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802A -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802A
KR20150140802A KR1020157032153A KR20157032153A KR20150140802A KR 20150140802 A KR20150140802 A KR 20150140802A KR 1020157032153 A KR1020157032153 A KR 1020157032153A KR 20157032153 A KR20157032153 A KR 20157032153A KR 20150140802 A KR20150140802 A KR 2015014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ld
subband
subframe
fram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362B1 (ko
Inventor
싱타오 장
레이 미아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3Application of parametric coding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스테레오 오디오 기술 분야에 관련된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하며, 이것은 채널 간 레벨 차이 처리에 적용 가능하고,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을 실현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분석되어,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를 획득하고(101);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이 계산되며(102);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가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거나(103);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된다(104).

Description

채널간 전압 레벨 차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NTER-CHANNEL VOLTAGE LEVEL DIFFERENCE}
본 출원은 2013년 7월 16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인 중국특허출원 No. 201310298100.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병합된다.
본 발명은 스테레오 오디오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채널간 전압 레벨 차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고품질의 오디오에 대한 개인적인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 모노 오디오와 비교해서, 스테레오 오디오는 정보의 선명성과 이해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
스테레오 오디오가 종래기술에 따라 처리될 때, 입력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먼저 분석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싣고 있는 프레임 내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 값이 획득되며, 그런 다음 그 획득된 ICLD 값을 이전 프레임의 획득된 ICLD 값과 비교한다. ICLD 값과 이전 프레임의 획득된 ICLD 값 간의 차이가 크면, 프레임이 반송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Transient이고,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이 반송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Normal이다. Transient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2개의 프레임이 사용되는데, 즉 홀수 서브대역의 ICLD와 짝수 서브대역의 ICLD가 개별로 전송된다. Normal에 있어서는 전송을 위해 4개의 프레임이 사용되는데, 즉 각각의 프레임은 1/4 서브대역의 ICLD를 전송한다. 비트량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Normal 상에서 미세(refinement) 처리가 추가로 수행된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서 스테레오 오디오를 처리할 때는, 스테레오 오디오를 반송하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스테레오 오디오 중 10 ms를 처리할 때, 4개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Normal을 처리하면, ICLD가 매 40 ms(4*10 ms)마다 갱신되는 것과 같으며, 이것은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으며, 게다가 ICLD가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이 실현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것은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을 실현한다.
제1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는 단계 -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 ;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낸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02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03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04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5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제8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제6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06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제2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유닛 -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
상기 분석 유닛에 의한 분석에 의해 획득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계산 유닛;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가중 처리 유닛;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가중 처리 유닛
을 포함한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상기 제1 가중 처리 유닛은: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계산 모듈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계산 모듈
을 포함한다.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1 계산 모듈은: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낸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2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07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상기 제2 가중 처리 유닛은: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계산 모듈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계산 모듈;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계산 모듈
을 포함한다.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3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08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4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09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4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10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11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제8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또는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상기 제5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12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따르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분석되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의 각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CLD)를 획득하며, 여기서 각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의 각 서브대역의 그 획득된 ICLD에 따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이 계산되며;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반송하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스테레오 오디오 중 10 ms가 처리될 때, 스테레오 오디오 중 10 ms를 처리할 때, 4개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Normal을 처리하면, ICLD가 매 40 ms(4*10 ms)마다 갱신되는 것과 같으며, 이것은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으며, 게다가 ICLD가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이 실현될 수 없다. 종래기술에서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대해 가중 처리가 수행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획득된 경험적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게다가 ICLD가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인코더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101: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많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실제의 응용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일정한 양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은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4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12개의 서브대역을 포함한다.
