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24A -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 Google Patents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24A
KR20160000224A KR1020140077339A KR20140077339A KR20160000224A KR 20160000224 A KR20160000224 A KR 20160000224A KR 1020140077339 A KR1020140077339 A KR 1020140077339A KR 20140077339 A KR20140077339 A KR 20140077339A KR 20160000224 A KR20160000224 A KR 2016000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 information
driving
camera
camera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2299B1 (en
Inventor
박정일
김영훈
김동수
성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to KR102014007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0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or more image senso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ther than in their location or field of view, e.g.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or colour pickup characteristics; using image signals from one sensor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another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frame, a left image camera and a right image camera mounted on the frame such that the cameras reciprocally cross optical axes to respectively photograph left and right images of a subject, a camera driving module driving both of the cameras such that the camera driving module is capable of adjusting X, Y and X axes, rolling, and pitch, and a half mirror slantly installed on an optical axis intersection of the left and right image cameras; a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met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riving of both of the cameras; an environmental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met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hotographing environments of both of the cameras; a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storing meta information obtained in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environmental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driving of both of the cameras using met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riving of both of the cameras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which is based on meta data such that the stereoscopic imaging system enables efficient control of a stereoscopic imaging device and is capable of obtaining various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post-work efficiency from photographed image data.

Description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0002]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0003]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타정보(meta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입체 영상 촬영장치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촬영정보와 후작업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based on meta data and obtaining various shooting information and post-operation efficiency from captured image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일반적인 입체 영상 촬영 장치로서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이 좌안으로 보게 될 좌안 영상과 우안으로 보게 될 우안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입체 카메라가 알려져 있으며, 이 입체 카메라는 카메라들의 설치 위치나 하프미러의 구비여부에 따라 평행식 입체 카메라와 직교식 입체 카메라로 구분된다.As a genera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 is known a stereoscopic camera which simultaneously photographs a left eye image to be viewed by a person as a left eye and a right eye image to be viewed as a right eye by using a left eye imag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It is classified into a parallel stereoscopic camera and an orthogonal stereoscopic camera depending on whether a half mirror is provided or not.

평행식 입체 카메라는 좌안 영상 카메라와 우안 영상 카메라가 카메라 프레임 상에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피사체의 상을 각각 직접 촬영하는 입체 카메라로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뛰어나고 각 카메라가 직접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므로 영상의 밝기 및 해상도가 좋은 장점이 있다. 반면에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커 사람이 직접 이동시키며 촬영하는데 불편한 단점이 있다.The parallel stereoscopic camera is a stereoscopic camera that takes a left eye imag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at a certain distance on a camera frame and directly shoots the image of the subject. It is excellent in structural stability and each camera directly captures an image of a subject. There is a good advantage of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bulk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person to move and to shoot.

한편, 직교식 입체 카메라는 좌안 영상 카메라와 우안 영상 카메라가 서로 90도로 설치되고 좌안 영상 카메라와 우안 영상 카메라의 렌즈 전방의 광축 교차점에 하프미러가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카메라는 하프미러를 투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하프미러에 반사된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므로 발기 및 해상도는 평행식 입체 카메라보다 낮을 수 있는 반면, 부피가 작아 사람이 직접 이동시키며 촬영하는데 적합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thogonal stereoscopic camera, a left-eye image camera and a right-eye image camera are installed at 90 degrees to each other, and a half mirror is provided at an optical axis intersection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Since the image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nd the other camera photographs the image of the subject reflected on the half mirror, the erection and resolution can be lower than that of the parallel stereoscopic camera, while the volume is small, .

