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869A -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869A
KR20150142869A KR1020140071346A KR20140071346A KR20150142869A KR 20150142869 A KR20150142869 A KR 20150142869A KR 1020140071346 A KR1020140071346 A KR 1020140071346A KR 20140071346 A KR20140071346 A KR 20140071346A KR 20150142869 A KR20150142869 A KR 2015014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lumn
group
solutio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대윤
이병세
이재학
박찬수
추소영
정운정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869A/ko
Publication of KR2015014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6Macromolecular compounds, carriers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i.e. organic oligomeric, polymeric, dendrimeric molecules
    • A61K51/065Macromolecular compounds, carriers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i.e. organic oligomeric, polymeric, dendrimeric molecules conjugates with carriers being macro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1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 microcapsules, liposomes, characteriz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dispersions, microcapsules
    • A61K51/1282Devices used in vivo and carrying the radioactive therapeutic or diagnostic agent, therapeutic or in vivo diagnostic kits, stents
    • A61K51/1286Ampoules, glass carriers carrying the therapeutic or in vivo diagnostic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간단하고 짧은 제조시간으로 수율 높은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방사성동위원소 용액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흘려주어 방사성동위원소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구아니딘 작용기의 염기성에 의해 전구체 화합물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는 반응을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추가적인 탈보호기화 반응도 산 내지 염기 용액을 넣어줌으로써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용액상으로 진행되는 F-18 표지 반응시 요구되는 추가적인 상전이 촉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방사성의약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 후 정제과정도 용이하다.

Description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RADIOPHARMACEUTICALS USING POLYMER-SUPPORTED GUANIDINE}
본 발명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간단하고 짧은 제조시간으로 수율 높은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의학 영상 기술은 특정 질병을 표적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질병-특이적인 영상을 얻고 이를 통해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하는 기술이다.
핵의학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은 질병의 치료와 진단에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의료 산업에서의 비중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사성동위원소로부터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하는 것은 방사선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잘 차폐된 시설 내에서 자동화합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용액상 표지반응을 통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는 상당히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자동화 생산시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제조수율이 불규칙한 원인이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분자를 이용한 방법들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아직 실제 방사성의약품 생산을 위한 자동화합성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941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이온성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획하는 특성이 있는 점, 구아니딘 작용기가 큰 염기성을 갖고 있는 점 등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간단하고 짧은 제조시간으로 수율 높은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으로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 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에 방사성동위원소 용액을 통과시켜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할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넣어주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이 들어있는 상기 단계 2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전구체에 표지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고분자는 비용해성 고분자이고,
스페이서는 C1-C30의 탄화수소기이고,
R1내지 R4는 독립적으로 C1-C20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용해성 고분자일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는 C1-C30의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상기 C1-C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는 F-18, Cu-64, Ga-68, Br-77, Zr-89, Y-90, Tc-99m, In-111, I-123, I-124, I-125, I-131 및 Lu-17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또는 컬럼은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채울 수 있고,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채운 후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및 컬럼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들어있는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 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여 방사성의약품이 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의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1,2-메톡시에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니트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코올, n-헥실알코올, n-헵탄올, n-옥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3-펜탄올, t-부탄올, t-아밀알코올, 2,3-디메틸-2-부탄올,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판올, 3-메틸-3-펜탄올, 3-에틸-3-펜탄올, 2-메틸-2-펜탄올, 2,3-디메틸-3-펜탄올, 2,4-디메틸-2-펜탄올, 2-메틸-2-헥산올, 2-시클로프로필-2-프로판올, 