 of the guide wall 113 and a coupling hole 118 is formed in the lower guide wall 113 of the guide wall 113.

상기 전면패널(30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118)에 대응결합되는 회동결합돌기(34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8)에 결합된 회동결합돌기(340)를 통해 상기 전면패널(300)이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회동하여 전방으로 개폐됨은 물론, 상기 개구부(112)를 따라 상기 전면패널(3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 rotation coupling protrusion 3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30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8 and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300 through a rotation coupling protrusion 3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8. [ 300 may be rotated from the opening 112 to open and close forward and the front panel 300 may be easily separated along the opening 112.

여기서, 상기 개구부(112)의 상측에는 상기 전면패널(300)이 상기 개구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3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하게는 상기 상측 가이드벽(112)에 형성된 체결공(113a)을 통해 체결나사(P)를 결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part 112 so that the front panel 300 is not detached from the front part of the opening part 112, The fastening screw P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3a formed in the upper guide wall 112. [

이때, 상기 전면패널(3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공(113a)에 대응되는 체결홈(36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면패널(300)의 회동결합돌기(340)를 상기 결합공(118)에 삽입한 후, 체결나사(P)를 통해 상기 체결공(113a)에 상기 체결홈(360)을 체결하여 상기 전면패널(300)을 상기 전방커버(110)와 동일면을 이루며 고정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upling groove 36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3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300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rotrusion 340 of the front panel 3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8 The front panel 300 may be fix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ront cover 110 by fastening the fastening groove 360 to the fastening hole 113a through the fastening screw P after the insertion.

따라서, 상기 커버프레임(130)으로부터 상판(140)만 분리하면, 상기 컨트롤박스(400) 및 전면패널(300)의 PCB기판 및 전자부품을 간편하게 수리 및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only the upper panel 140 is detached from the cover frame 130, the PCB boards and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control box 400 and the front panel 300 can be easily repaired, replaced, and repaired.

또한, 도 3에 의하면,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1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양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50)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양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결합홈(132)이 형성된다.3, coupling protrusions 150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110 and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1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150, 110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thereof with engagement grooves 132 to b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130.

이때,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50)는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나사(152)가 간격을 두고 체결고정되고, 상기 고정나사(152)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나사(152)에 의해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링(154)으로 구성되며, 결합돌기(150)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132)은 거꾸로 새워놓은 눈사람 모양으로 상기 지지링(154)이 관통되는 끼움구멍(132a)과, 이 끼움구멍(132a)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나사(152)가 삽입되는 걸림구멍(132b)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trusions 15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110 are fastened and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cover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screws 152 spaced from each other, And a support ring 154 which is inserted through a fixing screw 152 and is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cover 110 by a fixing screw 152. The cover frame 152 corresponds to the coupling protrusion 150, The engagement groove 132 formed in the inner side of both ends of the fixation screw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a through which the support ring 154 penetrates in an inverted snowman shape, 152 are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132b.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다수의 체결공(134a)이 관통 형성된 절곡부(134)가 더 형성된다.A bent portion 1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frame 130 and is bent inward to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4a.

따라서, 상기 커버프레임(130)을 상기 베이스(120)의 후단에서부터 밀어 상기 전방커버(110)의 지지링(154)을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끼움구멍(132a)에 삽입한 후 상기 커버프레임(130)을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걸림구멍(132b)에 상기 고정나사(152)가 삽입되어 걸림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절곡부(134)가 상기 베이스(12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공(134a)에 대응하여 체결나사(P)를 상기 베이스(120)에 체결하고,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상부에 상판을 덮어 마감함으로 케이스(100)를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The cover frame 130 is pushed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120 to insert the support ring 154 of the front cover 110 into the fitting hole 132a of the cover frame 130, The fixing screw 152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32b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132b as the lever 130 is lifted up slightly.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134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20 The case 100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P to the base 1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astening hole 134a and covering the upper pl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130 .

또한, 상기 베이스(120)의 하부에는 상기 전방커버(110)의 전방으로 서랍식의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온수밸브(114,116) 및 수동온수밸브(119)의 잔류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받이(1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base 120 is drawably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110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table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residues of the cold and hot water valves 114 and 116 and the manual hot water valve 119, (Not shown).

