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355A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 Google Patents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355A
KR20150146355A KR1020140136542A KR20140136542A KR20150146355A KR 20150146355 A KR20150146355 A KR 20150146355A KR 1020140136542 A KR1020140136542 A KR 1020140136542A KR 20140136542 A KR20140136542 A KR 20140136542A KR 20150146355 A KR20150146355 A KR 2015014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display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5710B1 (en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7,2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13585B2/en
Publication of KR2015014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es: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s with other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communications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being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ly, a user may use various group play functions by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other display device, thereby improving device utilization and convenience.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시스템 및 그 수행 방법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group play system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시스템 및 그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과 그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play system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p play system for providing a group play function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Particularly, in recent years, research discussions on a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have been accelerated.

투명 디스플레이란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서는 구현할 수 없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생기면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 하에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이다. Transparent display means a device that has transparent properties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device is reflected. Conventionally, a display panel is fabricated by using an opaque semiconductor compound such as silicon (Si), gallium arsenide (GaAs), or the like. However, since there is a demand for various display services that can not be realized using existing display panels, Development efforts have been made on new types of electronic devices. One of the developments under this effort is transparent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parent display is realized in a form including a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 film, so that it has a transparent property. When using a transparent display, the user can see the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transparent display screen while viewing the background behind the device. Accordingly, the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of existing display devices can be solved.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도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현에는 한계가 있어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However, eve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is not so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except that the display screen is limited in its representation and the back background located at the rear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일반적으로 공간상의 제약으로 하나의 카메라부를 구비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역시 기존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큰 활용 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Also,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a camera function can be provided by providing a single camera part in view of space limitations. However, this display device does not show a large difference in utilization with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ventional camera.

따라서, 사용자 만족도를 위해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cure various possibilities for transparent display devices for user satisfa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및 수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oup pla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oup play function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display apparatuses and interlocking with the other display apparatuse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apparatus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of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may interlock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so as to provide an interlocking screen through the overlapped area hav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to be adjusted stepwise, to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It can display at least on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left-eye image of the 3D content 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s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are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backgroun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transparent display uni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또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촬영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촬영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rst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hooting command,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captur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combined to generate a cont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can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t least one of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그리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overlap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are detect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display device is interlocked with another display device is displayed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when an interlocking command is inputted, the interfacing device can be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 pla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when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another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And performing a group play function to provide on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may include a step of, whe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stepwise adjustment of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Displaying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the 3D content are combined and displaying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on another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 ≪ / RTI >

그리고,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may be such that, 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Displaying the foreground image on a transparent display part arranged in a user direction among the transparent display parts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image on the other transparent display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

또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촬영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subject to obtain a first image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2 image, and generating the content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그리고,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서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performing at least one of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

또한,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generating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

그리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승낙이 입력되면 실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overlapping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s is detected, Displaying a message ask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play function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wherein the group play function can be executed when a user acceptance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s in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장치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a group play system that provides a group play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operate to perform one service,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first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nother display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a group play fun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the other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screen through the overlapped area to perform a group play function have.

그리고,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3D 컨텐츠 재생 기능이며, 상기 3D 컨텐츠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3D content playback function is inputted,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s the left-eye image and the left-eye image of the 3D content,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display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또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기능이며, 상기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장치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play function is a playback function for playing back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and when a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playback function is input, Direction may display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s may display the background image.

그리고,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그룹 촬영 기능이며, 상기 그룹 촬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group photographing function is inputte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can display the subject using the camera provided in each device The first and second images may be captured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may be combined to generate one conte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이 벤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과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이 생기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중첩 영역에서 연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unit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a second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where the first area is bent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control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terlocking screen in the overlapping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different screens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third region and the overlapping region that are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region 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는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중첩 영역에서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2D image in the third area and display the 3D image in the overlap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graphic guide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guide the area of the overlapped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be adjusted stepwis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overlapped, the control unit combines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of the 3D content in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3D content screen may be displayed and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에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whil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overlapped, the control part may display,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Display a foreground image, and display the background image in anoth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verlap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detect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second area is interlocked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an be interlocked when an interlocking command is inpu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회 벤딩되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투명 층으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이 발생하면,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중첩 영역의 층 개수만큼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하여 상기 중첩 영역의 각 투명 층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an overlap region including at least three transparent layers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to two-dimensional slic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layers of the overlap reg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활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tilize various group play functions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Thus, the device usability an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가 포함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3D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보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구분하여 벤딩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회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roup 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inquiring whether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mer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for combin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display device having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content by combin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rrecting 3D cont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2D contents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isplaying 3D contents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in another display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roup play method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 pla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 play method of another display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 play method of another display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provided according to bending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bending guide by divi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of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roup 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포함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룹 플레이 시스템이란 복수의 독립적인 장치가 서로 결합되어 그룹 플레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그룹 플레이란 복수의 독립적인 장치가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FIG. 1A is a view for explaining a group play system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 play system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independent apparatus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perform group play. Group play refers to a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dependent device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ingle service.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겹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통신을 연결하고, 연동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각각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이용하여 동시 촬영할 수 있고, 그로부터 3D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overlaps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Can be used.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respective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can simultaneously photograph u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parts 140-1 and 140-2 and generate 3D contents therefrom .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포함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1b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를 셜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B illustrates a group play system including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at is, FIG. 1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를 포함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은 상술한 카메라 기능 외에도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컨텐츠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두 장치 중 하나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두 장치 중 다른 하나는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group play system including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devices 100-1 and 100-2 may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camera function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user command for executing a 3D content playback function is inputted, one of the two devices displays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3D content are combined, Can be displayed.

그리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의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두 장치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장치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두 장치 중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는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기능이 지원될 수도 있다.When a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playback function of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inputted, the device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mong the two devices displays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other device of the two devices displays the background image A playback function for playing back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supported.

사용자는 겹쳐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110-2)를 통해 주변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겹쳐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표시되는 레이어가 서로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겹쳐진 제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110-2)를 통해 원근감을 느낄 수 있고, 자연스럽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그에 따라,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surrounding objects through the overlappe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transparent display parts 110-1 and 110-2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 addition, since the overlappe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isplay layers,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overlapped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s 110-1 and 110-2 You can feel the perspective through it, and you can feel the natural sense of dept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3D contents or display contents composed of foreground images and background images.

도 1a 및 1b에 따른 각 장치는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 고리나 요철 구조 등과 같은 체결 구조물이나 자성체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이나 기타 액세서리 구조물(밴드, 테이프, 장치 케이스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붙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명세서 후반부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ach of the devices according to Figs. 1A and 1B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coupling methods.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may be coupled by fastening structures, magnetic bodies, etc., such as connection rings, concavo-convex structures, and the like. Alternatively, a user may us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y attaching them using his / her hand or other accessory structure (band, tape, device case, etc.). The bin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한편, 도 1a 및 1b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 모두 사용자를 기준으로 앞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앞쪽으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Meanwhile, in FIGS. 1A and 1B, both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can be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도 1의 그룹 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of FIG. 2 may be included in the group play system of FIG.

도 2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제어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하에서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와의 구분을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로 표기하여 설명한다.2,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 control unit 120, and an interface unit 130. As shown in FIG. The interface unit 130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Hereinafter,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n order to distinguish the second display unit 100-2 from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후면 배경을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통해 볼 수 있다.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O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refers to a display unit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The user can view the background background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configured as an OLED, 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어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o provide various group play functions to the user.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통신을 연결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연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in part,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또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와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연동할 수 있다.If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provided i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 interlocking screen is provided through the overlapped area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can be interlocked.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하나에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다른 하나에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re overlappe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3D contents are combined is displayed on one of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s 110-2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 2 to display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또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는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foreground image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display the background image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 background imag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 foreground image.

