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736A -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736A
KR20150138736A KR1020140067131A KR20140067131A KR20150138736A KR 20150138736 A KR20150138736 A KR 20150138736A KR 1020140067131 A KR1020140067131 A KR 1020140067131A KR 20140067131 A KR20140067131 A KR 20140067131A KR 20150138736 A KR20150138736 A KR 2015013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state information
health state
s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종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주)누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스코 filed Critical (주)누스코
Priority to KR102014006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736A/ko
Publication of KR2015013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Lung sound)을 측정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OF USER USING LUNG SOUND OR HEART SOUND}
본 발명은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휴대용 단말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의사가 환자와 다른 위치에서 원격으로 환자를 진단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원격 진료 시스템은 환자가 휴대용 측정 장치로 환자의 체온이나 혈압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면, 의사가 서버에 전송된 생체 신호를 보고 환자를 진단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심장과 관련된 질환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생체 신호 이외에도 심음(Heart Sound)이 필요하다. 또한, 폐와 관련된 질환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폐음(Lung Sound)을 측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자가 착용하는 휴대용 측정 장치는 팔이나 손목에 착용하여 혈압이나 체온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이므로,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측정한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도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 정확도를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Lung sound)을 측정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폐음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폐음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폐음, 및 생체 신호를 정상인 폐의 폐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정상이 아닌 경우,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폐음 및 생체 신호를 폐와 관련된 질병의 레퍼런스의 폐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음(heart sound)을 측정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심음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상기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심음, 및 생체 신호를 정상인 폐의 심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정상이 아닌 경우,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심음 및 생체 신호를 폐와 관련된 질병의 레퍼런스의 심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Lung sound)을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소리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고,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음(heart sound)을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소리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고,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집음부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집음부의 다른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측정 위치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음 측정 위치 및 폐음 측정 위치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단말에 포함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심장과 관련된 질환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심전도나 혈압 또는 맥박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외에도 심장에서 발생하는 심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폐와 관련된 질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체온이나 맥박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보다 폐에서 발생하는 폐음이 중요한 판단 조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102)가 착용하는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사용자(102)의 폐음(Lung sound), 심음(heart sound), 및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2)의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워치, 또는 손목 시계형 단말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100)의 구성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100)과 통신 가능한 스마트 기기나 테스트 탑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102)의 가슴에서 폐음과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단, 일반적인 마이크의 성능으로는 사용자(102)의 가슴에 접촉 시켜도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100)은 마이크로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집음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100)의 마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2)의 신체와 접촉한 집음부(102)를 통하여 수집된 소리를 소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소리 신호에서 폐음과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집음부(102)의 구성은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생체 신호는 폐, 또는 심장과 관련되며, 휴대용 단말(100)로 측정 가능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는 사용자(102)의 심전도, 혈압, 맥박, 체온, 및 산호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용자(102)의 폐음, 또는 심음을 생체 신호와 조합하여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110)를 이용하여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용자(102)의 폐음, 심음 및 생체 신호를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10)는 수신한 사용자(102)의 폐음, 심음, 및 생체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의사에게 사용자(102)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 또는 심음, 및 심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를 표시하고, 의사로부터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를 입력 받아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폐와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폐음과 생체 신호 및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폐음과 생체 신호를 사용자(102)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고,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는 심장과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심음과 생체 신호 및 정상 상태의 심장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심음과 생체 신호를 사용자(102)의 심음, 및 심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고,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10)는 생성한 건강 상태 정보를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폐와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 심장과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및 정상 상태의 심장의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사용자(102)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폐와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 심장과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및 정상 상태의 심장의 레퍼런스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폐와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폐음과 생체 신호 및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폐음과 생체 신호를 사용자(102)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고,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심장과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심음과 생체 신호 및 정상 상태의 심장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심음과 생체 신호를 사용자(102)의 심음, 및 심음과 조합된 생체 신호와 비교하고,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선택한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사용자(102)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측정한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소리 측정부(210), 생체 신호 측정부(220), 및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는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가 표시된 인간의 3차원 모델 또는 2차원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가 촬영한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에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변환한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의 특징 정보들과 비교하여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의 특징 정보는 디지털 청진기를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수집한 소리 신호들의 특징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디지털 청진기,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위치에 따라 심박음, 호흡음, 장운동음, 혈관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변환한 소리 신호에 심박음, 호흡음, 장운동음, 