한편, 도 4에 의하면, 상기 온수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수단(210)은 상기 온수탱크(200)의 상측 내벽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센서바(212)와; 상기 센서바(21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1수위센서(214)와; 상기 센서바(212)의 하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2수위센서(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210 provided inside the hot water tank 200 includes a sensor bar 212 connected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extended downward; A first level sensor 21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bar 21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400; And a second level sensor 216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nsor bar 21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400.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200)의 내부에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1수위센서(214)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컨트롤박스(4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수단(500)으로부터 물을 공급 및 차단하고, 상기 제2수위센서(216)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온수탱크(200)에 내장된 히터(미도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함으로써, 상기 온수탱크(200)의 수위변화에 따라 물공급 및 히터 작동을 유기적으로 수행하여 절수 및 절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is sensed by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14 as the water level changes in the water tank 200,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ans 500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box 400 (Not shown) built in the hot water tank 200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box 400 when the second level sensor 216 senses the level of the water, The water supply and the heater operation are organ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200, thereby saving water and saving electricity.

또한, 상기 제1수위센서(214) 및 제2수위센서(216)의 신호를 통해 상기 컨트롤박스(400)가 수위변화에 따라 히터(미도시)를 가열작동시켜 상기 온수탱크(200)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적정온도의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Also, the control box 400 may heat the heat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through the signals of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14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16 and supply the heated water to the hot water tank 200 The hot water o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can always be supplied regardless of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water.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정전시 또는 전면패널(300)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 상기 전방커버(110)의 일면에는 상기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토출할 수 있도록 조작레버(119a)를 갖는 수동온수밸브(119)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 to 4, when a power outage or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300 is difficult,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allowing the user to freely discharg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2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anual hot water valve 119 having a lever 119a.

더불어, 상기 물공급수단(500), 온수밸브(114), 냉수밸브(116)는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작동해야 하므로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means 500, the hot water valve 114, and the cold water valve 116 must ope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box 400, the solenoid valve is most effective.

따라서, 상기 온수버튼(320)을 누르면 컨트롤박스(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온수밸브(114)를 작동시켜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고, 상기 냉수버튼(315)을 누르면 컨트롤박스(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밸브(116)를 작동시켜 상기 물공급수단(500)을 통해 냉수를 직접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ot water button 320 is pressed, the hot water valve 114 is oper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box 400 to receiv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200. When the cold water button 315 is pressed, 400 to operate the cold water valve 116 to receive the cold water directly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500.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00)에서 상판(140)을 분리한 후 상기 전방커버(110)의 개구부(112)에 체결된 체결나사(P)를 제거한 후 상기 전면패널(300)의 상단을 상기 전방커버(110)의 내측에서 밀어 상기 전면패널(300)이 회동결합돌기(340)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하여 상기 전면패널(300) 및 컨트롤박스(400)의 전자 부품을 간편하게 수리 및 교체하고 상기한 분해 방식을 역순으로 다시 조립한다.2 to 4, after the upper plate 140 is removed from the case 100, the fastening screw P fastened to the opening 112 of the front cover 110 is removed, The front panel 300 is pivotally opened and closed around the pivot coupling protrusion 340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front panel 300 and the control box 400 can be repaired easily by pushing the top of the front panel 300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n reassembl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disassembly metho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정된 급수량을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항상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 및 커버프레임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수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set in the control box can be constantly supplied through the cold / hot water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front panel and the cover fram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the maintenance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온수뿐만 아니라, 냉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냉수기를 구매하지 않으므로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not only hot water but also cold water can be supplied, a separate water cooler is not purchased, so that the purchase cost can be reduced.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ould not be construed as to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possible. And to be able to define it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케이스 102: 수용공간
110: 전방커버 112: 개구부
114: 온수밸브 116: 냉수밸브
118: 결합공 119: 수동온수밸브
119a: 조작레버 120: 베이스
130: 커버프레임 132: 결합홈
132a: 끼움구멍 132b: 걸림구멍
134: 절곡부 134a: 체결공
140: 상판 150: 결합돌기
152: 고정나사 154: 지지링
200: 온수탱크 210: 수위감지수단
212: 센서바 214: 제1수위센서
216: 제2수위센서 300: 전면패널
310: 조작버튼 315: 냉수버튼
320: 온수버튼 330: 표시부
340: 결합돌기 400: 컨트롤박스
500: 물공급수단 P: 체결나사
100: case 102: accommodation space
110: front cover 112: opening
114: hot water valve 116: cold water valve
118: Coupling ball 119: Manual hot water valve
119a: Operation lever 120: Base
130: cover frame 132: engaging groove
132a: insertion hole 132b: engagement hole
134: bent portion 134a: fastening hole
140: upper plate 150: engaging projection
152: fixing screw 154: supporting ring
200: Hot water tank 210: Water level sensing means
212: sensor bar 214: first level sensor
216: second level sensor 300: front panel
310: operation button 315: cold water button
320: Hot water button 330: Display part
340: engaging projection 400: control box
500: water supply means P: fastening screw

Claims (5)