한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통신부(150)에 의해 연결되며, 통신부(150)는 와이파이칩(151), 블루투스 칩(152), NFC칩, 무선 통신 칩(153)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100-2). At this time, th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wired and wirelessly connect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151, a Bluetooth chip 152, an NFC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53,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세부 구성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투명 OLED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OLED type, and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ereof.

먼저,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투명 기판(111-1),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제1 투명 전극(113-1), 투명 유기 발광 층(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114-1), 제2 투명 전극(115-1), 연결 전극(116-1)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세부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rs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11-1, a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12-1,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a transparent organic light- layer 114-1,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15-1, and a connection electrode 116-1.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투명기판(1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1-1)의 재질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적용된 사용 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폴리머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어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는 상점의 쇼윈도(show window)나 일반 창문 등에 사용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11-1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lastic having transparency or glass.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1-1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 environment to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ortion 110-1 is applied. For example, polymeric materia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and flexible and can be used in portable display devices, and glass can be used in show windows or window windows of stores.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이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내에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 및 각종 유전막(117-1, 118-1)이 마련되며, 드레인과 제1 투명 전극(11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116-1)도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투명 트랜지스터 층(112-1) 내에 소스, 게이트, 드레인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투명 트랜지스터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12-1 is a layer including a transistor formed by replacing opaque silicon of a conventional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zinc oxide, titanium oxide, or the like. A source electrode, a gat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various dielectric films 117-1 and 118-1 ar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12-1. A connection electrode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ain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116-1 may also be provided. In FIG. 3, only one transparent transistor made of a source, a gate, and a drain is shown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12-1, but actually, a plurality of transparent transistors ar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urface.

제어부(120)는 투명 트랜지스터층(112-1) 내의 각 트랜지스트들의 소스, 게이트, 드레인 등으로 상술한 이미지 소스 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투명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셀을 스캔한 후, 해당 셀을 턴 온시켜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투명 전극(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은 투명 유기 발광층(114-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1 투명 전극, 투명 유기 발광층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4-1, 115-1)은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를 형성한다.The control unit 120 applies the above-described image source signal to the source, gate, drain, etc. of each transistor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12-1, scans the cell in which the specific transparent transistor is disposed, And various screens can be displayed. Specifically,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15-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4-1.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13-1, 114-1, and 115-1 for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형(Passive Matrix OLED)과 능동형 (Active Matrix OLED)으로 분류된다. PMOLED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5-1)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화소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반면, AMOLED는 각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있는 구조이다. 도 3에서는 능동형을 나타내고 있다.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classified into Passive Matrix OLED and Active Matrix OLED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The PMOLED is a structure in which pixels intersect each other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13-1 and 115-1. On the other hand, AMOLED is a structure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driving each pixel. The active type is shown in Fig.

제1 투명 전극(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1 투명 전극(113-1)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2 투명 전극(115-1)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전극(113-1) 및 제2 투명 전극(115-1)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15-1 each include a plurality of line electrodes, and the alignment directions of the line electrod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line electrode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ne electrodes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15-1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intersecting regio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13-1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15-1. A transparent transistor is connected to each crossing region as shown in FIG.

제어부(120)는 투명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교차 영역 별로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위차가 형성된 교차 영역 내에서 각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투명 유기 발광층(114-1)으로 유입되어 결합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반면,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은 교차 영역은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후면 배경이 그대로 투명하게 비치게 된다.The controller 120 uses a transparent transistor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for each crossing region.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from the respective electrodes into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4-1 in the cross region w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and light is emitted while being coupl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section area w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not formed does not emit light, so that the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is transparently displayed.

제1 및 제2 투명 전극(113-1, 115-1)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114-1)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ITO (indium tin oxide) may be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13-1 and 115-1. Alternatively, a new material such as graphene may be used. Graphene refers to a substance with a transparent nature that forms a honeycomb-like planar structure of carbon atoms. In addition,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4-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를 활용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제공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은 3D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또는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A,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not include a camera part. In this case, the group play function utilizing the camera unit is not provided. The provided group play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displaying a 3D content display function or a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통신이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대등하게 연동될 수도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하나의 장치만이 제어권한을 갖도록 연동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제어하여 3D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W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interlocked However,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only one device may be interlocked to have control authority.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control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o transmit and display the 3D content information. Or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control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ontrols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각각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도 4a에서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 외에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활용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활용한 그룹 플레이 기능은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카메라부(140-1)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하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일 수 있다. 그리고,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또는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B,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 parts 140-1 and 140-2, respectively. .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group play function provided in FIG. 4A,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can display the group u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parts 140-1 and 140-2 Play function can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group play function utiliz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is a function of capturing a subject by controlling the first camera unit 140-1 when a shooting command is input When a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by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2,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combined to transmit the content Lt; / RTI > It may be a function of displaying 3D contents or a function of displaying contents composed of foreground images and background images.

이때,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이 추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At this time, when content is generated,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mposite image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image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further applied.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가 겹쳐지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배치할 수도 있으나, 제1 카메라부(140-1)와 제2 카메라부(140-2)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dispos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mera parts 140-1 and 140-2 overlap each other. However, the first camera part 140 -1) and the second camera unit 140-2 may not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결합하여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quiring whether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겹쳐지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5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장치명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장치의 이름이나 제조 당시에 제조업자가 설정한 장치의 이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510)의 아래쪽으로는 사용자가 연동 명령을 할 수 있도록 터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by the user, A message 510 inquiring whether or not it is interlock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2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device name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ame of the device set by the user, The name may be displayed. A touch menu may be provided below the message 510 inquiring whether or not to be interlock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n interlock command.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겹쳐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경우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겹쳐지는 것이 감지되는 즉시 연동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detect the overlap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nd when it detects the message, communicates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However,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an inter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may not be displayed, and interlocking may be performed as soon as overlapping is sensed.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겹쳐진 후 사용자가 연동 명령을 입력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연동 승인 메시지(5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n interlock command after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the interlocking approval message 520 may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연동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장치명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장치의 이름이나 제조 당시에 제조업자가 설정한 장치의 이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name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terlocked with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1,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The name of a device or the name of the device set by the manufacturer at the time of manufacture may be displayed.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겹쳐지도록 장치의 일 측면에 갈고리캡(6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형성된 갈고리캡(600)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갈고리캡(600)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반대쪽 면으로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갈고리캡(6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갈고리캡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만 달려있을 수도 있다.6A,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es a hook cap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device so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overlaps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600 may be formed. The hook cap 600 form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e hook cap 610 may be connected to the hook cap 610. However,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the hook cap may be attached to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도 6b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범퍼 케이스(6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범퍼 케이스(6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테두리 부분만을 감쌀 수도 있다. 또한,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 신축성이 있는 재료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6B,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connected by the bumper case 620. FIG. The bumper case 620 may cover only the rim por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Further, the material may be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범퍼 케이스(620)는 평상 시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만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연결하는 경우는 접혀 있는 부분을 펴서 다른 장치에 씌우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장치를 감싸도록 늘어나는 형태일 수도 있다.The bumper case 620 may surround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during normal operation. In the case of connecting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e folded portion may be stretched and covered with another device,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in some cases, it may be extended to cover other devices .