ICLD는 스테레오 오디오 소스의 수평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오디오 채널 간의 강도 차이를 설명하며, 이 파라미터는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선택적으로, ICLD는 입력 오디오 채널 신호 간의 전력 비율이다. 예를 들어,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은:
Figure pct00013
이며, 여기서 XL(p) 및 XR(p)은 각각 좌 오디오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계수 및 우 오디오 채널의 주파수 도메인 계수이며, P는 주파수 빈 값(frequency bin value)이며, level(b)의 계산 범위는
Figure pct00014
이며, 여기서 Ab -1 및 Ab는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빈 값을 나타내고,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다. K는, 인간의 청각 특성을 근사적으로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동일한 주파수 분해능을 가지는 주파수 스펙트럼 계수를 임계 대역 이론에 따라 K개의 비중첩 서브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102: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은
Figure pct00015
에 따라 계산되며,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다.
단계 103: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경험적으로 획득된 임계값이다.
|sum(i)-sum(j)|<TH일 때, 2개의 서브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ICLD가 2개의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근접한 것으로 결정되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며, 여기서 sum(i) 및 sum(j)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 및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각각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j≤L이며, L은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다.
선택적으로, 이 단계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16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단계 104: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이 단계에서, |sum(i)-sum(j)|TH일 때,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ICLD가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ICLD와 크게 다른 것으로 결정되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된다.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모든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 또는 일부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 그리고 다른 차이의 절댓값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이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17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18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19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20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K개의 서브대역, 예를 들어, 서브대역 1, 서브대역 2, ..., 서브대역 K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1, 2, ..., K는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이다. "
Figure pct00021
"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
Figure pct00022
"는 내림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3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 단계 후에, 그 획득된 가중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가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여기서 양자화 처리란 미리 설정된 코드북과 가중된 ICLD 값 간의 비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드북에 있으면서 가중된 ICLD 값에 가장 근접하는 값을 획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중된 ICLD 값이 1.4이고, 미리 설정된 코드북은 0 및 2와 같은 값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획득된 값은 2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디코딩된 스테레오 오디오의 품질이 보장된다는 전제하에 전송된 비트를 감소하기 위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현재 가중된 ICLD 값과 이전에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5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직접적으로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과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가 먼저 계산되며, 그런 다음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획득한다. 다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는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따르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고,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스테레오 오디오를 반송하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스테레오 오디오 중 10 ms를 처리할 때, 4개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Normal을 처리하면, ICLD가 매 40 ms(4*10 ms)마다 갱신되는 것과 같으며, 이것은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으며, 게다가 ICLD가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이 실현될 수 없다. 종래기술에서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브프레임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 전송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여기서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은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201: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즉,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분석되며, 이에 따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CLD)가 획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를 획득하는 특정한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도 1에서의 단계 101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202: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및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은
Figure pct00024
에 따라 계산되고, 여기서 b는 제1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다.
선택적으로, sum(2)은 sum(1)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계산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203: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는 |sum(1)-sum(2)|<TH에 따라 판정되고, 여기서 TH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경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204: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sum(1)-sum(2)|<TH일 때, 이것은 제1 서브프레임의 ICLD가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에 근접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다
이 단계에서, L은 2이고, 임의의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제1 가중 인자는 fac1(i,b)=1/L=0.5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5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L=2이고, 임의의 프레임의 가중된 ICLD 값은: level(b)=[level(1,b)+level(2,b)]*0.5이다.
단계 205: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sum(1)-sum(2)|≥TH일 때, 이것은 제1 서브프레임의 ICLD가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와 크게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음의 3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방식 1은 전체 프레임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고, 방식 2는 현재 서브대역에 기초해서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며, 방식 3은 M개의 인접 서브대역에 기초하여,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방식 1을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6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i=1 또는 2이고, fac2=sum(1)/[sum(1)+sum(2)]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7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level(b)=fac2*level(1,b)+(1-fac2)*level(2,b)이다.
선택적으로, 방식 2를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계산된 ICLD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계산된 ICLD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8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i=1 또는 2이고,
fac2(b)=|level(1,b)|/[|level(1,b)+|level(2,b)|]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29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0<i≤L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L=2이고,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level(b)=fac2*level(1,b)+(1-fac2(b))*level(2,b)이다.
