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180A - Optical cable - Google Patents

Optical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180A
KR20150140180A KR1020140068673A KR20140068673A KR20150140180A KR 20150140180 A KR20150140180 A KR 20150140180A KR 1020140068673 A KR1020140068673 A KR 1020140068673A KR 20140068673 A KR20140068673 A KR 20140068673A KR 20150140180 A KR20150140180 A KR 2015014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optical unit
units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0181B1 (en
Inventor
함형재
이유형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81B1/en
Publication of KR2015014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02B6/4433Double reinforcement laying in straight line with optical transmission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ble used for a quarter communications network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User work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a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is minimized. The optical cable comprises: a center line; a first optical unit layer prepared around the center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a second optical unit layer prepared around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and an outside sheath layer enclosing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Description

광케이블{OPTICAL CABLE}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동 광 통신망(PON)의 분기 통신망에 사용되는 광케이블로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직경이 최소화된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b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ble used in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in which an operator's workability is improved and a diameter is minimized.

최근 초고속 인터넷을 전화선 기반의 DSL(Digital Subscriber Line) 방식에서 광섬유 기반의 FTTH(fiber-to-the-home) 방식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accelerating transition from high-speed Internet to DSL (Digital Subscriber Line) based on a telephone line to fiber-to-the-home (FTTH) based systems.

FTTH(fiber-to-the-home) 방식의 통신망에서 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은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수동형 분기장치를 원격 노드(RN, remote node)로 사용하는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기반의 광가입자망 기술이다.In a fiber-to-the-home (FTTH) network, passive optical network (PON) technology uses a passive branch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power to be used as a remote node (RN) ) Based optical network technology.

PON 기술은 원격 노드의 종류와 이에 연계된 다중접속 방식에 따라 다시 두 가지로 분류되며,그 하나는 광-파워분기장치를 원격 노드으로 이용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PON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파장 분기장치를 원격 노드로 이용하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 기술이다.PON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types of remote nodes and the multiple access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One is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PON technology using optical-power branching device as a remote node, and the other is wavelength branching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ON technology that uses the device as a remote node.

현재 광-파워 분기장치를 원격 노드으로 이용하는 TDM-PON의 양대 기술인 1G-EPON과 G-PON은 기가급의 FTTH 구축이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으로서, 1G-EPON은 상향 및 하향 1Gb/s의 대역폭을 제공하면서 통상 최대 32 가입자가 대역폭을 공유하고, G-PON은 하향으로 2.5Gb/s, 상향으로는 1.25Gb/s를 제공하면서 통상 최대 64 가입자가 대역폭을 공유할 수 있다.1G-EPON and G-PON, which are two technologies of TDM-PON that use optical-power branching device as a remote node, enable Gigabit FTTH construction, and 1G-EPON has a bandwidth of 1Gb / s In general, up to 32 subscribers can share bandwidth while G-PON provides 2.5 Gb / s downward and 1.25 Gb / s upward.

이러한 TDM-PON망을 구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광학 스플리터(Optical Splitter)이다. An optical splitter is an essential element in constructing such a TDM-PON network.

이러한 망구성을 가지는 경우 스플리터(Splitter)는 접속함체 또는 분기함에 위치하게 되므로, 각 접속 함체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가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스플리터와 접속을 위해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In the case of having such a network configuration, the splitter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enclosure or the branch box, so that at least one splitter is mounted on each connection box as needed. And it connects with splitter using optical cable for connection.

수동 광 통신망(PON)의 광라인 단말(OLT)에서 스플리터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되는 분기 통신망의 연결을 위하여 광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광케이블로서 루즈튜브(Loose Tube) 방식의 광케이블이 있다. 루즈튜브(Loose Tube) 방식의 광케이블은 루즈튜브(Loose Tube) 방식의 광케이블 내에 복수 개의 광유닛을 구비하고, 각각의 광유닛은 루즈튜브 내에 다수의 광섬유를 수용하고, 방수를 위한 방수용 젤리가 충진되는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An optical cable can be used for connection of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user via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via a splitter. An optical cable used in such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is a Loose Tube There is optical cable. The optical cable of the Loose Tub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in a loose tube type optical cable. Each optical uni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in the loose tube and is filled with waterproof jelly for waterproofing Is often used.

루즈튜브 방식의 광케이블을 접속함체에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루즈튜브를 탈피한 후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먼저 각각의 광유닛을 구성하는 루즈튜브 내의 방수를 위하여 충진된 방수용 젤리를 먼저 제거하고 각각의 광섬유의 피복을 제거한 후 각각의 광섬유를 접속해야 한다. 루즈튜브 내의 방수용 젤리를 제거하는 과정은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하고, 하나의 루즈튜브 내의 복수 개의 모든 광섬유를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되지 않고 버려지는 다크 광섬유(dark fiber)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connecting a routed tube type optical cable to a connection housing, each loose tube must be detached and connected. Therefore, the waterproof jelly filled in the loose tube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must first be removed, and the respective optical fibers should be connected after removing the coating of each optical fiber. The process of removing the waterproof jelly in the loose tube requires a lot of work time of the operator and becomes a dark fiber which is not connected and discarded when a plurality of all optical fibers in one loose tube are not connected have.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루즈 튜브 방식이 아닌 타이트 버퍼 방식의 광유닛으로 구성된 광케이블이 소개된다. 타이트 버퍼 방식의 광유닛으로 구성된 광케이블은 주로 옥내용에 사용되었으며, 가공용 등의 옥외용 설치를 목적으로 증가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개수의 다심 광유닛을 구비하는 제품은 소개된 바도 없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ptical cable composed of a light buffer type optical unit other than a loose tube type is introduced. Optical cables composed of optical units of tight buffer type are mainly used for indoor use, and no products having a sufficient number of multi-optical units for meeting the increased demand for outdoor installation such as processing are not disclosed.

그리고, 기존의 광라인 단말(OLT)에서 스플리터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되는 분기 통신망 상의 각종 접속함 등의 장비를 교체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 사용되던 케이블에 비하여 직경 증가가 최소화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equipment such as various connection boxes on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user via a splitter in an existing optical line terminal (OLT), the increase in diameter should be minimized as compared with a cable used conventionally.

