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288A -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288A
KR20150141288A KR1020140069735A KR20140069735A KR20150141288A KR 20150141288 A KR20150141288 A KR 20150141288A KR 1020140069735 A KR1020140069735 A KR 1020140069735A KR 20140069735 A KR20140069735 A KR 20140069735A KR 20150141288 A KR20150141288 A KR 2015014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light
container
led modul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훈 filed Critical 오상훈
Priority to KR102014006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288A/ko
Publication of KR2015014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N33/24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Abstract

스마트 화분이 개시된다. 스마트 화분은 화분;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상기 화분 내의 흙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상기 화분 외부의 조도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 및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상 상태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이 구별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SMART FLOWERPOT AND SMART FLOWERPOT ASSEMBLY INCLUDING THE FLOWERPOT}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스마트 화분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꽃 등을 포함하는 식물은 그 양태가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어서 관상용 식물로 판매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허브와 같이 방향제, 방충제, 약용 및 식용 식물은 단순한 관상용 식물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물로서 판매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식물들은 화분 등에 식재해서 재배되고 있다.
화분에서의 식물 재배는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며, 주로 경험에서 터득한 지식으로 식물을 재배한다. 식물에 대한 지식이나 재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주위의 간행물이나 인터넷 등의 정보전달매체를 이용하여 식물의 재배 정보를 습득하여 식물을 재배한다.
이러한 재배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 모든 식물에 대해 경험하기가 사실상 어렵고, 또한 정보전달매체를 통해 식물의 재배 정보를 습득하였다 할지라도,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성장환경조건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쉽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71527호
본 발명은 식물 재배가 용이한 스마트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테리어 조명 기능을 갖는 스마트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은 화분;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상기 화분 내의 흙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상기 화분 외부의 조도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 및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상 상태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이 구별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 중 상기 측정 데이터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항목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이 발생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빛이 점멸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의 바닥에는 물 배출구와, 전장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화분의 바닥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전장 수용부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밀봉된 공간으로,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화분의 바닥에서 내측면을 따라 제공되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화분의 바닥과 상기 화분이 놓인 지지면 사이 틈을 통해 외부로 간접적으로 비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품종별 최적 온도, 습도, 조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은 흙을 담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내측 공간에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틀로, 상기 용기와 일체로 제공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벽을 향해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상태에서 다양한 색상의 빛들이 혼합된 그라데이션 빛(gradation light)을 발생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단일 색상의 빛이 발생되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는 복수의 화분들; 상기 화분들을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화분들을 벽걸이 형태로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들 각각은, 흙을 담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내측 공간에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틀로, 상기 용기와 일체로 제공되는 프레임; 상기 용기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내의 흙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상기 용기 외부의 조도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벽과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벽을 향해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 모듈; 및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상 상태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이 구별되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화분들의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화분들 각각은 상호간에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통신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들이 식물의 재배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재배 환경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조명을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식물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화분을 이루는 구성들 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화분이 벽에 고정된 모습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를 인테이어 조명 수단으로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스마트 화분을 이루는 구성들 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화분(100)은 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스마트 화분(100)은 화분(10), 센서부(20), 조명부(30), 통신부(40), 그리고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화분(10)은 식물(2)을 기르기 위한 용기로, 흙을 담는 공간(11)이 형성된다. 화분(10)의 바닥에는 물 배출구(12)와 전장 수용부(13)가 형성된다.
물 배출구(12)는 화분(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며, 화분(10)의 바닥면에서 아래로 돌출된다. 물 배출구(12)는 식물(2)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 제공된다.
전장 수용부(13)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밀봉된 공간으로, 각종 전기 및 전자 장치가 수용된다. 전장 수용부(13)는 후술하는 LED 드라이버(32), 제어부(50), 그리고 통신부(40)가 수용될 수 있다. 전장 수용부(13)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흙을 담는 공간(11) 및 물 배출구(12)와 차단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전장 수용부(13)는 물 배출구(12)의 둘레에 형성된다.
센서부(2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2)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센서부(20)는 온도 센서(21), 습도 센서(22), 조도 센서(23)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21)는 화분(10)에 담긴 흙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21)는 화분(10)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 센서(21)는 NTC 서미스트가 사용된다. NTC 서미스트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크게 변화는 감온 반도체로, -50~500℃ 온도 범위에서 측정가능하다.
