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83A -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83A
KR20150142383A KR1020140071100A KR20140071100A KR20150142383A KR 20150142383 A KR20150142383 A KR 20150142383A KR 1020140071100 A KR1020140071100 A KR 1020140071100A KR 20140071100 A KR20140071100 A KR 20140071100A KR 20150142383 A KR20150142383 A KR 20150142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oilet
water
toilet bowl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규 filed Critical 김상규
Priority to KR102014007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383A/en
Publication of KR2015014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ensive odor removal apparatus for a toilet bowl comprising: a toilet bowl body (100); a water tank (T) which supplies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which connects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body (100) to each other; and an overflow pipe (200)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supply pipe (30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T) to allow the water over a certain water level to overflow and flow to the main supply pip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ensive odor removal apparatus for a toilet bowl provides comfortable use environment of a toilet by cutting off the spreading of virus and offensive odors.

Description

변기 악취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odor from a toilet,

본 발명은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오버플로우관에 내장된 이중관 형태의 전용 배출관을 통해 흡입한 후 하수정화조로 직접 배기시킴으로써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의 화장실을 만들 수 있도록 개선된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odor and bacteria generated during use by inhaling the odor and bacteria generated through the use of a dedicated outlet pipe of a double pipe type built in the overflow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toilet odor eliminating apparatus and a toilet flush toilet.

일반적으로, 변기(양변기를 말함)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형태의 서양식 수세 변기를 말한다.Generally, a toilet (referring to a toilet) refers to a western-style washable toilet seat where a person sits on the floor.

이러한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좌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하수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 변기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어 공급수를 공급, 저장, 배수시켜 배설물을 하수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물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Such a toilet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for discharging the toilet seat to the user's toilet, a toilet body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to the sewage septic tank together with the supply water, and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dy for supplying, storing, It is usually composed of tanks.

이와 같은 변기는 용변시 사용자의 체내 배설기관(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 소변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변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고, 각종 병원균(Pathogenic Bacteria), 알려진 바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쉬겔라, 글로스타리디움균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특히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단구균, 연쇄구균 등이 번식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Such a toilet is a structure that temporarily stores and excretes urine discharged from the user's eliminatory organ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Therefore, the user smells a bad odor at the same time as the toilet, and various pathogens (Pathogenic Bacteria) Salmonella, Escherichia coli, Shigella, and Glostridium are easy to breed, and in particular, it is reported that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and Streptococcus breed at the site of contact with the body.

그런데, 이들 병원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위해를 가하기도 하는데, 이들 병원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각종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시 심한 불쾌감을 준다.However, these pathogens may be harmful depending o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and the diseases that can be caused by these pathogens may be various skin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etc., and give a serious discomfort when used.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04-0103432호, 공개특허 제2010-0049464호, 공개특허 제2010-0106892호, 등록특허 제0568252호, 등록실용 제0393220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In this regard, a number of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such a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4-0103432, Publication No. 2010-0049464, Publication No. 2010-0106892, No. 0568252, and No. 0393220.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제거를 위해 탈취하거나 혹은 살균, 멸균, 항균을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혹은 초음파세척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대됨에 반해 효과는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However, most of the disclosed technologies are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costly to manufacture because they are deodorized for odor removal, pathogen removal, or as a means for sterilization, sterilization, and antibacterial, using chemicals, ultraviolet rays, or ultrasonic cleaning The effect is not large.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병원균들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변기뚜껑을 덮었을 때 병원균의 퍼짐현상이 변기뚜껑을 덮지 않았을 때에 비해 2배 이상 줄어든다는 각종 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기인한 것이다.For this reason, most users use a lever to operate the lever with the lid closed, thereby discharging the excrement to prevent the pathogens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toilet. This is because when the lid is covered, the spread of the pathogen causes the lid It is due to various reports and media reports that it will be reduced by more than two times compared to when it was not covered.