기존 통신망 환경, 타이트 버퍼 방식 그리고 다심의 조건을 함께 만족시키는 종래 제품은 하나의 광케이블 내에 복수 개의 서브 케이블을 구비하고, 각각의 서브 케이블의 쉬스층 내에 각각 복수 개의 타이트 버퍼 방식의 광유닛을 구비하는 예가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작업자가 광접속 작업시 접속함 하나의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케이블의 쉬스층을 탈피하여 접속되지 않는 모든 광유닛을 여장을 처리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광케이블의 직경도 기존 통신망 상의 장비에 적용하기에는 직경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products satisfying both the existing network environment, the tight buffering method and the multi-core condition include a plurality of sub-cables in one optical cable, and a plurality of tight buffer type optical units in the sheath layer of each sub- However, since the worker has to process all the optical units that are not connected by peeling off the sheath layer of all the sub-cables constituting one optical cable, th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and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ameter is large to be applied to the equipment on the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수동 광 통신망(PON)의 분기 통신망에 사용되는 광케이블로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직경이 최소화된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Disclosed herein is an optical cable used in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in which an operator's work convenience is improved and an optical cable with a minimum diameter is provid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선, 상기 중심선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 및 피복층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광유닛층, 상기 제1 광유닛층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 및 피복층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제2 광유닛층 및, 상기 제2 광유닛층의 둘레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optical unit layer including a center line, a center line, and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each including an optical fiber and a cover layer, A second optical unit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each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and a coating layer,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이 경우, 상기 제1 광유닛층 또는 상기 제2 광유닛층은 복수 개의 광유닛이 빈틈없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or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are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광유닛층은 복수 개의 광유닛 중 일부의 광유닛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art of the plurality of optical unit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일 수 있다.Further, the partition layer may be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그리고, 상기 보조 인장재는 아라미드얀, 글라스얀 또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may be any one of aramid yarn, glass yarn an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이 경우, 상기 보조 인장재 외측에 내부 쉬스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inner sheath layer may further be provided outside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그리고, 상기 내부 쉬스층 및 상기 외부 쉬스층 중 적어도 하나의 쉬스층 내측에 립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A rib cord may be provid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inner sheath layer and the outer sheath layer.

여기서, 상기 외부 쉬스층의 경도가 상기 내부 쉬스층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ard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is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inner sheath layer.

이 경우, 상기 외부 쉬스층은 D형 쇼어 경도가 55 이상인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sheath layer may be formed of a low smoke zero halogen (LSZH) material having a Shore D hardness of 55 or higher.

또한, 상기 제1 광유닛층 및 상기 제2 광유닛층에 구비된 광유닛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기 제2 광유닛층이 더 많을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ptical units inclu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may be the same or the number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s may be greater.

그리고, 상기 중심선은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 둘레를 감싸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nter line may include a center bar and a coating layer surrounding the center bar.

여기서, 상기 중심봉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강선, 강연선, 아라미드 강화플라스틱(ARP)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코팅층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LSZH(Low smoke zero halogen)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enter bar may be any one of a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a steel wire, a stranded wire and an aramid reinforced plastic (ARP).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E) or polyvinyl chloride (PVC) Or polyurethane.

이 경우, 각각의 광유닛층에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횡권된 적어도 하나의 방수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aterproof yarn which is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팅층에 의하여 코팅된 중심봉,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n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재유닛을 포함하는 n 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과 개재유닛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 층의 광유닛층, 상기 광유닛층 각각을 구획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유닛층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층 및,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center rod coated with a coating layer;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including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or at least one interposing unit around the center ro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layer, a partition layer disposed between each optical unit layer for partitioning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and a parti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ut of the optical unit layers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heath layer.

여기서, 상기 N층에 구비된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는 N-1층의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Here,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N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of the (N-1) th layer.

또한, 상기 N층에 구비된 개재유닛의 개수는 N-1층의 개재유닛의 개수와 같거나 클 수 있다.The number of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N lay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tervening units in the N-1 layer.

이 경우, 상기 N층의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 층을 제외한 N-1 개의 광유닛층은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이 인접하여 나란하고 빈틈없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1 optical unit layers other tha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f the N optical unit layers can be arranged adjacent to and in close proximity to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또한,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arti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 waterproof tape, and an inner sheath layer.

그리고,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optica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f the optical unit layer.

여기서,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과 상기 외부 쉬스층 사이에 보조 인장재 및 방수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nd a waterproof tape betwee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and the outer sheath layer.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전체 광유닛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광케이블 내의 낭비되는 공간을 줄여 광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tical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is the same, the wasted space in the optical cable can be reduced, and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전체 광유닛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광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무게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is the same,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weight and cost of the produc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작업자가 광접속함 등에서 광케이블에 포함된 일부 광유닛을 분기 접속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외피만을 제거하여도 복수 개의 광유닛이 층별로 노출되어 접속되는 광유닛 이외의 광유닛들의 여장 처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operator disconnects a part of optical units included in an optical cable in an optical connection box or the like,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are exposed except for one shel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ing of the hair processing of the optical units of FI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의 개수가 증대되어도 케이블의 직경 증가가 최소화되므로, 기존의 광라인 단말(OLT)에서 스플리터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되는 분기 통신망 상의 각종 접속함 등의 장비를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향상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tical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number of optical units constituting the optical cable is increased, the increase of the diameter of the cable is minimize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using equipment such as a connecting box without replacement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에 의하면, 외부 쉬스층의 경도를 내부 쉬스층 보다 크게 하거나 종래 사용되던 외부 쉬스층보다 크게 구성하여, 분기 통신망 상에서 복수 개의 광케이블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에도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tical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rd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is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sheath layer or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uter sheath layer, even when a plurality of optical cables are installed together on the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과 종래 광케이블의 직경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 중 일부가 개재유닛으로 대체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1 shows one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comparing diameters of optical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ntional optical fibers.
Figs. 6 to 8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part of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2 and 4 is replaced with an interven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제1 광유닛층(100) 및 제2 광유닛층(200)이 각각 24개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이 구비된 광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 shows one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in which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re each provided with 24 tight buffer optical units.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는 제1 광유닛층(100)에 16개 및 제2 광유닛층(200)에 32개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120, 220)이 구비된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having 16 tight buffer optical units 120 and 220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32 optical buffer units 200 and 220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do.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중심선(10), 상기 중심선(10)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121) 및 피복층(123)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120)을 포함하는 제1 광유닛층(100), 상기 제1 광유닛층(100)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221) 및 피복층(223)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220)을 포함하는 제2 광유닛층(200) 및,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의 둘레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280)을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fi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line 10 and a first optical fiber 12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provided around the center line 10 and each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121 and a coating layer 123, A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220 provided around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221 and a coating layer 223, And an outer sheath layer 28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상기 중심선(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길이방향 인장력 또는 압축력, 광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축력 및 상기 광케이블에 인가되는 모멘트에 의한 광섬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center line 10 may be provided to prevent optical fiber damage due to tensile force or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ive force applied toward the center of the optical cable, and moment applied to the optical cable.