선택적으로, 방식 3을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계산된 ICLD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계산된 ICLD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30
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31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K개의 서브대역, 예를 들어, 서브대역 1, 서브대역 2, ..., 서브대역 K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1, 2, ..., K는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이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2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획득된 가중 인자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32
이 단계에서, 3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획득된 가중 인자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33
다른 양, 예를 들어 4 또는 5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가중 인자를 계산해야 할 때, M개의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가중 인자에 대한 전술한 일반 계산식을 참조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특정한 예를 참조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계산된 ICLD에 따라 제1 또는 제2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방식 2에서의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방법과 같으며, 여기서 L=2이고, 즉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level(b)=fac2(b)*level(1,b)+(1-fac2(b))*level(2,b)이다.
단계 206: 획득된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여기서 양자화 처리란 미리 설정된 코드북과 가중된 ICLD 값 간의 비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드북에 있으면서 가중된 ICLD 값에 가장 근접하는 값을 획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중된 ICLD 값이 1.4이고, 미리 설정된 코드북은 0 및 2와 같은 값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획득된 값은 2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디코딩된 스테레오 오디오의 품질이 보장된다는 전제하에 전송된 비트를 감소하기 위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현재 가중된 ICLD 값과 이전에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5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직접적으로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과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가 먼저 계산되며, 그런 다음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획득한다. 다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는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이 4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301: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프레임은 4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를 획득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1에서의 단계 101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302: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은
Figure pct00034
에 따라 계산되며, 여기서 b는 제1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4이다.
단계 303: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과 상기 j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는 |sum(i)-sum(j)|<TH에 따라 판정되고, 여기서 TH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경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04: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sum(i)-sum(j)|<TH일 때, 이것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가 j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에 근접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이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다
이 단계에서, L은 4이고, 제1 가중 인자는 fac1(i,b)=1/L=0.25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35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Figure pct00036
이다.
단계 305: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다.
|sum(i)-sum(j)|≥TH일 때, 이것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가 j번째 서브프레임의 ICLD와 크게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모든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 또는 일부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 그리고 다른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sum(1)-sum(2)|≥TH일 때, |sum(1)-sum(3)|≥TH, |sum(1)-sum(4)|≥TH, |sum(2)-sum(3)|≥TH, |sum(2)-sum(3)|≥TH, 및 |sum(3)-sum(4)|≥TH이거나; 또는 |sum(1)-sum(2)|≥TH일 때, |sum(1)-sum(3)|≥TH, |sum(1)-sum(4)|<TH, |sum(2)-sum(3)|<TH, |sum(2)-sum(3)|<TH, 및 |sum(3)-sum(4)|<TH이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2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음의 방식을 사용하여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방식 1은 전체 프레임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고, 방식 2는 현재 서브대역에 기초해서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며, 방식 3은 M개의 인접 서브대역에 기초하여,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방식 1을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37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L=4이고,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는
Figure pct00038
에 따라 계산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39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 단계에서, L=4이고,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Figure pct00040
에 따라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방식 2를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41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i=4이고,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는
Figure pct00042
에 따라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43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0<i≤L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 단계에서,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Figure pct00044
에 따라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방식 3을 사용하여 가중 처리를 수행할 때, 이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45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46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K개의 서브대역, 예를 들어, 서브대역 1, 서브대역 2, ..., 서브대역 K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1, 2, ..., K는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이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는 2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다음에 따라 획득된다:
Figure pct00047
또한, 선택적으로, 이 단계에서,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는 3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다음에 따라 획득된다:
Figure pct00048
다른 양, 예를 들어 4 또는 5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가중 인자를 계산해야 할 때, M개의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가중 인자에 대한 전술한 일반 계산식을 참조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이에 대해서는 특정한 예를 참조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제2 가중 인자 및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2 가중 인자 및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방식 2에서의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방법과 같으며, 즉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은:
Figure pct00049
이다.