전방커버(110), 베이스(120), 'ㄷ'자형 커버프레임(130) 상판(140)이 상호 조립가능하게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102)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02)에 구비되며, 물공급수단(50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 구비된 히터(미도시)를 통해 가열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온수탱크(200)와;
상기 온수탱크(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온수탱크(200) 및 냉수밸브(116)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50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 및 상기 냉,온수밸브(114,116)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0)와;
상기 전방커버(110)의 상측 일면에 구비되며, 온수 및 냉수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컨트롤박스(400)에 입력함은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설정된 공급량에 따라 상기 냉,온수밸브(114,116)를 개폐하여 냉,온수를 토출시키는 조작버튼(310)을 갖는 전면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A case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102 in which the front cover 110, the base 120, the 'C' shaped cover frame 130 and the upper plate 14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Not show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20 and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02 to supply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ing unit 500 through a heater A tank 200;
A water supply means 5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t water tank 200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to the hot water tank 200 and the cold water valve 116, ;
A control box 400 provided in the case 10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200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and cold water valves 114 and 116;
The control box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amounts to the control box 400. The control box 400 is also provided with the cold / And a front panel (300) having an operation button (3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14, 116) and discharging cold and hot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10)의 일면에는 상기 온수탱크(200)로부터 온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토출할 수 있도록 조작레버(119a)를 갖는 수동온수밸브(11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nual hot water valve (119) having an operation lever (119a) on a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so that a user can arbitrarily discharg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수단(210)은 상기 온수탱크(200)의 상측 내벽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센서바(212)와;
상기 센서바(21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1수위센서(214)와;
상기 센서바(212)의 하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200)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박스(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2수위센서(2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210 provided in the hot water tank 200 includes a sensor bar 212 connected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extending downward;
A first level sensor 21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bar 21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400;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216)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nsor bar (212)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tank (200)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box (400) Water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10)의 개구부(112) 하측에는 결합공(118)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30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공(118)에 대응결합되는 회동결합돌기(340)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8)에 결합된 회동결합돌기(340)를 통해 상기 전면패널(300)이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회동하여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hole 118 is formed below the opening 112 of the front cover 110 and a rotation coupling protrusion 3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30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8 Wherein the front panel (300) is rotated from the opening (112) through a pivotal coupling protrusion (3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8)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for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1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양단부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50)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커버(11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커버프레임(130)의 양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결합홈(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protrusion 150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110 an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1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150 at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130. [ And an engaging groove (132) is formed to engage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130).
KR2020140005301U 2014-07-15 2014-07-15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KR2004802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01U KR200480286Y1 (en) 2014-07-15 2014-07-15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01U KR200480286Y1 (en) 2014-07-15 2014-07-15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72U true KR20160000272U (en) 2016-01-25
KR200480286Y1 KR200480286Y1 (en) 2016-05-04

Family

ID=5531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01U KR200480286Y1 (en) 2014-07-15 2014-07-15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8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2266B2 (en) * 2020-06-25 2023-02-07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Beverage dispensers configured for front service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318B1 (en) * 2020-06-15 2021-06-02 김하진 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34B2 (en) * 1992-10-30 2000-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Recording device
KR200298787Y1 (en) * 2002-09-26 2002-12-26 라이스코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ith cover
KR101063982B1 (en) * 2008-11-19 2011-09-08 김덕선 Power-saving dr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2266B2 (en) * 2020-06-25 2023-02-07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Beverage dispensers configured for front service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86Y1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478B2 (en) Water center appliance and AIO faucet
US20060144066A1 (en) Removable water he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51339B1 (en)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MX2012000368A (en) An improvement provided in a liquid dispenser.
KR200480286Y1 (en) Commercial use water dispenser
WO2008072932A1 (en) Refrigerator
PL2096959T3 (en) Built-i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water and drinks dispenser
US10941978B2 (en) Refrigerator fluid dispenser with dispensed volume calculation
KR20100059621A (en) Infant refrigerator (video, shelf life freezer)
ITPR20130094A1 (en) FREE INSTALLATION KITCHEN.
CN112384743B (en) Lighting adjustable partition for storage case of refrigerator appliance
JP5555577B2 (en) vending machine
ITPR20130095A1 (en) BASE FOR FREE INSTALLATION KITCHEN
KR200293011Y1 (en) sink contain clean water apparatus
CN209898891U (en) Modular commercial food show cupboard
EP3359894B1 (en) Water tank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KR101336747B1 (en) Electric steam cooker
KR100854826B1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CN205697248U (en) A kind of Full-automatic drinking machine
US20170307274A1 (en) Ice-and-water dispenser
EP3702707A1 (en) Shelf-integrated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N200973652Y (en) Pot cover rack
TWI417063B (en) System kitchen
JP5643456B1 (en) Slide storage type cold air shut-off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675731B1 (en) A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