이 중 직교식 입체 카메라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직교식 입체 카메라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상에서 광축이 서로 90도로 교차하도록 장착되며, 피사체(60)의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영상 카메라(20) 및 피사체(60)의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영상 카메라(30), 상기 카메라들(2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와 상기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10) 상에서 연결된 카메라를 상하 이동, 좌우 이동, 평면상에서 회전 또는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간의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조절하여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정렬모듈(50),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20) 및 상기 우안 영상 카메라(30)의 광축 교차점 상에 45도로 구비되며 피사체의 광을 일부 투과시켜 상기 우안 영상 카메라(30)로 전달하고 일부는 반사시켜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로 전달하는 하프미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e example of the orthogonal stereoscopic camera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orthogonal three-dimensional camera includes a frame 10, a left eye image camera (not shown) mounted on the frame 10 such that optical axes intersect at 90 degrees with each other and image the left eye of the subject 60 A right eye image camera 30 for photographing a right eye image of a subject 60 and a camera 20 connected to the frame 10 by connecting any one of the cameras 20 and the frame 10, A camera alignment module 50 for adjusting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image by adjusting the binocular disparity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by rotating the stereoscopic image around the optical axis, And is provided at 45 degrees on the optical axis intersection of the camera 2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 The light is par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subject and transmitted to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 Not comprise a half mirror 40 for transmitting to the video camera.

이러한 종래의 직교식 입체 카메라는 촬영 전에 먼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수평거리, 높이, 피치 및 주시각을 일치시키는 광축 정렬 과정을 수행하고, 다음, 카메라의 위치나 회전을 조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이 만드는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하게 된다.In this conventional orthogonal stereoscopic camera, an optical axis alignment process is performed to align the horizontal distance, the height, the pitch and the main time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then the position and rotation of the camera are adjusted,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image which is made by the right eye image is controlled.

그런데, 이러한 종래 직교식 입체 카메라와 같은 입체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수평거리, 높이, 피치 및 주시각을 일치시키는 광축 정렬 등의 과정에 촬영 현장의 환경 및 여건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절되어야 하므로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제어가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such as the conventional orthogonal stereoscopic camera,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optical axis to match the horizontal distance, height, pitch and main time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rol of the apparatus is very inefficient in the process of shooting the stereoscopic image.

또한, 촬영 현장의 환경 및 여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촬영정보를 얻을 수 없다. 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활용이 제한적이며, 촬영정보 부제에 따라 좌우 영상의 화이트밸런나 명암 및 컬러 등의 차이를 후보정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data on the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s of the photographing site can not be obtained, various photographing information can not be obtain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task of rearranging the difference of the white balance, the contrast, and the color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c information subtit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입체 영상 촬영장치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촬영정보와 후작업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based on meta information and obtaining various shooting information and post-operation efficiency from captured image data.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호 광축 교차하게 장착되어 피사체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촬영하는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와, 상기 양 카메라를 X,Y,Z축 및 회전(Rolling) 및 피치(Pitch) 조절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모듈과,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의 광축 교차점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프미러를 갖는 촬영부;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구동메타정보획득부; 상기 양 카메라의 촬영 환경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환경메타정보획득부;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 및 환경메타정보획득부에서 획득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메타정보저장처리부;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에 저장된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comprising: a frame; a left eye imag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which are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cross each other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A camer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X, Y and Z axes and adjusting the rotation and pitch of the X, Y and Z axes, and a half mirror inclined at an optical axis intersection point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A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both cameras; An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both cameras; A meta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meta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both cameras us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the both cameras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여기서, 상기 카메라구동모듈은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는 상기 모터에 엔코더를 적용하여 상기 엔코더 센싱값으로 상기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driving module includes a motor as a driving source, and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with the encoder sensing value by applying an encoder to the motor.

그리고 상기 환경메타정보획득부는 자이로센서와 온습도센서, GPS모듈, 거리센서, 조도센서, 화이트밸런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It is effective that the environmental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 GPS module, a distance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white balance sensor.

이때,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는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 및 상기 환경메타정보획득부, 상기 제어부와 메타정보 교환 가능하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so as to exchange meta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에 저장된 메타정보 중 상기 카메라구동모듈의 구동 관련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time and convergence control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and the driving of the optical axis alignment by using the driving-related meta information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among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to be.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정보(meta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입체 영상 촬영장치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촬영정보와 후작업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based on meta data and capable of obtaining various shooting information and post-operation efficiency from captured image data is provided.

