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358A -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358A
KR20150145358A KR1020140074513A KR20140074513A KR20150145358A KR 20150145358 A KR20150145358 A KR 20150145358A KR 1020140074513 A KR1020140074513 A KR 1020140074513A KR 20140074513 A KR20140074513 A KR 20140074513A KR 20150145358 A KR20150145358 A KR 20150145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goods
sharer
storage uni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469B1 (ko
Inventor
이상엽
양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07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판매정보를 검색하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보관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형성되면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매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원하는 장소까지 상품을 배송 받는 것은 온라인 쇼핑의 큰 장점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자 상거래 서버에 접속하여 판매자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정보를 검색한 후 원하는 상품을 결제한 후 배달 요청하도록 되어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데,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구매정보는 사용자 자신만 볼 수 있을 뿐,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생필품 구매를 위해 가족 구성원들 각각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어느 한 가족 구성원이 구매한 상품 구매정보를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 공유할 수 없어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일이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7553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문자 및 공유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고, 주문자 또는 공유자에 의해 생성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여 상품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판매정보를 검색하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보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주문자가 상기 공유자에게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공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서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 저장된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송부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판매정보를 검색하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상기 방법은, 상기 주문자가 상기 공유자에게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공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서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 저장된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문자 및 공유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고, 주문자 또는 공유자에 의해 생성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여 상품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상품을 정확하게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일이 주문자에게 확인할 필요가 없어 편리해진다.
주문자 및 공유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고, 주문자 또는 공유자에 의해 생성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여 상품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쇼핑 의욕을 상승시켜 온라인 쇼핑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관련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판매정보를 보면서 주문을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임의의 상품에 대한 상품주문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주문자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상품의 판매정보는,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가격, 상품의 할인 정보, 상품의 출고 일시, 상품 할인 판매 이벤트, 이벤트 종료까지 남은 시간, 및/또는 상품의 재고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판매정보 화면으로부터 주문을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제1 상품구매신호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일련의 처리 과정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의 저장 등과 같은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주문정보를 생성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구매신호라 함은, 예를 들어, 바로 구매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상품구매신호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주문자 단말기로 회원으로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 비회원으로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회원 구매 선택 또는 비회원 구매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판매정보 화면으로부터 주문을 원하는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주문을 원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주문신호라 함은,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예를 들어, 장바구니에,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주문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일 수 있다. 주문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주문자는 다른 상품 주문을 위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의 저장은, 복수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처리를 간소화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각 상품에 대한 한번씩 결제하는 것보다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여러 상품의 구매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한꺼번에 결제할 수 있도록 하여 결제자에게 결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주문자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접속을 해제한 후, 다시 접속하더라도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는 일정 시간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및 보관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10)는 판매정보 화면으로부터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는 예를 들어, 공유 장바구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구매 정보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없어서 불편하지만,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상품 구매 정보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제1 생성부(110)는 주문자 단말기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10)는 주문자로부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한 명 이상의 공유자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10)는 한 명의 주문자에 대해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제1 생성부(110)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생성과 관련한 내용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관 제어부(13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의 생성이 완료된 후, 주문자 또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하는 한 명 이상의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보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보관 제어부(130)는 주문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또는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상품에 대한 제2 상품구매신호 선택 시 주문정보를 생성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품구매신호가 일련의 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상품 판매 정보 화면 내에서 바로 주문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신호라면, 제2 상품구매신호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에 대한 주문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상품구매신호 및 제2 상품구매신호가 제공되는 판매정보 화면은 다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2 상품구매신호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회원으로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 비회원으로 상품을 구매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부터 회원 구매 선택 또는 비회원 구매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보관 제어부(130) 및 제1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40)는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생성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의 생성 완료 및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의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40)는 한 명 이상의 공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초대 메시지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생성부(110)에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공유자의 설정 및 제1 전송부(140)의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공유자 설정은 함께 연동 될 수 있다. 즉, 제1 생성부(110)는, 제1 전송부(140)에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공유자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공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 내에는 초대 메시지 전송 방식 및 초대할 공유자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은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와, 초대 메시지를 수신할 공유자를 설정할 수 있는 공유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공유자 설정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공유자 리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사용자 리스트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가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경우, 공유자 리스트에 공유자의 이름 및 초대 메시지 수신 경로(예를 들어, 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 등)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사용자 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공유자 리스트는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일 수 있다.
