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689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689A
KR20150138689A KR1020140066964A KR20140066964A KR20150138689A KR 20150138689 A KR20150138689 A KR 20150138689A KR 1020140066964 A KR1020140066964 A KR 1020140066964A KR 20140066964 A KR20140066964 A KR 20140066964A KR 20150138689 A KR20150138689 A KR 20150138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topper
electronic device
guide mem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묵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689A/ko
Publication of KR2015013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키버튼이 마련된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일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2 바디; 상기 제1,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제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전환 중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중, 상기 제2 바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바디 접촉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 제1,2 바디의 상태 변화시에 제2 바디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제2 바디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제1,2 바디의 상태 변화시에 제2 바디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제2 바디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V,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탭북(tap book) 등과 같은 전자 다비이스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탭북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휴대가 편리함은 물론 사용자의 상황에 적절하도록 형태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북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틸팅하지 않고 사용하고, 탭북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틸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탭북의 디스플레이부는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틸딩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다만, 종래의 관련 구성은 비용이나 효과적인 측면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 제1,2 바디의 상태 변화시에 제2 바디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제2 바디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키버튼이 마련된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일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2 바디; 상기 제1,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제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전환 중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중, 상기 제2 바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바디 접촉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제2 바디와의 접촉시, 상기 제2 바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바디 방향으로 회전된 제3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은, 상기 힌지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타측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복수 개이며, 상기 제2 바디에 내장된 소스 PCB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바디의 하측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 제1,2 바디의 상태 변화시에 제2 바디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제2 바디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1 전자 다비이스가 일 상태일 때 후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 전자 디바이스의 지지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스토퍼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탭북(tap book) 형태일 수 있다. 즉, 사용환경에 따라 바디를 틸팅(tilting)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틸팅되는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0)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측면일 수 있다. 즉, 제1 바디(20)의 일 면이 바닥면에 접촉되며 전자 디바이스(10)를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바디(20)에는 키버튼(4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바디(20)를 바닥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키버튼(40)을 사용하여 필요한 입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키버튼(40)이 마련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빠른 문자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바디(30)는, 제1 바디(2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20)가 제2 바디(30)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상태와, 제1 바디(20)에 대해 제2 바디(3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제2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바디(30)는, 가이드 부재(64)에 의하여 제1 바디(2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64)에 의하여 제2 바디(30)가 제1 바디(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 부재(64)를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도 5의 60)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바디(30)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30)의 외측면에 디스플레이부(5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50)는 제1 바디(20)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50)는 제1 바디(20)에 대해 일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나란하게 밀착된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바디(30)의 디스플레이부(50)는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지지 어셈블리(60)에 의하여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 또는 그 반대로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바디(20)에 대해서 제2 바디(30)가 일정 각도 틸팅되어 있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지지 어셈블리(6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어셈블리(60)에 포함된 가이드 부재(64)의 일측은 제1 바디(20)와 제1 힌지(H1)를 형성하고, 가이드 부재(64)의 타측은 제2 바디(30)와 제2 힌지(H2)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2 바디(30)는 제1 바디(20) 측에 마련된 스토퍼(ST)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며 틸팅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바디(30)에 시계방향(CW)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시계방향(CW)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2 바디(30)가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제1 힌지(H1)도 동작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30)의 회전이 진행되면,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나란하게 접촉될 수 있다.
도 4는 도1 전자 다비이스가 일 상태일 때 후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 전자 디바이스의 지지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를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지지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60)는, 가이드 부재(64)와, 가림판(66)과, 제2 바디후면판(68)과, 스토퍼(ST)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4)는, 제1,2 바디(20, 3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4)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64)는, 제1 바디(20)에 제1 힌지(H1)를 형성하고 제2 바디(30)에는 제2 힌지(H2)를 형성할 수 있다.
가림판(66)은, 가이드 부재(64) 등을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60)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림판(66)은, 제1 힌지(H1)와 연결되어 제1 힌지(H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힌지(H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자 디바이스(10)가 제2 상태에 있을 때는 가림판(66)이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위치하고, 제1 힌지(H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자 디바이스(1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는 가림판(66)도 함께 회전하여 가로로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가림판(66)은, 제1 힌지(H1)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바디후면판(68)은, 제2 바디(30)의 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plate) 일 수 있다. 제2 힌지(H2)는, 제1 바디후면판(78)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바디후면판(78)은, 제2 바디(30)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후면판(78)과 제2 바디(30)는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ST)는, 제2 바디(30)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30)에 부탁되어 있는 제2 바디후면판(68)에 접촉되어 제2 바디(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ST)는, 제1 힌지(H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힌지(H1)와 별도의 구조가 아닌, 제1 힌지(H1)를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60)의 구성품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ST)를 함께 구성함으로 인하여, 조립성 및/또는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5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의 스토퍼(ST)는,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ST)는, 제1 힌지(H1)와 연결된 연장부(63)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ST)는, 스토퍼 몸체(71)와, 회전축(75)과, 탄성스프링(8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몸체(71)는, 회전축(7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 몸체(75)에는 제1 걸림쇠(73)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스프링(80)의 일측은 제1 걸림쇠(73)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스프링(80)은, 회전축(75)을 따라 연장되어 연장부(63) 끝단의 제2 걸림쇠(76)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 몸체(71)는, 탄성스프링(80)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탄성스프링(80)에 의하여 스토퍼 몸체(71)가 Z축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토퍼 몸체(7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보다 작은 힘의 경우에는 스토퍼 몸체(71)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스토퍼 몸체(71)가 회전축(7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75)을 중심으로 회전되었던 스토포 몸체(71)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80)에 의하여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스토퍼(ST)는,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제2 바디(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30)와 접촉하는 시점에 스토퍼(ST)가 일정범위 회전하며 제2 바디(30)의 운동력을 흡수함으로 인하여, 제2 바디(30)의 틸팅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ST)의 스토퍼 몸체(71)는, 탄성스프링(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30)가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며 스토퍼 몸체(71)의 제1 접촉점(7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R1)으로 움직이던 제2 바디(30)에 의하여, 스토퍼 몸체(71)는 회전축(7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토퍼 몸체(71)가 제2 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 몸체(71)가 제2 방향(R2)으로 회전되며 탄성스프링(80)은, 제2 바디(30)의 운동력을 탄성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R1)으로 움직이며 틸팅되는 제2 바디(30)가 부드럽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스토퍼 몸체(71)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2 바디(30)와 스토퍼 몸체(71)가 강하게 충돌하여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몸체(71)는 회전축(75)을 중심으로 제3 방향(R3)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방향(R3) 으로 회전하던 스토퍼 몸체(71)는, 제3 바디(30)에서 가해지는 힘과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이 동일해지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바디(30)가 제1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제1 상태로 조작될 때, 제3 바디(30)는 수직방향(D)으로 스토퍼 몸체(71)에 접근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바디(30)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스토퍼 몸체(71)와 제3 바디(30)가 제2 접촉점(77)에서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제3 바디(30)의 무게 및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스토퍼 몸체(71)는 제4 방향(R4)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4 방향(R4)으로 회전하면, 스토퍼 몸체(71)는 가로 방향으로 누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는 자연스럽게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스토퍼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안정적인 위치에 스토퍼(ST)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30)의 전면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3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50)의 구동을 위한 소스PCB(SP)가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SP)는, 충격 등에 민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는, 소스 PCB(SP)를 회피한 위치에 스토퍼(ST)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PCB(SP)가 위치한 영역을 회피한 스토퍼 영역(ST)에 스토퍼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ST)는, 제1,2 스토퍼(ST1, ST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30) 상의 스토퍼 영역(ST)의 좌우측에 접촉하도록 제1,2 스토퍼(ST1, ST2)가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스토퍼(ST1, ST2)의 위치로 인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2 바디(30)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전자 디바이스 20: 제1 바디
30 : 제2 바디