혈관음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가 포함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한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마이크가 변환한 소리 신호들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체에게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소리 측정부(210)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폐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는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호흡음(breath sound) 및 폐와 관련된 질환에 따른 부잡음(Adventitious sou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흡음은 폐포 호흡음(Vesicular breath sound)과 기관지 호흡음(Bronchial tubular soun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측정부(210)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는 심장의 심실이 수축되는 음, 심장의 심실이 확장되는 음, 및 심장의 수축에 따른 진동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 또는 심음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는 이미지, 문자,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2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된 제1 전극과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외부에 결합된 제2 전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은 휴대용 단말이 착용된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하고, 제2 전극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 중 휴대용 단말을 착용한 손목의 반대쪽 손목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의 사이에 사용자의 심장이 위치한다는 조건을 만족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아닌 다른 부위에 접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휴대용 단말이 착용되고, 제2 전극이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오른쪽 손목, 사용자의 오른쪽 팔, 사용자의 오른쪽 가슴, 및 사용자의 오른쪽 발 중 한 곳에 접촉하는 경우,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센서는 손목 안쪽과 같이 혈관과 가까운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의 본체가 손등 쪽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남성의 휴대용 단말의 경우, 진동 센서는 밴드에서 휴대용 단말의 본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반면, 휴대용 단말의 본체가 손바닥 쪽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여성의 휴대용 단말의 경우, 진동 센서는 밴드에서 휴대용 단말의 본체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된 온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온도 측정 센서는 휴대용 단말의 본체가 발산하는 열을 사용자의 체온으로 측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밴드에서 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관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투과율을 기초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심전도와 맥박의 딜레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 또는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산소 포화도, 체온, 맥박을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가 정상인 사용자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서버는 정상인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사용자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 상태인 사용자를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정상인 레퍼런스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서버로부터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폐의 레퍼런스는 정상 상태인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측정한 폐음, 및 폐음과 관련된 생체 신호들의 평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를 생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 및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로 전송할 정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 중에서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다른 정보를 특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의 일부가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폐음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 중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다른 폐음을 특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폐와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및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 및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에서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가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가장 유사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가 폐결핵의 레퍼런스와 가장 유사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폐결핵'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산소 포화도, 심전도, 혈압, 맥박을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사용자의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 상태인 사용자를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정상인 레퍼런스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서버로부터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폐의 레퍼런스는 정상 상태인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측정한 심음, 및 심음과 관련된 생체 신호들의 평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를 생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 및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서버로 전송할 정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 중에서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다른 정보를 특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의 일부가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에 포함된 심음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 중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와 다른 심음을 특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심장과 관련된 질환의 레퍼런스, 및 정상 상태의 심장의 레퍼런스와 비교하고,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에 따라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 및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에서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가 정상인 심장의 레퍼런스와 가장 유사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심한, 폐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가 심근경색의 레퍼런스와 가장 유사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심근경색'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폐음 또는 심음을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가 측정한 심음이 생체 신호 측정부(22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맥박, 또는 심전도와 불일치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산모인 경우, 태아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산모의 복부에 접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태아의 폐음, 및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을 착용한 산모의 체온, 혈압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태아의 폐음, 및 심음을 산모의 생체 신호와 조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태아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태아의 질환과 관련된 레퍼런스가 저장된 서버, 또는 산부인과 의사에게 태아의 폐음, 및 심음을 산모의 생체 신호와 조합하여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산모 안에 있는 태아의 폐음 및 심음을 측정함으로써, 원격으로 태아의 질환 여부를 판단 받을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및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밴드는 제1 전극(320), 제2 전극(330), 광 센서(340), 진동 센서(350), 온도 측정 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360)과 인접한 위치에 집음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본체(310)에 포함된 하드웨어일 수도 있고, 본체(3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본체(310)는 시간을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310)는 소리 측정부(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전극(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이 착용된 손목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전극(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330)이 사용자의 손목 중 휴대용 단말을 착용한 손목의 반대쪽 손목과 접촉하는 경우,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330)은 제1 전극(320)과의 사이에 사용자의 심장이 위치한다는 조건을 만족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아닌 다른 부위에 접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휴대용 단말이 착용된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제2 전극(330)이 사용자의 오른쪽 손목, 사용자의 오른쪽 팔, 사용자의 오른쪽 가슴, 및 사용자의 오른쪽 발 중 한 곳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30)간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심전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을 상황에서 제2 전극(330)이 사용자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전극(330)의 위에 탈착, 또는 개방 가능한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커버를 제2 전극(330) 위에서 때어내거나, 개방시킨 후, 제2 전극(330)을 휴대용 단말을 착용한 손목의 반대쪽 손목과 접촉시킬 수 있다.