따라서, 상기 중심선(10)은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봉(11)과 상기 중심봉(11)의 외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층(13)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er line 10 may include a center bar 1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a coating layer 13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bar 11.

여기서, 상기 중심선(10)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광유닛의 개수가 적은 경우 중심선(10)의 직경도 함께 감소되어야 하므로 상기 코팅층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반대로 광유닛의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층(13)이 구비되거나 그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Here, when the number of optical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disposed outside the center line 10 is small, the diameter of the center line 10 must also be reduced, so that the coating layer may be omitted. Conversely, when the number of optical units is increased, the coating layer 13 may be provided or its thickness may be increased.

상기 중심봉(11)은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상기 중심봉(11)을 구성하면 외부로부터 가해진 인장력, 압축력 또는 모멘트가 상기 중심봉(11)으로 집중되어 광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enter rod 11 may be mad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which is stronger than iron and lighter than aluminum. When the center rod 11 is formed of a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material, tensile force, compressive force, or moment a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concentrated on the center rod 11, and damage to the optical fiber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중심봉(11)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이외에도 아라미드 강화플라스틱(ARP) 등의 플라스틱 재질이나, 강선, 강연선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the center rod 1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an aramid reinforced plastic (ARP), or a metal material such as a steel wire or a stranded wire.

그리고, 상기 코팅층(13)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LSZH(Low smoke zero halogen)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층(13)은 외부에서 상기 광케이블(1)의 중심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더라도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압축력에 의한 광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13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low smoke zero halogen (LSZH) or polyureth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ating layer 13 can function as a cushion even if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optical cable 1 from the outside, so that damage of the optical fiber due to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prevent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을 구비하는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옥내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그 내부에 쿠션 기능을 구비하는 중심선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an optical cable having a conventional tight buffer type optical unit, it is general that it is mainly used as an indoor unit and does not have a center line having a cushion function inside thereof.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경우 옥외용 디스트리뷰션 케이블(distribution cable)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모든 광유닛이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코팅층(13)이 구비된 중심선(10)이 인장력, 압축력 또는 모멘트를 포함하는 물리적 충격 등을 완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outdoor distribution cable, since all the optical units can be composed of a tight buffer type optical unit, the center line 10 provided with the coating layer 13 Physical impact including tensile force, compressive force or moment, and the like can be alleviated or eliminat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상기 중심선(10)과 평행하게 상기 중심선(10)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121) 및 피복층(123)으로 구성되며,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around the center line 10 in parallel with the center line 10 and is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121 and a cover layer 123,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constituting one optical unit layer 100.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광유닛(120)은 상기 중심선(10)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선(10)과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나선형 또는 S-Z형으로 횡권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광유닛(120)은 광케이블의 반지름 방향으로 겹치거나 적층되지 않고, 중심선(10)의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unit 120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line 1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enter line 10 or in a manner of being helically or SZ- . In this case, the optical units 120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first optical unit layers 100 may b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10 without being overlapped or lamin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은 광유닛(120)의 개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광유닛(120)이 빈틈없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광유닛층(100) 및 상기 제2 광유닛층(200)에 구비된 광유닛(120, 220)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이 더 많을 수 있다.1 and 2,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are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maximize the number of optical units 120 . That is, the number of optical units 120 and 220 inclu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may be more.

상기 제1 광유닛층(100) 및 후술하는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120, 220)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광섬유(121, 221)와 상기 광섬유(121, 2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광섬유(121, 221)를 감싸는 타이트 버퍼(123, 223)를 포함하는 광유닛으로 구성된다.The optical units 120 and 220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fibers 121 and 221 and the optical fibers 121 and 221 And optical buffers 123 and 223 surrounding the optical fibers 121 and 2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상기 제1 광유닛층(100) 및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120, 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선(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중심선(10)에 대하여 나선형 또는 S-Z형으로 권선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and 220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10 However, it may be wound in a spiral or SZ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0.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수동 광 통신망(PON)의 광라인 단말(OLT)에서 스플리터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되는 분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광유닛(20)은 타이트 버퍼 방식으로 구비되므로 타이트 버퍼의 탈피 과정에서 별도의 젤리를 제거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optical fi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user via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via a splitter,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jelly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ight buffer, so that the work time of the operator can be minimized.

