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151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151A
KR20150146151A KR1020140076261A KR20140076261A KR20150146151A KR 20150146151 A KR20150146151 A KR 20150146151A KR 1020140076261 A KR1020140076261 A KR 1020140076261A KR 20140076261 A KR20140076261 A KR 20140076261A KR 20150146151 A KR20150146151 A KR 2015014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rounding
display module
back co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홍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151A/en
Publication of KR2015014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1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and being bent in a predetermined curvature; a back cover for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ground module in which one end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other end connects to the back cover. The ground module comprises: a fixing unit fix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xing unit; a moving unit connected to be able to move to the fixing unit,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arranged in the bottom; and a ground gasket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connecting to the back cov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0001]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영 영상이 출력되는 장치로서,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rough which a display image is output to a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TV or a computer monitor.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LCD 모듈 및 PDP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편화되어 있고, 최근에는 OLED를 광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으며 대화면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A display panel using an LCD module and a PDP module as a display panel has become popular, and recently, a display device using an OLED as a light source has appeared, and a large screen is in the trend of being preferred.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영상을 시청할 때 사용자의 화면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개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4] As a screen becomes larger, a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immersion of a user's screen when viewing an imag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도 1은 종래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urved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3)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와 상기 백커버(3)를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상기 백커버(3)로 전달하여 소멸하는 접지 가스켓(4)을 포함한다. 1, a conventional curved display device 1 includes a display unit 2 for outputting an image, a back cover 3 for covering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 And a grounding gasket 4 connecting the back cover 3 to transmit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noise generated from the display unit 2 to the back cover 3 to be destroyed.

종래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되는 접지 가스켓(4)은, 육면체 형태의 스폰지를 도전성 테이프로 감싼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접지 가스켓(4)의 크기가 일정하다. The grounding gasket 4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urved display device 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exagon-shaped sponge wrapped with a conductive tape, and the size of the grounding gasket 4 is constant.

휘어짐이 가능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디스플레이부(2)의 휘어지는 곡률에 관계없이 상기 접지 가스켓(4)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와 백커버(3)를 연결하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In the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1 capable of bending, the grounding gasket 4 must be maintained in a state of connecting the display portion 2 and the back cover 3 regardless of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portion 2 .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가 휘어짐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백커버(3)까지의 거리가 지점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 중앙 지점과 가장자리 지점을 비교하여 볼 때, 디스플레이부(2)의 배면과 백커버(3)의 전면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접지 가스켓(4)은 그 크기가 일정하고 높이 조절이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접지 가스켓(4)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접지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접지 가스켓(4)을 적용한다면, 상대적으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UHD(Ultra Hight Definition)TV의 경우 FHD(Full High Definition) TV에 비하여 EMI 특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However, as the display portion 2 is warped, the distanc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2 to the back cover 3 varies depending on the point.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cover 3 is different when the rear center point and the edge point of the display unit 2 are compared. In spite of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 since the conventional grounding gasket 4 has a uniform size and can not be adjusted in height or position, the grounding characteristic varies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rounding gasket 4. As a result, if the conventional grounding gasket 4 is applied, the UHD (Ultra Hight Definition) TV that processe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sig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EMI characteristics are worse than that of a FHD (Full High Definition) TV.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곡면 설계로 인한 접지 가스켓 적용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that is bent to minimize the restric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grounding gasket due to the curved surface design of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출력되며, 소정 곡률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 및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백커버에 접촉하는 접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백커버에 접촉하는 접지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outputting an image and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 back cover covering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grounding module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back cover, wherein the grounding module compris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movable part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movable par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 grounding gasket coupled to the movable part to contact the back cover.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 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base plate fixed to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guide sleeve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guide sleeve receiving the elastic member therein.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놓이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가스켓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ving part includes a bottom plate accommodated in the guide sleeve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a support plat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he bracket detachably receiving the base plate.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가 끼워지는 슬리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슬리브홈은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ase plate is inserted and a sleev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sleeve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leeve groo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장착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3축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r and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movable in three ax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상기 베어링부는, 저널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aring portion is a journal bear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접지 가스켓이 부착된 접지 모듈의 길이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지점에 설치되더라도 백커버와의 접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irst, by using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grounding module with the grounding gasket, so that the grounding module can be contacted with the back cover at any point of the display unit.

둘째, 접지 모듈의 헤드 부분, 즉 접지 가스켓 부분이 3차원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Z축 방향 길이 변형이 가능하므로, 접지 가스켓이 접촉하는 상기 백커버의 표면에 완전하게 접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head portion of the grounding module, that is, the grounding gasket portion is rotatable about the three-dimensional axis and can be deformed in the Z-axis direction, the grounding gasket can be brought into complet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ck cover have.