그러나,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번거로움과 귀찮음으로 인해 변기뚜껑을 잘 덮지 않게 되고, 또 의식적으로 변기뚜껑을 덮는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를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변기뚜껑을 내리는 행위 자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However,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overing the lid every time, most users do not cover the lid tightly due to hassle and annoyance, and consciously must cover the lid of the lid. Acting down the lid itself is not easy.

다른 예로, 변기 본체 내부의 악취를 펌프 등으로 강제 흡입한 후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여 물 속에 용해시키거나 혹은 배변 후 물을 내릴 때 물탱크 내부의 물과 함께 하수정화조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악취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dor in the body of the toilet is forcibly sucked by a pump or the like,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water tank and dissolved in the water, or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after defecatio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sewage purifier together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 malodor removing device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이 경우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않고 머물러 있는 동안에 여전히 물 속에 악취를 비롯한 세균이 잔존하게 되고, 또한 일부 세균은 물탱크 내벽에 서식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완벽한 악취 제거나 병원균 배출 구조라고 볼 수 없다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whil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not discharged, bacteria still remain in the water in the water, and some bacteria may live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Therefore, But it can not be seen as a limit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악취 및 병원균을 흡입한 다음 직접 하수정화조로 배출처리하기 때문에 잔존성이 거의 없어 효과적인 악취 제거 기술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병원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which is structurally simple and easy to install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object of providing a new concept of a toilet odor eliminating device which can protect the human body from pathogens as well as securing an effective odor elimination technique because there is no residual property.

특히,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관 내부에 악취 배출관을 이중관 형태로 구현하여 악취 및 병원균을 직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악취 및 병원균이 변기본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lodor discharge tube in the form of a double tube in the overflow tube, so that odor and pathogens can be discharged directly, thereby preventing odor and pathogens from flowing out of the toilet.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T)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밸브유닛(400); 상기 밸브유닛(400) 또는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00)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기전용관(SP); 상기 물탱크(T)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전용관(SP)이 접속되며, 제어박스(510)를 포함하는 송풍기(500);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이중관 형태로 내장된 후 메인공급관(300)의 직하방을 관통하여 변기본체(100)의 배수구(110) 또는 하수조와 직접 연결되게 배관되는 배기전용관(DP);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for a toilet, which comprises a toilet bowl body 100, a water tank 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water tank T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n overflow pipe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supply pipe 300 and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 to flow over the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more to the main supply pipe 300, The toilet comprising: A valve unit (400)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ccording to a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T); An intake pipe SP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valve unit 400 or the overflow pipe 2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200; A blower 500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water tank T and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SP and including a control box 510;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toilet main body 100 through the main pipe 100, And an exhaust gas pipe (DP) piped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10) of the toilet bowl or the sewage tank.

또한,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공급관(300)과 직접 연통되게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흡기전용관(SP)을 배관한 후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하며;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을 연결하되, 상기 배기전용관(DP)의 단부는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와 직접 연통되게 배관하거나 혹은 직접 하수조 라인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도 제공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water tank 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dy 100, An overflow pipe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a main supply pipe (300) and installed in a water tank (T) for overflow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more to flow into a main supply pipe (3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he main suction pipe SP is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after passing through the toilet main body 100 so as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upply pipe 300; An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a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 end of the exhaust pipe DP may pass through the toilet body 100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10, Line connected to the toilet stool.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변기본체(100)에 힌지고정된 변기좌대(60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610)를 형성하며;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6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흡기전용관(SP)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로 직접 연통되거나 혹은 하수조 라인과 직접 연결되는 배기전용관(DP)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도 제공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water tank 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100, And an overflow pipe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supply pipe (300) and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 to overflow the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more to flow into the main supply pipe ;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suction passage 610 is formed inside the toilet seat 600 fixed to the toilet body 100 by hinging; A suction pipe (S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6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discharge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wl body 10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line It also provides a device for removing odor of a toilet.

