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003A -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003A
KR20150138003A KR1020150062277A KR20150062277A KR20150138003A KR 20150138003 A KR20150138003 A KR 20150138003A KR 1020150062277 A KR1020150062277 A KR 1020150062277A KR 20150062277 A KR20150062277 A KR 20150062277A KR 20150138003 A KR20150138003 A KR 2015013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ignal
information
distanc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563B1 (ko
Inventor
파트와리 아유시
미쉬라 가우라브
루피카 스리바스타바
알로크나트 데
파트카르 디프라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52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82956A1/en
Priority to US14/725,106 priority patent/US9910937B2/en
Publication of KR2015013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0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2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transduce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추정된 거리 정보 및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ATHOD FOR GERNERATING DATA OF REPRESENTING STRUCTURE IN THE ROOM}
본 발명은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산업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해 네이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대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건물의 평면도와 같이 건물 내부에 관한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대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건물 내부에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관한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들이 특수한 성능을 갖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일반적인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즉시 건물 내부에 관한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평면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평면도 및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벽들 또는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 신호 및 상기 제 2 반사 신호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되돌아오는 음향 신호이고,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상기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음향 출력부; 음향 수신부;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실내의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음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음향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면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면도 및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벽들 또는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고,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되돌아오는 음향 신호인 상기 제 1 반사 신호 및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상기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의 구조를 즉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내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특별한 장비 없이도 실내의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 또는 프리뷰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3차원 모델을 3D 프린팅하거나 프리뷰 모델을 실제처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이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반사 신호들을 후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반사 신호들을 매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실내(10)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통해 실내(10)의 기하학적 구조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이동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디지털 TV, 키오스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랩톱,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이 음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구조를 파악하는 실내(10)는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의 내부로서, 집, 쇼핑 센터, 사무실, 공장 등의 내부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의 내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실내(1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벽을 포함하는 폐쇄 또는 개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디바이스 실내(10)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평면도(20), 3차원 모델, 프리뷰 모델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생성된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10)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실내(10) 구조에 대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실내(10)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0)가 순차적으로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반사 신호를 획득하고,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10)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는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실내(10)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반사되어 디바이스(100)로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일 수 있으며, 실내(10)에 대한 거리 정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반사시키는 실내(10)의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거리 정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반사시키는 실내(1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물체(object)로부터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실내(10)에 위치한 물체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책상, 의자, 침대, 소파, 장식품 등 실내(10)에 위치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 모든 물체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실내(1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내(10)에 대한 각도 정보는 실내(10)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실내(10)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10)에 대한 각도 정보는 방위각으로 나타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정보는 북쪽을 기준(0도)으로 시계 방향에 따라 0도부터 360도 사이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추정된 실내(10)에 대한 거리 정보 및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모델을 3D 프린터로 프린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10)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평면도 또는 3차원 모델에 물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프리뷰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리뷰 모델은 실제 사용자가 이용하는 실내의 환경을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모델은 실내에 위치할 수 있는 문, 창문, 가구, 벽지, 장식품 등의 물체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10)의 구조를 즉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10)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시각 장애인과 같은 실내(10)의 구조를 눈으로 직접 파악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 실내(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청각적 방식 등의 시각적 방법이 아닌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이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건물이 위치한 영역을 포함하는 지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의 (a)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된 지도일 수 있다. 도 2의 (b)는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나타낸 지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와 같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된 도 2의 (a)의 지도를 바탕으로, 생성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2의 (b)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건물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길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다른 장소에 이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음향 출력부(310), 음향 수신부(320), 센싱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10)는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10)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310)는 휴대용 디바이스(100)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래의 라우드 스피커(loudspeak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파라메트릭 스피커(parametric speak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310)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음향 출력부(31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소정의 음향 신호는 정현 스위프(sine sweep), Maximum Length Sequence (MLS), 가청 범위의 주파수 또는 초음파 대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 에너지 파형(acoustic energy waveform)일 수 있다.