셋째, 백커버와 디스플레이부 간의 거리에 따라 길이 변형이 가능하므로, 단일 규격의 접지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배면의 모든 지점에 설치 가능하므로, 재료비 절감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ird, because the length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display unit, the ground module can be installed at every poi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by using a single standard grounding module.

도 1은 종래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설치된 고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설치된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접지 모듈의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접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접지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접지 모듈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과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상기 접지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urved display devic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ed curved display device with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curved display device with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grounding modul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modul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showing the ground module mount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grounding modul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rounding module and a bracke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ing the ground module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접지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rounding module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설치된 고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설치된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ed curve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curve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20)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또는 디스플레이부)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10 having a ground modu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1 (or a display portion) including an LCD or an OLED display panel, And may include a back cover 12 that covers the back cover.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fixed type of curved display appratus)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variable type of curved display apparatus)로 나뉠 수 있다. The curved display device 10 may be divided into a fixed type of curved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2 and a variable type of curved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3 have.

상세히, 고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특정 곡률로 라운드져서 고정된 상태로 조립이 되는 구조로서, 상기 백커버(12)도 특정 곡률로 라운드져서 고정된 상태로 조립된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xed curved display device 10, the display module 11 is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odule 11 is rounded and fixed with a specific curvature, and the back cover 12 is also rounded with a specific curvature, do.

그러나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이 변경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는 특정 범위 내에서 곡률 변경이 자유로운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장착되며, 초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평평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전방으로 휘게 하는 휨 장치(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휨 장치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휨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휨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휨 정도가 결정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variable curved display device 10,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module 1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variable display device 10 is equipped with a display module 11 which is free to change the curvature within a specific range, and the display module 11 is assembled in a flat state at the initial stage. A bending device (not shown) for bending the display module 11 forward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ending device is operated by a drive motor. The user can operate the bending device by operating a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display module 1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nding device.

이를 위해서는 상기 백커버(12)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변형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백커버(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백커버 조각들이 겹쳐지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백커버 조각들은 가로 방향 길이보다 세로 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이 결합된 형태로서, 측면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놓이고,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back cover 12 should also be appropriately deformabl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display module 11. [ In order to satisfy such a demand, the back cover 12 of the variable curved display device 10 can be struct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back cover pieces are overlapped and slidably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have. The back cover pieces are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plates having a rectangular shape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lateral direction length, and the side edge portion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the lik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중간 부분보다 좌우 측면 가장자리가 사용자로부터 더 가깝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질 때, 백커버 플레이트들이 좌우 측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백커버(12)가 라운드진다. 즉, 각각의 백커버 플레이트들은 인접하는 백커버 플레이트들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display module 11 is rounded convexly rearwar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are closer to the user than the middl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1, the back cover plates are unfolded in the left- The cover 12 is rounded. That is, each of the back cover plates slides along the surface of the adjacent back cover plates and moves away from each other.

반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평평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이 조정되면, 상기 백커버 플레이트들 각각은 인접하는 백커버 플레이트들의 표면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백커버(12)가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축소된다. 상기 백커버(12)는 도전성 메탈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또는 전자파가 상기 접지 모듈(20)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module 11 is adjus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1 returns to a flat state, each of the back cover plates is slidably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long the surface of the adjacent back cover plates The back cover 12 is contracted to a shape close to a straight line. The back cover 12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so that noise or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11 are transmitted through the ground module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20)은 고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접지 모듈(20)의 구조와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grounding modul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a fixed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and a variable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grounding modul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접지 모듈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접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접지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grounding modul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module, 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20)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탄성 부재(22)와, 이동부(23) 및 접지 가스켓(24)을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grounding modul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21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an elastic member 22, 23, and a grounding gasket 24.

상세히,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 슬리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형 플레이트 또는 타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폭 또는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더라도 곡률 변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어느 정도의 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fixing unit 21 includes a base plate 211 fixed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a guide sleeve 212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1 . The base plate 211 may b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late including a quadrangle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a circular plate or an elliptical plate though not shown. The base plate 211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by an adhesive or welding. The width or length of the base plate 211 may be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11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urvature change even if the display module 11 is bent. Alternatively, the base plate 2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ductility, and may be bent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11.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의 내경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크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변형 한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sleeve 212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11 or the deformation limit of the display module 11. [ Can be designed.

또한, 상기 탄성 부재(22)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이동부(23)의 저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23)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탄성 부재(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채워진 원기둥 형태의 고체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The elastic member 22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sleeve 212 and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part 23. The moving part 23 is urged in a direction of withdrawing from the guide sleeve 2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The elastic member 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pring as shown in the figure, or may be a cylindrical solid elastic memb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or rubber and filled in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이동부(23)는, 상기 탄성 부재(22)의 상면에 놓이는 바텀 플레이트(231)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231)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지지바(232) 및 상기 지지바(232)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3 includes a bottom plate 23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2, a supporting bar 232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23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upport plate 23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33.

