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441A - Lighting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Lighting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441A
KR20150140441A KR1020140068190A KR20140068190A KR20150140441A KR 20150140441 A KR20150140441 A KR 20150140441A KR 1020140068190 A KR1020140068190 A KR 1020140068190A KR 20140068190 A KR20140068190 A KR 20140068190A KR 20150140441 A KR20150140441 A KR 20150140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connector
luminair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산홍
국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4006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0441A/en
Publication of KR2015014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4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A lighting control system is disclosed. The light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which is wired by integrating at least one line connected to various heating units or lamps on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a building, and can control power and dimming for each lamp by branching them from a use terminal.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LIGHTING CONTROL SYSTEM}[0001] LIGHTING CONTROL SYSTEM [

본 발명은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하부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라인을 통합하여 배선하고 이를 사용단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and wiring one or more lines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heaters or lighting lamps in a ceiling or floor of a building, To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근래 삶의 질의 향상과 더불어 조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대의 조명 장치는 단지 스위치로 등을 켜는 것 이상이 요구된다. 즉, 현대의 조명 장치는 실내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주변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등 보다 진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With the rece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ighting. Modern lighting devices require more than just turning on the lights with a switch. In other words, modern lighting apparatuses are evolving into a more evolved form, such as producing a variety of amb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room,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특히, 주상변압기 등으로부터 건축물로 인입된 전선은 전력량계를 거쳐 분전반에서 분기되어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천정내로 배선되거나, 벽체 내부를 통해 각종 스위치 및 아울렛(콘센트 또는 리셉터클) 등으로 배선된다. 또한 사무실 등과 같이 바닥이나 벽체로부터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별도의 바닥재 내에 배선이 시공되게 된다.Especially, the electric wire drawn into the building from pillar transformer, etc. is wired into the ceiling for lighting the lighting lamp by branching from the distribution board through the watt hour meter, or wired with various switches and outlets (receptacles or receptacles) through the wall. In addition, when electricity is not smoothly supplied from a floor or a wall, such as an office, the wiring is installed in a separate floor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배선된 전선을 분기시켜 복수의 조명등이나 스위치 및 아울렛 등으로 배선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456호로 천정배선 분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천정배선 등에 유리하도록 플러그가 동시에 5축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 구성되되, 5방면으로 접속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케이스의 각 접속 개구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5개의 암합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이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0456, a ceiling line branching device has been disclosed as a prior art technique in which an electric wire routed from the outside and branched from the outside is branched for wiring with a plurality of illumination lamps, switches, and outlets. In this prior art, a plug is formed of a receptacle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necting in five axial directions so that the plug can be opened to the ceiling wire or the like. The case is separated into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a receptacle that is seated inside the case and is formed by coupling five anchoring members corresponding in shape to respective connection openings of the case.

상기 천정배선 분기장치는 분기를 위한 도체로서 구리선을 사용하고, 각 도체간의 결합을 압착이나 납땜 등에 의한 접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결합 부위의 접속 상태에 따라 불균일한 단면적이 형성되어 전기저항의 증가로 발열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quadrature line branching device uses a copper wire as a conductor for branching and joins the joints of the conductors by crimping or soldering. Uneven cross-sectional areas are formed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joining portions, There was a risk of fire due to heat.

그리고 도체가 분기되는 리셉터클의 몸체는 사방 및 하부로 도체가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체의 배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체가 3개로 구성되어 설치 위치에 따라 길이 및 형상이 상이하며, 누전방지를 위하여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하는 경우에는 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도나 확산이 용이하지 않아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the body of the receptacle where the conductor is branched is formed so that the conductor is branched to the four sides and the bottom, and not onl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s is complicated, but also the length and the shap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is a structure that insulates the inside of the body. Therefore, when insulator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body, conduction or diffusion of heat generated in the conductor is not easy and the requir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may be degraded.

또한, 리셉터클로 전기 배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전기 배선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별되어 있지 않아 접속방향이 불분명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더욱이 리셉터클의 외주에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화재발생에 따른 취약성이 노출되어 있고, 리셉터클의 외주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는 별도로 접속을 위한 연결부분에 접속개구부와 암합부재 등을 취부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is drawn into the receptacle and the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is drawn out are not distinguished, the connection direction is unclear and errors due to the connection are likely to occur. Further,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ptacl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which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ptacle, And a connecting opening and an anchor member are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많은 주택, 사무실 및 산업 영역의 조명 기반 시설들은 전원의 제어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ALI(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통신을 사용하고, 조명과 관련된 디밍 회로(dimming circuit)들을 갖추고 있다.In addition, many residential, office and industrial lighting infrastructures typically use 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DALI) communications to facilitate power control and have lighting dimming circuit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전력과 통신케이블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 DALI시스템의 전원과 통신을 분리 시공시 불편하고, 인건비와 시공기간 증가에 따른 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llumination system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inconvenient in separating power and communication of a conventional DALI system because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are separately provided, and high costs are incurred due to an increase in labor costs and construction time.