이때, 상기 배기전용관(DP)의 일부에는 체크밸브(CK)가 더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heck valve (CK) may further be installed in a part of the exhaust pipe (DP).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에는 상기 물탱크(T)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밸브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overflow pipe 200 may further include a valve unit 400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ccording to a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T.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와 직결된 메인공급관(3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공급관(300)과 직접 연통되게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흡기전용관(SP)을 배관한 후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하며;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을 연결하되, 상기 배기전용관(DP)의 단부는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와 직접 연통되게 배관하거나 혹은 직접 하수정화조 라인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wl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directly connected to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he main suction pipe SP is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after passing through the toilet main body 100 so as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upply pipe 300; An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 end of the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dy 100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0, Line connected to the toilet stool.

아울러,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와 직결된 메인공급관(3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변기본체(100)에 힌지고정된 변기좌대(60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610)를 형성하며;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6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흡기전용관(SP)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로 직접 연통되거나 혹은 하수정화조 라인과 직접 연결되는 배기전용관(DP)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wl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directly connected to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suction passage 610 is formed inside the toilet seat 600 fixed to the toilet body 100 by hinging; A suction pipe (S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6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drain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wl body 10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age purifier line It also provides a device for removing odor of a toilet.

본 발명에 따르면, 세균과 악취의 번식을 막고, 용변 후 병원균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사용환경을 제공하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여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어 보급형 제작에 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eding of bacteria and odors is prevented, the pathogens are prevented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toilet after the use of the toilet,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for using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itable effect for the production of the popular type.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변기 악취제거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의 밸브유닛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의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of a toilet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tank constituting the toilet odor eli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alve unit of the toilet odor eli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of a toilet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toilet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는 변기본체(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oilet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bowl body 100.

상기 변기본체(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용변에 따른 배설물을 배수구(110)를 통해 하수정화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toilet bowl 100 has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herein. The toilet bowl 100 is configured to discharge waste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wl to the sewage purifier through a drain hole 110.

이때, 상기 배설물을 하수정화조로 배출하는데 활용되는 물은 기존처럼 변기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물탱크(T)에 저장된 공급수를 공급받아 사용하며, 연결 구조는 기존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water used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to the sewage purifier is supplied with the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10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특히, 용변시 튀는 이물 및 소변 등이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에 묻기 때문에 이를 씻어낼 수 있도록 변기본체(100)의 상단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분사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120)는 공급수공급챔버(130)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는 상기 물탱크(T)와 연결되어 있어 공급수 공급시 함께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ejection openings 120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wl body 100 to wash out foreign matter and urine which are splashed when the toilet bowl touch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ilet bowl body 100, The supply water supply chamber 130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 so that the supply water supply chamber 130 is supplied together with the supply wat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갖는 변기본체(100)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용변시 변기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 및 병원균 등을 오버플로우관(200)과 연결된 흡기전용관(SP)을 통해 흡입한 다음 오버플로우관(200)에 이중관 형태로 내장되는 배기전용관(DP)을 통해 하수정화조와 직접 연결되는 배수구(110)로 직접 배기시켜 제거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병원균)이 곧바로 하수조로 배출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oilet body 100 having such a basic structure is used as it is, while the odor and pathogenic bacteria generated in the toilet bowl body 100 during use are supplied to the intake pipe SP connected to the overflow pipe 200 And then discharged directly to a drain 110 connected directly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through an exhaust pipe DP built in a double pipe form in the overflow pipe 200 to remove odor and bacteria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sewage tank immediatel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설물 배수용 물이 저수되는 물탱크(T)에 구비된 오버플로우관(200)을 응용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overflow pipe (200) provided in a water tank (T) in which feces is stored.

오버플로우관(200)은 물탱크(T) 내부의 수위가 일정 이상 되었을 때 오버플로우시켜 변기본체(100)로 흘려 보냄으로써 물탱크(T)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보조 기구이다.The overflow pipe 200 is an auxiliary mechanism that prevent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 from overflowing by flowing overflow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T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level.