도 6a 및 도 6b에서는 카메라부(140-1, 140-2)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카메라부(140-1, 140-2)가 없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FIGS. 6A and 6B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camera units 140-1 and 140-2 are present,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camera units 140-1 and 140-2 are not provided.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통신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술하였고, 인터페이스부(130)가 유선인 경우 갈고리캡 또는 범퍼 케이스를 통해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interfac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hook cap or the bumper case ≪ / RTI >

상술한 바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통신이 연결되고 두 장치(100-1, 100-2)가 연동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연동된 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설명한다. 그룹 플레이 기능으로는 동시 촬영을 통한 3D 컨텐츠 생성 기능, 3D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을 수 있으며, 먼저 동시 촬영을 통한 3D 컨텐츠 생성 기능을 설명한다.The above description relates to the fact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wo devices 100-1 and 100-2 are interlocked. Hereinafter, various group play functions provided to the user after interworking will be described. The group play function may include a 3D content creation function through simultaneous shooting, a 3D content display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of a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First, a 3D content creation function through simultaneous shooting is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140-1)가 포함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ing a camera unit 14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부(140-1)가 포함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렌즈(111), 고체 촬상소자(112), TG(Timing Generator)(114), AFE(Analog Front End)(113), 모터 드라이버(115), 결합부(119), 입력부(190), 이미지 처리부(170), 통신부(150), 제어부(120),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SDRAM 모듈(117), 메모리 카드(118), USB 모듈(116)을 포함한다.7,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ing the camera unit 140-1 includes a lens 111, a solid-state image sensor 112, a TG (Timing Generator) 114, an AFE An image processing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50, a control unit 120,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 SDRAM module 117, a memory card 118, and a USB module 116.

렌즈(111)는, 피사체에 반사된 광이 입사하는 구성으로, 단 초점 렌즈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조리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lens 111 includes a short focal lens in which light reflected by a subject is incident,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not shown) have.

조리개는 렌즈(111)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조리개는 입사되는 광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기계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리개는 F 수치로 불리는 조리개 수치로 개방 정도를 표시하며, 조리개 값이 작을수록 개방 크기가 넓어지므로, 입사광의 양이 많아져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iris passes through the lens 111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The iris has a mechanical structure capable of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ize of the opening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Such an iris is an aperture value called an F number, and indicates the degree of opening. The smaller the aperture value is, the wider the opening size becomes, so that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is increased and a bright image can be generated.

고체 촬상 소자(112)는 렌즈(111)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는 구성이다. 고체 촬상 소자(112)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복수의 픽셀 각각은 입사광에 따른 광전하를 축적하고, 광전하에 의한 상을 전기 신호로 출력한다. 고체 촬상 소자(112)는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또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lid-state image sensor 11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mage of an object passed through the lens 111 is imaged.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accumulates light charges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light, and outputs an image due to the photoelectric charge as an electric signal.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may be composed of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or a charge coupled device (CCD).

또한, 고체 촬상 소자(112)는 포토 다이오드(PD). 전송 트랜지스터(TX), 리셋 트렌지스터(RX), 플로우팅 확산 노드(FD)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PD)는 피사체의 광학상에 대응하는 광전하를 생성하여 축적한다. 전송 트랜지스터(TX)는 전송 신호에 응답하여 포토 다이오드(PD)에 생성된 광전하를 플로우팅 확산 노드(FD)로 전송한다. 리셋 트랜지스터는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플로우팅 확산 노드(FD)에 저장된 전하를 배출한다. 리셋 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플로우팅 확산 노드(FD)에 저장된 전하가 출력되는데, CDS 이미지 센서의 경우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DC가 CDS 처리가 수행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is a photodiode (PD). A transfer transistor TX, a reset transistor RX, and a floating diffusion node FD. The photodiode PD generates and accumulates photo charges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The transfer transistor TX transmits the photocharge generated in the photodiode PD to the floating diffusion node FD in response to the transfer signal. The reset transistor discharges the charge stored in the floating diffusion node FD in response to the reset signal. Before the reset signal is applied, the charges stored in the floating diffusion node FD are output. In the case of the CDS image sensor, CDS (Correlated Double Sampling) processing is performed. Then, the ADC converts the analog signal subjected to CDS processing into a digital signal.

TG(Timing Generator, 114)는, 고체 촬상 소자(112)의 픽셀 데이터를 리드아웃(readout)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TG(114)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된다. The TG (Timing Generator) 114 outputs a timing signal for reading out the pixel data of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The TG 11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AFE(Analog Front End, 113)는, 고체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피사체 상의 전기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화한다. AFE(Analog Front End, 113)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된다.An AFE (Analog Front End) 113 samples and digitizes an electric signal on a subject output from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 The AFE (Analog Front End) 11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AFE(113)와 TG(114)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특히, 고체 촬상 소자(112)가 CMOS 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구성을 불필요할 수 있다. However, the AFE 113 and the TG 114 may be replaced by other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is implemented in a CMOS type, such a configuration may be unnecessary.

모터 드라이버(115)는, 위상차 픽셀을 리드아웃하여 계산된 정보에 기초하여 포커싱 렌즈를 구동하여 포커스를 맞춘다.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스마트폰이나 셀룰러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포커싱을 위한 렌즈를 구동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고, 모터 드라이버(115)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The motor driver 115 drives the focusing lens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reading out the phase difference pixel to focus the image. However,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or a cellular phone, the lens for focusing may be software-processed without being driven, and the motor driver 115 may not be provided.

이미지 처리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로우 이미지 데이터(RAW IMAGE DATA)를 이미지 처리하고, SDRAM(117)에 기록한다. 그리고, SDRAM(117)의 영상 처리된 데이터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전달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raw image data RAW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writes the raw image data into the SDRAM 117. Then, the image-processed data of the SDRAM 117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위상차를 이용한 오토 포커싱을 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부(170)는 고체 촬상 소자(112)에서 출력되어 AFE(113)에 의해 샘플링된 신호 중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일반 픽셀로부터 리드아웃된 신호)와 위상차를 계산하기 위한 신호(위상차 픽셀로부터 리드아웃된 신호)를 분리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autofocusing using a phase difference,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generates a signal (a signal led out from a general pixel) for generating an image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olid-state image sensor 112 and sampled by the AFE 113 And separates the signal for calculating the phase difference (the signal read out from the phase difference pixel).

이미지 처리부(170)는, 로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며, YCbCr 데이터로 만든다. 로우 이미지 데이터는 우선, 보정회로(미도시)에 의해 픽셀 결함이 보정된다. 보정회로는 보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픽셀 결함을 보정하는데, 보정테이블은 결함이 있는 픽셀의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픽셀에 대해서 주위의 픽셀로부터 보정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rocesses the row image data and generates YCbCr data. First, in the row image data, a pixel defect is corrected by a correction circuit (not shown). The correction circuit refers to the correction table to correct the pixel defect, and the correction table registers the address of the defective pixel. And performs correction from surrounding pixels with respect to the pixel coincident with this address.

이미지 처리부(170)는 이미지의 블랙 레벨을 결정하는 OB 클램프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고체 촬상 소자(112)는 OB(Optical Black) 영역이 있으며, OB영역의 신호 평균값을 검출하여 각 픽셀값의 차이를 통해 블랙 레벨을 결정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includes an OB clamp circuit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black level of the image. Th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112 has an OB (Optical Black) region, detects a signal average value of the OB region, and determines a black level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또한, 이미지 처리부(170)는 감도비 조정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색상별로 상이한 감도비 조정을 수행한다. 감도비 조정 회로는 표준 광원 하에서 R,G,B색의 감도를 조정한다. 통상적으로 G의 게인값을 1로 고정하고 R, B의 감도를 이에 맞춘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different sensitivity ratio adjustment for each color using a sensitivity ratio adjusting circuit (not shown). The sensitivity ratio adjustment circuit adjusts the sensitivity of R, G, and B colors under a standard light source. Normally, the gain value of G is fixed to 1 and the sensitivity of R and B is adjusted accordingly.

정지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감도비 조정 후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버퍼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인터레시스(interlace)방식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곧바로 후처리를 할 수 없는 반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방식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바로 후처리가 가능하다. When a still image is output, the image data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buffer after adjusting the sensitivity ratio. In this case, since the image is generated by the interlace method, the post-processing can not be performed immediat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ve view image is outputted, the image is generated in a progressive manner, Do.

또한, 이미지 처리부(170)는 수평 스킵 리드아웃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일부 픽셀 라인은 리드아웃하고 나머지 픽셀 라인은 스킵하는 스킵 리드아웃을 수행하므로, 로우 이미지의 픽셀 수가 감소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skip lead-out using a horizontal skip lead-out circuit (not shown) to read out some pixel lines and skip the remaining pixel lin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ixels of the row image.