2-시클로프로필-2-부탄올, 2-시클로프로필-3-메틸-2-부탄올, 1-메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3-프로필시클로펜탄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1-에틸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헵탄올, R1-(OCH2CH2)n-OR2인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여기서 R1,및 R2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n은 1-3000 임],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여기서 R 1,R2,R3및 R4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X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 임]의 이온성 액체, 물 및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탈보호기화 반응을 위해 산 또는 염기 용액을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에 넣는 단계(단계 4); 및 단계 4의 산 또는 염기 용액이 들어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탈보호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염산, 브롬산, 요오드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벤조익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설포닉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 벤젠설포닉산 및 p-톨루엔설포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염기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1,8-디아지비시클로[5.4.0]운데스-7-엔(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N-메틸모포린, 피리딘, 피콜린, 콜리딘, 구아니딘, 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 MOH, M'(OH)2, MHCO3, M2CO3, M'CO3, M3PO4, M2HPO4 및 MOR [여기서, M은 Li, Na, K, Cs, NH4, NMe4, NEt4, NBu4, NMe3Bn [M'은 Mg, Ca, Ba 로 이루어진 군에서, R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액 내의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1,2-메톡시에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니트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콜리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코올, n-헥실알코올, n-헵탄올, n-옥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3-펜탄올, t-부탄올, t-아밀알코올, 2,3-디메틸-2-부탄올,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판올, 3-메틸-3-펜탄올, 3-에틸-3-펜탄올, 2-메틸-2-펜탄올, 2,3-디메틸-3-펜탄올, 2,4-디메틸-2-펜탄올, 2-메틸-2-헥산올, 2-시클로프로필-2-프로판올, 2-시클로프로필-2-부탄올, 2-시클로프로필-3-메틸-2-부탄올, 1-메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3-프로필시클로펜탄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1-에틸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헵탄올, R1-(OCH2CH2)n-OR2인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여기서 R1,및 R2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n은 1-3000 임],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여기서 R1,R2,R3및 R4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 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X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 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설 포닐)이미드 임]의 이온성 액체, 물 및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충진되어 있고,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의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위치한 상부에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 상단 및 하단의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컬럼으로서,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충진되어 있고,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의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위치한 상부에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컬럼을 제공한다.
상기 컬럼 상단 및 하단의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방사성동위원소 용액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흘려주어 방사성동위원소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구아니딘 작용기의 염기성에 의해 전구체 화합물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는 반응을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추가적인 탈보호기화 반응도 산 내지 염기 용액을 넣어줌으로써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용액상으로 진행되는 F-18 표지 반응시 요구되는 추가적인 상전이 촉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방사성의약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 후 정제과정도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는 기존의 용액상 제조방법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시간이 짧아 자동화합성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법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 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에 방사성동위원소 용액을 통과시켜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할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넣어주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이 들어있는 상기 단계 2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전구체에 표지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100) 또는 컬럼(1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다공성 프릿(110)이 위치하며, 내부에는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120)가 채워진다. 카트리지(100) 또는 컬럼(100)은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120)를 채운 후 빈 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100) 및 컬럼(10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다공성 프릿(110)은 내부에 들어있는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120)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100) 또는 컬럼(100)은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할 전구체 화합물이 녹아있는 용액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 있어 방사성동위원소의 포획 후에 방사성동위원소를 전구체 화합물에 표지하는 반응 등을 카트리지(100) 또는 컬럼(100)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용액의 이동 없이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모든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에 비해 간단하며 보다 신속한 방사성 의약품 제조가 가능하다.