Claims (7)

  1. 키버튼이 마련된 제1 바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일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2 바디;
    상기 제1,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제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전환 중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중, 상기 제2 바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바디 접촉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제2 바디와의 접촉시, 상기 제2 바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전자 다비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바디 방향으로 회전된 제3 위치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은, 상기 힌지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타측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된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복수 개이며, 상기 제2 바디에 내장된 소스 PCB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바디의 하측에 접촉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40066964A 2014-06-02 2014-06-02 전자 디바이스 KR20150138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64A KR20150138689A (ko) 2014-06-02 2014-06-02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64A KR20150138689A (ko) 2014-06-02 2014-06-02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89A true KR20150138689A (ko) 2015-12-10

Family

ID=5497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964A KR20150138689A (ko) 2014-06-02 2014-06-02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6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171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256255B2 (en) Docking station
US9785198B2 (en) Hinge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04374B2 (en) Electronic device
US99216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er
US8767396B2 (en) Extens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261910B2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system therewith
US8725210B2 (en) Attachable assembly
US9192061B2 (en) Electronic device
CN104750186B (zh) 膝上型计算机的圆盘样式360度铰链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92158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US96651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part
JP2016516952A (ja) 回転可能な部品取付けのためのヒンジ機構
US7986514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input device
US9060445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panel
US799791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80239401A1 (en) Multi-axis hing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140118899A1 (en) Electronic device and linkage mechanism thereof
US897652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device thereof
EP3129848A1 (en) Hinged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201600624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KR20160061180A (ko) 전자 디바이스
JP4980317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