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146A -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146A
KR20150140146A KR1020140068556A KR20140068556A KR20150140146A KR 20150140146 A KR20150140146 A KR 20150140146A KR 1020140068556 A KR1020140068556 A KR 1020140068556A KR 20140068556 A KR20140068556 A KR 20140068556A KR 20150140146 A KR20150140146 A KR 2015014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witch
plug
control comman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420B1 (ko
Inventor
정재하
채유영
송민우
이용주
방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6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공간적으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는 스위치 및 플러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플러그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METHOD, SWITCH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기술 분야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는 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의 전원은 콘센트 주변 또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서 관리된다.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경우 전자 장치 마다 리모컨이 필요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전원 제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이 제어되었다는 확신을 갖지 못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출원 제10-2013-0083503호(공개일 2013년 07월 23일)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 발명은 무선통신 송수신부, 마이콤(MICOM), 통신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무선통신 송수신이 가능하고 마이콤과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스마트기기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무선통신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가 무선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스마트기기가 무선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기기에서 전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스위치나 콘센트가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통해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의 전원 차단 기능을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전원 제어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플러그 및 스위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로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입력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수신부는 상기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물리적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피드백은 상기 입력에 대한 상기 스위치의 형태의 변화 및 음향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신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을 상기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입력된 움직임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상기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타이머 입력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이머 입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다른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을 상기 다른 스위치의 입력 수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스위치의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물리적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을 상기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타이머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 입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플러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스위치 및 다른 스위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을 상기 다른 스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어 입력에 대한 물리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원 제어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스위치 및 스위치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결합된 복수의 스위치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들을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단말이 포함된 전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전원 제어 시스템(100)(이하에서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으로 약술된다)은 플러그(110) 및 스위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10) 및 스위치(120)는 공간적으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20)는 전자 장치와 공간적으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110)는 전자 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의 플러그에 플러그(110)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플러그(110)를 콘센트와 연결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플러그(110)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플러그(110)는 스마트 플러그로 명명될 수 있다.
플러그(110)에 대해,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스위치(120)는 플러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플러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가 연결됨으로써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을 플러그(1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스마트 스위치로 명명될 수 있다.
스위치(120) 대해, 하기에서 도 2,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스위치(120)는 통신부(210), 입력 수신부(220), 처리부(230), 모션 센서(240), 표시부(250) 및 연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플러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입력 수신부(220)는 스위치(12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120)의 입력 수신부(220)를 조작함으로써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수신부(220)는 버튼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신부(220)가 버튼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수신부(220)가 타이머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입력을 전달 수 있다.
처리부(230)는 입력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입력을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모션 센서(240)는 스위치(120)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연결부(260)를 통해 물리적으로 다른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10), 입력 수신부(220), 처리부(230), 모션 센서(240), 표시부(250) 및 연결부(260)에 대해, 하기에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도이다.
플러그(110)는 통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10)는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위치(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스위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10)에 대해, 하기에서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입력 수신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스위치(12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입력 수신부(220)의 버튼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입력 수신부(220)는 버튼이 눌리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은 입력 수신부(220)를 회전 시킴으로써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입력은 타이머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수신부(220)는 버튼을 통한 입력 수신 기능 및 타이머 입력 수신 기능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신부(220)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물리적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피드백은 입력에 대한 스위치(120)의 형태의 변화 및 음향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위치(120)의 형태의 변화는 입력 수신부(220)의 버튼의 높이의 변화일 수 있다.
출력되는 음향은 입력 수신부(22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기계적인 음향일 수 있다. 즉, 입력 수신부(220)는 입력 수신부(220)가 회전되는 경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물리적 피드백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전원이 제어되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모션 센서(240)가 스위치(120)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입력 수신부(220)는 감지된 움직임을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신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션 센서(240)를 통해 입력된 움직임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처리부(230)는 입력을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신부(220)의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눌린 경우 처리부(230)는 상기의 입력을 전원을 종료하라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전원을 종료하라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원이 종료된 상태에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전원을 연결하라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통신부(210)는 변환된 제어 명령을 플러그(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이 타이머 입력인 경우 통신부(210)는 타이머 입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제어 명령을 플러그(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계(440)에서, 표시부(250)는 전자 장치의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이 연결된 경우 표시부(250)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함으로써 전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이 연결된 경우 표시부(250)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비프음을 출력함으로써 전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플러그(110)의 통신부(310)는 스위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플러그(110)의 제어부(32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이 전원의 종료인 경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명령이 전원의 연결인 경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회로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스위치 및 스위치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은 외관이 서로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형태에 따라 스위치(120)가 사용되는 방법이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 및 그룹 2의 형태는 스위치(120)가 타이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520)에서, 사용자는 입력 수신부(522)를 회전시킴으로써 타이머 입력을 스위치(52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524)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표시부(524)는 스위치(520)의 외부 전면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24)는 전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색을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524)는 전원의 특정 상태에 대해서만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룹 3의 형태는 스위치가 전원의 켬/끔(on/off)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결합된 복수의 스위치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멀티 탭(610), 전기 장판(620) 및 선풍기(630)일 수 있고, 각각의 전자 장치에 플러그(612, 622 또는 632)가 부착될 수 있다. 플러그들(612, 622 및 632)는 스위치들(614, 624 및 634)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입력을 전달한 경우에도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이 모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이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들(610, 620 및 630)의 이용 맥락에 맞게 전자 장치들(610, 620 및 63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이 현관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집을 나가면서 전자 장치들(610, 620 및 630)의 전원을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이 타이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스위치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들을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각각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는 스위치 및 다른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는 다른 스위치의 입력 수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614)의 연결부는 스위치(624)의 입력 수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가 스위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쌓이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614)의 입력 수신부가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각각의 스위치의 연결부를 통해 입력이 다른 스위치들(624 및 626)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스위치(614)의 연결부는 스위치(614)가 스위치(614)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입력을 다른 스위치(624)의 입력 수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이 동일한 스위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모두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거나, 또는 모두 타이머 방식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이 상이한 스위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은 버튼을 누르는 방식 및 타이머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614, 624 및 634)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은 각각의 스위치의 방식으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61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버튼의 누름인 경우, 타이머 방식의 스위치(624)를 위해 스위치(614)의 연결부는 입력을 타이머 입력으로 변환하여 스위치(624)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단말이 포함된 전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전술된 시스템(100)은 단말(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810)은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8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810)은 단말(8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스위치(120) 및 플러그(11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81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플러그(110)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810)에 의해 플러그(110)의 동작이 제어된 경우 플러그(110)는 전원의 변화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위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표시부(25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전원 제어 시스템
110: 플러그
120: 스위치
210: 통신부
220: 입력 수신부
230: 처리부
240: 모션 센서
250: 표시부
260: 연결부