이러한 오버플로우관(200)은 통상, 물탱크(T) 내부의 물을 변기본체(100)로 흘려 보내는 메인공급관(300)의 일측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상단에는 작동레버(330)와 연결된 개폐마개(310)가 설치되어 있어 용변 후 물을 내리기 위해 작동레버(330)를 누르면 개폐마개(310)가 열려 물탱크(T) 내부의 물이 일정 수압을 유지한 채 변기본체(100)로 흘러내려 내부의 배설물을 하수정화조로 배출하게 된다.The overflow pipe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 main supply pipe 300 that supplies water in the water tank T to the toilet bowl 100. An operation lever The opening and closing cap 310 is opened when the operation lever 330 is pressed to lower the water after the toilet is opened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 is kept at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100) and discharges the internal excrement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그리고, 수위가 낮아지면 외부공급관(340), 즉 수도관(P)과 연결된 부분이 개방되면서 물이 외부에서 공급되어 물탱크(T)에 채워지고, 일정수위에 이르면 부레(320)가 들어 올려지면서 공급밸브(도면번호 생략)를 닫아 물 공급이 중단되며, 아울러 자중에 의해 개폐마개(310)는 메인공급관(300)의 상단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filled in the water tank T whil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rnal supply pipe 340, that is, the water pipe P is opene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certain level, The supply valve (not shown) is closed to stop the water supply, and the opening / closing cap 310 seals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ly pipe 300 again due to its own weight.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은 화장실 변기의 통상적인 것이다.Such a structure and operation is typical of a toilet bowl.

이때, 상기 메인공급관(300)은 배설물 배출시에만 물이 내려가고 평상시에는 비어 있으며, 오버플로우관(220)도 오버플로우될 때만 물이 차기 때문에 평상시 이 공간을 통해 공기를 흡, 배기시키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ain supply pipe (300) is only empty when discharging excretion, normally empty, and only when the overflow pipe (220) overflows, water is sucked and exhausted through the space at all times .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가 완성되었는 바, 이를 테면 본 발명은 상기 오버플로우관(220)의 상단에 밸브유닛(400)이 장착된다.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For example, the valve unit 40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밸브유닛(400)은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 개방부를 밀폐할 수 있는 씰링재(412)를 갖는 밸브시트(410), 상기 밸브시트(410)의 양측 또는 회전체 외곽에 구비된 부력체(420), 상기 밸브시트(41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가 되는 밸브몸체(460), 상기 밸브몸체(460)에 끼워지고 밸브시트(410) 상부에 위치되는 스프링(430), 상기 밸브몸체(46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440), 상기 고정판(440)과 밸브몸체(460)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00)과 연통되는 배기구(450), 상기 밸브시트(410)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20)과 연통되는 보충수급수구(WS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 the valve unit 400 includes a valve seat 410 having a sealing member 412 capable of sealing an upper opening of the overflow pipe 200, A valve body 460 serving as a guide for allowing the valve seat 410 to move up and down, a valve body 440 fitted to the valve body 460, A fixing plate 44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alve body 460 and a discharge port 440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200 through the fixing plate 440 and the valve body 460, 450, and a supplementary water supply port (WSS)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220 through the valve seat 410.

그리고, 상기 배기구(450)에는 플렉시블한 흡기전용관(SP)이 접속되고, 상기 흡기전용관(SP)은 물탱크(T) 내벽면 상측, 즉 수위보다 위쪽에 수밀처리된 상태로 고정된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된다.A flexible intake pipe SP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450. The intake pipe SP is connected to a blower 500 fix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T, ). ≪ / RTI >