종래에는 스위치제어단에서 각각의 등기구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스위치 라인이 전원과 함께 케이블이나 파이프 라인에 포함되어 배관배선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수 만큼에 해당하는 케이블들이 천정에 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관배선의 수가 많아지므로 이에 따른 공기가 늘어나고,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since separate switch lines for on / off control of each luminaire are included in a cable or a pipeline together with a power source in a switch control terminal, cabl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witches must be routed on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wiring increases and thus the air is increased, resulting in a large installation cost.

또한, 각 채널에 해당하는 스위치 라인을 분기구까지 배관배선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각 분기구에서는 해당 스위치라인과 해당 채널을 접속하는 접속점의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배관배선이 복잡해지고, 공기가 늘어나며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switch line corresponding to each channel must be piped to the branch mechanism. In each branch mechanism, the number of connection points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switch line and the corresponding channel increases, so that the piping wiring becomes complicated, Costs are incur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입된 배선을 복수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교차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연결부재와 접속된 커넥터에 신호처리모듈을 탑재하여 커넥터에서 처리된 신호를 각각의 등기구로 전송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connecting drawn-in wir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mounted on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or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인입된 배선을 복수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교차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커넥터와 사용단의 등기구사이에 신호처리모듈을 구성하고, 신호처리모듈에서 처리된 신호를 각각의 등기구로 전송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onnecting member which crosses in order to draw drawn wir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constitut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between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 lamp of a using end, To each of the lamps.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입구와 인출구를 구분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distinguishes an inlet and an outlet so as to prevent an error caused by a connection and allows quick construc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은,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커넥터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a luminaire,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luminair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ne and the power line to output a power source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of the luminaire, wherein the luminaire is connected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nector to turn on and / or dim the power source Dimming) control.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은,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과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등기구에 전원온오프와 디밍 신호를 인가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커넥터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a luminaire,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luminaire,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dimming of the lamp, and an SMPS tha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pplies a power- Switched-Mode Power Supply, the luminaire being connected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nector to enable on-off and / or dimming control of the power supply.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은,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a luminaire, a power line to be supplied to the luminair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to output power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of the luminaire, wherein the luminaire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turn on and / (Dimming) control.

상기 통신라인과 상기 전원라인은 하나의 입력포트와 둘 이상의 출력포트로 구성되어 입력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기구적으로 분배하여 각각의 출력포트로 출력하도록 하고, 다채널 분기장치는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안착홈과 지지바를 순차적으로 형성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형성한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는 누름바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are constituted by one input port and two or more output ports to mechanically distribute a signal input to the input port and output the signals to respective output ports, A lower cas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separating wall and a seating groove and a support bar sequentially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oward the inside thereof;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by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of the lower case,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bent part form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having a push bar for pressing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그리고, 하부케이스의 분리벽사이에 상기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의 높이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의 높이보다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낮게 형성하고,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접속부가 소정 길이 형성된 막대바 형상으로, 단부 일측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mounting recess may have a heigh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seated is great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sea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in a rod-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nnector connecting portions formed at one or both ends thereof,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astening hole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전선과 배관이 일체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전등, 전열, 소방 분기회로로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짧고, 시공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wire and the pipe are integrally constructed,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lamp is easy to use as the electric heat, the fire heat branching circuit, and the air is shor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smal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전원라인과 신호라인을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ignal line can be used in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전기적인 접촉을 단순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들로부터 필요한 신호를 커넥터나 또는 커넥터와 사용단 사이의 신호라인상에서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can be physically combined by the simple coupling,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the signal lin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eld.

그리고,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하부케이스내에 분리벽과 격벽, 안착홈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연결부재를 절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부에 오삽입방지편을 구성함으로써, 접속의 오류를 방지하고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wall, the partition and the mounting groove are formed in the lower case to effectively insulate the connection member, and also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member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용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제어시스템의 다체널 분기장치와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커넥터에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커넥터에 신호처리모듈과 SMPS를 구비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사용단 또는 케이블 상에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채널 분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채널 분기장치의 하부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12는 연결부재와 상부케이스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mbodiment of the use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and a connector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hav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hav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n SMPS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on a used terminal or a cabl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etai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6,
8 is a detai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and a connecting member of a multi-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8,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cas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module, " .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Also,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용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제어시스템의 다체널 분기장치와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신호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공통으로 전송하고, 이를 다 채널 분기장치에서 분기한 다음 신호처리모듈에서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and a connector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signal lines in common through a single cable or pipe, branches it in a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processes signals in a signal processing module, .