제1 전송부(140)는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공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의 이메일 주소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송부(140)는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자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공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 단말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송부(140)는 주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공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의 SNS 주소(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보관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주문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또는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에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또는 공유자를 직접 표시하거나, 또는 주문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또는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의 색상, 글씨체, 그래픽 등을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시간 순서대로, 가나다 순서대로, 또는 판매 카테고리 별 등의 다양한 설정에 의해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내에 제1 영역 및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영역에 주문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2 영역에 한 명 이상의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보관 제어부(130) 및 제2 전송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6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내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는 주문자, 공유자를 포함한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제2 전송부(160)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내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6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내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으로부터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및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한 명 이상의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와,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는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리스트에서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대상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수신자 리스트 설정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수신자 리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사용자 리스트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가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경우, 수신자 리스트에 수신자의 이름 및 공유 주문내역 정보 수신 경로(예를 들어, 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 등)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사용자 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신자 리스트는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서는 주문자 단말기가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공유자 단말기가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설명은 주문자 단말기가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전송부(160)는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이메일 주소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부(160)는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자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단말기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부(160)는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SNS 주소(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보관 제어부(130) 및 제2 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7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에 대하여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 구매신호(제2 상품 구매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자 정보,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 정보,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및 상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70)는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주문정보 제공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 입력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정보는 해당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는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비상 연락처 및/또는 배송 시 요청사항 등을 포함하는 수취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는 상품에 대한 주문 개수, 상품 가격 및/또는 배송비를 포함하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는 총 주문 금액, 할인 쿠폰 사용 여부, 총 결제 금액 및/또는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또는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 입금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수단으로 구성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70)는 주문한 상품에 대하여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결제자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생성부(170)는 상품 결제금액을 주문자 및 한 명 이상의 공유자에게 분할하여 제공하고, 주문자 및 한 명 이상의 공유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의해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결제 금액이 40000원 이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한 주문자가 1명이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자자가 1명인 경우, 제2 생성부(170)는 주문자 및 공유자 각각이 20000원을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70)는 주문정보를 수신한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로부터 결제정보에 포함된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또는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 입금 중 하나의 결제수단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70)는 신용카드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신용카드 회사, 카드번호 및/또는 유효기간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즉, 신용카드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70)는 휴대폰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휴대폰 통신사 및/또는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폰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휴대폰 결제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즉, 휴대폰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70)는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은행선택, 계좌번호 및/또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즉, 실시간 계좌이체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70)는 무통장 입금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상품 대금을 입금할 하나 이상의 은행 명 및 계좌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70)는 주기적으로 상품 결제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임의의 은행 명 및 계좌번호를 통하여 상품 결체 처리가 완료된 경우, 무통장 입금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는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구별되고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T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T1)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는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제1 생성부(11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보관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제1 전송부(140), 제2 전송부(160) 및 제2 생성부(170)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송부(140), 제2 전송부(160) 및 제2 생성부(170)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B)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공유자의 초대,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의 전송 및 상품 결제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쇼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제1 전송부(140), 제2 전송부(160) 및 제2 생성부(170)가 일부(100B)로서 사용자 단말기(T1)와 네트워크(NW)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 구현되고, 주문자 단말기(T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자 