Claims (16)

  1.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로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입력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신부는 상기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물리적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피드백은 상기 입력에 대한 상기 스위치의 형태의 변화 및 음향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인,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수신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을 상기 입력으로 수신하는,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입력된 움직임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상기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타이머 입력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이머 입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플러그로 전송하는, 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을 상기 다른 스위치의 입력 수신부로 전달하는, 스위치.
  9. 스위치의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전원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물리적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전원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의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을 상기 입력으로 수신하는, 전원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타이머 입력이고,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 입력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플러그로 전송하는, 전원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스위치 및 다른 스위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을 상기 다른 스위치로 전달하는, 전원 제어 방법.
  15.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플러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140068556A 2014-06-05 2014-06-05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KR10158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56A KR101583420B1 (ko) 2014-06-05 2014-06-05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56A KR101583420B1 (ko) 2014-06-05 2014-06-05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46A true KR20150140146A (ko) 2015-12-15
KR101583420B1 KR101583420B1 (ko) 2016-01-07

Family

ID=5502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56A KR101583420B1 (ko) 2014-06-05 2014-06-05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70A (ko) * 2003-11-17 2005-05-20 김영수 리모콘 무선제어가 가능한 시간조절용 전원플러그 장치
KR200428011Y1 (ko) *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30083503A (ko) * 2012-01-13 2013-07-23 허주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KR20130096800A (ko) * 2012-02-23 2013-09-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70A (ko) * 2003-11-17 2005-05-20 김영수 리모콘 무선제어가 가능한 시간조절용 전원플러그 장치
KR200428011Y1 (ko) *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30083503A (ko) * 2012-01-13 2013-07-23 허주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나 콘센트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KR20130096800A (ko) * 2012-02-23 2013-09-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20B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916B2 (ja) 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の制御方法、端末と被制御デバイス
US9812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frared remote controls of home appliances
TWI521483B (zh) 藍牙遙控系統及相關的裝置
US9188965B2 (en)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tocol translator
CN103984262A (zh) 一种基于wifi的智能型电器控制装置和方法
KR102635443B1 (ko)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해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04794881A (zh) 一种遥控方法和遥控器
KR20190123151A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3420B1 (ko)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스위치 및 시스템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US20170179746A1 (en) Battery shutdown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40097945A1 (en) Wireless Digital Signal-Controlled Switch System
KR20130121466A (ko)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에너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877285B1 (ko) 스마트폰 제어용 리모콘 프로토콜 방법
KR1014659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확장이 가능한 동글형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TWI568273B (zh) Infrared remote control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home appliance
JP2007507965A (ja) 構成可能な接続を有する無線システム
JP2019509582A5 (ko)
US201701320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US20120161548A1 (en) Wall outle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0174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TW201417058A (zh) 電子裝置、移動控制裝置及控制方法
TWM496826U (zh) 無線控制系統
EP43696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CN104333734A (zh) 一种无pc的全彩显示屏的视频图像处理设备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