이를 위하여 AC 또는 DC로 전송되는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DATA Line(D1,D2;이하 통신라인이라 함)으로 구성되는 신호라인이 하나의 케이블(또는 파이프)(220)를 통하여 다채널 분기장치(100)로 공급하고, 다체널 분기장치(100)에서 분기된 신호를 신호처리모듈(320)에서 처리하여 각각의 등기구(350)로 전송되게 구성한다.To this end, a signal line consisting of power lines P1 and P2 transmitted by AC or DC and a data line D1 and D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line) used as a communication line is connected to one cable (or pipe) Channel branching apparatus 100.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processes the signals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100 and transmits the signals to the respective lamps 350. [

여기서 본 발명은 등기구의 개수에 해당하는 다채널 분기장치(100)를 사용하고, 신호처리모듈(320)은 다채널 분기장치(100)에 연결되는 커넥터(300)에 구성하거나 또는 다채널 분기장치(100)와 각 등기구(350) 사이의 케이블(360)에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uminaire is use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s configured in the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And the cable 360 between the lamp unit 100 and each of the lamp units 350.

다채널 분기장치(100)에 입력되는 신호라인은 전원제어와 통신에 필요한 4개의 라인(전원라인2, 통신라인2)을 전송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채널의 수에 해당하는 라인을 배선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Since the signal line input to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can transmit four lines (power supply line 2 and communication line 2) required for power control and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wire a li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hannels .

즉, 본 발명은 공통되는 전원라인과 데이터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라인수로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uild a facility with a minimum number of lines by using a common power line and a data communication line.

한편, 통신라인도 통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2개 라인(D1,D2)을 설정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라인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ommunication lin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which two lines D1 and D2 are set for normal data transmis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or more lines may be used.

이는 본 발명이 전원라인수나 통신 라인수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하나의 파이프에 삽입하여 다 채널 분기장치로 전송하고, 다채널 분기장치에서 분기된 신호를 각각의 신호처리모듈에서 처리하여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power lines and the number of communication lines, but it is possible to insert a power supply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into a single pipe and transmi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to a multi- Module so that the luminaire can be controlled.

결국 4개의 전송라인을 이용하고, 4개의 라인에 대한 접속점만 필요하게 되므로, 배선할 라인의 수도 줄어들고, 다 채널 분기장치(100)도 4개 라인에 대한 신호 분기만 행하면 되므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since four transmission lines are used and only a connection point for four lines is required, the number of lines to be wired is reduced, and the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100 can perform only signal branching to four lines. You can.

도 2를 참고하면, 제1 형상의 커넥터(300)가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채널 분기장치(100)에는 커넥터 접속부(210)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각 커넥터 접속부에는 제2 형상의 커넥터가 접속된다.2, one connector connector 210 is provided in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and each connector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second shape connector 300, .

여기서, 제1 형상과 제2 형상의 커넥터로 칭한 것은 다 채널분기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의 결과로 커넥터의 형상이 서로 달라야 정상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connectors of the first shape and the second shape are referred to as a connector because the shapes of the connecto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of a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so that a normal signal can be transmitted.

도 8을 참고하면, 커넥터 접속부(210)와 접속되는 커넥터(300)의 접속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속부의 일측에 오삽입방지편(111a)을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와 결합되는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300a)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여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8,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iece 111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so as to prevent a connection error of the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210 So that it can be correct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00a formed in the connector to prevent mis-inser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130)의 양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의 신호순서가 P1 내지 P4로 설정하면, 이와 대향되는 커넥터의 신호순서는 P4 내지 P1이 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커넥터를 접속하면 신호순서가 달라지므로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in the connecto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inking member 130, if the signal order of any one of the connectors is P1 to P4, If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signal sequence is changed, which may cause malfunction or breakage.

따라서, 뒤집어서 연결하여야 한다.Therefore, they must be turned upside down.