각각의 광유닛을 타이트 버퍼 방식의 광유닛으로 구성하더라도 이를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과 마찬가지로 중심선(10)을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층으로 구성하지 않고, 몇 개의 그룹으로 구획하여 별도의 쉬스부재 또는 쉬스층 등으로 피복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종래 디스트리뷰션 케이블은 접속함에서 각각의 그룹화된 케이블의 쉬스부재를 모두 탈피한 후 각각의 광유닛을 여장처리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Even if each optical unit is composed of optical units of tight buffer type, it is not constituted by the respective layers centered on the center line 10 like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divided into several groups, Conventional distribution cables using a method of covering with a member or a sheath layer or the like require to remove all of the sheath members of the grouped cables from the connection box and then process the respective optical units by armor processing so that the workability is increased, It can fal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복수 개의 광유닛(120)으로 구성되는 제1 광유닛층(100) 외부에는 상기 제1 광유닛층(100)과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층이 구비될 수 있다.A partition layer for partition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160),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180)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parti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a waterproof tape, and an inner sheath layer 18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구획층으로 보조 인장재(160)와 내부 쉬스층(180) 2가지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광유닛층(100) 및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을 구획하는 구획층으로 보조 인장재(160)와 내부 쉬스층(180) 중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방수 테이프도 추가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s shown as having two auxiliary tensile members 160 and an inner sheath layer 180 as the partition layers,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Only one of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and 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be used as the partition layer for partitioning the layer 200, or a waterproof tape may be added or used alone.

상기 보조 인장재(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유닛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으로부터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보호할 수 있다.1 and 2,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is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optical unit,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tensile force externally applied, The optical unit constituting the unit layer 100 can be protected.

따라서, 상기 보조 인장재(160)는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120)으로 구성되는 제1 광유닛층(100) 외부를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인장재(160)은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120)으로 구성되는 제1 광유닛층(100)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나선형으로 횡권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optical units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may be a method of wrapping the outside of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optical units 120, for example, in a helical manner.

상기 보조 인장재(160)는 아라미드얀, 글라스얀 또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라미드얀은 방수 코팅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may be made of aramid yarn, glass yarn or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aramid yarn may be used in a waterproof coating state.

그리고, 상기 보조 인장재(160) 외부에는 내부 쉬스층(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쉬스층(180)은 제1 광유닛층(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보조 인장재(160) 외부에 위치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들을 보호하는 방식층,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 또는 후술하는 제1 광유닛층(100)을 구획하여 제조과정을 구분하는 공정 경계 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The inner sheath layer 180 is a member located outside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tensile member 160 to protect the members located there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may be divided into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optical unit constituting the unit layer 200 can be mounted or a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내부 쉬스층(18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난연 폴리에틸렌 PVC 등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내부 쉬스층(180)은 LSZH(Low Smoke Zero Halogen)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a flame retardant polyethylene (PVC). 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be formed of a low smoke zero halogen (LSZH).

상기 내부 쉬스층(180) 내측에 접속 작업시 내부 쉬스층(180)의 탈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립코드(70)가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lip cord 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sheath layer 180 for stripping the inner sheath layer 180 during connection.

상기 내부 쉬스층(180) 외측면에는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And the optical unit 220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eath layer 180.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220)은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을 구성하는 광유닛(120)과 동일한 개수 24개씩 배치될 수 있다.The number of optical units 220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shown in FIG. 1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optical units 120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중심선(10)의 외측면 원주의 길이가 제2 광유닛층(200)의 장착면을 구성하는 내부 쉬스층(180)의 외측면 원주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에 동일한 개수의 광유닛이 구비된다면 상기 제2 광유닛층(200)에 구비되는 광유닛은 인접하여 빈틈없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유닛은 충분히 여유를 갖으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eriphery of the center line 10 providing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shown in FIG. 1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sheath layer 180 constituting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f the same number of optical units are provi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the optical 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The units are no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but each optical unit can be arranged with a sufficient margin and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반면 도 2에 도시된 광케이블은 제1 광유닛층(100)은 16개의 광유닛(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은 32개의 광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중심선(10)의 외측면 원주의 길이가 제2 광유닛층(200)의 장착면을 구성하는 내부 쉬스층(180)의 외측면 원주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상기 제1 광유닛층(100)의 장착면에 16개의 광유닛을 장착하고, 상기 제2 광유닛층(200)에는 32개의 광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광유닛층(200)에 배치되는 32개의 광유닛(220)은 제1 광유닛층(100)과 마찬가지로 인접하여 빈틈없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tical cable shown in FIG. 2,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includes 16 optical units 12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ncludes 32 optical units 220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line 10 providing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inside 16 light unit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first light unit layer 100 and 32 light units are mounted on the second light unit layer 200 since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ath layer 180 is shorter And the 32 optical units 220 disposed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may be arranged adjacently and tightly as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

뒤에서 다시 언급하겠으나, 다수의 광유닛을 구비하는 광케이블의 경우, 광유닛을 복층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빈틈없이 인접하게 배치하는 경우 광케이블의 직경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an optical cable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if the optical units are arranged in a multilayer and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can be minimized have.

참고로,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에 각각 빈틈없이 광유닛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의 개수가 더 많이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중심선(10)의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order to arrange optical units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 greater number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s 200 are arranged, A method of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of the substrate 10 may be us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광유닛층(200) 외측에 외부 쉬스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An outer sheath layer 28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상기 외부 쉬스층(280) 역시 상기 내부 쉬스층(18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난연 폴리에틸렌 PVC 등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외부 쉬스층은 LSZH(Low Smoke Zero Halogen)로 구성될 수도 있다.Like the inner sheath layer 180, the outer sheath layer 28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flame retardant polyethylene. However, the outer sheath layer may be composed of a low smoke zero halogen (LSZH) It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외부 쉬스층(280)은 상기 내부 쉬스층(180)의 경도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내부 시스층(180)은 제1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 사이에 위치하여 층을 구획하는 동시에 쿠션층으로서의 기능을 하므로 경도를 낮게 형성하고, 상기 외부 쉬스층(280)은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층으로서 함께 설치되는 다른 가공선 케이블과의 마찰 발생시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도를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쉬스층의 경도는 D형 쇼어 경도(shore scleroscope hardness)가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쇼어 경도계로 측정하여 나타나는 경도수를 쇼어 경도(Hs)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쉬스층의 쇼어 경도는 실험적으로 58정도로 측정되어 가공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설치시 충분한 내구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sheath layer 180. The inner sheath layer 180 may include a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a second optical unit layer The outer sheath layer 28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friction occurs between the outer sheath layer 280 and another working cable which is installed together, In order to minimize damage, it is desirable that the hardness is high. Specifically, the hard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preferably has a D-type hardness of the shore scleroscope of 55 or more. The hardness number measured by a Shore hardness meter is called Shore hardness (Hs). The Shore hard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rimentally measured to be about 58,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sufficient durability is secured when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the working line.