광 센서(34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로 광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피부 안에 위치한 혈관의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광 센서(340)가 측정한 투과율을 기초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진동 센서(35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진동 센서(350)가 측정한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센서(350)는 사용자의 혈관과 가까운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 측정 센서(35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의 내부에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360)는 마이크(360)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집음부(370)는 마이크(360)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를 마이크(360)로 집음할 수 있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집음부(370)의 형상은 실시예이며, 집음부(370)는 소리를 마이크로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집음부의 일례이다.
도 4는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400)가 결합된 경우, 마이크로 소리를 집음하기 위한 집음부의 일례이다. 이때, 제1 집음부(410)와 제2 집음부(420)는 각각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음부(410)와 제2 집음부(420)는 밴드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는 경우, 도 4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음부(410)와 제2 집음부(420)는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집음부(410)와 제2 집음부(420)는 도 4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430)과 접촉하며, 가슴(43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400)로 집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집음부의 다른 일례이다.
도 5는 본체의 하부에 마이크(500)가 결합된 경우, 마이크로 소리를 집음하기 위한 집음부의 일례이다. 이때, 집음부(510)은 상부(511)와 하부(512) 및 연결막(5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막(513)은 상부(511)와 하부(512)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성 있는 재질, 또는 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지 않는 경우, 도 5의 케이스 1(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부(510)의 상부(511)와 하부(512)는 접혀서 밴드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막(513)은 상부(511)와 하부(512) 사이에 접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는 경우, 도 5의 케이스 2(Case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부(510)의 상부(511)와 하부(512)는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부(511)와 하부(512) 간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연결막(513)이 펴지면서 마이크(500)를 중심으로 테이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511)와 하부(512) 및 연결막(513)으로 구성된 테이퍼 구조의 집음부(510)가 사용자의 가슴(52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집음부(510)는 사용자의 가슴(520) 안에 있는 심장, 또는 폐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500)으로 집음할 수 있다.
그리고, 집음부(510)의 상부(511)와 하부(512)는 도 5의 케이스 3(Case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30)의 폭보다 사용자의 가슴(520)과 접촉하는 면의 폭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집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측정 위치의 일례이다.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200)의 소리 측정부(210)는 심음이나 폐음을 수집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3차원 모델(600) 또는 2차원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측정부(210)는 3차원 모델(600)에 심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610), 오른쪽 폐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620), 및 왼쪽 폐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6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서 3차원 모델(600)에 표시된 위치(610), 위치(620), 및 위치(630)에 대응하는 위치 중 하나에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마이크가 수집한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 중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접촉시킨 위치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3차원 모델(600)에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에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신체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저장된 신체 이미지에 위치(610), 위치(620), 및 위치(630)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심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610)을 도 7의 케이스 1(case 1)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측정부(210)는 폐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610) 및 위치(630)을 도 7의 케이스 2(case 2)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81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생체 신호 측정부(220)는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2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단계(82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단계(810)에서 측정한 폐음, 또는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산소 포화도, 체온, 맥박을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산소 포화도, 심전도, 혈압, 맥박을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단계(830)에서 판단한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단계(910) 내지 단계(960)는 도 8의 단계(81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측정부(210)는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접촉해야 하는 위치가 표시된 인간의 3차원 모델 또는 2차원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변환한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의 특징 정보들과 비교하여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까지 단계(920)을 반복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마이크가 변환한 소리 신호들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체에게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단계(930)에서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소리 측정부(210)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폐음을 추출할 수 있다.