도 1은 종래 입체 영상 촬영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촬영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mplified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FIG. 2,
4 to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correcting a video image acquired by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101)은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01)와, 촬영부(101)의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와, 촬영부(101)의 촬영 환경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와,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 및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획득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와,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부(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1 for photographing a stereoscopic image, a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for obtain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101, An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5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1 and a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5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3 and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5, A storage processing unit 107, and a control unit 108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101 using the meta information.

촬영부(101)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 상에서 상호 광축이 교차하도록 장착되어 피사체(600)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촬영하는 좌안 영상 카메라(200) 및 우안 영상 카메라(300)와, 양 카메라(200,300)를 프레임(100)에 대해 X,Y,Z축 방향 및 회전(Rolling) 방향 이동 및 피치(Pitch) 조절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모듈(700)과, 좌안 영상 카메라(200) 및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광축 교차점 상에 45도로 구비되며 피사체(600)의 광을 일부 투과시켜 우안 영상 카메라(300)로 전달하고 일부는 반사시켜 좌안 영상 카메라(200)로 전달하는 하프미러(400)를 구비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101 includes a frame 100 and a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300 which are mounted on the frame 100 such that mutual optical axes cross each other to photograph the left eye and right eye images of the object 600, A camera driving module 700 for driving both the cameras 200 and 300 so as to be adjustable in X, Y and Z axial directions and in a rolling direction and a pitch with respect to the frame 100,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The light is par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subject 600 to be transmitted to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and partially reflected to be transmitted to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a half mirror 400.

프레임(100)은 좌안 영상 카메라(200), 우안 영상 카메라(300), 하프미러(400)를 지지하는 틀로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량의 합금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100 is a frame for supporting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and the half mirror 400. The fram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alloy structure to facilitate movement.

좌안 영상 카메라(20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사물의 좌안영상을 촬영하되, 광축이 z축 상에 있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안 영상 카메라(300)는 광축이 좌안 영상 카메라(200)의 광축과 서로 직교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사물의 우안 영상을 촬영한다. 예컨대 우안 영상 카메라(300)는 광축이 x축을 향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고,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는 서로 90도를 이루며 프레임(10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10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100 such that the optical axis is on the z axis.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is installed in the frame 100 such that the optical axis thereof is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images the right eye image of the object. For example,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100 such that the optical axis thereof faces the x axis, and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100, .

카메라구동모듈(700)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204267호(명칭:카메라 촬영 위치 조절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212452호(명칭:입체감의 저하 없이 하프미러를 회동시킬 수 있는 직교식 입체 카메라 리그), 한국등록특허 제1162556호(명칭:랩잭을 이용한 입체 카메라 정렬 모듈 및 그 정렬 모듈이 구비된 입체 카메라리그), 한국등록특허 제1170906호(명칭:입체 카메라 정렬모듈 및 그 정렬모듈이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 한국등록특허 제1243032호(명칭: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한국등록특허 제1246025호(명칭:카메라 수평 위치 조절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213962호(명칭: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및 한국등록특허 제1162058호(명칭:카메라 정렬장치가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의 정렬 모듈을 참조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is a camera module that can be mounted on a camera such as an orthopedic stereoscopic camera capable of rotating a half mirror without degrading the stereoscopic effect,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04267 of the present applicant (name: camera photograph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Korean Patent No. 121245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62556 (name: a stereoscopic camera alignment module using a wrap jack and a stereoscopic camera rig equipped with the alignment module), Korea Patent No. 1170906 (entitled " stereoscopic camera alignment module and its alignment module (Registered trademark),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43032 (name: orthogonal type stereoscopic camera league), Korea Registered Patent No. 1246025 (name: camera horizontal positioning device), Korean Patent No. 1213962 And a registration module of Korean Patent No. 1162058 (name: a three-dimensional camera rig equipped with a camera align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구동모듈(700)이 우안 영상 카메라(300)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좌안 영상 카메라(2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카메라구동모듈로 구성되어 각각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is applied to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may be applied to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eye image camera 300, respectively.