그리고, 상기 외부 쉬스층의 두께는 상기 내부 쉬스층(18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내부 쉬스층(180)은 케이블 보호의 측면보다 광유닛층을 구획하거나 제2 광유닛층(200)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기능이 더 크므로 내부 쉬스층(180)의 두께는 외부 쉬스층(28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sheath layer 180. The inner sheath layer 180 has a greater function to divide the optical unit layer than the side of the cable protection and to provide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28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280.

상기 외부 쉬스층(280) 내측에는 보조 인장재(160) 및 방수 테이프(2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and the waterproof tape 2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sheath layer 28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2 광유닛층(200)과 외부 쉬스층 사이에 보조 인장재(260)와 방수 테이프(290)가 모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보조 인장재(260) 또는 방수 테이프(290)만 사용될 수도 있다.1 and 2,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and the waterproof tape 290 are shown as being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nd the outer sheath layer, Or only the waterproof tape 290 may be used.

상기 제2 광유닛층(200)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 인장재(2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유닛층(2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유닛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으로부터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인장재(260)는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220)으로 구성되는 제2 광유닛층(200) 외부를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조 인장재(260)은 복수 개의 상기 광유닛(220)으로 구성되는 제2 광유닛층(200)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나선형으로 횡권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상기 제1 광유닛층(100) 외부를 감싸는 보조 인장재(160)와 마찬가지이며, 상기 보조 인장재(260)는 아라미드얀, 글라스얀 또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아라미드얀은 방수 코팅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님은 마찬가지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disposed outside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can protect the optical unit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from the tensile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while the second optical unit 220 is maintained,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unit layer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and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may be provide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optical units 220 The auxiliary tensioning material 260 may be formed of aramid yarn, glass yarn, or glass fiber material. The auxiliary tensioning material 260 may be made of aramid yarn, glass yarn or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etc. can be used The aramid yarn may be used in a waterproof coating s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보조 인장재(260)와 상기 외부 쉬스층(280) 사이에는 접속 작업시 내부 쉬스층(280)의 탈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립코드(270)가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rib cord 2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260 and the outer sheath layer 280 for stripping the inner sheath layer 280 during connection.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케이블의 각각의 쉬스층은 그 내부에 립코드의 탈피를 위한 립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sheath layers of the optical cables shown in Figs. 1 and 2 may have a rib cord for ripping the rip cord therein.

그리고, 각각의 광유닛층의 잉여 공간에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횡권된 적어도 하나의 방수얀(150, 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얀은 침수시 수분을 흡수하고 팽창하여 추가 침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aterproof yarn (150, 250)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in the surplus space of each optical unit layer. The waterproof yarn absorbs and expands water during flooding to prevent further flood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a)는 제1 광유닛층(100)에 24개, 제2 광유닛층(200)에 36개 및 제3 광유닛층(300)에 24개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이 구비된 광케이블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제1 광유닛층(100)에 16개, 제2 광유닛층(200)에 32개 및 제3 광유닛층(300)에 48개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이 구비된 광케이블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3A shows a case where twenty-four tight buffer optical units are provi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nd the third optical unit layer 300 3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optical fiber provided with 16 pieces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32 pieces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nd 32 pieces in the third optical unit layer 300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optical cable with 48 tight buffered optical uni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광케이블에 구비된 광유닛층이 3개씩 구비되며,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총 84개의 광유닛이 구비되고,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96개의 광유닛이 구비되는 실시예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three optical unit layers are provided in each optical cable, 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A, a total of 84 optical units are provided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b) is an embodiment in which 96 optical units are provided.

즉,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의 개수를 상이하게 하거나, 최외곽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틈없이 배치할 수도 있다.That is, the number of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may be made different, or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3 (a) b,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코팅층에 의하여 코팅된 중심봉(10),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각각 n(4의 배수 중 어느 하나인 자연수)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 층의 광유닛층(100, 200, . . . 100*N), 상기 광유닛층(100, 200, . . . 100*N) 각각을 구획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유닛층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층 및, 상기 광유닛층(100, 200, . . . 100*N) 중 최외곽 광유닛층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Therefore,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bar 10 coated with a coating layer, N (a number of) light blocking units in which n (a natural number of one of multiples of 4)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layers of optical unit layers 100, 200, 100 * N, and optical unit layers 100, 200, 100 * N,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ut of the optical unit layers 100, 200, and 100 * N.

즉, 광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N층의 광유닛층(100, 200, . . . 100*N)이 구비되고, 각각의 광유닛층(100, 200, . . . 100*N)은 n개의 광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minimize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N optical unit layers 100, 200, 100 * N are provided, and each optical unit layer 100, 200, 100 * and n optical units.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N은 3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N은 2이다.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3, N is 3,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s N = 2.

각각의 광유닛층에 구비된 광유닛의 개수와 관련하여,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n이 24, 36, 24 이며,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n이 16, 32, 48 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n이 24, 24 이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n이 16, 32이다.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optical units provided in each optical unit layer,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 is such that n is 24, 36 and 24, respectively,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32, and 48,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has n of 24 and 24, respectively,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has n of 16 and 32,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광케이블에 상기 n은 16, 24, 32, 36, 48 중 하나면 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it can be confirmed that n is one of 16, 24, 32, 36 and 48 for each optical cable.

그리고, 통상적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광유닛은 12가지의 색상 및 외피에 표기되는 도트(또는 라인)의 개수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상기 N층의 광유닛층에 구비된 광유닛의 전체 개수는 12의 배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48, 48, 84, 96개의 광유닛을 구비하므로, 12의 배수를 만족한다.Since the optical unit included in the optical cable can be divided into 12 colors and the number of dots (or lines) marked on the outer cover,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provided in the optical unit layer of the N layer is 12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2, 3 (a) and 3 (b) have 48, 48, 84 and 96 optical units, respectively, do.