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호흡음, 또는 폐와 관련된 질환에 따른 부잡음을 폐음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측정부(210)는 단계(930)에서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심음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 소리 측정부(210)는 단계(940)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단계(920)에서 마이크, 또는 집음부가 접촉한 위치는 폐음, 또는 심음을 측정할 수 없는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단계(940)에서 폐음, 또는 심음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소리 측정부(210)는 단계(960)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때, 단계(1010) 내지 단계(1030)는 도 8의 단계(83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도 8의 단계(830) 및 단계(840)를 수행함으로써, 서버가 정상인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단계(1010)에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 또는 정상인 심장의 레퍼런스를 도 8의 단계(810)에서 측정한 폐음 또는 심음 및 도 8의 단계(82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 또는 정상인 심장의 레퍼런스는 정상 상태로 확인된 사용자를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 또는 심음일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서버로부터 정상인 폐의 레퍼런스 또는 정상인 심장의 레퍼런스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도 8의 단계(810)에서 측정한 폐음 또는 심음을 도 8의 단계(82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단계(810)에서 측정한 심음이 도 8의 단계(82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맥박, 또는 심전도와 불일치한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서버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을 요청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단계(102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230)는 서버로부터 단계(1020)에서 전송한 사용자의 폐음 및 폐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심음 및 심음과 조합한 생체 신호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한 사용자의 신체 신호와 사용자의 심음 또는 폐음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의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용 단말
200: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10: 소리 측정부
220: 생체 신호 측정부
230: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

Claims (26)

  1.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Lung sound)을 측정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폐음을 추출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폐음, 및 생체 신호를 정상인 폐의 폐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정상이 아닌 경우,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폐음 및 생체 신호를 폐와 관련된 질병의 레퍼런스의 폐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1.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음(heart sound)을 측정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의 특징을 포함하는 소리를 검색하여 심음을 추출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을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가 접촉해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압축, 또는 부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 중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심음, 및 생체 신호를 정상인 폐의 심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정상이 아닌 경우,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한 심음 및 생체 신호를 폐와 관련된 질병의 레퍼런스의 심음, 및 생체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21.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폐음(Lung sound)을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폐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고,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폐음을 추출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폐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4.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음(heart sound)을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
    휴대용 단말의 밴드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심음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
    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와 연결된 집음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측정하고, 측정한 소리들 중에서 심음을 추출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 판단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심음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KR1020140067131A 2014-06-02 2014-06-02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38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31A KR20150138736A (ko) 2014-06-02 2014-06-02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31A KR20150138736A (ko) 2014-06-02 2014-06-02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36A true KR20150138736A (ko) 2015-12-10

Family

ID=5497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31A KR20150138736A (ko) 2014-06-02 2014-06-02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7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717A (ko) 2018-08-31 2020-03-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폐음을 이용한 폐 정보 획득 방법, 그 장치 및 그 프로그램
KR2020006101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생체신호측정장치
KR102359204B1 (ko) * 2021-08-03 2022-02-09 (주)파밀리데이터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717A (ko) 2018-08-31 2020-03-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폐음을 이용한 폐 정보 획득 방법, 그 장치 및 그 프로그램
KR2020006101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생체신호측정장치
KR102359204B1 (ko) * 2021-08-03 2022-02-09 (주)파밀리데이터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onaca et al. Health parameters monitoring by smartphone for quality of life improvement
JP6721156B2 (ja) 生体情報分析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107586B2 (en) Fitness monitoring
US20210219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hysiological events
KR101674997B1 (ko) 웨어러블 생체신호측정 기기, 서버, 시스템 및 방법
RU91838U1 (ru) Носимы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ониторинга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US10376211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detecting body physiological information trajectories and establishing disease prevention using a personal wearable device
CN104640498A (zh) 移动心脏健康监视
US20140128753A1 (en) Piezoelectric heart rate sensing for wearable devices or mobile devices
WO2018035827A1 (zh) 移动终端、辅助设备、血压测量系统及方法
Wang et al. Mobile phone based health care technology
KR20150138736A (ko) 심음, 또는 폐음을 이용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850029B2 (en) Tonometry based blood pressure measurements using a two-dimensional force sensor array
US11232866B1 (en) Vein thromboembolism (VTE) risk assessment system
CN109414170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9355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8542377A (zh) 一种基于pvdf压电传感器测量脉搏心率的检测设备
CN109770887B (zh) 袖带式无创血流动力学人工智能云端监测系统及方法
JP2024516573A (ja) 生理学パラメータ検知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095555A1 (en) Graphical technique for detecting congestive heart failure
Anchan Estimating pulse wave velocity using mobile phone sensors
CN112037916A (zh) 共享多功能防猝死生理信息检测系统及其方法
Itagi et al. Analysis of blood pressure through video Techniques imaging
Khalili Moghaddam et al. Ex vivo biosignatures
TWI773259B (zh) 利用非接觸式生理信號量測技術實現遠距中醫診脈之系統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