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75A -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75A
KR20150142375A KR1020140071073A KR20140071073A KR20150142375A KR 20150142375 A KR20150142375 A KR 20150142375A KR 1020140071073 A KR1020140071073 A KR 1020140071073A KR 20140071073 A KR20140071073 A KR 20140071073A KR 20150142375 A KR20150142375 A KR 2015014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ing
identifier
display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재
최누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375A/ko
Publication of KR2015014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컨텐츠들이 디지털화되어 전자기기에 표시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인쇄 매체들이 디지털화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교과서, 잡지 및 신문 등의 인쇄 매체들이 디지털화된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전자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편집이 가능하다는 디지털 컨텐츠의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디지털 컨텐츠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마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마킹 정보가 생성된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중에서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연관 컨텐츠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목록에서 선택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과 함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부가 정보 또는 연관 컨텐츠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객체에 식별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마킹 정보를 생성하고, 마킹 정보가 생성된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중에서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출력부는,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연관 컨텐츠로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출력부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목록에서 선택된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출력부는,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과 함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부가 정보 또는 연관 컨텐츠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출력부는,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객체에 식별 표시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대상 컨텐츠 영역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연관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연관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연관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연관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이 포함되는 디지털 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내용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개의 카테고리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교과서 또는 참고서 등의 디지털 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컨텐츠를 이론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 1 카테고리와 문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0)는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구별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0)는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일부 객체들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속성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내에서의 객체들의 위치 및 객체들이 포함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용액이라는 텍스트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용액이라는 텍스트에 관한 정보에는 용액이라는 텍스트가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및 용액이라는 텍스트가 포함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텍스트 이외의 다른 타입의 객체의 속성에 관한 정보 또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감압 플라스크 이미지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감압 플라스크 이미지의 속성에 관한 정보에는 감압 플라스크 이미지가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및 감압 플라스크 이미지가 포함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100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객체의 속성에 관한 정보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터치 입력 및 호버링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터치 방식 또는 터치 횟수 등에 따라 터치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고, 구별된 터치 입력의 종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호버링 입력이 감지되는 위치 등에 따라 호버링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고, 구별된 호버링 입력의 종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10)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컨텐츠(110) 중에서, 일부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10)에 의해 결정된 경계(122) 내부에 포함되는 일부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특정된 일부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10)에 의해 결정된 경계(122)에 기초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컨텐츠(110)로부터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방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객체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객체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150)를 연관 컨텐츠(150)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연관 컨텐츠(15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객체와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관계가 있는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바이스(10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10)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한다. 여기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10)의 종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1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사용자 입력(10)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특정하고자 하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의 경계(122)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경계(122)의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경계(122)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영역이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용자가 결정한 경계(122)가 디바이스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컨텐츠 상에 미리 결정된 경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과서 컨텐츠 중에서, 문제에 관한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경우, 디바이스(1000)는 문제 별로 미리 결정된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2번 문제를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2번 문제의 경계의 일부만 결정하더라도 디바이스(1000)는 미리 결정된 경계에 따라, 2번 문제가 표시된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경계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보다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0)는 터치 입력 이외에도 호버링 입력 등의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선택된 객체들(20-1, 20-2, 20-3, 20-4, 20-5)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에서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표시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 객체들(20-1, 20-2, 20-3, 20-4, 20-5)을 식별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1000)는 하이라이트 표시 이외에 컨텐츠(110) 내에 포함되는 객체들 중에서 식별 표시가 존재하는 객체들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식별 표시가 존재하는 객체들에 마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컨텐츠(110)내에서 밑줄 표시가 되어 있는 객체들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이미지 타입 또는 동영상 타입의 객체의 경우, 사용자의 더블 탭 입력 동작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타입 또는 동영상 타입의 객체가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객체를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텍스트 타입의 객체들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들과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도 3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 의해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된 복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들과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연관 컨텐츠(150)는 식별자 객체를 포함하거나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교과서의 문제가 표시된 컨텐츠에서 2번 문제가 표시된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2번 문제가 표시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2번 문제가 표시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이론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표시되는 컨텐츠(110)와 연관 컨텐츠(150)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기설정된 범위 내에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분석하여, 객체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식별하고, 객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영역에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0)는 검출된 연관 컨텐츠(150)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목록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서,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50)을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10)의 종류는 기 설정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단계 410은 도 2의 단계 21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디바이스(1000)는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서로 