상세히,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32)는 내부가 빈 원통 또는 내부가 채워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다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에는 상기 접지 가스켓(24)이 놓이고, 상기 접지 가스켓(24)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가스켓(24)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ottom plate may have a disc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sleeve 212. The supporting bar 23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filled with the insid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The grounding gasket 24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33, and the grounding gasket 24 and the support plate 233 may have the same shape. The grounding gasket 24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33 by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이와 같은 구조의 접지 모듈(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백커버(12)의 간격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22)가 수축 또는 신장된다. 그 결과, 상기 접지 가스켓(24)은 항상 상기 백커버(12)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전자파가 상기 백커버(12)로 전달되어 소멸된다. 7, the elastic module 22 is contracted or elong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ground gasket 24 is always kept attached to the back cover 12, so that noise or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11 are transmitted to the back cover 12 and are destroy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지 모듈(2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ground module 2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는 상기 접지 모듈(2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브라켓(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용접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 부착될 수 있다. In detail, a bracket 30, into which the ground module 20 is slidably inserted, may b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The bracket 30 may be wel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or fixedly attached thereto with an adhesive.

더욱 상세히, 상기 브라켓(30)의 전면에는 상기 접지 모듈(20)의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삽입되기 위한 베이스 홈(31)이 후방으로 소정 깊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 모듈(20)의 가이드 슬리브(212)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 홈(32)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홈(32)은상기 브라켓(30)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슬리브(212)가 상기 브라켓(30)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30)의 정 중앙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홈(32)의 전단부와 상기 베이스 홈(31)의 전단부는 서로 연통하여, 상기 접지 모듈(20)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a base groove 31 for inserting the base plate 211 of the grounding module 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30 to a predetermined depth. A sleeve groove 32 for inserting the guide sleeve 212 of the grounding module 20 may be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30. The sleeve groove 32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uspending bracket 30. When the guide sleeve 212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bracket 30, As shown in FIG. The front end of the sleeve groove 32 and the front end of the base groove 3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ground module 20 can be inserted.

한편, 상기 브라켓(30)의 전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고, 상기 브라켓(30)의 상면부는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접지 모듈(20)이 상기 브라켓(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3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30 faces rearward when the display module 11 is raised, So that the module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bracket 3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20)은, 고정부(21), 탄성 부재(22), 이동부(23) 및 상기 이동부(23)에 결합되는 접지 가스켓(24)을 포함하며, 이는 이전 실시예의 접지 모듈(20)과 동일하다.9, the grounding modu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portion 21, an elastic member 22, a moving portion 23, and a grounding gasket 24 coupled to the moving portion 23. [ Which is the same as the grounding module 20 of the previous embodiment.

또한, 상기 고정부(21)가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가이드 슬리브(212)로 이루어지는 구조도 이전 실시예의 접지 모듈(20)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3)가 바텀 플레이트(231)와, 지지바(232) 및 지지 플레이트(233)로 이루어지는 구조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의 상면에 상기 접지 가스켓(24)이 장착되는 구조 또한 이전 실시예의 접지 모듈(20) 구조와 동일하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21 includes the base plate 211 and the guide sleeve 212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grounding module 20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oving part 23 is composed of the bottom plate 231 and the supporting bar 232 and the supporting plate 233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grounding gasket 2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233 The structure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grounding module 20 of the previous embodiment.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가 상기 지지바(23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3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233 is not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232 but is movable in three axial direction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상세히, 상기 이동부(23)는, 상기 지지바(232)의 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부(2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234)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의 저면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는 상기 베어링부(234)에 연결된 상태에서 X,Y,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는 상기 베어링부(234)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232)에 연결되어, 3축을 중심으로 각각 요잉(yawing),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부재(22)의 변형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233)는 Z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도 가능하다. The moving part 23 further includes a bearing part 23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232 and the bearing part 234 is 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33. [ The support plate 233 is rotatable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earing portion 234. 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23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232 by the bearing portion 234, and is capable of yawing, rolling, and pitching about three axes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22, the support plate 233 can linearly move in the Z-axis direction.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접지 모듈(20)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백커버(1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과 상기 백커버(12)가 서로 다른 곡률로 변형되더라도 상기 접지 가스켓(24)은 항상 상기 백커버(1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display module 12 and the back cover 12 may have different curvatures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ground module 20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The ground gasket 24 always maintains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ack cover 12.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접지 모듈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ing modu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grounding modul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40)은,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장착되는 접지부(42)를 포함한다.10 and 11, the grounding modul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plate 41 and a grounding portion 4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41. [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는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ase plate 4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ase plate 211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in the same manner.