도 13을 참고하면, 오삽입방지편(111a)과 접속되는 커넥터에 삽입홈(300a)을 커넥터의 어느 한면에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게 접속되는 커넥터에는 삽입홈이 반대면에 형성하여 커넥터가 뒤집어져서 접속되게 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3, an insertion groove 300a is formed on one side of a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iece 111a,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to be opposite thereto, To be connected.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재(120)의 양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도 서로 방향이 반대방향이 커넥터의 삽입홈도 서로 반대면에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커넥터 접속부에 커넥터를 접속하더라도 오삽입방지편(111a)과 삽입홈(300a)의 결합으로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접속되게 하여야 한다.Likewise, the connecto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120 are also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s of the connectors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or is normally conne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insertion groove 300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다 채널 분기장치(100)에서 분기된 신호를 처리하여 등기구의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처리모듈(320)을 커넥터(300)에 설치한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등기구의 전원제어 및 디밍제어에 필요한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커넥터(300)에 일체형으로 조성하거나 또는 커넥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등기구의 인근에 구비된 SMPS로 인가되도록 구성한 것을 제2의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signals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to turn on / off and / or dimming the power of the lamp. (Switched-Mode Power Supply) required for power control and dimming control of each luminair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onnector 300, or a signal output from the connector And is applied to an SMPS provided near a lamp.

도 3 내지 도 5는 커넥터와 신호처리모듈, 그리고 SMPS의 전기적인 접속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3 to 5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according to a connector,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of the SMPS.

먼저 도 3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커넥터에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하나의 입력포트와 둘 이상의 출력포트로 구성되어 입력포트로 입력된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기구적으로 분배하여 각각의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다채널 분기장치(100)와, 다체널 분기장치에서 분기된 각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320)을 구비한 커넥터(300)와 커넥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는 등기구(350)로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3, a connector hav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line, which are formed of one input port and two or more output ports, A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for distributing the signals to the respective output ports, and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signals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each of the lamps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and a lamp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for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for the luminaire and a connector 300 connected to a signal output from the connector to turn on and / ) Controlled lamp (350).

신호처리모듈(320)은 커넥터 접속부를 통하여 인입된 전원라인_편의상 311,312번호를 전원 온오프라인으로 설정함_을 온오프제어하여 전기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라인(331,332)을 통하여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321)와, 인입된 통신라인_편의상 313,314를 디밍제어 신호로 설정함_을 입력받아 등기구(350)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밍통신부(323)와 인입된 통신라인으로부터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판독하여 전원스위칭부(321)를 온오프제어하고, 디밍통신부(323)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controls the on / off control of setting the number 311 and 312 to the power on / off line for the power lin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and outputs the on / off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lines 331 and 332 A dimming communication unit 323 for receiving the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of the lamp unit 350 and receiving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dimming control signal 313 and 314 on the incoming communication line,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from the control unit 322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switching unit 321 and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mmunication unit 323.

결국 다채널 분기장치(100)에서 분기된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커넥터(300)에 내장된 신호처리모듈(320)에서 처리하여 케이블(360)을 통하여 SMPS(340)에 신호를 공급하고, SMPS의 출력신호로 등기구(350)의 전원과 디밍이 제어되는 것이다.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ncorporated in the connector 300 processes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100 to supply a signal to the SMPS 340 via the cable 360, The power source and the dimming of the lamp 350 are controll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lamp.

또한, 도 4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커넥터에 신호처리모듈과 SMPS를 구비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하나의 입력포트와 둘 이상의 출력포트로 구성되어 입력포트로 입력된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기구적으로 분배하여 각각의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다채널 분기장치(100)와, 다체널 분기장치에서 분기된 각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320)과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등기구에 전원온오프와 디밍 신호를 인가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커넥터(300)의 내부에 설치하고, 커넥터의 출력 케이블에 접속된 등기구(350)가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4, the connector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n SMPS. The connector includes an input port and at least two output ports, a communication line input to the input port, and a power source A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for distributing lines mechanically and outputting the lines to respective output ports,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signals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each luminaire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A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a lamp and outputs a dimming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of the lamp, and an SMPS (power amplifier) 320 that receives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pplies a power- And the dimming control of the power source is performed by the lamp unit 350 connected to the output cable of the connector, All.

즉, 도 3의 제1 실시예와 도 4의 제2 실시예는 SMPS가 커멕터내에 구성된 것인가 또는 등기구의 인근에 구비된 것인지에 따라 서로 구별된다.That is, the first embodiment of FIG. 3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whether the SMPS is built in the connector or the vicinity of the luminaire.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단지 커넥터만 구비하여, 소정 장소에 설치된 LED 등으로 구성된 등기구와 접속만 하면 되므로, 어떠한 종류의 등기구에도 직접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nce only the connector is provided and only the lamp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ace,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y kind of lamp, so that the lamp can be controlled more easily.