이러한 카메라구동모듈의 구동원으로서 정역 구동 가능한 모터(800)를 이용하고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로서 이 모터(800)에 엔코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It is desirable to use the motor 800 that can be used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and the motor 800 as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

하프미러(400)는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광축 교차점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된다. 또한, 하프미러(400)는 전면 및 후면이 카메라들(200,300)의 광축과 서로 45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이 하프미러(400)는 피사체(600)인 사물의 광 일부는 투과시켜 우안 영상 카메라(300)로 전달하고 사물의 광 일부는 반사시켜 좌안 영상 카메라(200)로 전달하여, 좌안 영상 카메라(200)는 피사체(600)의 좌안 영상을 획득하게 하고, 우안 영상 카메라(300)는 피사체(600)의 우안 영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The half mirror 400 is mounted on the frame 100 so as to be located at an optical axis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In addition, the half mirror 400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s 200 and 300. The half mirror 400 transmits a part of the light of a subject 600 to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and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of the object to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May acquire the left eye image of the subject 6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may acquire the right eye image of the subject 600. [

이때, 좌안 영상 카메라(200) 및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may be reversed.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는 카메라구동모듈(700)의 모터(800) 구동에 대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엔코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엔코더를 이용하여 카메라구동모듈(700)의 X,Y,Z축 방향 및 회전(Rolling) 방향 이동 및 피치(Pitch) 등에 대한 메타정보를 획득하여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3 may be provided as an encoder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on the driving of the motor 800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 Metadata of the movement and pitch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in the X, Y and Z directions and in the rolling direction are obtained by using the encoder so that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 And the convergence control and the optical axis alignment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이러한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는 모터(800)로부터의 입력값에 대해 미리 설정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대적 또는 절대적 위치값을 산정하여 카메라의 원점 및 실제 위치 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 및 좌표 그리고 이동 속도 등의 메타정보를 획득하여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3 calculates a relative or absolute position value using a predetermined calculation formula for an input value from the motor 800 to calculate an origin and an actual position of the camera, Speed and the like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unit 107 by wire or wirelessly.

그리고 이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에서 획득되어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에 저장된 구동 관련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08)는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구동을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Using the driving-related meta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3 and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unit 107, the control unit 10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200 and 300 It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wire or wireless at a short distance and at a long distance.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는 프레임 또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구동모듈 등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자이로센서와 온습도센서 및 GPS모듈과 거리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may include a gyro sensor,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 GPS module, a distance sensor, and the lik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frame, a camera, or a camera driving module.

자이로센서의 경우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방위각 변화 등과 같은 촬영부(101)의 방향 변화 및 변화 속도 등을 감지하여 이를 메타정보로 하여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이로센서에서 획득된 메타정보는 해당 환경에서 촬영된 입체 영상의 방위각 변화 등과 같은 촬영부(101)의 방향 변화 및 변화 속도를 이용하여 재촬영시 정확한 쵤영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In the case of the gyro sensor, the directional change and the speed of cha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01 such as an azimuthal angle change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process can be sensed and transmitted as meta information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unit 107 by wire or wireless. The meta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provides accurat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re-shooting using the directional change and the changing speed of the photographing unit 101 such as the azimuthal change of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ed in the environment.

그리고 온습도센서는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이를 메타정보로 하여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온습도 센서의 검출범위는 습도 0% ~ 100% 및 온도 ??40℃ ~ 12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온습도 센서에서 획득된 메타정보는 해당 환경에서 촬영된 입체 영상의 색온도에 따른 컬러 차이의 보정을 비롯하여 재촬영시 정확한 쵤영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process and transmits the sense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as wired or wireless information as meta information.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s preferably in a range of 0% to 100% of humidity and a temperature of 40 ° C to 120 ° C. The meta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is a color difference And provides accu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during re-shooting.