또한, 상기 접지부(4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판 스프링이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부(42)가 상기 백커버(12)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접지부(42)의 상면에 별도의 접지 가스켓이 부착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The grounding portion 4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rounded and the grounding portion 4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cking cover 1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grounding gask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ing portion 42.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접지부(42)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커버(1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커버(12)의 곡률이 다르더라도, 상기 접지부(42)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접지부(42)가 상기 백커버(1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grounding portion 42 having elasticity,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are different, The grounding portion 42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back cover 12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grounding member 42.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과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접지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rounding module and a bracke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showing a state where the grounding module is coupled to a display modul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50)은 판스프링 형태의 접지 플레이트(51)일 수 있다.12 and 13, the grounding modu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grounding plate 51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 모듈(50)은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접지부(42)와 동일하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상기 접지 플레이트(51)는, 브라켓(52)에 삽입되는 삽입부(511)와, 상기 삽입부(511)로부터 절곡 민 라운드지는 접지부(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 플레이트(51)는 숫자 5와 유사한 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In detail, the grounding modu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grounding portion 42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but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shape. That is, the ground plate 51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511 inserted into the bracket 52 and a grounding portion 512 from which the bending radius rounds from the insertion portion 511. The ground plate 51 may have a side shape similar to the numeral 5.

또한, 상기 브라켓(52)은, 이전 실시예와 달리, 브라켓 바디(521)와 커버(524)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bracket 52 may be formed of two parts, that is, the bracket body 521 and the cover 524.

상세히, 상기 브라켓 바디(52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접지 플레이트(51)의 삽입부(511)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521)의 측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결합 돌기(523)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24)는 상기 브라켓 바디(521)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522)을 차폐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즉, 상기 삽입부(511)가 상기 삽입홈(522)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524)를 상기 브라켓 바디(521)에 결합시켜, 상기 접지 플레이트(5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detail, the bracket body 521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an insertion groove 522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511 of the ground plate 51 is formed at one side. One or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523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521. The cover 524 is provided for shielding the insertion groove 522 formed in the bracket body 521. That is, when the insertion portion 5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2, the cover 524 is coupled to the bracket body 521 to prevent the ground plate 51 from being separated.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524)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523)가 삽입되는 결합홈(5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돌기(523)가 상기 커버(524)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25)이 상기 브라켓 바디(521)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To this end, a coupling groove 525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524,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523 is inserted. The coupling protrusion 523 may be formed on the cover 524 and the coupling groove 525 may be formed on the bracket body 521.

한편, 접지 플레이트(51)는 도 8에서 제시되는 형태의 브라켓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삽입부(51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별도의 홈이 없는 형태의 브라켓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plate 51 may be mounted on a bracket of the type shown in Fig.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a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511 can be inserted by being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nd a bracket having no groove on the upper surface.

Claims (7)

영상이 출력되며, 소정 곡률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 및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백커버에 접촉하는 접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백커버에 접촉하는 접지 가스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module outputting an image and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 back cover covering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ground module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back cover,
The grounding module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xing portion,
A moving part mov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having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And a grounding gasket coupled to the moving part and contacting the back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 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base plate fixed to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guide sleeve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there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놓이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가스켓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unit includes:
A bottom plate accommodated in the guide sleeve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a support plate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the grounding gask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rack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into which the base plate is detachably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가 끼워지는 슬리브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슬리브홈은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ase plate is inserted and a sleev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sleeve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leeve groo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장착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베어링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3축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r and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movable in three ax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earin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저널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earing portion is a journal bearing.
KR1020140076261A 2014-06-23 2014-06-23 Display apparatus KR201501461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61A KR20150146151A (en) 2014-06-23 2014-06-2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61A KR20150146151A (en) 2014-06-23 2014-06-23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51A true KR20150146151A (en) 2015-12-31

Family

ID=5512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61A KR20150146151A (en) 2014-06-23 2014-06-23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1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1A1 (en)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81A1 (en)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919B2 (en) Dock with compliant connector mount
US10963009B2 (en) Head-mounted display
US8643568B2 (e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KR102393344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8986029B2 (en) Dock connector with compliance mechanism
KR102178724B1 (en) Hinge unit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007495A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19913A (en) Virtual reality glasses
CN110679142B (en) Head-mounted display
JP2019154147A (en) Energization device
US11815073B2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JP2022554111A (en) Display module, its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146151A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83711A (en) Pen holder and mobile case using the same
CN104134450A (en) Fixing device for data storage device
CN105026998B (en) Camera and photomoduel
JP6530949B2 (en) Medical monitors, electronic devices, and video display units
KR102041498B1 (en) Hinge module for flexible display
JP6366117B2 (en) Landline telephone
JP7403604B2 (en) energizing device
KR20220157839A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JP2016197480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hard disk holder
KR20160109461A (en) Glass type mobile terminal
KR200394224Y1 (en) Memory card adapt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