음향 수신부(320)는 디바이스(100)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신된 음향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수신부(320)는 마이크(micropho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수신부(320)는 휴대용 디바이스(100)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향성 마이크(directional microphon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수신부(320)는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수신부(320)는 제 1 위치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를 제 1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수신부(320)는 제 2 위치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2 반사 신호를 제 2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다.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는 소정의 음향 신호가 음향 출력부(310)로부터 출력되어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음향 수신부(320)로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일 수 있다.
음향 수신부(320)는 음향 출력부(31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출력된 때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수신되는 연속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반사 신호 또는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30)는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센싱부(330)는 디바이스(100)의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330)는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부(350)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30)는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30)는 카메라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정보들을 입력하는 하드웨어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40)는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40)는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40)는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그 외에도 다양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실내의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310)를 제어하고,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음향 수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실내의 제 1 위치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310)를 제어하고, 소정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면 제 1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음향 수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실내의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음향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실내의 제 2 위치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310)를 제어하고, 소정의 음향 신호가 출력되면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음향 수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수신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는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실내(10)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반사되어 디바이스(100)로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일 수 있으며, 실내(10)에 대한 거리 정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반사시키는 실내(10)의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거리 정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반사시키는 실내(1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물체(object)로부터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디컨볼루션(de-convolve)하여 각각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제 1 반사 신호를 소정의 음향 신호로부터 디컨볼루션(de-convolve)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제 2 반사 신호를 소정의 음향 신호로부터 디컨볼루션하여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노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 및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노이즈를 줄이고 반사 신호를 강조하기 위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 및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각각 자기상관(auto-correlate)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후처리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로부터 각각 복수개의 피크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피크들은 각각 시간 축 상에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각각의 피크들은 하나의 음향 반사 신호를 나타내도록 클러스터링(cluster)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피크들로 추출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매핑할 수 있고, 매핑에 기초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소정의 음향 신호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피크들로 추출된 제 2 반사 신호를 시간 축 이동하여 제 1 반사 신호와 매핑할 수 있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의 거리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킨 거리로서 이동 시에 제어부(350)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소정의 음향 신호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의 음향 신호의 속도로서 약 340 m/s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음향 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음향 신호의 속도는 실내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제 1 반사 신호와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제 1 반사 신호의 피크들과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의 피크들 중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을 매핑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 중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피크의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시간 적으로 가장 가까운 신호의 피크 시간과 미리 결정된 음향 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 중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피크를 제외한 나머지 피크들의 신호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센싱부(330)가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코너에 대한 각도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방위각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디바이스(100)가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향한 채로 사용자로부터 각도 정보의 획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센싱부(330)가 벽에 대한 각도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디바이스(100)가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를 향한 채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센싱부(330)가 코너에 대한 각도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센싱부(330)의 카메라 렌즈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가 벽 또는 코너를 정확히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추정된 실내의 대한 거리 정보 및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생성할 수 있고,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에 물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프리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40)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410)에 위치한 디바이스(100)로부터 실내(40)의 벽(41)까지의 거리(d 411)를 추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의 (a)에서, 디바이스(100)는 실내(40)의 제 1 위치(41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는 실내(40)의 벽(41)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410)에서 벽(41)에 의하여 반사된 제1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는 벽(41) 외의 실내(40)의 다른 벽 또는 물체들에 의하여 반사되어 복수 개의 반사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41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출력된 