단말기(T2)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데이터베이스(200D)와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된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T1)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T2)에 제공하거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자 초대 정보 및 공유 구매내역 정보를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제공하는 전송 서버(300T) 및/또는 선택된 결제 수단에 의해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400B)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 전송 서버(300T) 및 결제 서버(400B)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 내에 전송 서버(300T) 및/또는 결제 서버(400B)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판매정보의 검색을 통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요청에 의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사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생성하여 공유자 단말기(T2)에 전송할 수 있고, 선택한 상품을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3)에게 전송할 수 있고, 공유자와 함께 주문한 상품에 대하여 주문정보를 작성하거나 결체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기(T2)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공유자 단말기(T2)가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공유자 단말기(T2)가 반드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해야 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공유자 단말기(T2)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 및/또는 전송 서버(300T)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사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여 초대에 허락한 경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주문자와 함께 공유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판매정보의 검색을 통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상품을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3)에게 전송할 수 있고, 주문자와 함께 주문한 상품에 대하여 주문정보를 작성하거나 결체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 단말기(T1)에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판매정보 화면, 상품 주문내역 정보가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것을 보여주는 화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사용을 초대하는 화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공유 구매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 결제 처리/취소 결과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 단말기(T1) 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상기 화면에 입력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취소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 단말기(T1)의 요청에 따라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고, 주문자 단말기(T1) 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공유자 단말기(T2)에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1, T2, T3, …, Tn)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전송 서버(300T)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와 연동되어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수신한 공유자 설정신호 및 전송방식에 따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사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 단말기(T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서버(300T)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와 연동되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1, T2, T3, …, Tn)에게 전송할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가 이메일 전송방식으로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 단말기(T2)에 전송하거나 또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1, T2, T3, …, Tn)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서버(300T)는 이메일 서버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가 문자 전송방식으로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 단말기(T2)에 전송하거나 또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1, T2, T3, …, Tn)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서버(300T)는 문자 전송 서버 또는 핸드폰 서버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 SNS 전송방식으로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 단말기(T2)에 전송하거나 또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 단말기(T1, T2, T3, …, Tn)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서버(300T)는 SNS 서버 예를 들어, 트위터 서버, 페이스북 서버, 카카오톡 서버 등일 수 있다.
결제 서버(400B)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와 연동되어 주문자 단말기(T1) 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선택한 결제수단에 의해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 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선택한 신용카드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결제 서버(400B)는 신용카드 회사, 카드번호 및/또는 유효기간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처리 서버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 또는 공유자 단말기(T2)로부터 선택한 휴대폰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결제 서버(400B)는 휴대폰 통신사 및/또는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폰 결제 처리 서버일 수 있다. 결제 서버(400B)는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결제 서버(400B)는 은행선택, 계좌번호 및/또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처리 서버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주문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관련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에 표시는 상품의 판매정보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사용자의 검색 결과에 따라 주문을 원하는 상품(예를 들어 서랍장)에 대한 판매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상품의 판매정보로,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가격, 상품의 할인 정보, 상품의 출고 일시, 할인 종료까지 남은 시간, 및/또는 상품의 판매량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판매정보 화면은, 제1 상품 구매하기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담기 UI(1020) 및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품 구매하기 UI(1010)는 상술한 바로구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제1 상품 구매하기 UI(1010)가 선택되면 일련의 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상품 판매 정보 화면 내에서 바로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담기 UI(1020)는 상술한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주문를 원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저장을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담기 UI(1020)가 선택되면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가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될 수 있다.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030)는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공유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030)가 선택되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가 생성되고,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에 의해 생성된 상품에 대한 공유 구매내역 정보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0의 판매 정보 화면에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030) 선택 결과에 따른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생성을 요청한 주문자 정보와,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110), 및 공유자 리스트 UI(1120: 1121,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110)는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이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공유자 리스트 UI(1120)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를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공유자 리스트 UI(1120)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공유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선택된 공유자는 주문자와 함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130) 및 취소하기 UI(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13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하기 UI(1130)가 선택되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가 생성되고, 선택된 공유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며, 선택된 공유자가 초대에 수락하는 경우, 주문자는 공유자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취소하기 UI(114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생성을 취소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취소하기 UI(1140)가 선택되면 주문자 단말기에는 도 10에 도시된 판매정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에 포함된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110) 중 이메일 전송 방식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주문자 단말기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써 공유자 리스트 UI(1121)는 주문자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임을 보여주고 있다. 