단계 306: 획득된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여기서 양자화 처리란 미리 설정된 코드북과 가중된 ICLD 값 간의 비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드북에 있으면서 가중된 ICLD 값에 가장 근접하는 값을 획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중된 ICLD 값이 1.4이고, 미리 설정된 코드북은 0 및 2와 같은 값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획득된 값은 2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디코딩된 스테레오 오디오의 품질이 보장된다는 전제하에 전송된 비트를 감소하기 위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현재 가중된 ICLD 값과 이전에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5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직접적으로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할 때,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과 제1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 간의 차이가 먼저 계산되며, 그런 다음 그 계산된 차이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획득한다. 다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는 제2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의 양자화 결과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이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될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2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 동안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기술에서 획득되는 분할 신호대잡음비(segmental signal-to-noise ratio, SSNR)는 3.63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3 dB이다. SSNR 값이 크다는 것은 인코딩 및 디코딩 처리 후의 오디오가 원래의 오디오에 더 근접하게 된다는 의미이며, 즉 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0.1 dB 이상으로 SSNR을 증가시킨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종래기술에서 획득된 SSNR은 3.59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2 dB이며, 테스트 결과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획득된 테스트 결과에 근접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고,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인코딩된 비트 레이트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상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오디오 디코더에서, 양자화 처리 후에 입력 스테레오 오디오 비트 스트림이 수신되고, 이 비트 스트림을 분석하여 K(K≥12)개의 서브대역의 ICLD를 획득하며,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 값을 이에 상응해서 각각의 현재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로서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디코딩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비트 스트림을 분석한 후, 서브대역 1의 획득된 ICLD는 A이고, 서브대역 2의 획득된 ICLD는 B이고, 서브대역 3의 획득된 ICLD는 C이며, 계속 이와 같이 된다. 현재 프레임이 L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서브대역 1의 ICLD는 A이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서브대역 2의 ICLD는 B이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서브대역 3의 ICLD는 C이며, 계속 이와 같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에 따르면, 양자화 처리 후에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비트 스트림이 디코딩된 후, 상대적으로 고품질의 스테레오 오디오가 획득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저비트 레이트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인코더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수신 유닛(501), 분석 유닛(502), 계산 유닛(503), 제1 가중 처리 유닛(504), 및 제2 가중 처리 유닛(505)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501)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석 유닛(502)은 수신 유닛(501)에 의해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많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실제의 응용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일정한 양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은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4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12개의 서브대역을 포함한다.
ICLD는 스테레오 오디오 소스의 수평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오디오 채널 간의 강도 차이를 설명하며, 이 파라미터는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
계산 유닛(503)은 분석 유닛(502)에 의한 분석에 의해 획득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가중 처리 유닛(504)은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가중 처리 유닛(505)은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모든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 또는 일부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 그리고 다른 차이의 절댓값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계산 유닛(503)은 분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한 후, 그리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제1 가중 처리 유닛(504)이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기 전에, 또는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가중 처리 유닛(505)이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기 전에,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중 처리 유닛(504)은: 제1 계산 모듈(5041) 및 제2 계산 모듈(5042)을 포함한다.
제1 계산 모듈(5041)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다.
제1 계산 모듈(5041)은: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낸다.
제2 계산 모듈(5042)은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계산 모듈(5042)은:
Figure pct00050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가중 처리 유닛(505)은: 제3 계산 모듈(5051), 제4 계산 모듈(5052), 및 제5 계산 모듈(5053)을 포함한다.
제3 계산 모듈(5051)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또는 제4 계산 모듈(5052)은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 계산 모듈(5053)은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전체 프레임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계산할 때, 상기 제3 계산 모듈(5051)은:
Figure pct00051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현재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계산할 때, 상기 제4 계산 모듈(5052)은:
Figure pct00052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M개의 인접 서브대역의 ICLD에 기초해서 서브대역 단위로 가중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계산할 때, 상기 제4 계산 모듈(5052)은:
Figure pct00053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54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K개의 서브대역, 예를 들어, 서브대역 1, 서브대역 2, ..., 서브대역 K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1, 2, ..., K는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5 계산 모듈(5053)은:
Figure pct00055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장치에서, 각각의 모듈의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 및 모듈 간의 정보 교환과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개념에 근거하므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이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될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2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 동안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기술에서 획득되는 분할 신호대잡음비(segmental signal-to-noise ratio, SSNR)는 3.63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3 dB이다. SSNR 값이 크다는 것은 인코딩 및 디코딩 처리 후의 오디오가 원래의 오디오에 더 근접하게 된다는 의미이며, 즉 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0.1 dB 이상으로 SSNR을 증가시킨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종래기술에서 획득된 SSNR은 3.59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2 dB이며, 테스트 결과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획득된 테스트 결과에 근접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고,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인코딩된 비트 레이트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상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스테레오 오디오를 처리하는 인코더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수신기(701), 메모리(702), 및 프로세서(703)를 포함한다.