연관된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는 용액이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가 디지털 교과서의 10p의 컨텐츠와 35p의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다는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에는 서로 연관된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카테고리는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이론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카테고리와 문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카테고리로 컨텐츠가 분류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용액이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가 디지털 교과서에 포함된 10p의 컨텐츠와 35p의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다는 정보와 함께, 10p의 컨텐츠는 이론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의 컨텐츠에 포함되고, 35p의 컨텐츠는 문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의 포함되는 카테고리에 해당된다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이미지 타입 또는 동영상 타입인 경우, 역시 데이터 베이스에 서로 연관된 이미지 타입의 객체 또는 동영상 타입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객체가 이미지 타입 또는 동영상 타입인 경우에도 데이터 베이스에는 서로 연관된 이미지 타입의 객체 또는 동영상 타입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동일한 객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동일한 객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횟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용액이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횟수가 2회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는 객체가 복수개인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횟수에 기초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용액이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가 2회 저장되고, 감압 플라스크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가 1회 저장되는 경우, 저장된 횟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용액이라는 텍스트 타입의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는 복수개의 객체들 전부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는 복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일부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컨텐츠들의 목차에 기초한 계층 구조에 따라 객체들이 계층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와 일치하는 복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하위 계층에 포함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관 컨텐츠(150)는 식별자 객체를 포함하거나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다른 예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110)와 연관 컨텐츠(150)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440은 전술한 도 2의 단계 23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일부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경계(122)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입력(10)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경계(122)의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드래그 하는 입력(12)을 획득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다른 예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110)와 연관 컨텐츠(150)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일부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경계(122)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입력(10)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경계(122)의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기호를 도시하는 입력(14)을 획득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물음표를 도시하는 입력(14)을 획득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일부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경계(122)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입력(10)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경계(122)의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게,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1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복사, 저장하거나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항목을 포함한 가이드 정보(130)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가이드 정보(130)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8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10)의 종류는 기 설정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단계 810은 도 2의 단계 21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디바이스(1000)는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820은 전술한 도 2의 단계 22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검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동일하거나 추츨된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객체가 포함되는 컨텐츠를 연관 컨텐츠(150)로 검출할 수 있다.
단계 84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검출된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다른 예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110)와 연관 컨텐츠(150)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디지털 교과서의 복수개의 문제를 포함하는 컨텐츠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된 문제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하는 과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2번 문제를 특정하기 위한 경계(122)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입력(10)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경계(122)의 내부에 포함되는 2번 문제가 표시된 영역을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드래그 하는 입력(12)을 획득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15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식별자 객체를 포함하거나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 컨텐츠(150)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들 중에서 연관 컨텐츠(15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컨텐츠 영역(110)이 문제에 관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이론에 관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들 중에서 연관 컨텐츠(150)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를 대상 컨텐츠 영역(110)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로부터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10)이 문제에 관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경우, 대상 컨텐츠 영역(110)으로 선택된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검색하기 위해, 동일한 카테고리인 문제에 관한 카테고리에서 연관 컨텐츠(150)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 객체를 기초로 검색한 결과 검출된 연관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현재 표시된 컨텐츠(110)를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교과서의 문제가 표시된 컨텐츠에서 2번 문제에 포함된 객체들 중 A 및 B라는 텍스트 객체가 식별자 객체로 선택된 경우, 현재 표시된 컨텐츠(110)를 A 및 B가 포함된 이론에 관한 연관 컨텐츠(150)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의 복수개의 문제를 포함하는 컨텐츠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된 문제와 함께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과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서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 관한 설명은 도 9의 (a)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의 (b)에는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로부터 연관 컨텐츠(150)를 요청하는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 관한 설명은 도 9의 (b)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 객체를 기초로 검색한 결과 검출된 연관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관 컨텐츠(15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컨텐츠의 전체일 수도 있고,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관련된 일부 컨텐츠 일 수도 있다. 또한, 연관 컨텐츠(150)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되는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되어,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10)가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의 복수개의 문제를 포함하는 컨텐츠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된 문제에 관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연관 컨텐츠(150)로 표시하는 과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에서 디바이스(1000)는 표시된 컨텐츠(110) 내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에 관한 설명은 도 9의 (a)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1의 (b)에는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로부터 연관 컨텐츠(150)를 요청하는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b)에 관한 설명은 도 9의 (b)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 객체를 기초로 검색한 결과 검출된 연관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관 컨텐츠(15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식별자 객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식별자 객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메모지 형태로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10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바이스(10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입력부(1010), 제어부(1020) 및 출력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입력부(1010), 제어부(1020) 및 출력부(1030) 이외에 센싱부(1040), 통신부(1050) 및 메모리(10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입력부(10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0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10)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10)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컨텐츠 