또한, 도 5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사용단 또는 케이블 상에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신호처리모듈(320)이 커넥터에 구성된 것이 아니라, 커넥터와 등기구 사이의 케이블에 설치되거나 또는 등기구에 설치되어 다 채널분기장치에서 분기된 신호를 커넥터는 단지 연결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5,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ma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module on a cable or a cable,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able between a connector and a luminaire, or a signal installed in a luminaire and branched from a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is used as a means of connecting only the connector.

따라서, 이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모듈(320)과 SMPS(340) 그리고 등기구(350)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신호처리모듈(320)만 케이블(360)상에 구성하고, SMPS를 등기구 인근에 설치할 수도 있고, 신호처리모듈(320)과 SMPS(3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커넥터와 등기구 사이의 케이블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4,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the SMPS 340, and the luminaire 35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onl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s configured on the cable 360, The SMPS may be installed near the lamp, or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and the SMPS 34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stalled on the cabl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lamp.

다 채널 분기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분전반 등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을 배전함에 있어서, 신호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공통으로 전송하고, 등기구의 인근에 설치하여 해당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from a distribution board or the like through a single cable or pipe, and is installed near a lamp, As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의한 다채널 분기장치에 관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4-0055325호(다 채널 분기장치)에 개시된 다 채널 분기장치를 인용하여 설명할 뿐, 이에 국한하지 않고 통상의 기구적인 접촉을 통하여 하나의 입력신호를 둘 이상의 출력신호로 분기하는 분기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6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is made to Application No. 10-2014-0055325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hannel branching device but also to a branching device for branching one input signal into two or more output signals through a normal mechanical contact.

도 6은 본 발명의 다채널 분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채널 분기장치의 하부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12는 연결부재와 상부케이스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etai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6, and FIG. 8 is a detai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FIG. Fig.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장치는 복수의 연결부재(120,130)와 다수 개의 접속부를 구비한 하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10)와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60)를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부재(120,130)를 통하여 케이스 내로 인입된 신호를 분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multi-channel bra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0 and 1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nd an upper case 160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in a face-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branching signals inputted into the case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0 and 130. [

먼저, 하부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복수 방향으로 각각 접속부(210)가 돌출된 형태이고, 상부케이스(16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First, the lower case 1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210 are protrud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respectively, and has a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upper case 160.

접속부(210) 중에서 어느 한 접속부로 신호가 인입되고, 다른 모든 접속부는 신호가 인출된다. 즉 4개의 접속부 중에서 하나의 접속부로는 전기를 비롯한 신호가 인입되고, 다른 3개의 접속부는 신호가 인출된다. 따라서 전기가 인입되는 접속부의 단부 구조와 전기가 인출되는 접속부의 단부의 구조는 상이할 것이다. A signal is input to one of the connections 210, and all other connections are signaled. That is, a signal including electricity is input to one connection section among the four connection sections, and a signal is taken out from the other three connection sections.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lectricity is drawn and the structur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lectricity is drawn will be different.

또한, 접속부(210)와 접속되는 커넥터(300)의 접속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속부의 일측에 오삽입방지편(111a)을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와 결합되는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a connection error of the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0,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iece 111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Not shown) formed therein.

커넥터(300)의 단부에는 전선이 결합되어 있고, 전선은 복수의 전선이 다발로 내장된 가요성 알루미늄 피(皮; 껍질)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다.A flexible aluminum skin cabl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are bundled can be wired to the end of the connector 300 and the electric wire can be wired.

따라서 커넥터(300)는 다채널 분기장치(100)의 어느 한 접속부(210)를 통하여 연결부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신호를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nector 30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member through one of the connection portions 210 of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00 to draw out or input the signal.

각 접속부(210)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111)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과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내측으로 안착홈(116)을 형성하고, 안착홈(116)의 인근 내측에 서로 다른 높이의 제1지지바(113)와 제2지지바(114)를 형성된다.And at least one separating wall 111 is formed on an inner side adjacent to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210 and a receiving groove 116 is formed inwardly at a position between the separating wall and the separating wall inwardly thereof, A first support bar 113 and a second support bar 114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formed.

또한, 상부 케이스(160)와의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하부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제4 지지바(119)에 상부케이스(160)의 결합홀(161)을 일치시키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In order to engage with the upper case 160, a coupling hole 161 of the upper case 160 is aligned with a fourth support bar 119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t a corner portion, and a bolt, As shown in Fig.

하부 케이스(110)에는 인접하는 연결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벽(111)을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case 110 may be formed with a separating wall 111 for separating adjacent connecting members.

이러한 분리벽은 절연체로서 하부케이스와 동시 또는 분리하여 합성수지등으로 사출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10)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20,13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uch a separating wall may be injected with synthetic resin or the like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with the lower case as an insulator, and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necting members 120 and 130 disposed in the lower case 110.