수신 유닛(701)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702)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703)는 수신기(701) 및 메모리(702)에 접속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정보에 따라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 ; 분석 유닛에 의한 분석에 의해 획득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은: 모든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 또는 일부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 그리고 다른 차이의 절댓값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많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실제의 응용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일정한 양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은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4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12개의 서브대역을 포함한다.
ICLD는 스테레오 오디오 소스의 수평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오디오 채널 간의 강도 차이를 설명하며, 이 파라미터는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03)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한 후, 그리고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기 전에,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기 전에,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며,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구체적으로: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구체적으로:
Figure pct00056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거나,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이며;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며; 그리고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Figure pct00057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Figure pct00058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으로,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Figure pct00059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60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K개의 서브대역, 예를 들어, 서브대역 1, 서브대역 2, ..., 서브대역 K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1, 2, ..., K는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2 가중 인자 및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할 때, 프로세서(703)는:
Figure pct00061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장치에서, 각각의 모듈의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 및 모듈 간의 정보 교환과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개념에 근거하므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이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될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2개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 동안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기술에서 획득되는 분할 신호대잡음비(segmental signal-to-noise ratio, SSNR)는 3.63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3 dB이다. SSNR 값이 크다는 것은 인코딩 및 디코딩 처리 후의 오디오가 원래의 오디오에 더 근접하게 된다는 의미이며, 즉 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0.1 dB 이상으로 SSNR을 증가시킨다.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전송 프로세스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종래기술에서 획득된 SSNR은 3.59 dB이지만,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 후에 획득된 SSNR은 3.72 dB이며, 테스트 결과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획득된 테스트 결과에 근접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에 따라, 서브프레임 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의 ICLD에 대해 가중 처리를 수행하고, 가중된 ICLD 값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인코딩된 비트 레이트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신호가 급변하는 경우나 패킷 손실의 경우에 디코딩된 스테레오 신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상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이는 그 부분들이 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도 전술한 실시예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방식에 대한 설명에 근거하여,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에 더하여 소프트웨어로 실현될 수 있거나, 전용의 집적회로, 전용의 CPU, 전용의 메모리, 전용의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는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전자가 바람직한 실행 방식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기술적 솔루션 또는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USB 플래시 드라이브,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의 구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장치 및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유사하므로 간략하게 설명되었으며, 그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그 방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하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18)

  1.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으로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는 단계 -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 ;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획득된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62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63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64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65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66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Figure pct00067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방법.
  10.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로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스테레오 오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CLD)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유닛 - 각각의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 ;
    상기 분석 유닛에 의한 분석에 의해 획득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계산 유닛;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를 제1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가중 처리 유닛;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합 간의 차이의 절댓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제2 가중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가중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 처리 유닛은,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계산 모듈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및
    상기 제1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계산 모듈
    을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산 모듈은,
    fac1(i,b)=1/L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1(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1 가중 인자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68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 값을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 처리 유닛은,
    상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임의의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ICLD의 절댓값의 계산된 합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계산 모듈 - 여기서 i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i≤L이며, L은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의 양이며, L≥2이며, 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서브대역을 나타내고, 0<b≤K이며, K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K≥12임 - ; 또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계산 모듈; 및
    상기 제2 가중 인자 및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계산 모듈
    을 포함하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69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고, sum(i)은 i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sum(j)은 j번째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대역의 ICLD의 절댓값의 합을 나타내고, j는 임의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이며, 0<j≤L인,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70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고, level(j,b)는 j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71
    에 따라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M은 인접 서브대역의 양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72
    은 인접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와 현재 서브대역의 인덱스 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계산 모듈은,
    Figure pct00073
    에 따라 상기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level(b)는 임의의 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가중된 ICLD 값을 나타내고, fac2(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제2 가중 인자이며, level(i,b)는 i번째 서브프레임의 b번째 서브대역의 ICLD를 나타내는, 채널간 레벨 차이 처리 장치.