따라서, 광케이블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층의 개수 N, 각각의 광유닛층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의 수 n과 중심선(10)의 직경을 조절하면, 동일한 광유닛의 개수를 확보하면서도 직경은 최소화된 광케이블을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ly, by adjusting the number N of layers, the number n of optical cables disposed in each optical unit layer and the diameter of the center line 10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optical cable user or the like, the optical cable with the smallest diameter can be obtained while securing the same number of optical units Can be design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최외곽 광유닛층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은 필요에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N층의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 층을 제외한 N-1 개의 광유닛층은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이 인접하여 나란하고 빈틈없이 배치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In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cables disposed i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can be arranged as necessary, the number of N-1 optical unit layers exclu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The optical unit layer may be interpreted such that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losely arranged.

그리고, 각각의 광유닛층(100, 200, . . . 100*N) 사이에 구획층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보조 인장재(160, 260)와 내부 쉬스층(180, 280)이 각각 구비됨이 도시되지만, 방수 테이프가 추가될 수도 있다.And, a partition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100, 200, 100 * N, and the parti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 waterproof tape and an inner sheath layer 3 (a) and 3 (b) show the supplementary tensile materials 160 and 260 and the inner sheath layers 180 and 280, respectively, but a waterproof tape may be added.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상기 광유닛층(100, 200, 300) 중 최외곽 광유닛층(300)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3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쉬스층(380) 내측에는 보조 인장재(360) 및 방수 테이프(3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쉬스층 내측에는 상기 외부 인장재 및 방수 테이프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3 may also include an outer sheath layer 380 surroun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300 out of the optical unit layers 100, 200, and 300,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360 and the waterproof tape 39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outer sheath layer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of the external tensile material and the waterproof tap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쉬스층(180, 280, 380) 내측에는 각각의 쉬스층(180, 280, 380)의 탈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립코드(170, 270, 370)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광유닛층의 잉여 공간에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횡권된 적어도 하나의 방수얀(150, 250, 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a) and 3 (b) is also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sheath layers 180, 280 and 380 inside the respective sheath layers 180, 280 and 380, At least one rib cord 170, 270, 370 for stripping the optical fiber layer 280, 380 can be provided, and at least one waterproof yarn, which spirally travers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150, 250, 35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4(a)는 제1 광유닛층(100)에 24개 및 제2 광유닛층(200)에 24개의 광유닛이 구비된 광케이블(1)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제1 광유닛층(100)에 24개 및 제2 광유닛층(200)에 24개의 광유닛층이 구비된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4 (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1 having 24 optical units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24 optical units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Fig. 4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able in which 24 optical unit layers are provi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24 optical unit layers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광유닛층이 복층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직경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 쉬스층(180)을 생략하고, 각각의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층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인장재(160)만 사용된 경우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테이프(190)만 적용할 수도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 and 4 (b) omits the inner sheath layer 180 to further minimize the diameter of the optical fi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tical unit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 4 (a), when only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is used as a partition layer for partition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only the waterproof tape 190 may be applied as shown in FIG.

내부 쉬스층을 생략하여도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을 구획하기 위한 보조 인장재(160) 또는 방수 테이프(190)를 구비하여 구획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고,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을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Even if the inner sheath layer is omitted,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160 or the waterproof tape 190 for partition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s provided,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the optical unit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can also be performed.

물론, 구획층을 구성함에 있어서,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광유닛층을 물리적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constituting the partition layer, it may be constitut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the waterproof tape and the inner sheath layer so as to physically compartmentalize the optical unit layer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과 종래 광케이블의 직경을 비교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comparing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optical cable.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1 광유닛층(100)에 16개 및 제2 광유닛층(200)에 32개의 타이트 버퍼형 광유닛이 구비되어 총 48심의 광유닛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5(b) 및 도 5(c)는 각각 48개의 광유닛이 4개 및 6개의 그룹화된 상태로 구비되는 광케이블(1', 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5 (a) is a schematic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16 tight buffer optical units are provi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32 tight buffer optical units 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5 (b) and 5 (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tical cables 1 'and 1 "in which 48 optical units are provided in four and six grouped states, respectively, Fig.

도 5(a)에 도시된 광케이블은 48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도 2에 도시된 광케이블이다.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에 각각 16개 및 32개의 광유닛을 구비하고, 제1 광유닛층(100)과 제2 광유닛층(200) 모두 빈틈없이 광유닛이 배치되어 외부 쉬스층 내측 공간에서 발생되는 잉여 공간을 최소화한 구조이다.The optical cable shown in Fig. 5 (a) is the optical cable shown in Fig. 2 including 48 optical units.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re provided with 16 and 32 optical units, respectively, and both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The optical unit is arranged to minimize the surplus space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heath layer.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광케이블 내에 4개의 서브 케이블(150b)을 구비하고, 각각의 서브 케이블(150b)은 12개의 광유닛(120b)과 광유닛 집합을 감싸는 인장재(130b) 및 서브 쉬스층(140b)를 구비하며,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광케이블 내에 6개의 서브 케이블(150c)을 구비하고, 각각의 서브 케이블(150c)은 8개의 광유닛(120c)과 광유닛 집합을 감싸는 인장재(130c) 및 서브 쉬스층(140c)를 구비한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B has four sub-cables 150b in one optical cable and each sub-cable 150b has twelve optical units 120b and a tensile material 130b And the sub-sheath layer 140b.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c) has six sub-cables 150c in one optical cable, and each sub-cable 150c has eight optical units A tensile member 130c and a sub-sheath layer 140c surrounding the optical unit assembly.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각각의 광케이블의 직경 D1, D2 및 D3의 관계는 D1 < D2 < D3의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품의 측정결과도 D1은 14.5 밀리미터(mm)이며, D2는 18.5 밀리미터(mm)이며, D1은 19.7 밀리미터(mm)로 측정되어, 48심 광케이블의 경우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복층으로 광유닛을 배치한 형태가 직경이 최소화됨이 확인되었다.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diameters D1, D2 and D3 of each optical cable shown in Figs. 5 (a), 5 (b) and 5 (c) is a relationship of D1 <D2 <D3.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actual product, D1 was 14.5 millimeters (mm), D2 was 18.5 millimeters (mm), D1 was 19.7 millimeters (mm)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was minimized in diameter.