때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수신되는 연속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 개의 반사 신호가 포함된 제 1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사 신호는 그래프(41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그래프(412)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신호의 크기일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디바이스(100)는 실내(40)의 제 2 위치(42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실내(40)의 제 1 위치(410)에서 제 2 위치(410)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위치(42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는 실내(40)의 벽(41)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420)에서 벽(41)에 의하여 반사된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는 벽(41) 외의 실내(40)의 다른 벽 또는 물체들에 의하여 반사되어 복수 개의 반사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420)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출력된 때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수신되는 연속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 개의 반사 신호가 포함된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반사 신호는 그래프(42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그래프(422)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신호의 크기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된 반사 신호들을 후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 1 반사 신호는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후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를 소정의 음향 신호로부터 디컨볼루션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필터링 및 자기상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후처리된 제 1 반사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피크들을 추출하여 제 1 반사 신호를 그래프(4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14)에 나타난 각각의 피크들은 제 1 위치(41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음향 반사 신호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14)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사 신호는 제 1 반사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후처리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후처리된 제 2 반사 신호로부터 복수 개의 피크들을 추출하여 제 2 반사 신호를 그래프(42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24)에 나타난 각각의 피크들은 제 2 위치(42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음향 반사 신호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24)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된 반사 신호들을 매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410)와 제 2 위치(420) 간의 거리(d 430)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제 1 위치(410)에서 제 2 위치(420)로 이동하는 때에, 가속도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제 1 위치(410)와 제 2 위치(420) 간의 거리(d 430)를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측정된 거리(d 430)를 이용하여 제 2 반사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음향 신호가 거리(d 430)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제 2 반사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음향 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음향 신호가 거리(d 430)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시간 축으로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는 그래프(426)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는 제 2 반사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제 1 반사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반사 신호를 시간 축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420)에 위치한 디바이스(100)로부터 실내(40)의 벽(41)까지의 거리(d 421)를 추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그래프(414)에 나타난 제 1 반사 신호와 그래프(426)에 나타난 시간 축으로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의 피크들과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의 피크들 중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을 매핑할 수 있다. 도 6에서, t1 및 t2에서 제 1 반사 신호의 피크와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의 피크가 매핑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 중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피크의 신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로부터 벽(41)까지의 거리(411)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피크의 시간 t1과 미리 결정된 음향 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거리(411)를 추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실내(80)에서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실내(8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내(80)에 대한 각도 정보는 실내(80)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실내(80)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80)에 대한 각도 정보는 방위각으로 나타난 정보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가 실내(80)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벽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바이스(100)가 실내(80)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를 향하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코너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더욱 정확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의 실내(80)를 촬영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촬영되는 영상(image)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실내(80)의 영상 및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보조선(810)을 이용하여 벽 또는 코너의 위치를 확인하여 더욱 정확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조선(810)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실선 또는 눈금선으로서, 영상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고정되어 표시되는 선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복수 개의 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실내(90)에 대한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도 9와 같이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위치(901)로부터 실내(90)의 적어도 하나의 벽(91)까지의 거리(d 910)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9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실내(90)의 벽들(91, 92, 93, 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각도 정보 또는 실내(90)의 제 1 코너, 제 2 코너, 제 3 코너 및 제 4 코너에 대한 각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각도 정보를 디바이스(100)의 위치(901)를 기준으로 방위각을 나타내는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각도 정보들과 추정된 거리 정보(d 910)에 기초하여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평면도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다른 장소에 이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10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가속도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지자기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들 간의 상대적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경로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010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102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평면도의 치수를 나타내는 값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평면도를 수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내에 관한 명칭을 입력할 수도 있다.