이 경우, 상기 송풍기(500)의 측방에는 제어박스(510)가 수밀처리된 상태로 함께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500)의 구동과 관련한 감지센서를 통한 신호처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PCB를 내장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trol box 510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blower 500 so that the control box 510 is watertightly connected to the blower 500 to control the signal processing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50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흡기전용관(SP)은 반드시 상기 배기구(450)에 접속될 필요는 없으며,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부 측방을 관통하여 씰링된 상태로 접속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배기구(450)와 보충수급수구(WSS)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이 경우 상기 밸브유닛(400)은 단순 밀봉수단으로만 활용된다고 보면 된다.In this case, the intake pipe SP may not necessarily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450 but may be connected to the overflow pipe 20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s shown in FIG. 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port 450 and the replenishment water supply port (WSS) are kept closed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In other words, in this case, the valve unit 400 is considered to be utilized only as a simple sealing means.

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기(500)와 제어박스(510)는 물탱크(T) 상단 측면에 격벽 구조를 갖추고, 이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송풍기(500)와 제어박스(510)는 물탱크(T)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lower 500 and the control box 510 may have a partition wall structure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T,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hat is, the blower 500 and the control box 51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water tank T.

덧붙여, 상기 밸브유닛(400)은 상술한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밸브유닛(400)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여, 평상시에는 밸브유닛(400)이 닫혀 있다가 악취 및 병원균을 흡입 배출할 필요가 있을 때 제어박스(510)의 제어신호하에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 즉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혹은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센서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감지센서와 제어박스(510) 사이의 통신도 유선은 물론 무선까지 모두 활용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4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ut a solenoid valve may be mounted on the valve unit 400 to normally close the valve unit 400 to suck odors and pathogens. It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under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box 510 when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it. This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that is,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 box 510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the wire but also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is part is well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밸브유닛(400)은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부레와 같은 힌지식 부력체(420)를 이용하여 밸브시트(410)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물탱크(T)내 수위에 따라 동작되는 구조이다.The valve unit 400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3 (b). In this case, the valve seat 410 may be opened or closed by using a hinged buoyant body 420 such as a boule An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T).

즉, 오버플로우관(200)의 일측에 고정되는 'ㄴ' 형상의 지지체(470)를 만들고, 부력체(420)를 고정하는 레버(422)의 단부를 상기 지지체(470)의 상단에 힌지(H) 고정하며, 동시에 상기 레버(422)의 일부에 상기 밸브시트(410)를 힌지 고정시키고, 상기 밸브시트(41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00)과 연통되는 배기구(450), 상기 밸브시트(410)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00)과 연통되는 보충수급수구(WSS)를 상기 밸브시트(410)가 레버(422)에 힌지 고정되는 부위와 간섭되지 않게 배관함으로써 상술한 도 3의 (a)와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밸브유닛(400)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pport body 47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verflow pipe 200 and the end of the lever 422 for fixing the buoyant body 42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470 by a hinge H and fixed at the same time while hinging the valve seat 410 to a part of the lever 422. The valve seat 410 has an exhaust port 450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200, The supplementary water supply port WSS that passes through the valve seat 410 and communicates with the overflow pipe 200 is pip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ortion where the valve seat 410 is hinged to the lever 422, The valve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in Fig. 3A.

한편,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전용관(DP)은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이중관 형태를 이루면서 메인공급관(300)의 직하방을 관통하여 변기본체(100)의 배수구(110)로 직결되도록 배관된다.An exhaust gas pipe DP is connected to a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d the exhaust gas pipe DP is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to form a double pipe.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port 110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hrough the supply pipe 300.

이 경우, 상기 배기전용관(DP)도 플렉시블관이며, 도시설명상 직선상으로 리지드(Rigid)하게 도면처리하였을 뿐 이러한 배관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exhaust pipe DP is also a flexible pipe, and is rigidly illustrat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rawing, and is not limited to such a pipe shape.