즉, 동일한 개수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내부에 서브 케이블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외부 쉬스층이 감싸는 내부 공간에 각각의 서브 케이블을 감싸기 위한 서브 쉬스층의 양이 증가됨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광케이블 전체 직경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That is, increasing the number of sub-cables in the optical cable including the same number of optical units means that the amount of sub-sheath layers for wrapping each sub-cable is increa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sheath layer, The diameter is inevitably increased.

또한, 외부 쉬스층이 감싸는 내부 공간에 원형 단면을 갖는 서브 케이블을 배치한다는 것 자체로 이미 각각의 서브 케이블 사이의 낭비되는 공간의 발생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광케이블 직경은 증가될 것이다. 광케이블의 직경이 증가되면, 비용 증가와 광케이블 접속을 위한 접속함의 용적도 함께 증가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since the sub-cab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sheath layer itself, it means the generation of wasted space between each sub-cable, and the optical cable diameter will be increased. If the diameter of the optical cable is increased, the cost increase and the volume of the connection box for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also increase, which is not desirable.

또한, 외부 쉬스층이 감싸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서브 케이블이 많아지면 광접속함 등에서 여장 처리를 위하여 탈피되어야 하는 쉬스층의 개수가 많아짐을 의미한다.Also, if the number of sub-cable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enclosing the outer sheath layer increases, the number of sheath layers to be peeled off in the optical connection box increases.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은 수동 광 통신망(PON)의 광라인 단말(OLT)에서 스플리터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연결되는 분기 통신망에 사용되는 경우,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각각의 광케이블의 모든 광유닛을 여장 처리 등의 이유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탈피되어야 하는 쉬스층의 개수는 각각 2개, 5개 및 7개가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적인 측면에서도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1)이 가장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user via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via a splitter, The number of sheath layers to be peeled off is 2, 5 and 7, respectively, in order to expose all of the optical units of the optical cables shown in Figs. The optical c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 is the most advantageous.

도 6 및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 중 일부가 개재유닛(dummy unit)으로 대체된 실시예를 도시한다.Figs. 6 and 7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part of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s replaced with a dummy unit.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유닛층은 광유닛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220)의 개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적어도 1개의 개재유닛(dummy unit)가 광유닛과 함께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only optical units. 6, when the number of the optical units 220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is insufficient, at least one dummy unit is disposed apart from the optical unit 220 It is possible.

즉,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광유닛(220)이 광케이블의 단면이 원형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숫자가 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개재유닛(220d)로 추가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tical unit 220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does not have a sufficient number of sections so that the optical cable can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interposing units 220d ). &Lt; / RTI &gt;

그러나, 상기 개재유닛이 필수적으로 최외곽 광유닛층에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intervening un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sposed only i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유닛층(100) 및 제2 광유닛층(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유닛(120, 220)의 개수가 각각 빈틈없는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부족한 경우에는 최외곽 광유닛층을 이외의 광유닛층(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광유닛층(100))에도 추가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number of the optical units 120 and 220 constituting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re respectively formed as a seamless structure In the case where it is insufficient, it may be added to the optical unit layer other tha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중간에 배치되는 제2 광유닛층(200) 및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3 광유닛층(300)을 구성하는 광유닛(220, 320) 중 일부의 광유닛이 개재유닛(220d, 320d)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도시하며,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제1 광유닛층(100), 제2 광유닛층(200), 및 제3 광유닛층(300) 등 모든 광유닛층의 적어도 1개의 개재유닛(120d, 220d 및 320d)을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 part of the optical unit 220, 320 constituting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rranged in the middle and the third optical unit layer 300 arranged at the outermost part 8B can be replaced by intervening units 220d and 320d, respectively.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B includes a first optical unit layer 100, a second optical unit layer 200, And at least one intervening unit (120d, 220d, and 320d) of all optical unit layers, such as the third optical unit layer (300).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은 코팅층에 의하여 코팅된 중심봉,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n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재유닛을 포함하는 총 n 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과 개재유닛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 층의 광유닛층, 상기 광유닛층 각각을 구획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유닛층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층 및,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optical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to 8 includes a total of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including a center rod coated with a coating layer,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around the center bar or at least one intervening unit,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layers in which units are arranged, a partition layer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for partitioning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and an outermost light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exterior of the unit layer.

그리고, 최외곽 광유닛층인 N번째층에 구비된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는 N-1층의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와 같거나 많을 수도 있다.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Nth layer as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in the (N-1) th layer.

구체적으로, 도 6, 도 7 및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N층에 구비된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는 N-1층의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와 같거나 많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7, and 8 (b),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N layer is the sum of the N-1th optical unit and the intervening uni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구획층의 구성이 내부 쉬스층 및 보조 인장재를 모두 구비하느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각각이 단독으로 구비되거나,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광유닛층을 물리적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6 to 8,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layer is shown to include both the inner sheath layer and the auxiliary tensioning material.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tensioning material and the waterproofing tape are separately provided O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while physically partitioning the optical unit layer in at least two or more various combinations in the auxiliary tensile material, the waterproof tape and the inner sheath layer.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중심선
100, 200, 300 : 광유닛층
120, 220, 320 : 광유닛
120d, 220d : 개재유닛
160, 260, 360 : 보조 인장재
180, 280, 380 : 쉬스층
10: Center line
100, 200, 300: optical unit layer
120, 220, 320: optical unit
120d, 220d: interposing unit
160, 260, 360: Auxiliary tensile material
180, 280, 380: Sheath layer

Claims (19)