GPS모듈은 입체 영상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메타정보로 하여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GPS모듈에서 획득한 GPS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위치의 정확한 재현이 가능하므로 동일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의 합성이나 재촬영시 정확한 쵤영 위치 등의 환경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GPS module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position as meta information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or 107 by wire or wireless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produce the photographing position using the GPS meta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he exact position of the image when composing the image taken at the same position or re-photographing.

거리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입체 영상 촬영시 쵤영하고자 하는 피사체(600)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입체 영상의 품질 향상에 이비지한다. 이러한 거리센서에서 획득된 거리 메타정보는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피사체(600) 간의 정확한 거리 확인 및 재현이 가능하므로 촬영된 영상의 보정 및 재촬영시 거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can use an infrared sensor and can accurately ascertai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600 to be used for stereoscopic image shooting,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The distance meta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stance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by wire or wirelessly. Since the accurat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600 can be confirmed and reproduc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istance information when correcting and re-photographing the photographed image.

여기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는 자이로센서와 온습도센서 및 GPS모듈과 거리센서 모두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또는 둘 이상의 센서만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 외의 환경 메타 정보 획득을 위한 추가의 조도센서나 화이트밸런스 센서 등과 같은 추가의 센서류 및 날짜와 시간 등의 입체 영상 촬영 환경과 관련된 메타정보로 기록할 수 있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preferably includes both the gyro sensor,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the GPS module, and the distance sensor. In some cases, only one sensor or two or more sensors may be provid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dditional sensors such as an illuminance sensor or a white balance sensor for acquiring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nd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cord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a stereoscopic image shooting environment such as date and time.

이러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얻어지는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할때 입체 영상 촬영 장치의 적용분야는 영화 및 방송 촬영 장치를 포함하여 보다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GPS모듈이나 거리센서 및 온습도센서 등이 적용된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101)은 특수 분야로 의료, 군사, 우주, 방사선 오염지역 및 심해저와 같은 극한환경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an be further expanded including a movie and broadcast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stereoscopic imaging system 101 to which a GPS module, a distance sensor,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s applied is a special field and can be utilized in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medical, military, space, radiation contaminated areas and deep sea areas.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는 촬영부(101)에서 입체 영상이 촬영되는 과정에서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에서 얻어지는 카메라구동모듈(700)의 모터(800) 구동에 대한 메타정보와,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얻어지는 촬영 환경에 대한 메타정보를 저장한다.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stores meta information about driving of the motor 800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obtained by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in the process of shooting the stereoscopic image in the photographing unit 101, And meta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obtained by the meta information acquiring unit 105 is stored.

이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에 저장된 메타정보 중 카메라구동모듈(700)의 X,Y,Z축 방향 및 회전(Rolling) 방향 이동 및 피치(Pitch) 등에 대한 구동 관련 메타정보는 제어부(108)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어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 등의 구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메타정보로 활용된다. Related meta information on the X, Y, Z axis direction and the rolling direction movement and pitch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among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And is used as meta information that can precisely control driving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such as main time, convergence control, and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그리고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에 저장된 메타정보 중 자이로센서와 온습도센서 및 GPS모듈과 거리센서 등으로부터 전달되어 저장된 촬영 환경 관련 메타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의 보정이나 재촬영 등의 후작업시 정확한 쵤영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후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c environment related me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yro sens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he GPS module, the distance sensor, and the like among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is used for correc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st-work by providing accu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during post-work.