즉, 오버플로우관(200) 속에 내장되어 이중관 형태를 이룸으로써 배관을 쉽게 하고, 외관이 지저분하지 않은 채 깔끔하게 처리되며, 무엇보다도 흡기한 악취 및 병원균을 변기본체(100)의 어딘가에 잔류시키지 않고 곧바로 직접 하수정화조로 배출처리시켜 버리도록 설계된다는 점이 가장 특징적인 사항이다.In other words, it is built in the overflow pipe 200 to form a double pipe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piping, making the exterior clean and dirty, and, most of all, preventing odors and pathogens that are inhaled from being stuck somewhere in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It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that it is designed to discharge it directly to the sewage purifier.

이때, 상기 배기전용관(DP)의 길이 일부에는 체크밸브(CK)가 설치되는데, 이는 하수정화조의 악취나 병원균이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a check valve (CK)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length of the exhaust pipe (DP) to prevent the odor of the sewage purifying tank or the pathogen from flowing backward.

뿐만 아니라, 도 1에 파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배기전용관(DP)을 배수구(110)가 아닌 하수정화조로 직접 연결 배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xhaust pipe (DP)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rather than the drain port (110) as illustr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변기에 앉게 되면 감지센서는 이를 즉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박스(510)로 보내게 되고, 이를 수신한 제어박스(510)내 제어부(미도시)는 송풍기(500)를 구동시킨다.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for toilet use, the sensor senses the sensation immediately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box 510,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box 510 drives the blower 500.

그러면, 변기본체(100) 내부의 악취 및 병원균이 메인공급관(300), 오버플로우관(200), 흡기전용관(SP)을 거쳐 송풍기(500)로 흡입되고, 송풍기(500)는 일정한 배출압으로 흡입된 악취 및 병원균을 배기전용관(DP)을 통해 변기본체(100)의 배수구(110)로 배기하여 하수정화조로 직접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Then, the odor and pathogenic bacteria inside the toilet bowl body 100 are sucked into the blower 500 through the main supply pipe 300, the overflow pipe 200, the suction pipe SP, and the blower 500 is kept at a constant discharge pressure The inhaled odors and pathogens are exhausted to the drain 110 of the toilet bowl body 100 through the exhaust pipe DP so as to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때문에, 기존처럼 악취를 포함한 병원균 일부가 변기본체(100) 어딘가에 잔류하는 현상 자체가 없어지게 되므로 보다 쾌적한 화장실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henomenon that a part of the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odors are left somewhere in the toilet bowl body 100 is eliminated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so that a more comfortable toilet culture can be established.

즉, 악취 및 병원균을 하수정화조 직결식으로 즉시에 곧바로 배기처리할 수 있도록 변기본체(100)를 포함한 오버플로우관(200)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기존 구조에서는 얻을 수 없는 전혀 새로운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completel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overflow pipe 200 including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so that odor and pathogens can be directly treated immediately in the sewage-water separating tank, an entirely novel effect can not be obtained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좌변기를 사용하게 되면, 가족들의 건강을 좋게 하고, 각종 피부질환 등을 방지하며, 화장실 사용시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사라지게 되어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by using the left side lid of such a structure, the discomfort such as improving the health of the family, preventing various skin diseases, and covering the toilet lid every time when using the toilet disappears,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health .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은 직결식 배출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direct coupling type exhaust structure as shown in FIG. 4 may be implemented.

즉,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보여 주는데, 도 4에 따르면,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고정설치하고, 메인공급관(300)과 직접 연통되게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흡기전용관(SP)을 배관한 후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하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을 연결하되, 배기전용관(DP)의 단부는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와 직접 연통되게 씰링처리한 상태로 배관하거나 혹은 직접 하수정화조 라인과 연결하거나, 또는 하수정화조 라인에 별도의 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이 배관과 접속되게 배치하여 악취 및 병원균을 흡입 후 하수정화조로 직결시켜 배출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4, the blower 500 is fixed to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nd the main supply pipe 300,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blower 500. The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blower 500. The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blower 500, DP may be piped in a sealed state through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hole 110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age purifying line or may be connected to a sewage purifying line through a separate pip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such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iping so that odor and pathogens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directly after being sucked into the sewage purifying tank.