주문자는 공유자 리스트 UI(1121)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생성 화면에 포함된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110) 중 이메일 전송 방식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주문자 단말기가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로써 공유자 리스트 UI(1122)에 주문자가 직접 공유자의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초대 메시지 전송방식으로 문자, SNS를 선택하여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화면은, 계속 쇼핑하기 UI(1210), 제2 상품 구매하기 UI(1220) 및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 쇼핑하기 UI(121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다른 상품 구매 또는 검색을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계속 쇼핑하기 UI(1210)가 선택되면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는 쇼핑 서비스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공유자는 쇼핑 서비스 메인 화면에서 다른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제2 상품 구매하기 UI(1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상품의 주문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제2 상품 구매하기 UI(1220)가 선택되면 공유 주문내역 정보에 대한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선택 될 수 있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가 선택되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설정된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각 상품의 공유 주문내역 정보에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또는 구매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 내에 제1 영역 및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영역에 주문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2 영역에 한 명 이상의 공유자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밖에도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의 색상, 글씨체, 그래픽 등을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거나, 시간 순서대로, 가나다 순서대로, 또는 판매 카테고리 별 등의 다양한 설정에 의해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2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화면에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 선택 결과에 따른 공유 상품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 방식 및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공유자 정보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310), 및 수신자 리스트 UI(1320: 1321, 132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310)는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3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이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자 리스트 UI(1320: 1321, 1322)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수신자 리스트 UI(1320)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수신자에게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전송하기 UI(1330) 및 취소하기 UI(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하기 UI(1330)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선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전송하기 UI(1330)가 선택되면 공유 주문내역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취소하기 UI(1340)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취소하기 UI(1340)가 선택되면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임의의 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에 포함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310) 중 문자 전송 방식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써 수신자 리스트 UI(1321)는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임을 보여주고 있다. 주문자 또는 공유자는 수신자 리스트 UI(1321)로부터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에 포함된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310) 중 문자 전송 방식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주문자 단말기 또는 공유자 단말기가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로써 수신자 리스트 UI(1322)에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직접 수신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방식으로 이메일, SNS를 선택하여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품 구매 UI(1010) 또는 제2 상품 구매 UI(1220) 선택에 의한 주문정보 생성 결과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주문정보 제공화면을 제공하고,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 입력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주문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공유자 정보와,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 정보와,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와, 상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은, 결제하기 UI(1410) 및 취소하기 UI(1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하기 UI(1410)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에 대하여 결제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결제하기 UI(1410)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품 결제자 또는 주문자/공유자에 의한 분할금액 결정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에는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신용카드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하기 UI(1410)가 선택되면, 신용카드 결제 처리 프로세스가 호출되어 신용카드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가 수행된다. 휴대폰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하기 UI(1410)가 선택되면, 휴대폰 결제 처리 프로세스가 호출되어 휴대폰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가 수행된다.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하기 UI(1410)가 선택되면, 실시간 계좌이체 결제 처리 프로세스가 호출되어 실시간 계좌이체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가 수행된다. 무통장 입금 결제수단에 따른 결제하기 UI(1410)이 선택되면, 주문자 단말기 및/또는 공유자 단말기로 은행 명 및 계좌번호를 제공하고 입금여부를 확인하는 무통장 입금에 의한 상품 결제 처리가 수행된다. 결제 취소하기 UI(1420)는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결제 취소하기 UI(1420)가 선택되면, 상품 결제가 취소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은 상품 결제자를 선택할 수 있는 상품 결제자 선택 리스트(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공유자는 상품 결제자 선택 리스트(1430)로부터 주문자 또는 공유자 또는 주문자/공유자를 포함하는 결제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주문정보 생성 결과 화면은 상품 결제 대금을 주문자 및 한 명 이상의 공유자에게 분할하여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주문자 및 공유자는 각각 분할된 결제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도 14b에서는 상품 결제 대금이 150,200원 이고,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사용하여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공유자가 2명 이므로, 주문자 및 공유자 각각이 일 인당 75,100원을 결제하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에 전송되는 초대 메시지 및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전송을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주문자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생성하고 공유자에게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를 공유할 것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초대 메시지 화면에는 초대허락 UI(1510) 및 초대 거절 UI(1520) 포함할 수 있다. 초대허락 UI(1510)가 선택되면 주문자 및 공유자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의 사용을 공유할 수 있다. 초대 거절 UI(1520)가 선택되면 공유자는 주문자와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의 사용을 공유할 수 없게 된다.