한편, 제어부(108)는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 및 촬영부(101)와 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또는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으로 상호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에 저장된 메타정보 중 카메라구동모듈(700)의 X,Y,Z축 방향 및 회전(Rolling) 방향 이동 및 피치(Pitch) 등에 대한 구동 관련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 등의 구동을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8 is connected to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7 and the photographing unit 101 so as to transmit data and control signals wirelessly using a cable or wireless using the Internet or wireless communication, )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in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using the driving-related meta information about the X, Y, Z axis direction and the rolling direction movement and pitch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efficiently control driving of the camera 300, such as the main time, convergence control, and optical axis alignment.

이 제어부(108)는 컴퓨터나 테블릿PC 및 전용 단말기 등과 같은 제어기와 이 제어기 내에 포함되어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에 저장된 구동 관련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8 includes a controller such as a computer, a tablet PC, and a dedicated terminal, and a left-eye image camera 200 and a right-eye image camera (not shown) The control program may be pre-programm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101)은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촬영부(101)의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수평거리, 높이, 피치 및 주시각을 일치시키는 광축 정렬 과정을 수행하고, 다음, 카메라의 위치나 회전을 조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이 만드는 입체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하여 입체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10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apable of capturing a stereoscopic image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using the left eye image camera 200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300 of the photographing unit 101, The stereoscopic image is acquired by adjusting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image formed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rotation of the camera.

이 과정에서 구동메타정보획득부(103)는 카메라구동모듈(700)의 모터(800) 구동에 대한 메타정보를 획득하여 메타정보저장처리부(107)로 전달하고, 제어부(108)는 저장된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이 정밀하게 제어한다.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obtains meta information on the driving of the motor 800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700 and transmits the meta information to the meta information storing unit 107. The controlling unit 108 stores the stored meta information The main time and convergence control and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200 and 300 are precisely controlled.

또한,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촬영 현장의 환경 및 여건에 대한 메타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입체 영상의 환경적인 메타정보로부터 다양한 촬영 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좌안 영상 카메라(200)와 우안 영상 카메라(300) 각각의 촬영 환경 관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의 명암 및 컬러 등의 차이를 일치시키는 후보정 작업이나 재촬영을 위한 촬영 환경에 대한 메타정보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영상의 보정 및 재촬영 등의 후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process,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acquires meta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of the shooting site, thereby obtaining the environ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ed by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200 and 300 Various shooting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meta inform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contents using the photographed images, and to match the differences in the contrast and color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using the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the left and right eye cameras 200 and 30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meta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environment for the post-shooting operation or the re-shooting, so that post-operations such as correction and re-shooting of the imag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예컨대 도 4와 같이, 좌영상과 우영상의 컬러 차이가 발생할 경우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얻어진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우영상의 컬러 차이를 정확하게 보정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color difference between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occurs as shown in FIG. 4, a stereoscopic image obtained by accurately correcting the color dif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using the meta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

또한, 도 5의 a와 같이, 좌영상과 우영상의 밝기 차이가 발생할 경우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얻어진 밝기 관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우영상의 밝기를 도 5의 b와 같이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5A, the brightnes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calculated using the brightness-related meta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process when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ccurs, b as shown in Fig.

또 다른 예로 도 6의 a와 같이, 좌영상과 우영상의 색온도 차이가 발생할 경우 입체 영상 촬영 과정에서 환경메타정보획득부(105)에서 얻어진 색온도 관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좌우영상의 색온도를 도 6의 b와 같이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6A, when the colo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ccur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s calculated using the met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lor temperature obtained by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5 in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process, Can be accurately corrected as shown by b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정보(meta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입체 영상 촬영장치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촬영정보와 후작업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based on meta data and obtaining various shooting information and post-operation efficiency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 RTI >

101 : 촬영부 103 : 구동메타정보획득부
105 : 환경메타정보획득부 107 : 메타정보저장처리부
108 : 제어부 200 : 좌안 영상 카메라
300 : 우안 영상 카메라 400 : 하프미러
700 : 카메라구동모듈
101: photographing unit 103: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5: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7: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108: Control unit 200: Left eye image camera
300: Right eye image camera 400: Half mirror
700: camera driving module