중에서 일부 영역을 특정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010)는 대상 컨텐츠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1010), 출력부(1030), 센싱부(1040), 통신부(10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컨텐츠 내에 표시된 경계(122) 내부에 포함된 영역을 감지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어부(1020)는 컨텐츠 내에 식별 표시가 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제어부(10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특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120) 으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과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식별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들과 동일한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에 마킹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020)는 마킹 정보가 생성된 객체들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객체들과 동일한 객체를 식별자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마킹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디바이스(1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사용자로부터 연관 컨텐츠(150)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1060)에 저장된 마킹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의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하는 경우 메모리(1060)에 저장된 마킹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 컨텐츠(150)에 포함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객체에 식별 표시를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0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031)와 음향 출력부(1032), 진동 모터(10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1)는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31)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31)는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한 대상 컨텐츠 영역(120)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31)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1)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에 관한 부가 정보, 썸네일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대상 컨텐츠 영역(120)과 관련된 연관 컨텐츠(150)가 복수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031)는 복수개의 연관 컨텐츠(150)에 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연관 컨텐츠(150)에 관한 리스트는 제어부(10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3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3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0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03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022)는 통신부(10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0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022)는 디바이스(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0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0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싱부(1040)는, 디바이스(10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02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0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0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042), 온/습도 센서(1043), 적외선 센서(1044), 자이로스코프 센서(10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046), 기압 센서(1047), 근접 센서(10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0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050)는, 디바이스(1000)와 외부 기기 또는 디바이스(1000)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50)는, 근거리 통신부(1051), 이동 통신부(1052), 방송 수신부(10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0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0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0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1050)는,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가 메모리(107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기기와 식별자 객체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50)는 대상 컨텐츠 영역(120)으로부터 추출한 식별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50)는 외부 기기로부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60)는, 제어부(10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컨텐츠 및 컨텐츠와 과련된 연관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0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0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061), 터치 스크린 모듈(1062), 알림 모듈(106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06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06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0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06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063)은 디바이스(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063)은 디스플레이부(10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0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0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0: 디바이스
1010: 입력부
1020: 제어부
1030: 출력부

Claims (17)

  1.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상기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객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마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킹 정보가 생성된 객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중에서 상기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상기 연관 컨텐츠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목록에서 선택된 연관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과 함께 상기 연관 컨텐츠에 관한 부가 정보 또는 상기 연관 컨텐츠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컨텐츠를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상기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객체에 식별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9.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에서 대상 컨텐츠 영역을 특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부터 식별자 객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연관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상기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객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마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마킹 정보가 생성된 객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중에서 상기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상기 식별자 객체로 추출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상기 연관 컨텐츠로 변경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컨텐츠에 관한 목록을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목록에서 선택된 연관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특정된 대상 컨텐츠 영역과 함께 상기 연관 컨텐츠에 관한 부가 정보 또는 상기 연관 컨텐츠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상기 식별자 객체와 대응되는 객체에 식별 표시를 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71073A 2014-06-11 2014-06-1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20150142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73A KR20150142375A (ko) 2014-06-11 2014-06-1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73A KR20150142375A (ko) 2014-06-11 2014-06-1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75A true KR20150142375A (ko) 2015-12-22

Family

ID=5508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73A KR20150142375A (ko) 2014-06-11 2014-06-11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3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804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5345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speed of multimedia content
EP2696347B1 (en) Selection of a range among user devices to propagate image tags.
US1008009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KR102062763B1 (ko)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KR10233644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그 디바이스
US1120993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using various input type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40119608A (ko)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10996832B2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on device and device therefor
KR101969583B1 (ko)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307349B1 (ko)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399589B1 (ko) 디바이스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그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50142375A (ko) 디바이스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30653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50121565A (ko)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077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
KR201800831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TW201617800A (zh) 提供裝置的內容的方法與所述裝置
KR20160016569A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