이 경우에도,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에 밸브유닛(400)을 설치함으로써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Also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the valve unit 400 at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또한, 하수정화조로 직접 배출하는 예는 도 4에 파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다.An example of direct discharge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is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뿐만 아니라, 도 5의 예와 같이 제3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송풍기(500)와 배기전용관(DP)의 구조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흡기전용관(SP)은 변기좌대(600)의 후단에 연결하고, 변기좌대(60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610)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유로(610)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후단에 상기 흡기전용관(SP)을 연결하여 송풍기(500)를 가동시킴에 따라 변기본체(100) 내부의 악취 및 병원균이 흡입유로(610)로 흡입된 후 송풍기(500)를 거쳐 직접 하수정화조로 배출처리 되게 함으로써 악취 및 병원균이 좌변기의 어느 일부분에라도 남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blower 500 and the exhaust gas pipe DP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uction port SP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600 and the suction passage 610 is formed in the toilet seat 600. A part of the suction passage 610, SP are connected to operate the blower 500 so that odor and pathogens inside the toilet bowl 100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flow path 610 and discharged to the sewage purifying tank directly through the blower 500, The pathogen may be configured not to remain in any part of the toilet seat.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에 밸브유닛(400)을 설치함으로써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as well,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rease the suction efficiency by providing the valve unit 400 at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2,3실시예는 악취 및 병원균을 하수정화조로 직결 배관하여 직접 배출처리함으로써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 개념의 핵심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odor and pathogens are directly piped to the sewage purifier, It is the core of.

덧붙여, 상술한 제2,3실시예의 구성은 오버플로우관(200)을 배제한 채 메인공급관(300)으로 수도관이 직결된 직결식에서도 그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direct connection type in which the water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pipe 300 without excluding the overflow pipe 200.

100: 변기본체 200: 오버플로우관
300: 메인공급관 400: 밸브유닛
DP: 배기전용관 SP: 흡기전용관
100: toilet bowl main body 200: overflow pipe
300: main supply pipe 400: valve unit
DP: Exhaust pipe SP: Intake pipe