실시예 1: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이용한 F-18 방사성동위원소의 포획.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 (50-100 mg)를 빈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넣고 양 끝은 다공성 프릿으로 막아 주었다. 주사기를 사용하여 에탄올 (5 mL)과 증류수 (5 mL)을 차례대로 흘려준 뒤 F-18이 녹아있는 O-18 동위원소가 풍부한 수용액 (0.5-2.0 mL, 1-10 mCi)을 흘려주었다. 무수 아세토나이트릴 (5 mL)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통과시켜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였다. 빠져나온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여, 용액에는 방사선량이 전혀 없으며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초기 사용한 방사성동위원소가 포획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2-[ 18 F]플루오로-2-데옥시-D-글루코스 ([ 18 F]FDG)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FDG 전구체 화합물 (20 mg)이 녹아 있는 아세토니트릴 용액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0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50 ℃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식힌 다음 0.2 N NaOH 수용액 0.5 mL)을 넣고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수용액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3%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97-98%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18F]FDG가 85%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5-(3-[ 18 F]플루오로프로필)-2,3-다이메톡시-N-(N-알릴-2-(S)메틸-피롤리딘-2-일)메틸 벤즈아미드 ([ 18 F]Fallypride)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5-(3-p-톨루엔설포닐옥시프로필)-2,3-다이메톡시-N-(N-알릴-2-(S)메틸-피롤리딘-2-일)메틸 벤즈아미드 (5.0 mg)가 녹아있는 t-아밀 알코올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12%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88%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7%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N-(3-[ 18 F]플루오로프로필)-2-β-카보메톡시-3-β-(4-아이오도페닐)트로판 ([ 18 F]FP-CIT)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N-(3-p-톨루엔설포닐옥시프로필)-2-β-카보메톡시-3-β-(4-아이오도페닐)트로판 (5.0 mg)가 녹아있는 t-아밀 알코올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6%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74%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2%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2-[ 18 F]플루오로에틸 8-플루오로-5-메틸-6-옥소-5,6-다이하이드로-4H-이미다조[1,5-a][1,4]벤조다이아제핀-3-카르복실레이트 ([ 18 F]Flumazenil)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메탄설포닐옥시에틸 8-플루오로-5-메틸-6-옥소-5,6-다이하이드로-4H-이미다조[1,5-a][1,4]벤조다이아제핀-3-카르복실레이트 (5.0 mg)가 녹아있는 t-아밀 알코올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14%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86%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7%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4-[ 18 F]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 18 F]FBA)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4-포밀-N,N,N-트리메틸아닐리늄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5.0 mg)가 녹아있는 디메틸포름아미드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1%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79%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2%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1-(3-[ 18 F]플루오로-2-하이드록시프로필)-2-나이트로-1H-이미다졸 ([ 18 F]FMISO)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1-(3-p-톨루엔설포닐옥시-2-O-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프로필)-2-나이트로-1H-이미다졸 (5.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45%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55%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4%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O-(2-[ 18 F]플루오로에틸)-L-타이로신 ([ 18 F]FET)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O-(2-톨루엔설포닐에틸)-N-트리페닐메틸-L-타이로신-t-부틸 에스테르(5.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5%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75%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89%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3-[ 18 F]플루오로-L-티미딘 ([ 18 F]FLT)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3-N-Boc-1-(2-디옥시-3-O-(4-나이트로벤젠설포닐)-5-O-트리페닐메틸-β-D-일소퓨라노실)티미딘 (10.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7%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73%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86%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2-[2-(N-모노메틸아미노)-피리딘-5-일]-6-(3-[ 18 F]플루오로-2-(S)하이드록시프로폭시)벤조싸이아졸 ([ 18 F]FC-119S)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2-(N-BOC-N-모노메틸아미노)-피리딘-5-일]-6-[3-메탄설포닐옥시-2-(S)(테트라하이드로-2H-파이란-2-일옥시)프로필]벤조싸이아졸 (5.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27%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73%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86%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4-(3-[ 18 F]플루오로-(S)프로필)-L-글루타메이트 ([ 18 F]FSPG)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4-(3-(p-나이트로벤젠설폰옥시)-(S)프로필)-다이-t-부틸-N-BOC-L-글루타메이트 (5.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18%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82%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88%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E)-4-(4-(2-(2-(2-[ 18 F]플루오로에톡시)에톡시)에톡시)스티릴)페닐(메틸)아민 ([ 18 F]Florbetaben)의 제조방법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E)-2-(2-(2-(4-(4-(t-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스티릴)페녹시)에톡시)에톡시)에틸 메탄설포네이트 (5.0 mg)를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32%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68%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2%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16-α-[ 18 F]플루오로-17-β-에스트라다이올 ([ 18 F]FES)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F-18이 포획된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3-O-메톡시메틸-16-17-O-설퍼릴-16-에피에스트리올(5.0 mg)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20 ℃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80 ℃로 냉각시킨 후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2.0 N HCl 수용액 (0.5 mL)을 가한 다음 5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13%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87%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7%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N-(3-플루오로프로필)-2-β-카보메톡시-3-β-(4-[ 123 I]아이오도페닐)트로판 ([ 123 I]FP-CIT)의 제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 (100 mg)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123I]NaI수용액 (0.5 mL)을 흘려주고 1분간 질소를 불어주었다. Chlormin-T (2 mg)와 