이미지 처리부(170)는 WB조정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WB : White Balance)를 조정한다. 촬영 환경에 따라 조명광의 분광 분포가 다르므로 흰 피사체를 촬영해도 희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R,G,B 픽셀마다 상이한 게인값을 주어 신호 레벨을 맞춘다.The image processor 170 adjusts white balance (WB) for image data using a WB adjustment circuit (not shown). Since the spectral distribu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differs depending on the shooting environment, white objects may not be displayed whitish. Different gain values are assigned to the R, G, and B pixels to adjust the signal level.

또한, 이미지 처리부(17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감마 보정을 통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출력에 맞는 계조 변환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gamma correction on the image data. The gradation convers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s performed through the gamma correction.

또한, 이미지 처리부(170)는 색보간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1픽셀당 1색의 베이어 신호에서 1픽셀당 3색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컬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generates a normal color image signal composed of three colors per pixel in a Bayer signal of one color per pixel using a color interpolation circuit (not shown).

또한, 색변환/색보정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출력에 맞는 색공간 변환을 하고, 색보정을 한다. 필요에 따라 LUT(Look Up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 색변환/색보정 후에 이미지 데이터는 YCbCr 데이터가 된다. Further, a color conversion / color correction circuit (not shown) is used to perform color space convers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and color correction is performed. A look up table (LUT) can be used as needed. After color conversion / color correction, the image data becomes YCbCr data.

이미지 처리부(170)는 해상도 변환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변환하여 사이즈를 맞춘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converts the resolution using a resolution conversion circuit (not shown) to adjust the size.

이미지 처리부(170)는 공간 필터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공간 필터를 처리한다. Y신호의 엣지 강조가 이루어지고, Cb/CR 신호의 LPF(Low Pass Filter)처리를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rocesses a spatial filter for image data using a spatial filter circuit (not shown). Edge enhancement of the Y signal is performed, and LPF (Low Pass Filter) processing of the Cb / CR signal is performed.

또한, 이미지 처리부(170)는 CbCr스킵 리드아웃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Cb/Cr신호에 대해 스킵 리드아웃을 수행하여 YCbCr4:2:2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출력버퍼를 통해 출력되고, 버스를 통해 SDRAM(117)에 기록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skips the Cb / Cr signal using the CbCr skip lead-out circuit (not shown) and converts it into image data of YCbCr4: 2: 2. The image data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buffer and written to the SDRAM 117 via the bus.

정지 이미지의 경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리드아웃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접하는 픽셀 라인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직접 색 보간을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전처리가 끝난 후, 일단 출력버퍼를 통해 SDRAM(117)에 픽셀 라인 순서를 조정하여 프로그래시브 형태로 저장한다.In the case of still images, lead-out can be performed in an interlaced manner, in which case the direct color interpolation can not be processed because there are no adjacent pixel lines. Therefore, after the preprocessing is completed, the pixel line order is adjusted to the SDRAM 117 through the output buffer and stored in a progressive form.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정지 이미지의 경우 인터레이스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래시브 방식으로 리드아웃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lace method in the case of still images, and may be implemented to lead out in a progressive manner.

한편, 정지 이미지의 경우, 촬영 후에 조그맣게 보여주는 프리뷰 이미지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스킵 리드아웃처럼 일부 픽셀의 데이터를 생략하여 작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ill imag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preview image or a thumbnail image which is displayed little after the shooting. This is done by omitting some pixel data, such as a skip lead-out.

이미지 처리부(170)는 AF신호 보간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위상차 픽셀 부분을 일반 픽셀값으로 보간한다. 위상차 픽셀이 일반 픽셀 사이에 위치하므로, 해상도 열화가 발생할 수 있어 주변의 일반 픽셀을 이용하여 보간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interpolates the phase difference pixel portion into a general pixel value using an AF signal interpolation circuit (not shown). Since the phase difference pixels are located between normal pixels, resolution degradation may occur and interpolation is performed using surrounding pixels.

상술한 이미지 처리부(170)의 처리 과정에 기초하여, 이미지 처리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통해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속성에 기초하여 나머지 이미지의 속성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ma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based on the proces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described above. The attributes of the remaining images can be adjusted equally based on the attributes of one of the images.

한편, 분리 회로(미도시)에서 분리된 위상차 픽셀의 신호는 일단 제1버스를 통해 SDRAM(117)에 기록된다. 복수의 픽셀 전부에 대해 리드아웃이 이루어지고,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짧은 기간 동안 각 위상차 픽셀 신호는 SDRAM(117)에 축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of the phase difference pixel separated in the separation circuit (not shown) is once written to the SDRAM 117 through the first bus. Since the readout is made for all of the plurality of pixels and the separation is made, the respective phase difference pixel signals are accumulated in the SDRAM 117 for a short period of time.

저장된 위상차 픽셀 신호는 제1버스를 통해 위상차 연산회로(미도시)로 입력된다. 위상차 연산 회로는, 위상차 픽셀 간의 위상차를 연산하고,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이동량은 위상차 연산회로 내의 레지스터에 일시적으로 기록되며, 제어부(120 즉, CPU)가 독출한다.The stored phase difference pixel signals are input to a phase difference calculation circuit (not shown) through a first bus. The phase difference calculation circuit calculate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phase difference pixels and calculat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focus lens. The calculated movement amount is temporarily stored in a register in the phase difference calculation circuit, and is read out by the control unit (120).

제어부(120)는, 포커스 렌즈의 계산된 이동량을 읽어와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명령을 모터 드라이버(115)에 전달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The control unit 120 reads the calculated amount of movement of the focus lens,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motor driver 115 to drive the focus lens.

JPEG 코덱은, YCbCr 데이터를 압축한다. 그리고,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는 SDRAM(117)에 기록된다. 제어부(120)가 SDRAM(117)에 기록된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와 메모리 카드(118)에 기록함으로써, 이미지 생성 절차가 종료된다. The JPEG codec compresses YCbCr data. Then, the compressed image data is recorded in the SDRAM 117. The control unit 120 reads the compressed image data recorded in the SDRAM 117 and writes the read compressed image data to the memory card 118, thereby completing the image generation procedure.

통신부(150)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150)는 디바이스 간 중계 장치 없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without an inter-device relay device.

결합부(119)는 다른 장치와 결합하여 고정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부(119)를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다른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oupling portion 119 can be used to be fixe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device, and can also perform wired communication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19. [ The case where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FI DIRECT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module,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module .

다른 통신 기술 수단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모듈, 3G(3세대) 이동통신 모듈, 4G(4세대) 이동통신 모듈,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But does not preclude the application of other communication technology means. For example, any on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3G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4G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fourth generation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module.

USB 모듈(116)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SB모듈(116)은 USB케이블을 통해 PC나 기타 외부 장치와 연결된 경우, 이미지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또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펌웨어 송수신을 처리한다. The USB module 116 provides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USB module 116 is connected to a PC or other external device via a USB cable, the USB module 116 process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 data. It also handles firmwar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performing firmware upgrade.

입력부(19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9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90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input unit 190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90 may include a touch screen located i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촬영 명령 또는 영상 캡쳐 명령뿐만 아니라, 입력부(190)는 촬영 영상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hooting command or the image capturing command, the input unit 19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촬영 배율 조정 명령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90)가 상 버튼 및 하 버튼을 포함하는 경우, 라이브뷰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라이브 뷰 영상이 확대될 수 있다.The photographic magnification adjustment command may be a user command for pressing a button inclu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90 includes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he live view image can be enlarged when a user command to press the up button is input while the live view is displayed.