분리벽(111)은 하부케이스(110)의 외주연을 따라 그 인근에 일정간격으로 격벽을 형성하도록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분리벽 사이에 후술하는 연결부재의 접속단자가 안착되어 각각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separating wall 111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so as to form partition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se 110, Terminals are seat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분리벽(111)의 일측에서 접속부로 연장되는 위치에 오삽입방지편(111a)을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와 결합되는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여 접속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iece 111a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parating wall 111 to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111 So that connection errors can be prevented.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111)이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각 6개 씩의 제1 연결부재(130)와 제2연결부재(120)가 공간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를 예시한다.7, at least one separating wall 111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ix connecting members 13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Spatially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또한, 분리벽(111) 사이의 위치로부터 그 내측으로는 각각의 연결부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16)과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를 각는 제1,2지지바(113,11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from the position between the separating walls 111, there are provided a seating groove 116 for seating the respective connecting members, and a second supporting bar (113, 114) are sequentially formed.

안착홈(116)은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요철 형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격벽(115)으로 기둥을 형성하고 격벽 사이가 안착홈이 되도록 하여 각 연결부재가 분리되도록 한다.The mounting groove 116 is formed as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so as to form a column with a partition wall 115, do.

제1,2 지지바(113,114)는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그 상부 중앙에 홀을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113 and 114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제1지지바(113)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의 배면을 지지하고, 이와 단차지게 형성된 제2지지바(114)에는 제2 연결부재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2 연결부재가 단차를 갖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The first supporting bar 113 supports a rear surface of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114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upporting bar 113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have stepped portions.

이와 더불어, 제1 지지바(113)와 연관되는 제1 안착홈(116)과 제2 지지바(114)와 연관된 제2 안착홈(117)도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groove 116 associated with the first support bar 113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17 associated with the second support bar 114 are constructed at different heights.

따라서, 분리벽 사이의 밑면의 높이와, 지지바의 높이, 안착홈의 높이를 동일하게 구성하여야 연결부재가 안정되게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bar, and the height of the mounting groove must be the same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tably mounted.

또한, 제1,2 안착홈(116,117)의 폭과, 분리벽사이의 간격은 탑재되는 연결부재의 너비에 따라 그 형성 간격도 달라질 것이다.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16 and 117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artition walls will vary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to be mounted.

한편, 제1,2 연결부재를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3 지지바(118)를 제1,2 연결부재의 결합부를 따라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케이스(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are coupled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the third support bar 118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0 alo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So that they can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도 7을 참고하면, 제1, 2 연결부재의 결합 부분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120b)가 체결되는 제3 지지바(118)가 사각형의 하부케이스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7, a third support bar 118, to which a fastening member 120b such as a screw is fastened, is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a rectangular lower case, at an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110)는 가로 및 세로로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격자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case 110 has a lattic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s can be dispos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연결부재는 하부케이스(110)내에 탑재되어 인입 접속구로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의 출력 접속구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서로 교차되게 탑재한 다음,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구성하는 것이다.The connecting member is mounted in the lower case 110 so as to be crossed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so as to output a signal input to the inlet connection port to each output connection port, To be contacted.

이를 위하여 연결부재는 금속재질의 막대바 형상으로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 접속단자를 구성한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to a rod-shaped bar made of metal and constitutes a connector connecting terminal at one end or both ends thereof.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130)는 하부 케이스(110)의 제1 안착홈(117)에 안착되고 제1지지바(113)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11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안착된다. 7 and 8,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3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7 of the lower case 110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bar 113, And are se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때, 분리벽(111)의 외부로는 제1 연결부재(130)의 접속단자(131)가 돌출되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131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protrudes outside the separation wall 11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30)는 양단이 인입 접속부와 인출 접속부로 사용되는 것이나, 인입접속부와 인출접속부가 막대바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와 분리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may be used as both a lead-in connection portion and a lead-out connection portion, or in a form in which the lead-in connection portion and the lead-

제2 연결부재(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분리벽(111) 사이에 제1 연결부재(130)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제1 연결부재(130)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123)를 형성하여, 종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안착된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111 of the lower case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and has a first connection member 130, A bent portion 123 is formed in which electrical contact is made, and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9를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20)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 접속단자(124)가 소정 길이 형성된 금속의 막대바 형상이며, 단부 양측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관통하는 제1결합공(122c)과 제2결합공(122d),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122b)을 형성한다.9,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20 are in the shape of a bar bar made of a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s 124 at one or both ends thereof, A first engaging hole 122c and a second engaging hole 122d through which the projection 112 penetrates and a fastening hole 122b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one of the engaging holes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

더불어, 제2 연결부재(120)는 소정 위치에 하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22a)가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130)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20 is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tha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can be physically contacted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by forming a bent portion 122a bent downward.