도 15b를 참조하면,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수신자에게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전송한 결과를 보이는 화면 예시도 이다.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 결과 화면에는 공유 주문내역 정보 확인하기 UI(1530) 및 취소하기(1540) UI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주문내역 정보 확인하기 UI(1530)가 선택되면 수신자는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가 주문하여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120)에 저장한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취소하기(1540) UI가 선택되면 공유 주문내역 정보 전송이 취소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한다(S10).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가 생성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공유자에 전송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는 주문자 및/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한다(S20). 여기서,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는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품구매신호를 수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또는 공유자에 주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주문정보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자/공유자 정보,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 정보,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 및 상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 선택된 결제수단으로 상품을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S30).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제1 생성부
120: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130: 보관 제어부
140: 제1 전송부
150: 디스플레이 제어부
160: 제2 전송부
170: 제2 생성부

Claims (16)

  1.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판매정보를 검색하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보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가 상기 공유자에게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공유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서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 저장된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부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품의 판매정보를 검색하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 명 이상의 공유자와 함께 상품주문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로부터의 상품주문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가 상기 공유자에게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의 생성 완료 및 이용을 초대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공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서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 및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의 제1 영역에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상품 구매 예정 보관부 내에 저장된 상기 주문자 또는 공유자가 주문한 상기 상품에 대한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공유 주문내역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9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74513A 2014-06-18 2014-06-18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13A KR101599469B1 (ko) 2014-06-18 2014-06-18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13A KR101599469B1 (ko) 2014-06-18 2014-06-18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58A true KR20150145358A (ko) 2015-12-30
KR101599469B1 KR101599469B1 (ko) 2016-03-04

Family

ID=5508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13A KR101599469B1 (ko) 2014-06-18 2014-06-18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711A (ko) *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공동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07215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에이씨에프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용 장바구니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10062816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라온에이치씨 스마트 주차장 연계형 qr코드 기반 웹 주문 시스템
KR20210150187A (ko) * 2020-06-03 2021-12-10 홍기방 오프라인 매장 예약 주문 상품 수령 서비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100829668B1 (ko) * 2006-12-01 2008-05-16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거래 상품의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KR20100123134A (ko) * 2009-05-14 2010-11-24 (주)애다트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블로그를 이용한 쇼핑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KR20120043253A (ko) * 2010-10-26 2012-05-04 인크로스 주식회사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
JP2012527702A (ja) * 2009-05-21 2012-11-08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オンライン商取引における共同活動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100829668B1 (ko) * 2006-12-01 2008-05-16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거래 상품의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KR20100123134A (ko) * 2009-05-14 2010-11-24 (주)애다트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블로그를 이용한 쇼핑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JP2012527702A (ja) * 2009-05-21 2012-11-08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オンライン商取引における共同活動の方法
KR20120043253A (ko) * 2010-10-26 2012-05-04 인크로스 주식회사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711A (ko) * 2017-04-17 2018-10-25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공동 장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232499B2 (en) 2017-04-17 2022-01-25 Kakao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shopping service in association with chat application
KR20200007215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에이씨에프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용 장바구니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10062816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라온에이치씨 스마트 주차장 연계형 qr코드 기반 웹 주문 시스템
KR20210150187A (ko) * 2020-06-03 2021-12-10 홍기방 오프라인 매장 예약 주문 상품 수령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69B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US20140249954A1 (en) Providing notice and purchasing a gift in an online or electronic environment
US11928657B2 (en) Social media marketplace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KR10159946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857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401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267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107222A (ko) 온라인상에서의 단체구매방법
KR10174560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629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629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05031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60802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65997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147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294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638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156400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gifts purchase
KR20160033888A (ko)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515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