또한, 입력부(19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통해, 촬영 영상의 배율을 조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Also, the input unit 19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117) 은,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CPU에 의한 이미지 작업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시스템 클록의 상승단과 하강단 모두에서 출력이 나오도록 하여 상승단에서만 출력이 나오는 것에 비해 출력을 2배 향상시킬 수 있는 DDR SDRAM이 사용될 수 있다.SDRAM (Synchronous Dynamic RAM 117) is used for storing images or for image processing by a CPU.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DR SDRAM can be used that can output twice at the rising edge and output at twice as much as the output at both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system clock.

메모리 카드(118)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착탈이 가능한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118)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card 118 may include a flash memory and may be implemented as a removable card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hen, the memory card 118 can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file.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카메라부(140-1, 140-2)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겹쳐지는 영역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fixed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camera parts 140-1 and 140-2, ,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arranged by adjusting the overlapped area in a stepwise manner.

이하에서는 상술한 카메라부(140-1, 140-2)가 더 포함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그룹 플레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group play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ing the camera units 140-1 and 140-2 described above. do.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for coupling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3D 컨텐츠 생성이 가능하나,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의 떨어져 있는 거리 차이에 따라 3D 컨텐츠의 입체감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는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안내를 해주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특정 메시지 또는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3D contents can be generated when photographing u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3D content may be fel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have a function of giving guidance to the user.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user with a specific message or a guide for combin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도 8a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완전히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1 카메라부(14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10-2)의 제2 카메라부(140-2)에 가려질 수도 있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10-2)의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통해 촬영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8A,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be disposed so as to completely overlap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unit 140-1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40-2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10-2, 110-2 of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도 8b 및 8c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일부분만이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1 카메라부(14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겹쳐지지 않고 촬영하거나,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통해 촬영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s. 8B and 8C,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be arranged so that only a part thereof overlaps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e first camera unit 140-1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be photographed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110-2).

도 8a 내지 8c에 의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에게 상술한 사항을 설명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령, 도 8a와 같은 경우 완전히 겹쳐지도록 배치되었고, 제1 카메라부(140-1)가 제2 카메라부(140-2)에 가려진 경우 제1 카메라부(140-1)는 촬영하지 않는다는 문구나, 제1 카메라부(140-1)가 제2 카메라부(140-2)에 가려지지 않은 경우 타 디스플레이부(110-2)를 통해 촬영하게 되어 색상이 틀려질 수 있다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8A to 8C, a message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of any on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8A, the first camera unit 140-1 is disposed so as to completely overlap, and when the first camera unit 140-1 is covered with the second camera unit 140-2, , And if the first camera unit 140-1 is not cover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40-2, a message may be displayed that the color may be distorted by shooting through the other display unit 110-2.

도 8d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가이드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의 간격이 사람의 두 눈의 간격만큼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간격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겹쳐지는 영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3D 컨텐츠 생성 시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겹쳐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3D 컨텐츠 생성 시 입체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D,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to be stepwise adjusted to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110-2. At this time, the graphic guide may be such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wo eyes of a person, but it is only one embodiment, You may. As the size of the overlapped area is smaller, the 3D effect can be improved when 3D contents are generated. As the size of the overlapped area is larger, the 3D effect can be reduced when 3D contents are generated. Such a function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결합하여 3D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보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content by combin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rrecting the 3D content.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동일한 화각을 갖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화각이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화각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9,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having the same angle of view, 2),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angle of view may not be the same.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view angles are the same will be described.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겹쳐져 있으며, 서로 연동된 상태이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보다 좀더 좌측으로 배치되어 제1 카메라부(140-1)에 의한 이미지(810)는 이미지 내에서 우측에 건물(800)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보다 좀더 우측으로 배치되어 촬영된 이미지(820)에서 건물(800)은 이미지 내에서 좌측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s disposed further to the left tha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so that the image 810 by the first camera unit 140-1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building 800, May be in a deployed state. In additio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placed on the left side in the image in the photographed image 820, which is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카메라부(140-1)를 제어하여 건물(800)을 촬영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촬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촬영 시간에 간격을 두어 제1 카메라부(140-1)의 촬영이 있은 후에 제2 카메라부(140-2)에 의해 촬영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ontrols the first camera unit 140-1 to shoot the building 800 when a user inputs a photographing instruction by controlling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may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irst camera part 140-1 The second camera unit 140-2 may take a picture.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어부(12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컨텐츠는 3D 컨텐츠일 수 있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receives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nd output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to generate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generated content may be 3D content, or may be a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생성되는 컨텐츠가 3D 컨텐츠일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부(140-1)의 초점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제2 카메라부(140-2)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일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부(140-1)의 초점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제2 카메라부(140-2)와 동일하게 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1 카메라부(140-1)의 초점을 전경으로 맞추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제2 카메라부(140-2)의 초점을 배경으로 맞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When the generated content is 3D content, the controller 12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ransmits the focus of the first camera unit 140-1 to the second camera unit 140-2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2). The control unit 12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ontrols the focus of the first camera unit 140-1 and the focus of the second camera unit 140-1 of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e first camera unit 140-1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focus on the foreground and the second camera 140- 2 may be controlled so as to be set in the background.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겹쳐서 멀티 레이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만을 이용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multi-layer contents by overlapping not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but also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devices (not shown).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두께만큼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의 시점 차가 존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따르면, 제2 카메라부(140-2)는 제1 카메라부(140-1)보다 건물에 가깝게 위치한다. 또한, 도 9에서는 제1 카메라부(140-1)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포함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완전히 겹쳐지게 하여(미도시) 제1 카메라부(140-1)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통하여 촬영을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by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Specifically, according to FIG. 9, the second camera unit 140-2 is located closer to the building than the first camera unit 140-1. 9, the first camera unit 140-1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ransparent display unit 100-1 and the other display unit 100-2 are completely overlapped (not shown), the first camera unit 140-1 And may be photograph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그리고, 카메라부의 시점 차에 따라 촬영되는 피사체의 크기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포함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완전히 겹쳐져서 하나의 카메라부가 다른 장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 또는 카메라부의 위치에 차이(예를 들어, 하나의 카메라부는 햇빛이 드는 곳에,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는 그늘진 곳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게 됨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촬영될 수도 있다.The size of the photographed subject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iewpoint difference of the camera unit. Whe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es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mpletely overlapped, When shooting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or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for example, when one camera unit is placed at sunlight and another camera unit is placed at a shady place) It is possible.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여 촬영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부(140-1)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1 카메라부(14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 SDRAM(117)에 임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저장부(155)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receive the second image from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nd compare it with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40-1 based on the capture command. At this time, the first image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DRAM 117 as an image taken by the first camera unit 140-1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There may be.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보정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820)에서는 피사체인 건물(800)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810)에서의 건물(800)보다 좀더 크게 촬영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부(170)는 이미지(810)의 일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820)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to compare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correct the difference. As shown in FIG. 9, in the image 820 taken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e building 800 as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building 800 in the image 810 photograph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may convert a portion of the image 810 to correspond to the image 820 photograph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by cutting out a portion of the image 810. [

또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포함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완전히 겹쳐져서 하나의 카메라부가 다른 장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 또는 카메라부의 위치에 차이가 있게 됨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촬영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이미지의 전반적인 색감을 비교하여 색상 보정을 수행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es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overall color of the image with the color of the image and then performs the color correc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Can be controlled.

보정된 복수의 이미지들은 3D 컨텐츠로 생성되거나,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로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컨텐츠는 저장부(155)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7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rrected images may be generated as 3D content, or may be generated as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and the generated cont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may generate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2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2D contents in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a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의 피사체인 건물(800)에 대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2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110-2)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는 검은색을 디스플레이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A, there may be two images taken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800, which is the subject of FIG. And may be display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s 110-1 and 110-2 and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whe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 Can display black to increase visibility.