중심선;
상기 중심선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 및 피복층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광유닛층;
상기 제1 광유닛층 둘레에 구비되며, 각각 광섬유 및 피복층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제2 광유닛층; 및,
상기 제2 광유닛층의 둘레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center line;
A first optical unit layer provided around the center lin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each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and a cover layer;
A second optical unit layer provided around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each composed of an optical fiber and a cover layer; And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유닛층 또는 상기 제2 광유닛층은 복수 개의 광유닛이 빈틈없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or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is disposed so that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are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유닛층은 복수 개의 광유닛 중 일부의 광유닛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is disposed such that a part of the plurality of optical units is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유닛층 및 상기 제2 광유닛층 사이에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tition layer for partitioning each optical unit layer betwee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또는 내부 시스층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rtition layer is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 waterproof tape, and an inner sheath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장재는 아라미드얀, 글라스얀 또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auxiliary tensile material is one of aramid yarn, glass yarn or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와 그 외측에 형성된 내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rtition layer comprises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nd an inner sheath layer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쉬스층 및 상기 외부 쉬스층 중 적어도 하나의 쉬스층 내측에 립코드가 구비되는 광케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ner sheath layer and the outer sheath layer is provided with a lip cord inside the sheath lay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쉬스층의 경도가 상기 내부 쉬스층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ardness of the outer sheath layer is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inner sheath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쉬스층은 D형 쇼어 경도가 55 이상인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uter sheath layer is formed of a low smoke zero halogen (LSZH) material having a Shore D hardness of 55 or hig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유닛층 및 상기 제2 광유닛층에 구비된 광유닛 또는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기 제2 광유닛층이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or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first optical unit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is the same or more than that of the second optical uni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은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 둘레를 감싸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line includes a coating layer surrounding the center bar and the center ba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봉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강선, 강연선, 아라미드 강화플라스틱(ARP)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코팅층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LSZH(Low smoke zero halogen)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enter rod is any one of a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a steel wire, a stranded wire and an aramid reinforced plastic (ARP), the coating layer being made of polyethylene (PE) or polyvinyl chloride (PVC), low smoke zero halogen Wherein the optical fiber is one of polyurethane.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유닛층에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횡권된 적어도 하나의 방수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aterproof yarn wound on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cable.
코팅층에 의하여 코팅된 중심봉;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n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재유닛을 포함하는 n 개의 타이트 버퍼 광유닛과 개재유닛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 층의 광유닛층;
상기 광유닛층 각각을 구획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유닛층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층; 및,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 외부를 감싸는 외부 쉬스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A center rod coated by a coating layer;
An optical unit layer of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layer in which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including n tight buffer optical units or at least one interposing unit and N intervening units are arranged around the center bar;
A partition layer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for partitioning each of the optical unit layers; And
And an outer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ut of the optical unit layer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층에 구비된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는 N-1층의 광유닛 및 개재유닛의 총합의 개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provided in the N layer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optical units and intervening units in the (N-1) th lay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층의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 층을 제외한 N-1 개의 광유닛층은 각각의 광유닛층을 구성하는 광유닛이 인접하여 나란하고 빈틈없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N-1 optical unit layers excluding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of the N optical unit layers are arranged so that the optical units constituting each optical unit layer are arranged adjacently and closel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층은 보조 인장재, 방수 테이프 및 내부 쉬스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artition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 waterproof tape and an inner sheath lay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층 중 최외곽 광유닛층과 상기 외부 쉬스층 사이에 보조 인장재 및 방수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tensile material and a waterproof tape between the outermost optical unit layer and the outer sheath layer of the optical unit layer.
KR1020140068673A 2014-06-05 2014-06-05 Optical cable KR102210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73A KR102210181B1 (en) 2014-06-05 2014-06-05 Optical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673A KR102210181B1 (en) 2014-06-05 2014-06-05 Optical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80A true KR20150140180A (en) 2015-12-15
KR102210181B1 KR102210181B1 (en) 2021-01-29

Family

ID=5502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673A KR102210181B1 (en) 2014-06-05 2014-06-05 Optical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62A (en) * 2002-05-03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tribution optical cable
KR20120044687A (en) * 2010-10-28 2012-05-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Tight buffer type optical fiber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ight buffer, and extruder for the same
KR20130041491A (en) * 2011-10-17 2013-04-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mmunication cable
KR20130113194A (en) * 2012-04-05 2013-10-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core optical cable for air blown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62A (en) * 2002-05-03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tribution optical cable
KR20120044687A (en) * 2010-10-28 2012-05-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Tight buffer type optical fiber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ight buffer, and extruder for the same
KR20130041491A (en) * 2011-10-17 2013-04-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mmunication cable
KR20130113194A (en) * 2012-04-05 2013-10-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core optical cable for air blown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181B1 (en)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534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integrating wireless technology into a fiber optic network
JP3222230U (en) Armored flexible fiber optic assembly
KR100956479B1 (en) Optical fiber and power wire composite cable
US7555181B2 (en) Fiber optic cables having at least one tether optical fiber
CN107910113B (en) Seabed photoelectric hybrid sensing optical cable
CN110853817A (en) Photoelectric composite cable with novel structure for 5G network
CN211125081U (en) Armored photoelectric composite cable
US6728454B2 (en) Premises optical cable with S-Z stranded strength member
KR101650612B1 (en) Optical cable
CN105551664A (en) Photoelectric mixed cable with specially-shaped flexible conductor
KR20160039885A (en) Ribbon-Tube Type Optical Cable
CN104008808A (en) Undersea four-core oil-filled cable
KR100451255B1 (en) FTTC composite cable for data transmission and power source supply
KR20150140180A (en) Optical cable
MX2020014314A (en) High density bundled optical fiber cable with preconnectorized drop points.
KR101395474B1 (en) Optical fiber cable
CN101666895A (en) Micro-fiber bundle unit and optical cable taking micro-fiber bundle unit as basic structure
KR102139386B1 (en) Optical Fiber Jumper Cord
CN210090774U (en) Easy-to-peel lead-in optical cable
KR20120034296A (en) Optical cable
US11125959B2 (en) Flat drop optical fiber cable
EP3195031B1 (en) Optical fibers deployment in the last mile
KR20040040660A (en) Optical fiber cable for access network
CN201607560U (en) Fiber cable
KR100507620B1 (en) Composite cable for optical signal transmission and electrical power f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