Claims (7)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T)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밸브유닛(400);
상기 밸브유닛(400) 또는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200)과 연통되게 설치된 흡기전용관(SP);
상기 물탱크(T)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전용관(SP)이 접속되며, 제어박스(510)를 포함하는 송풍기(500);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이중관 형태로 내장된 후 메인공급관(300)의 직하방을 관통하여 변기본체(100)의 배수구(110) 또는 하수정화조와 직접 연결되게 배관되는 배기전용관(DP);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nd an overflow pipe (200)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T) and overflows water having a water level exceeding a certain level and flows to the main supply pipe (300).
A valve unit (400)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ccording to a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T);
An intake pipe SP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valve unit 400 or the overflow pipe 2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200;
A blower 500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water tank T and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SP and including a control box 510;
The oth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toilet main body 100 through the main pipe 100, And an exhaust gas pipe (DP) piped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10) of the sewage purifier or the sewage purifying tank.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공급관(300)과 직접 연통되게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흡기전용관(SP)을 배관한 후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하며;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을 연결하되, 상기 배기전용관(DP)의 단부는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와 직접 연통되게 배관하거나 혹은 직접 하수정화조 라인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nd an overflow pipe (200)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T) and overflows water having a water level exceeding a certain level and flows to the main supply pipe (3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he main suction pipe SP is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after passing through the toilet main body 100 so as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upply pipe 300;
An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 end of the exhaust pipe DP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wl 100, Wherein the odor elimin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line.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와 변기본체(100)를 연결하는 메인공급관(300), 상기 메인공급관(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수위 이상이 된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메인공급관(300)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2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변기본체(100)에 힌지고정된 변기좌대(60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610)를 형성하며;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6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흡기전용관(SP)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로 직접 연통되거나 혹은 하수정화조 라인과 직접 연결되는 배기전용관(DP)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main water supply pipe 300 connecting the water tank T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nd an overflow pipe (200)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T) and overflows water having a water level exceeding a certain level and flows to the main supply pipe (3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suction passage 610 is formed inside the toilet seat 600 fixed to the toilet body 100 by hinging;
A suction pipe (S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6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drain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wl body 10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age purifier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dor eliminating device is a toile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전용관(DP)의 일부에는 체크밸브(CK)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heck valve (CK) is further provided in a part of the exhaust gas pipe (DP).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에는 상기 물탱크(T)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2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밸브유닛(4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valve unit (400)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according to a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T) at an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200) .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와 직결된 메인공급관(3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공급관(300)과 직접 연통되게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흡기전용관(SP)을 배관한 후 송풍기(500)의 흡입단과 연결하며;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는 배기전용관(DP)을 연결하되, 상기 배기전용관(DP)의 단부는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와 직접 연통되게 배관하거나 혹은 직접 하수정화조 라인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wl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directly connected to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The main suction pipe SP is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after passing through the toilet main body 100 so as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upply pipe 300;
An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 end of the exhaust pipe DP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dy 100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0, Wherein the odor elimin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line.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수도와 직결된 메인공급관(300)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에 송풍기(500)를 설치하고;
상기 변기본체(100)에 힌지고정된 변기좌대(60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610)를 형성하며;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6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흡입단에 연결되는 흡기전용관(SP)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송풍기(500)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변기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수구(110)로 직접 연통되거나 혹은 하수정화조 라인과 직접 연결되는 배기전용관(DP)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악취제거장치.
A toilet comprising a toilet bowl body (100), a main supply pipe (300) directly connected to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wl body (100);
A blow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00;
A suction passage 610 is formed inside the toilet seat 600 fixed to the toilet body 100 by hinging;
A suction pipe (S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6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uction end of the blower (5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blower 5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drain port 110 through the toilet bowl body 10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age purifier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dor eliminating device is a toilet.
KR1020140071100A 2014-06-11 2014-06-11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KR201501423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00A KR20150142383A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00A KR20150142383A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83A true KR20150142383A (en) 2015-12-22

Family

ID=5508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100A KR20150142383A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38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750A (en) * 2019-03-26 2019-06-14 萧进雄 Deodourising water-closet bowl
KR102251978B1 (en)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ilet Bow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750A (en) * 2019-03-26 2019-06-14 萧进雄 Deodourising water-closet bowl
KR102251978B1 (en)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ilet Bowl
WO2022055211A1 (en) * 2020-09-08 2022-03-17 김유성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bow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693B1 (en) A air curtain device of toilet bowl by using overflow pipe
KR101409515B1 (en) Sanitary toilet bowl
KR101745857B1 (en) Apparatus of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bowl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KR102023643B1 (en) Apparatus to remove foul odor for toilet
KR101656137B1 (en) Bide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bad smell
KR20150142383A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US1064096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101502302B1 (en) Pedestal for sanitary toilet bowl
JP6693038B2 (en)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bowl
JP2013512360A (en) Western urinal equipped with a bad smell discharge device
US20130097770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200447310Y1 (en) Bidet with a bad smell-removing function
KR20190075873A (en) Removing offensive odor device for toilet bowl
KR101898318B1 (en) 2-way type of toilet odor removal device
KR20180009299A (en) Deodorizer for toilet seat
KR20190089256A (en)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KR200482587Y1 (en) A Toilet Bowl
KR20140103621A (en) A air curtain device of toilet bowl
KR101368088B1 (en)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for a chamber pot in toilet
KR102407222B1 (en) Toilet Bowl Having Odor Removal Structure
CN218861697U (en) Deodorization device and closestool
KR20230001389U (en)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 Having Odor Removal Structure
KR101724070B1 (en) Sterilizing Toilet
KR10216915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