습도 센서(22)는 화분(10)에 담긴 흙의 습도를 측정한다. 습도 센서(22)는 화분(10)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조도 센서(23)는 화분(10) 주위의 조도를 측정한다. 조도 센서(23)는 외부에 노출된 위치, 예컨대 화분(10)의 상단 또는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조명부(30)는 화분(10)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시킨다. 조명부(30)는 엘이디 모듈(LED MODULE, 31)과 엘이디 드라이버(LED DRIVER, 32)를 포함한다.
엘이디 모듈(31)은 엘이디 드라이버(32)의 작동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엘이디 모듈(31)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색상의 빛을 각각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빛들이 혼합된 그라데이션 빛(gradation light)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엘이디 모듈(31)은 화분(10)의 바닥에서 내측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31)에서 발생한 빛은 화분(10)이 놓인 지지면에 반사되며, 화분(10)의 바닥과 지지면 사이 틈을 통해 외부에 간접적으로 비춰진다. 이러한 빛은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하므로 인테리어 조명으로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40)는 제어부(50) 및 사용자의 단말기(11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조도 데이터는 통신부(4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10)에 송신된다. 사용자의 단말기(110)에는 온도, 습도, 조도를 시간별로 체크하여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물(2)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신호를 통신부(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식물(2)의 품종별 최적 온도, 습도, 조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에 의해 온도, 습도, 조도의 설정 범위가 결정된다. 또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엘이디 모듈(30) 빛의 색상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센서부(20)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와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된 설정 범위를 비교하여 조명부(30)를 제어한다. 설정 범위란, 식물(2)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 습도, 그리고 조도 범위로, 식물(2)의 품종에 따라 설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50)는 온도, 습도, 그리고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상태(normal state)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측정 데이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unnormal satate)로 판단한다. 여기서 정상 상태란 식물(2)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의미하고, 비정상 상태란 식물(2)의 성장에 부적합한 환경 조건을 의미한다.
제어부(50)는 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엘이디 모듈(31)의 빛과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엘이디 모듈(31)의 빛이 구별되도록 엘이디 드라이버(32)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정상 상태의 경우, 엘이디 모듈(310에서는 그라데이션 빛이 발생되며, 이 빛은 인테리어 조명으로 활용된다. 비정상 상태의 경우, 엘이디 모듈(31)에서는 단색의 빛이 발생되며, 사용자는 단색의 빛을 통해 식물이 부적합한 환경에 놓여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단색 발광은 비정상 상태의 환경이 정상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계속된다. 온도, 습도, 그리고 조도 중 측정 데이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항목에 따라 엘이디 모듈(31)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이 발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레드 빛이 발생되고, 습도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블루 빛이 발생되고, 조도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그린 빛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빛의 색깔에 따라 비정상 상태에 놓인 환경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비정상 상태의 경우 엘이디 모듈(31)에서 발생하는 빛이 점멸하도록 엘이디 드라이버(32)를 제어할 수 있다. 점멸 상태는 비정상 상태의 환경이 정상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계속된다. 빛의 점멸은 사용자가 비정상 상태를 쉽게 인식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마트 화분이 벽에 고정된 모습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화분(210)은 용기(211)와 프레임(214), 그리고 고정부재(216)를 포함한다.
용기(211)에는 흙을 담는 공간이 형성되며, 식물(2)이 재배된다.
프레임(214)은 내측 공간(214a)에 용기(211)가 위치하는 틀로, 용기(211)와 일체로 제공된다. 프레임(214)은 다양한 형상의 틀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214)은 사각 형상의 틀로, 하부 지지대(215)가 용기(211)와 결합한다.
프레임(214)의 후면에는 엘이디 모듈(221)이 제공된다. 프레임(214)의 후면은 화분(210)이 벽(w)에 고정되는 경우, 벽과 마주하는 면이다. 엘이디 모듈(221)은 프레임(214)의 후면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제공되며, 벽(w)을 향해 빛을 발생시킨다. 빛(L)은 벽(w)에 반사되어 주변으로 발광된다.
고정부재(216)는 화분(210)을 벽(w)에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216)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부재(216)는 'ㄱ'형상의 브라켓(217)이 나사(218)에 의해 벽(w)에 고정되어 프레임(214)을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 화분(200)에는 센서부(도 2의 20), 제어부(도 2의 50), 통신부(도 2의 40)가 제공된다. 센서부(20), 제어부(50), 통신부(40)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300)는 복수 개의 화분(310, 320, 330)을 포함한다. 화분(310, 320, 330)은 도 1의 화분 또는 도 3의 화분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분(310, 320, 330)들 각각에 제공된 통신부(311, 321, 331)는 상호간에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통신부(311, 321, 331)들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단말기(110)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단말기(110)에서 발신된 제어 신호는 통신부(321)에 수신되고, 다른 통신부(311, 331)들에 전달된다. 통신부(311, 321, 331)들 간의 제어 신호 송수신으로 화분(310, 320, 330)들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화분(310, 320, 330)들의 조명부(314, 324, 334)에서 발생하는 빛들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되어 그라데이션 빛 패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화분(310, 320, 330)들의 센서부(312, 322, 332)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는 통신부(311, 321, 331)들 간의 통신으로 하나의 통신부(321)에 모여지고, 통신부(321)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10)에 전송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분(310, 320, 330)들 각각에 대해 온도, 습도, 조도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300)는 다수의 화분(310, 320, 330)들이 일체로 결합된다. 화분(310, 320, 330)은 도 3의 스마트 화분을 예를 들어 나타내었다. 화분(310, 320, 330)은 형상 및 사이즈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화분(310, 320, 330)들은 결합부재(34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결합부재(340)는 화분(310)들이 결합되는 영역에 각각 제공되며, 인접하여 위치하는 프레임(315)과 프레임(325)을 결합한다. 결합부재(340)는 프레임(315)과 프레임(325)을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재(340)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부재(34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315)에 형성된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프레임(325)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300)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 도 7과 같이 인테이어 조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10, 310, 320, 330: 화분 20: 센서부
21: 온도 센서 22: 습도 센서
23: 조도 센서 30: 조명부
31: 엘이디 모듈 32: 엘이디 드라이버
40: 통신부 50: 제어부
100: 스마트 화분 211: 용기
214: 프레임 216: 고정부재
300: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340: 결합부재