N-(3-플루오로프로필)-2-β-카보메톡시-3-β-(4-트리부틸스테닐페닐)트로판 (1 mg)이 녹아 있는 에탄올 용액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0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7%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93%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9%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에틸 8-[ 123 I]아이오도-5-메틸-6-옥소-5,6-다이하이드로-4H-이미다조[1,5-a][1,4]벤조다이아제핀-3-카르복실레이트 ([ 123 I]Flumazenil)의 제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 (100 mg)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123I]NaI수용액 (0.5 mL)을 흘려주고 1분간 질소를 불어주었다. Chlormin-T (2 mg)와 8-트리부틸스테닐-5-메틸-6-옥소-5,6-다이하이드로-4H-이미다조[1,5-a][1,4]벤조다이아제핀-3-카르복실레이트 (1 mg) 이 녹아 있는 에탄올 용액 (0.5 mL)을 넣고 카트리지 혹은 컬럼의 위 아래를 잘 막은 뒤, 10분간 반응시켰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 내 용액을 용출한 뒤 아세토니트릴 (3 mL)로 카트리지 혹은 컬럼을 세척한 다음 모아진 용액과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대한 방사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카트리지 혹은 컬럼에 약 11%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었고, 용액에 89% 방사선량이 검출되었다. 또한 용액을 방사선-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Radio-TLC)로 분석하여 생성물이 99%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100: 구아니딘과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 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
110: 다공성 프릿
120: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

Claims (14)


  1.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으로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 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에 방사성동위원소 용액을 통과시켜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획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할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넣어주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이 들어있는 상기 단계 2의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전구체에 표지시키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고분자는 비용해성 고분자이고,
    스페이서는 C1-C30의 탄화수소기이고,
    R1내지 R4는 독립적으로 C1-C20의 탄화수소기이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용해성 고분자이고,
    상기 스페이서는 C1-C3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는 F-18, Cu-64, Ga-68, Br-77, Zr-89, Y-90, Tc-99m, In-111, I-123, I-124, I-125, I-131 및 Lu-17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또는 컬럼은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채울 수 있고,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채운 후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및 컬럼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들어있는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여 방사성의약품이 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의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1,2-메톡시에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니트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코올, n-헥실알코올, n-헵탄올, n-옥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3-펜탄올, t-부탄올, t-아밀알코올, 2,3-디메틸-2-부탄올,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판올, 3-메틸-3-펜탄올, 3-에틸-3-펜탄올, 2-메틸-2-펜탄올, 2,3-디메틸-3-펜탄올, 2,4-디메틸-2-펜탄올, 2-메틸-2-헥산올, 2-시클로프로필-2-프로판올, 2-시클로프로필-2-부탄올, 2-시클로프로필-3-메틸-2-부탄올, 1-메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3-프로필시클로펜탄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1-에틸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헵탄올, R1-(OCH2CH2)n-OR2인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여기서 R1,및 R2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n은 1-3000 임],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여기서 R 1,R2,R3및 R4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 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X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 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 임]의 이온성 액체, 물 및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후에,
    탈보호기화 반응을 위해 산 또는 염기 용액을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들어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에 넣는 단계(단계 4); 및
    단계 4의 산 또는 염기 용액이 들어있는 카트리지 또는 컬럼 내에서 탈보호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 브롬산, 요오드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벤조익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설포닉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 벤젠설포닉산 및 p-톨루엔설포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염기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1,8-디아지비시클로[5.4.0]운데스-7-엔(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N-메틸모포린, 피리딘, 피콜린, 콜리딘, 구아니딘, 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 MOH, M'(OH)2, MHCO3, M2CO3, M'CO3, M3PO4, M2HPO4 및 MOR [여기서, M은 Li, Na, K, Cs, NH4, NMe4, NEt4, NBu4, NMe3Bn [M'은 Mg, Ca, Ba 로 이루어진 군에서, R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용액 내의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1,2-메톡시에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니트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콜리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코올, n-헥실알코올, n-헵탄올, n-옥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3-펜탄올, t-부탄올, t-아밀알코올, 2,3-디메틸-2-부탄올,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판올, 3-메틸-3-펜탄올, 3-에틸-3-펜탄올, 2-메틸-2-펜탄올, 2,3-디메틸-3-펜탄올, 2,4-디메틸-2-펜탄올, 2-메틸-2-헥산올, 2-시클로프로필-2-프로판올, 2-시클로프로필-2-부탄올, 2-시클로프로필-3-메틸-2-부탄올, 1-메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3-프로필시클로펜탄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1-에틸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헵탄올, R1-(OCH2CH2)n-OR2인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여기서 R1,및 R2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n은 1-3000 임],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여기서 R1,R2,R3및 R4는 C1-30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C1-30의 탄화수소기는 질소, 산소, 황, 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 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X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 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설 포닐)이미드 임]의 이온성 액체, 물 및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의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충진되어 있고,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의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위치한 상부에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카트리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단 및 하단의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카트리지.