그리고, 도 10a는 제1 카메라부(140-1)에 의하여 촬영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도 10b와 같이 제2 카메라부(140-2)에 의하여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어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지는 기본 설정으로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하는 당시의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다.10A shows a first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unit 140-1.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40-2, as shown in FIG. 10B, And may display the second image. Which image is to be displayed may be determined to be the default setting or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instruction at the time of display.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llustrates a principle of displaying 3D contents in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a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D 컨텐츠는 저장부(155)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카메라부(140-1, 140-2)를 이용하여 촬영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A, 3D content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100-2 using another display device 100-2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can do. The 3D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or may be the contents photograph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40-1 and 140-2.

도 11a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3D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하나에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다른 하나에,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11A, when a playback command for 3D content is inputted,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left-eye image and the left-eye image of the 3D content 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right eye image is combined is displayed and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is displayed on the other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can do.

구체적으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좌안으로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 영상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우안으로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 영상만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a barrier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 3D content screen o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3D contents are combined is displayed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Only the left ey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can be viewed as the left eye of the user and only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can be viewed as the right eye of the user .

위와 같은 구성은 무안경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서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general method for displaying the spectacle-free 3D content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increasing the visibility by displaying a barrier screen.

도 11b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B, 3D content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100-2 using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can do.

도 11b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2D-3D 스위칭 렌즈 필터(2D-3D Switching Lens Filter)가 덧붙여져 있으며, 3D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2D-3D 스위칭 렌즈 필터에 전압을 가하여 필터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11B, a 2D-3D switching lens filter is added to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he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2D-3D switching lens filter to operate as a filter.

구체적으로, 2D-3D 스위칭 렌즈 필터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눈으로 들어가는 빛이 굴절되지 않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2D 컨텐츠를 볼 수 있으나, 2D-3D 스위칭 렌즈 필터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 눈으로 들어가는 빛이 굴절된다.Specifically,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2D-3D switching lens filter, light entering the user's eyes is not refracted, and thus the user can view the 2D content. However,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2D- The light entering the eye is refracted.

사용자 눈으로 들어가는 빛이 굴절되는 경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필터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으로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 영상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우안으로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 영상만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110-2)를 이용하면 2D 및 3D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light entering the user's eyes is refracted,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of 3D contents are combined is displayed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nd a second transparent Only the left ey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2 can be viewed and only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can be viewed on the user's right ey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s 110-1 and 110-2, 2D and 3D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contents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in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a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에는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도 12b와 같이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반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겹쳐서 멀티 레이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12A, when the user inputs a playback command for a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a foreground image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o display a background image on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n reverse as shown in FIG. 12B. Further, not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but also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devices (not shown) may be stacked to display multi-layer content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group play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한다(S1310). 통신의 연결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oup play performing method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part,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another display device S1310).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n be done automatically by detecting another display device.

이후,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S1320).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것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연동 명령 입력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Thereafter, a group play function for providing on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another display device is performed (S1320). Interlocking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y be performed by a user's interlocking command input.

또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32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If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other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S1320) It can work with the device.

그리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displaying the graphic guide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to guide the stepwise adjustment of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

또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3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에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S1320) And displaying the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on the other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그리고,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3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S1320) Displaying the foreground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rt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in the part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image on the other transparent display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또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320)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S1320)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subject to acquire a first image and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Receiving the image, and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the content.

그리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서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generating at least one of image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s to each other, and then synthesizing the image and the composite image.

또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content may generate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그리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그룹 플레이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룹 플레이 기능은 메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승낙이 입력되면 실행될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whe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displaying the message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wherein the group play function can be executed when a user acceptance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s input.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FIG. 14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 play method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연동하여 동시촬영하는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겹쳐지는 경우,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 연동 여부 신호를 전송한다(S141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연동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420). 이에 대해, 사용자가 연동 명령을 입력하면(S143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연동 승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440).Specifically, FIG. 14 shows a sequence diagram of simultaneous photograph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re overlapped by the user,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ransmits an interlocking signal to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S1410).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receives the interlocking status signal and display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it is interlocked (S1420).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puts an interlock command (S1430),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displays an interlocking approval message (S1440).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has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110-2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overlap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To provide an interlocking screen to perform a group play function.

이후, 사용자가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S145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촬영 명령을 전송하고(S146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동시에 촬영한다(S1470-1, S1470-2).Thereafter, when the user inputs a shooting command (S1450),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ransmits a shoot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S1460) The display device 100-2 simultaneously photographs (S1470-1, S1470-2).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저장하고(S1480),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490, S149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저장된 제1, 제2 이미지를 서로 대응되게 보정하여 3D 컨텐츠로 합성한다(S1492). 보정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3D 컨텐츠로 합성하는 것은(S1492),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여 3D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stores the photographed first image (S1480), and receives and stores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S1490, S1491).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orrects the stored first and second image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synthesizes them into 3D contents (S1492). The correction may be to perform at least one of magnification and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ynthesizing with 3D contents (S1492) may be to use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e the other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to generate 3D contents.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 play of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is also shown.

구체적으로, 도 15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동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대하여, 사용자는 3D 컨텐츠 재생 명령을 입력한다(S1510).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이용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15, the user inputs a 3D content playback command for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terlock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510). This may be input through a button provid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or through a touch input usi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사용자의 3D 컨텐츠 재생 명령의 입력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3D 컨텐츠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1520). 그리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3D 컨텐츠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1530-1),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수신된 3D 컨텐츠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530-2).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s 3D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ransmits 3D content to another display device (S1520).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displays the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153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displays the received 3D content a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S1530-2) .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display the 3D contents,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may display the barrier scree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를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16 illustrates a group play method of another display device 100-2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구체적으로, 도 1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동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대하여, 사용자는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한다(S1610).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16,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nterlock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yback command is input (S1610). This may be input through a button provi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or may be inputted through a touch input usi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사용자의 3D 컨텐츠 재생 명령의 입력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배경 이미지만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전송한다(S1620). 그리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S1630-1),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는 수신된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630-2).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ransmits only the background image to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s 3D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S1620). T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displays the foreground image (S163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displays the received background image (S163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display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may display the foreground image.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이다. 도 17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제어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카메라부(140-1) 및 통신부(150), 저장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이미지 처리부(170), 스피커(180), 마이크(181), 입력부(190) 및 감지부(195)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 control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camera unit 140-1, a communication unit 150, A storage unit 155, an audio processing unit 160, an image processing unit 170, a speaker 180, a microphone 181, an input unit 190, and a sensing unit 195. Details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7 that overlap wit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120)는 저장부(15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 general by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RAM 121, a ROM 122, a main CPU 123, a graphics processing unit 124, first through n interfaces 125-1 through 125-n, .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AM 121, the ROM 122, the main CPU 123,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124, the first to n interfaces 125-1 to 125-n,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126.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th interfaces 125-1 to 12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메인 CPU(123)는 저장부(155)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5)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5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3D 컨텐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main CPU 123 accesses the storage unit 155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3D contents, contents composed of foreground images and background images, and the like.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5)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55)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The ROM 122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When the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 main CPU 123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to the RAM 121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ROM 122, executes O / S Boot the system. When the booting is completed, the main CPU 123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to the RAM 12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copied to the RAM 121,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124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con,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calculat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by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creates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The screen generated by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한편,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5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카메라부(140-1)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저장부(155)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storage unit 155 to store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40-1.

그리고, 제어부(120)는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의 촬영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카메라부(140-1)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 촬영 명령을 송신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가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되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amera unit 140-1 to shoot a subject when the shooting command of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90 and transmits a shoot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nd when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can be controlled to combin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the content have.

이때, 제어부(12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to perform at least one of image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

한편, 제어부(12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170 to generate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the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the right eye image can do.

또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area of the overlapped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to be stepwise adjuste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저장부(155)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카메라부(14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3D 컨텐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55 includes an O / S (Operating System) software module for driv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40-1, 3D contents, And the like.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5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3D 컨텐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3D content,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content composed of the background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5 do.