Claims (5)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호 광축 교차하게 장착되어 피사체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촬영하는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와, 상기 양 카메라를 X,Y,Z축 및 회전(Rolling) 및 피치(Pitch) 조절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모듈과,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의 광축 교차점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프미러를 갖는 촬영부;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구동메타정보획득부;
상기 양 카메라의 촬영 환경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환경메타정보획득부;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 및 환경메타정보획득부에서 획득한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메타정보저장처리부;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에 저장된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양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
In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 left eye imag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which are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cross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respectively photograph left and right eye images of the subject, 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half mirror inclined at an optical axis intersection point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A driving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both cameras;
An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both cameras;
A meta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meta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both cameras using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both cameras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구동모듈은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는 상기 모터에 엔코더를 적용하여 상기 엔코더 센싱값으로 상기 구동과 관련된 메타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driving module includes a motor as a driving source, and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me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with the encoder sensing value by applying an encoder to the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메타정보획득부는 자이로센서와 온습도센서, GPS모듈, 거리센서, 조도센서, 화이트밸런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vironmental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a GPS module, a distance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white balance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는 상기 구동메타정보획득부 및 상기 환경메타정보획득부, 상기 제어부와 메타정보 교환 가능하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e environment meta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so as to exchange meta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정보저장처리부에 저장된 메타정보 중 상기 카메라구동모듈의 구동 관련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영상 카메라 및 우안 영상 카메라의 주시각 및 컨버젼스 제어 및 광축 정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primary vision and convergence control and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cameras using the meta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camera driving module among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ta information storage processing unit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KR1020140077339A 2014-06-24 2014-06-24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KR101602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39A KR101602299B1 (en) 2014-06-24 2014-06-24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39A KR101602299B1 (en) 2014-06-24 2014-06-24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24A true KR20160000224A (en) 2016-01-04
KR101602299B1 KR101602299B1 (en) 2016-03-10

Family

ID=5516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339A KR101602299B1 (en) 2014-06-24 2014-06-24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230A (en) * 2019-09-09 2021-03-17 아톰앤비트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656A (en) * 2009-01-09 2010-07-19 (주)바램시스템 Wireless camera system for bidirectional transmiting and receiving of multidata
KR100986286B1 (en) * 2010-04-12 2010-10-07 이용범 Vertical type stereoscopic image camera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23705A (en) * 2012-08-17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in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656A (en) * 2009-01-09 2010-07-19 (주)바램시스템 Wireless camera system for bidirectional transmiting and receiving of multidata
KR100986286B1 (en) * 2010-04-12 2010-10-07 이용범 Vertical type stereoscopic image camera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23705A (en) * 2012-08-17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in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230A (en) * 2019-09-09 2021-03-17 아톰앤비트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99B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3040B2 (en) Depth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acquisition device
US20150009295A1 (en) Three-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A3068659A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s with active alignment and corresponding methods
JP4858263B2 (en) 3D measuring device
US20100194902A1 (en)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imaging
US11184539B2 (en) Intelligent dual-lens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therefor
JP2017108387A (en) Image calibrating, stitching and depth rebuilding method of panoramic fish-eye camera and system thereof
JP2012216979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20130035422A (en) Calibration apparatus for camera module
KR2017004445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amera using Head mount display
WO2013069292A1 (en) Image blurring correction device
CN110291777B (en) Image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JP4865065B1 (en) Stereo imaging device control system
CN108260360B (en) Scene depth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101602299B1 (en)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JP5223096B2 (en) 3D video shooting control system, 3D video shoo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8147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camera in smart phone
KR101456650B1 (en) Method of alignig optical axis for stereo camera and the camera
JP6257260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5343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H10170227A (en) Display device
TWI626603B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mages
JP6003613B2 (en) Auxiliary imaging device
JPH10291188A (en) Stereogrpahic image presenting method
US9560260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 lens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