KR1020157032153A 2013-07-16 2014-01-04 채널간 레벨 차이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730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98100.2A CN104299615B (zh) 2013-07-16 2013-07-16 一种声道间电平差处理方法及装置
CN201310298100.2 2013-07-16
PCT/CN2014/070131 WO2015007075A1 (zh) 2013-07-16 2014-01-04 一种声道间电平差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802A true KR20150140802A (ko) 2015-12-16
KR101730362B1 KR101730362B1 (ko) 2017-04-26

Family

ID=5231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153A KR101730362B1 (ko) 2013-07-16 2014-01-04 채널간 레벨 차이 계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02615B2 (ko)
EP (1) EP2977984B1 (ko)
JP (1) JP6106336B2 (ko)
KR (1) KR101730362B1 (ko)
CN (1) CN104299615B (ko)
BR (1) BR112015030201A2 (ko)
WO (1) WO2015007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9284B2 (en) * 2016-02-12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of multiple high-band audio signals
GB201909715D0 (en) 2019-07-05 2019-08-21 Nokia Technologies Oy Stereo audi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7535A (zh) * 2008-04-11 2011-04-20 诺基亚公司 信号处理
ATE538469T1 (de) * 2008-07-01 2012-01-15 Nokia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justieren von räumlichen hinweisinformationen eines mehrkanaligen audiosignals
EP2353160A1 (en) * 2008-10-03 2011-08-10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KR101710113B1 (ko) * 2009-10-23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정보와 잔여 신호를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EP2323130A1 (en) * 2009-11-12 2011-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rametric encoding and decoding
CN102157151B (zh) * 2010-02-11 2012-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声道信号编码方法、解码方法、装置和系统
EP2375410B1 (en) * 2010-03-29 2017-11-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 spatial audio processor and a method for providing spatial parameters based on an acoustic input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30201A2 (pt) 2017-07-25
EP2977984A4 (en) 2016-06-29
KR101730362B1 (ko) 2017-04-26
CN104299615B (zh) 2017-11-17
US20160055856A1 (en) 2016-02-25
US10002615B2 (en) 2018-06-19
EP2977984A1 (en) 2016-01-27
EP2977984B1 (en) 2018-12-12
JP6106336B2 (ja) 2017-03-29
WO2015007075A1 (zh) 2015-01-22
JP2016522451A (ja) 2016-07-28
CN104299615A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234B2 (en) Hierarchical decorrelation of multichannel audio
US106076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based on speech enhancement metadata
KR102440104B1 (ko) 고차 앰비소닉스 표현을 압축 및 압축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43225B1 (ko) 오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에서의 컴퓨터 구현 방법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RU243971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JP7106711B2 (ja) マルチチャネル信号符号化方法、マルチチャネル信号復号方法、エンコーダ、およびデコーダ
JP2022137052A (ja) マルチチャネル信号の符号化方法およびエンコーダ
US9978379B2 (en) Multi-channel encoding and/or decoding using non-negative tensor factorization
US20240161755A1 (en) Inter-Channel Phase Difference Parameter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30362B1 (ko) 채널간 레벨 차이 계산 방법 및 장치
US9214158B2 (en) Audio decoding device and audio decoding method
US9672832B2 (en) Audio encoder, audio encod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215444A1 (en) Encoding of multi-channel audo signals comprising downmixing of a primary and two or more scaled non-primary input channels
EP2720223A2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udio encoding apparatus,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terminal adop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