입력부(19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90)는 리모콘 수신부, 버튼부, 터치 패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90 receives a user command. Here, the input unit 19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remote control receiver unit, a button unit, and a touchpad.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displays various screens. Here, the screen may include various content playback screens such as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a music, etc.,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cluding various contents, a web browser scree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이 경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implemented b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or the like according to circumstances.

특히,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3D 컨텐츠,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can display contents stored in the 3D content,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es a touch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 grip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touch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can sense various operations such as rotation, tilt, pressure, approach, grip, and the like.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ostatic or a pressure sensitive type. The electrostatic touch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uses a dielectric coated on a surface of a display to calculate touch coordinates by sensing minute electricity that is excited by the user's body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is touched on the display surface. The pressure sensitive type touch sensor includes two electrode plates built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When the user touches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touched point, the pressure sensitive touch sensor senses that the current flows, Quot; touch sensor " In addition, infrared sensing,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integrated tension measurement, and piezo effects can be used to detect touch interactions.

그 밖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may judge whether or not a touch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pe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touch sensor using a magnetic and magnetic field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instead of the touch sensor.

지자기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The geomagnetic sensor is a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state and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Both the geomagnetic sensor and the gyro sensor may be provided, but even if only one of them is provide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can sense the rotation state.

가속도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tilting degre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is a sensor for sensing the approaching motion without touching the display surface directly. The proximity sensor is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that form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and senses a current induced by a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that changes when approaching an object, a magnetic type using a magnet, a capacitive type And the like.

그립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grip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a grip of a user by being disposed at the rear surface, the rim, and the grip portion separately from the touch sensor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The grip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pressure sensor in addition to the touch sensor.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nd amplification of audio data,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peaker 18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various kinds of audio data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as well as various kinds of notification sounds and voice messages.

버튼(미도시)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A button (not shown) may be various types of buttons such as a mechanical button, a touch pad, a wheel, and the like formed in an arbitrary area such as a front surface portion, a side surface portion, and a back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카메라(미도시)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A camera (not shown) is a configuration for captur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The camera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ameras such a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마이크(181)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microphone 181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user voice or other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udio data.

감지부(195)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겹쳐지는지를 감지한다.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110-2)가 겹쳐지는 경우, 제어부(12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연동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95 senses whe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re overlapped.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overlap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10-1. When an interlocking command is inputted, the interlocking comm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

이상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기능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만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By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tilize the function that can not be obtained from the existing display devi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Hereinafter,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group play function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using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와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8,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and a control part 120.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다.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투명 기판(1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면서도 투명한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ortion 110-1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havi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n be bent, bent, folded, folded or folded like a paper while maintain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device , Or a device capable of drying. Therefor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having the flexibl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must be fabricated on a flexible substrate.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substrate 111-1 can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lastic having transparency while being deformable by external pressure.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벤딩(bending)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즉,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는 휘어질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므로, 플렉서블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의 종류에 따라 벤딩, 롤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변형이 발생된다.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ortion 110-1 has a characteristic capable of bending. Accordingly,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should be made of a structure and material capable of bending. That is, sinc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s made of a structure and material that can be b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first display unit 110-1,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be bent, A deformation of a combination of them occurs.

벤딩에는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Bending may include normal bending, folding, and rolling. Normal bend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bent.

폴딩(Folding)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Fold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Here, the folding and general bending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For example, when the bending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bending angle or more, the bending angle is defined as a folded state, and when the bending angle is less than the bending angle, it is defined as general bending.

롤링(Rolling)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벤딩 각도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에 걸쳐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일정 벤딩 각도 미만의 벤딩이 롤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은 벤딩 각도 이외에 곡률 반경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Rolling means that the display device is being rolled. Rolling can also be judged based on the bending angle.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bending over a predetermined bending angle is sensed over a certain area can be defined as rolling. 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bending less than a predetermined bending angle is detect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as compared with rolling can be defined as folding. The general bending, folding, rolling, etc.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adius of curvature in addition to the bending angle.

또한, 곡률 반경과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단면이 거의(substantially) 원이나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tat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curled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substantially circular or has a shape close to an ellipse can be defined as rolling regardless of the radius of curvature.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various form variants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size, weigh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if the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are bendable enough to touch each other, the folding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s bending. On the other hand, rolling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bending.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For ease of explanatio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se various types of bending and other bending types collectively as bending.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제1 영역이 벤딩되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제2 영역과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이 생기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각각 제어하여, 중첩 영역에서 연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is bent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so that the overlap area is forme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interlocking screen in the overlapping area by controlling the display operations of the two areas.

또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서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과 중첩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display different screens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thir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which are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region i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3 영역에는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중첩 영역에서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a 2D image in the third area and a 3D image in the overlap area.

또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a graphic guide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to guide the area of the overlapped area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to be adjusted stepwise.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에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overlapped,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3D content scree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of the 3D content are combined in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display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on the other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에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에서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overlapped,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foreground image in the area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mo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a backgroun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other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그리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2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연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verlap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detect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display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interlocked. When the interlock command is inpu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an be interlocked.

또한,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복수 회 벤딩되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투명 층으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이 발생하면, 3차원 이미지를 중첩 영역의 층 개수만큼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하여 중첩 영역의 각 투명 층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is bended a plurality of times to generate an overlap region including at least three transparent layers,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three-dimensional image to be two-dimensional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image into slice images and display them on each transparent layer of the overlap are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기능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asic configuration and various embodiment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group play function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100-2 will be omitted.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벤딩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provided in accordance with bending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제1 영역(1910)이 벤딩되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제2 영역(1920)과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이 생기면,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각각 제어하여, 중첩 영역에서 연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를 제어할 수 있다.19,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first area 1910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and the second area 1920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110-1,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nd to display the interlocking screen in the overlapping area .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영역(1910)과 제2 영역(1920)이 중첩된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 중 하나에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 중 다른 하나에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벤딩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컨텐츠를 벤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3D content in one of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nd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content displayed befor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s bent, in a bend state.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영역(1910)과 제2 영역(1920)이 중첩된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에는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 중에서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20)는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반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벤딩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컨텐츠를 벤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ent including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The foregroun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nd the backgroun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other area of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n reverse, or may display the content that has been displayed before bendi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n a bend state It is possible.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이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영역(1910) 및 제2 영역(1920)을 연동할 수 있다. 연동과 관련된 설명은 도 5에서 하였으므로 생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are interlocked, The first area 1910 and the second area 192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en the interlock command is input.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interlocking is given in Fig. 5 and will be omitted.

한편,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서 제1 영역(1910)과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1930)과 중첩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3 영역(1930)에는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중첩 영역에서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20)는 제3 영역(1930)에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중첩 영역을 제어할 수도 있고, 제3 영역(1930)과 중첩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20 separately controls the overlap area with the third area 1930, which is the remaining area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area 1910, i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can do.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the 2D image in the third area 1930 and display the 3D image in the overlap ar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menu screen in the third area 1930 to control the overlap area, or may display the same content in the overlap area with the third area 1930 .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제1 영역(1910), 제2 영역(1920) 및 제3 영역(1930)을 구분하여 벤딩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region 1910, a second region 1920, and a third region 1930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nding guide Fig.

도 20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의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그래픽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2개의 영역 또는 4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그래픽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래픽 가이드를 변경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래픽 가이드를 제공하는 구성은 도 8에서 설명했으므로 생략한다.20, the control unit 120 can display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stepwise adjustment of the overlap area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have. In FIG. 20, the graphic guide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provide a graphic guide to divide into two areas or four or more areas, and may provide a UI for changing or setting a graphic guide by a user.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the graphic guid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will be omitted.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복수 회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도 21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복수 회 벤딩되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투명 층으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이 발생하면, 3차원 이미지를 중첩 영역의 층 개수만큼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하여 중첩 영역의 각 투명 층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generate an overlap area having at least three transparent layers, the controller 120 adjusts the three- Two-dimensional slice images can be separately displayed on each transparent layer of the overlap area.