이러한 절곡부(122a)의 높이는 제1지지바(113)와 제2지지바(114)의 단차 만큼 굴곡시켜 제1 지지바(113) 및 제2 지지바(120)에 각각의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20) 탑재시 절곡부(122a)의 밑면이 제1 지지바(113)의 상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정도의 높이를 구성한다.The height of the bent portion 122a is bent by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bar 113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114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bar 113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The bottom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22a is physic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bar 113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are mounted.

도 10의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130), 그리고 제2 연결부재(120)의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체결부재(120b)에 의하여 하부케이스(110)의 제3지지바(118)와 체결고정되도록 형성된다.1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bent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2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third member 130 of the lower case 11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120b.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upport bar 118.

도 11의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연결부재와 접속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를 참고하면, 하부케이스(110)에 제1 연결부재(130), 그리고 제2 연결부재(120)의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체결부재(120b)에 의하여 하부케이스(110)의 제3지지바(118)와 체결고정되어 있고,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연결부재의 결합공을 관통하고, 체결부재(120a)가 순차적으로, 연결부재의 체결공(122b), 제1,2 지지바(113,114)에 지지되도록 체결된다.Referring to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case of FIG. 11,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bent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case 110 The fixing protrusion 112 of the lower case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120a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120b to the third supporting bar 118 of the lower case 110. [ Are sequentially fastened to be supported by the fastening holes (122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113, 114) of the connecting member.

상부케이스(160)는 하부케이스와 결합되어 하부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된 연결부재(120,13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며, 덮개 기능을 도모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upper case 1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as to prevent and fix the flow of the connecting members 120 and 130 disposed in the lower case 110,

이를 위하여 하부 케이스(11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결합홀(161)을 통하여 하부케이스의 제4 지지바(119)에 일치시키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firmly engage with the lower case 110, it is configured to be aligned with the fourth support bar 119 of the lower case through a coupling hole 161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and to be coupled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nut do.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의 결합을 통하여 각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누름바(162)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push bars 162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so as to press on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o prevent the flow.

누름바(162)는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하향 돌출되게 구성하여 누름바(162)가 하부케이스(110)의 분리벽(111)사이로 돌출되는 연결부재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부 커넥터의 착탈시 연결부재의 접속부(131)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ush bar 162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upper case so that the push bar 162 can pres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ding between the separating walls 111 of the lower cas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ng portion 131 of the connecting member from flowing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도 12의 연결부재와 상부케이스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상부케이스(160)의 누름바(162)가 각 연결부재에서 양 단을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case of Fig. 12, the push bars 162 of the upper case 160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ressing both ends of each connecting member.

이러한 누름바(162)의 길이는 각 연결부재가 하부케이스와의 결합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push bars 162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each connect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lower case.

그리고, 신호처리모듈(320)에는 신호처리모듈품들이 연결부재와의 전자기적 영향을 배제하고, 유동시 연결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드 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may include a shield case (not shown) for eliminating the electromagnetic influenc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preventing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during the flow.

이러한 실드케이스를 신호처리모듈에 탑재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such a shield case is mounted 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s gener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구성의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3과 같이 신호처리모듈만 커넥터에 탑재된 경우에는 부하측으로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을 포함하는 신호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공통으로 전송하고, 등기구의 인근에 본 발명의 다채널 분기장치를 설치하고, 다채널 분기장치에서 커넥터를 통하여 분기된 전원온오프신호와 디밍제어신호가 등기구에 설치된 SMPS(340)로 입력하면, SMPS(340)는 각각의 등기구(35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과 디밍을 제어한다.In the case where onl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connector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lines including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re commonly transmitted through the single cable or pipe to the load side, The SMPS 340 supplies a power on / off signal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branched from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to the SMPS 340 installed in the luminaire, And outputs a power on / off signal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power supply and dimming.

이때, SMPS(340)는 통상 등기구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전원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MPS 340 may be generally integrated with the lamp, but may be installed separately or as a separate power supply.

또한, 도 4와 같이 신호처리모듈과 SMPS를 커넥터에 탑재한 경우는 설치하고자 하는 것에 다 채널 분기장치를 설치하고, 커넥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바로 등기구에 접속하면 전원제어와 디밍 제어를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SMPS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as shown in Fig. 4, a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is provided for the installation, and power supply control and dimming control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signals output from the connector directly to the luminaire .