Claims (9)

  1. 화분;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상기 화분 내의 흙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상기 화분 외부의 조도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화분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 및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상 상태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이 구별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 중 상기 측정 데이터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항목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빛이 발생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화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빛이 점멸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바닥에는 물 배출구와, 전장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화분의 바닥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전장 수용부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밀봉된 공간으로,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화분의 바닥에서 내측면을 따라 제공되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화분의 바닥과 상기 화분이 놓인 지지면 사이 틈을 통해 외부로 간접적으로 비춰지는 스마트 화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품종별 최적 온도, 습도, 조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흙을 담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내측 공간에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틀로, 상기 용기와 일체로 제공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벽을 향해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상태에서 다양한 색상의 빛들이 혼합된 그라데이션 빛(gradation light)을 발생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단일 색상의 빛이 발생되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을 제어하는 스마트 화분.
  8. 복수의 화분들;
    상기 화분들을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화분들을 벽걸이 형태로 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들 각각은,
    흙을 담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내측 공간에 상기 용기가 위치하는 틀로, 상기 용기와 일체로 제공되는 프레임;
    상기 용기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내의 흙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상기 용기 외부의 조도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벽과 마주하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벽을 향해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 모듈; 및
    상기 온도, 상기 습도, 그리고 상기 조도의 측정 데이터 모두가 설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정상 상태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이 구별되도록 상기 엘이디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화분들의 상기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들 각각은
    상호간에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통신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KR1020140069735A 2014-06-09 2014-06-09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KR20150141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35A KR20150141288A (ko) 2014-06-09 2014-06-09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35A KR20150141288A (ko) 2014-06-09 2014-06-09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88A true KR20150141288A (ko) 2015-12-18

Family

ID=5508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35A KR20150141288A (ko) 2014-06-09 2014-06-09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2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47A (ko) * 2016-02-19 2017-08-30 김용석 다기능 화분
KR20200023701A (ko) 2018-08-21 2020-03-06 주식회사 엔코디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과 인공지능 기반 인터랙티브 시스템
KR20200086550A (ko) * 2019-01-09 2020-07-17 정호 화분걸이
KR102340375B1 (ko) * 2021-06-04 2021-12-16 이태열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347A (ko) * 2016-02-19 2017-08-30 김용석 다기능 화분
KR101879927B1 (ko) * 2016-02-19 2018-07-19 김용석 다기능 화분
KR20200023701A (ko) 2018-08-21 2020-03-06 주식회사 엔코디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과 인공지능 기반 인터랙티브 시스템
KR20200086550A (ko) * 2019-01-09 2020-07-17 정호 화분걸이
KR102340375B1 (ko) * 2021-06-04 2021-12-16 이태열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6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and sowing and planting mat therefor
KR20150141288A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어셈블리
US20150305259A1 (en) Device for domestic hydroponic cultivation
CA2392424A1 (en) Plant cultivat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EP2698058B1 (en) Growth container
WO2015140820A4 (en) An intelligent integrated plant growth system and a process of growing plant thereof
KR102033649B1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2117002B1 (ko) 스마트 화분,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화분 생장 시스템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KR20120014305A (ko) 엘이디 수경재배 다단형 식물 냉장고
US11129371B1 (en) Self-contained universal mini terrarium
KR101463982B1 (ko) Led조명을 구비한 식물재배장치
KR20190103768A (ko) 스마트센서가 구비된 식물관리 장치
KR101586544B1 (ko) 스마트 화분
KR20200061082A (ko) 헬스케어 맞춤형 스마트 식물 재배기
KR101746596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분관리 시스템 및 화분관리 방법
KR101522138B1 (ko) 전자식 식물재배기
KR20170062784A (ko) 맞춤형 led 식물 재배장치
KR20200083088A (ko) 다년생 작물 재배 시스템
CN205249956U (zh) 一体式智能种植设备
TWM551813U (zh) 以植物高度為參考之植物植栽裝置
TWM551817U (zh) 可調光照流明度之植物植栽裝置
CN207780637U (zh) 城市绿植景观智能化培植箱
KR102140479B1 (ko) 식물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20150129497A (ko) 자동수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