도 21에서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2회 벤딩되어 세 개의 투명 층으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이 발생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그 크기에 따라 3회 이상 벤딩될 수 있다.In FIG. 21,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ortion 110-1 is bent twice and an overlapping region composed of three transparent layers is gene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ortion 110-1 may be bent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its size.

그리고, 중첩 영역 중 가장 앞쪽으로는 제1 영역(1910), 중간에는 제2 영역(1920) 및 가장 뒤쪽으로는 제3 영역(1930)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를 3개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이미지가 구 형태인 경우에 3개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는 원이며, 그 크기는 중간의 이미지가 가장 큰 원이고, 나머지 두 개의 이미지는 동일한 크기의 원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중간의 이미지를 제2 영역(1920)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두 개의 이미지를 제1 영역(1910) 및 제3 영역(19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다른 형태에도 동일하게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를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벤딩 횟수가 많아 중첩 영역의 투명 층이 많을수록 3차원 이미지는 정교하게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area 1910, the second area 1920, and the third area 1930 ar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overlap area.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divide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to three two-dimensional slice images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imag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in the form of a sphere, the three two-dimensional slice images are circles, and the size of the middle image is the largest circle, and the remaining two images may be the same size circle. 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an intermediate image in the second area 1920 and display the remaining two images in the first area 1910 and the third area 1930. [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nd apply a two-dimensional slice image to another form. Also, since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is large, the more transparent layers in the overlap region, the finer the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expressed.

한편, 이상에서는 3차원 이미지를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110-1)가 벤딩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컨텐츠를 벤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divided into two-dimensional slice images and display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1 may display the content that was being displayed before bending, in a bent state.

이상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1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tilize the function that can not be obtained from the existing display devi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in computer-executable program code and executed by a processor in a stat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o each of the devices.

일 예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step of connecting to the other display unit and the group play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provided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s of performing the function is stored.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00-2 : 타 디스플레이 장치
110-1 :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110-2 :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120 : 제어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1 : 제1 카메라부 140-2 : 제2 카메라부
155 : 저장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이미지 처리부 190 : 입력부
100-1: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2: Other display device
110-1: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110-2: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120: control unit 130: interface unit
140-1: First camera unit 140-2: Second camera unit
155: storage unit 160: audio processing unit
170: image processing unit 190: input unit

Claims (3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I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display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interlocking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ther display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so that the interlocked scree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overlapped area whe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overlaps with the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Displaying a graphic guide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to guide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to be adjusted stepwise And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of the 3D content are combined 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the 3D content screen and displays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on the other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mo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on the other transparent display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촬영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촬영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sec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rst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photographing command; And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Wherein,
When the photographing instruction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unit to photograph the subject, transmit the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when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generate the content by combining the second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comprises:
Wherein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used as a left eye imag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used as a right eye imag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to the other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rein,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unit are detect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message inquiring about whether or no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uni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s displayed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where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에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 부분 서로 겹쳐지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 pla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nnecting 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in part; And
And performing a group play function for providing on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comprises: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ther display device interlocks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so as to provide an interlocking screen through the overlapped area i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overlaps with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Of group pla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isplaying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stepwise adjustment of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part ≪ / RTI > further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comprises:
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of the 3D content are combined 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Displaying a 3D content screen; And
And displaying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on another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comprises:
When the content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are overlapped,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mo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foreground image on the display; And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image on another transparent display unit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촬영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performing the group play function comprises:
Acquiring a first image by photographing a subject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ing command to the other display device;
Receiving a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other display device; And
And generating a content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 변환 및 색상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서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tent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size conversion and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then synthesiz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How to do 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하나를 좌안 영상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 다른 하나를 우안 영상으로 사용하는 3D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tent comprises:
And generates 3D content us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left eye image and using the other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a right eye image, How to do 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을 실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승낙이 입력되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룹 플레이 수행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Sensing whether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uni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overlap each other; And
Displaying o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 message asking whether to execute the group play function with the other display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part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overlap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group play function is executed when a user acceptance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s input.
복수의 장치가 연동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그룹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There is provided a group play system for providing a group play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apparatuses cooperate to perform one service,
A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nd another display device which is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connects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performs a group play fun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겹쳐지면, 겹쳐진 영역을 통해서 연동 화면을 제공하여 그룹 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other display device is a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when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the group play function is performed by providing an interlocking screen through the overlapped area.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3D 컨텐츠 재생 기능이며,
상기 3D 컨텐츠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group play function is a 3D content playback function,
Where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s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a 3D content are combined, when the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3D content reproduction function is input, Wherein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s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기능이며,
상기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장치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group play function is a playback function for playing back content composed of a fore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Wherein when a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playback function is input, a device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among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s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one of the two transparent display devices displays the background imag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플레이 기능은 그룹 촬영 기능이며,
상기 그룹 촬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플레이 시스템.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group play function is a group shooting function,
When the user command for executing the group photographing function is input, the first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display device photograph a subject using a camera provided in each device, acquir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generates one content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이 벤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과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이 생기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중첩 영역에서 연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I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transparent display unit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And
When the first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is bent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generate an overlap area,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respectively controll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인 제3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Where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displays the different screens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third area and the overlapped area that are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area i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는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중첩 영역에서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And displays the 2D image in the third area and the 3D image in the overlap area.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겹쳐지는 영역의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그래픽 가이드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And a graphic guide for guiding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o be stepwise adjusted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3D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조합된 3D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 상기 3D 컨텐츠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When the 3D content is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overlapped, a 3D content screen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f the 3D content are combined in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And a barri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3D content screen is display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전경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로 구성된 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에는 상기 전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다른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배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When the contents composed of the foreground image and the background image are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verlap each other, the foreground image is displayed in the area arranged in the user direction out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the background image in another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중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겹쳐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연동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연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verlap with each other,
Wherein,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interlocked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wh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detect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reg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회 벤딩되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투명 층으로 이루어진 중첩 영역이 발생하면,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중첩 영역의 층 개수만큼의 2차원 슬라이스 이미지로 구분하여 상기 중첩 영역의 각 투명 층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an overlap region of at least three transparent layers is generated, a three-dimensional image is divided into two-dimensional slic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layers of the overlap region,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KR1020140136542A 2014-06-19 2014-10-10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102185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7,228 US10613585B2 (en) 2014-06-19 2015-05-20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838 2014-06-19
KR1020140074838 2014-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55A true KR20150146355A (en) 2015-12-31
KR102185710B1 KR102185710B1 (en) 2020-12-02

Family

ID=5512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542A KR102185710B1 (en) 2014-06-19 2014-10-10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7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44A1 (en) *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Sli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ransparent display in said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9863A1 (en) * 2011-07-06 2013-01-10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035869A1 (en) *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35942A1 (en) *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55344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and display devices thereof
US20140123038A1 (en) * 2012-11-0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9863A1 (en) * 2011-07-06 2013-01-10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035869A1 (en) *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35942A1 (en) * 2012-08-01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055344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and display devices thereof
US20140123038A1 (en) * 2012-11-0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44A1 (en) *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Sli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ransparent display in sai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710B1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585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102338576B1 (en) Electronic device which stores depth information associating with image in accordance with Property of depth information acquired using image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55910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JP5937767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9667877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KR2017003523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961153B1 (en) Image pickup device
JP5982601B2 (en) Imaging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JP5799178B2 (en) Imaging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US10078198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focus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7637063B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based on gesture of user and photographing device
US11750915B2 (en) Mobile terminal
JP2016012785A (en) Imaging apparatus
US2012030678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16711316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101009A (en) Method for Recording Video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Device thereof
JP642772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KR102185710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N116530090A (en) Method for taking pictures by using multiple cameras and device thereof
KR20210118622A (en) Method for Stabilization at high magn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39662B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210137799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151613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