  13. 청구항 1의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컬럼으로서,
    내부에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충진되어 있고,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의 상단 및 하단에 다공성 프릿이 위치하며,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가 위치한 상부에 빈공간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컬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컬럼 상단 및 하단의 다공성 프릿은 내부에 충진된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는 투과하지 못하며, 용액은 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의약품 제조용 컬럼.
KR1020140071346A 2014-06-12 2014-06-12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KR20150142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46A KR20150142869A (ko) 2014-06-12 2014-06-12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46A KR20150142869A (ko) 2014-06-12 2014-06-12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869A true KR20150142869A (ko) 2015-12-23

Family

ID=5508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346A KR20150142869A (ko) 2014-06-12 2014-06-12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8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417A (ko) 2010-12-14 2012-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18f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위한 고체 지지체에 연결된 전구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응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417A (ko) 2010-12-14 2012-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18f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위한 고체 지지체에 연결된 전구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응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90B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
Lemaire et al. Fast production of highly reactive no‐carrier‐added [18F] fluoride for the labeling of radiopharmaceuticals
DK2799091T3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racers and transfer of materials during radiosynthesis
KR102335535B1 (ko) 18f-표지된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이중 실행 카세트
Banister et al. Fluorine-18 chemistry for PET: a concise introduction
JP6245981B2 (ja) 含水有機溶媒中の18f−標識化トレーサーの合成
Mushtaq et al. Critical analysis of radioiodination techniques for micro and macro organic molecules
KR20110006658A (ko) 직접적인 친핵성 절차를 위한 정제 전략
KR20140097225A (ko) 가수분해 탈보호 단계 및 고체상 추출을 포함하는 18f-표지화 화합물의 제조
US8968701B2 (en) Usage of low to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for the purification of radiotracers
Zhang et al. Synthesis, bioconjugation and stability studies of [18F] ethenesulfonyl fluoride
KR20130125780A (ko) 고체 상 추출법
JP6244303B2 (ja) 18f標識生体分子の合成方法
US20080274046A1 (en) Radiolabelling
Roß et al. PET chemistry: An introduction
Haveman et al. State of the art procedures towards reactive [18F] fluoride in PET tracer synthesis
PT2186782E (pt) Métodos para a purificação de produtos radiomarcados utilizando um captador ligado a um suporte sólido
CN107108392A (zh) 氟化物捕集布置
CA2851595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18f-labelled biomolecules
KR20150142869A (ko) 구아니딘이 결합된 고분자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방법
US20200047158A1 (en) Solid phase conditioning
AU2016347483B2 (en) Method
Médoc et al. Nucleophilic Fluorination and Radiofluorination via Aziridinium Intermediates: N-Substituent Influence, Unexpected Regioselectivity, and Differences between Fluorine-19 and Fluorine-18
CN107001213B (zh) 具有氟化脂肪族基团的有机化合物的制备方法及纯化方法
Khan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GMP compliant FASTlab™ radiosynthesis of [18F] GE‐179 for the clinical study of activated NMDA recep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