그리고 도 5와 같이 신호 처리모듈을 등기구 인근에 설치한 경우에는 설치된 다 채널 분기장치에서 커넥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처리모듈에 접속하여 해당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s installed near the lamp unit as shown in FIG. 5,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connector in the installed multi-channel branch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control power and dimming of the corresponding lamp unit.

이 경우, 다 채널 분기장치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삽입홈을 구비한 것처럼, 각각의 SMPS, 또는 신호처리모듈, 등기구와 접속되는 커넥터에도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삽입방지편과 삽입홈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s in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groove, the connector connected to each SMP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lamp is provided with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iece and an insertion groove .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다채널 분기장치
110 : 하부케이스 111 : 분리벽
113,114, 118,119 : 지지바 116 : 안착홈
120 : 제2 연결부재 122a : 절곡부
124 : 접속단자 130 : 제1 연결부재
160 : 상부케이스 162 : 누름바
210 : 접속부 300 : 커넥터
320 : 신호처리모듈 340 : SMPS
350 : 등기구 360 : 케이블
100: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110: lower case 111: separating wall
113, 114, 118, 119: support bar 116:
120: second connecting member 122a:
124: connection terminal 130: first connection member
160: upper case 162: push bar
210: connector 300: connector
320: Signal processing module 340: SMPS
350: Luminaire 360: Cable

Claims (7)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을 구비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커넥터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는 조명 제어 시스템.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the luminaire;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amp;
A connector hav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a power supply line to output power of a lamp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luminaire is connected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nector to power on / off and / or dimming control.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과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등기구에 전원온오프와 디밍 신호를 인가하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구비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커넥터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는 조명 제어 시스템.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the luminaire;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amp;
A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to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dimming of the luminair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apply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signals to the luminaire A connector having a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Wherein the luminaire is connected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nector to power on / off and / or dimming control.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신호에 접속되어 전원의 온오프 및/또는 디밍(Dimming)제어되는 조명 제어 시스템.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power on / 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the luminaire;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amp;
A signal process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to output a power source of the lamp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And wherein the luminaire is connected to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power on / off and / or dimming control.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라인과 상기 전원라인은
하나의 입력포트와 둘 이상의 출력포트로 구성되어 입력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기구적으로 분배하여 각각의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다채널 분기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조명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single input port and two or more output ports, for distributing signals input to the input port mechanically and outputting the signals to respective output port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분기장치는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안착홈과 지지바를 순차적으로 형성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형성한 제2 연결부재;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는 누름바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ulti-channel branching device
A lower cas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having a seating groove and a supporting bar sequentially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at least one separating wall and an inside of the separating wall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member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lower case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and is disposed at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A second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walls of the lower case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bend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and having a push bar for pressing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ward;
≪ / RTI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분리벽사이에 상기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의 높이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의 높이보다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낮게 형성된 조명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eight of a first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seated is greater than a height of a second seating groov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seated,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on which the member is sea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접속부가 소정 길이 형성된 막대바 형상으로,
단부 일측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
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d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nnector connecting portions at one end or both ends thereof,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lower case passes at one end thereof;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upling hole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 / RTI >













KR1020140068190A 2014-06-05 2014-06-05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501404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190A KR20150140441A (en) 2014-06-05 2014-06-05 Lighting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190A KR20150140441A (en) 2014-06-05 2014-06-05 Lighting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41A true KR20150140441A (en) 2015-12-16

Family

ID=550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190A KR20150140441A (en) 2014-06-05 2014-06-05 Lighting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044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287A (en) Lighting and power system and connectors therefor
US7826202B2 (en)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for a building
AU2003273622B2 (en) Electrical wiring for buildings
US7401946B2 (en) Modular wiring for linear lighting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5445539A (en) Electrical wiring device for power control with low voltage input
US4689493A (en) Centralized switching circuit for building electrical network
US20100018739A1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KR101710281B1 (en) Linear lighting device capable of wire-communication
CN106099561B (en) Universal electrical mounting system
CN101545792B (en) Wire distributed 5th jaw system for multi-position metering
EP2678903B1 (en) A modular electrical connection unit
KR20150140441A (en)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529276B1 (en) Muitiplexer
KR100734026B1 (en)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US11043806B2 (en) DC 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unit and system for a power grid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JP7466102B2 (en) Dimmer,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passing a dimmer through a mounting hole
US11984714B1 (en) Pass through junction box device
AU2013100509B4 (en) Easy connect power control module
AU709346B2 (en) Modula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nd switching system
CN107002956B (en) Equipment support for light belt lamp and light belt lamp
JP2024069052A (en) Wiring duct system and support members
US20180370462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system
KR101625759B1 (en) Case of wire distribution devic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