103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복수 개의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들을 병합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집안의 방들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병합함으로써 전체 집안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데이터들을 병합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병합 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층에 대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병합하여 복수 개의 층에 대한 전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병합된 전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전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제공하여 실내에 대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실내의 평면도(1110), 3차원 모델(1120) 또는 프리뷰 모델(1130)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각적인 데이터가 아닌 청각적인 데이터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추정된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1110)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데이터들을 병합함으로써 전체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평면도(1110)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11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천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천장까지의 거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과 천장 사이의 코너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평면도(1110)를 기초로, 천장까지의 거리 정보 또는 벽과 천장 사이의 코너에 대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1120)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3차원 모델(1120)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모델을 프린트하도록 3D 프린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평면도(1110) 또는 3차원 모델(1120)을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프리뷰 모델(1130)을 생성할 수 있다. 프리뷰 모델(1130)은 실제 사용자가 이용하는 실내의 환경을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모델(1130)은 실내에 위치할 수 있는 문, 창문, 가구, 벽지, 장식품 등의 물체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프리뷰 모델(113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물체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물체들의 명칭, 치수에 관한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프리뷰 모델(1130)에 포함될 물체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직접 실내에 위치한 물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실내에 위치한 물체에 대하여 치수 정보를 획득하여 프리뷰 모델(1130)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체에 대한 치수 정보는 앞서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된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평면도(1110) 또는 3차원 모델(1120)을 선택된 물체들에 대한 정보와 병합하여 프리뷰 모델(113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3차원 모델(1120)에 선택된 물체(1132, 1134)의 이미지를 덧붙여(superimpose) 프리뷰 모델(113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물체의 치수 정보에 따라 선택된 물체를 스케일링하여 프리뷰 모델(1130)에 덧붙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모델(1130)을 통하여 선택된 물체가 포함된 실내의 구조를 실제처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1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는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반사되어 디바이스(100)로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0)가 순차적으로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반사 신호를 획득하고,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반사시키는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디컨볼루션(de-convolve)하여 각각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를 소정의 음향 신호로부터 디컨볼루션(de-convolve)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제 2 반사 신호를 소정의 음향 신호로부터 디컨볼루션하여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노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 및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노이즈를 줄이고 반사 신호를 강조하기 위하여 제 1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 및 제 2 반사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각각 자기상관(auto-correlate)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후처리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로부터 각각 복수개의 피크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피크들은 각각 시간 축 상에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각각의 피크들은 하나의 음향 반사 신호를 나타내도록 클러스터링(cluster)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피크들로 추출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매핑할 수 있고, 매핑에 기초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소정의 음향 신호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피크들로 추출된 제 2 반사 신호를 시간 축 이동하여 제 1 반사 신호와 매핑할 수 있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의 거리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킨 거리로서 이동 시에 디바이스(100)는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와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제 1 반사 신호의 피크들과 시간 축 이동된 제 2 반사 신호의 피크들 중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을 매핑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시간에 매핑되는 피크들 중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피크의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시간 적으로 가장 가까운 신호의 피크 시간과 미리 결정된 음향 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는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대한 각도 정보는 방위각으로 나타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100)가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벽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바이스(100)가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를 향하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코너에 대한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더욱 정확한 각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의 실내(80)를 촬영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촬영되는 영상(image)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복수 개의 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추정된 거리 정보 및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모델을 3D 프린터로 프린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프리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평면도 또는 3차원 모델에 물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프리뷰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13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300)는 입력부(1310), 출력부(1320), 통신부(1330), 센싱부(1340), 메모리(1350) 및 제어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0)에서, 입력부(1310)는 터치 인식 모듈(1311), 모션 인식 모듈(1312), 키 인식 모듈(1312) 및 음향 수신 모듈(1313)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1320)는 디스플레이부(1321), 음향 출력 모듈(1322) 및 알람부(1323)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13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331), 무선 인터넷 모듈(1332), 이동 통신 모듈(1333) 및 유선 인터넷 모듈(13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디바이스(1300)의 종류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3에 도시된 일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디바이스(13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앞서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100)는 도 13에 도시된 디바이스(13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디바이스(100)는 도 13의 디바이스(1300)가 수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음향 출력부(310)는 도 13의 음향 출력 모듈(1322)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음향 수신부(320)는 도 13의 음향 수신 모듈(1313)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센싱부(330)는 도 13의 센싱부(134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사용자 입력부(340)는 도 13의 터치 인식 모듈(1311) 및 키 인식 모듈(1312)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제어부(350)는 도 13의 제어부(136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의 디바이스(13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도록 한다.
입력부(13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300)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1311)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6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1311)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1311)에서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또는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모듈(1311)은,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플릭, 드래그& 드롭, 호버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1311)은, 디스플레이부(1321)와 복수의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 인식 모듈(1312)은, 하드웨어 키(예컨대, 방향 키, 글자 키, 마우스 등)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음향 수신 모듈(131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신된 음향 신호를 제어부(13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32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321)는, 디바이스(13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처리될 정보 등의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인터페이싱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1321)는 디바이스(1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21)는 도 12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인식 모듈(1311)과 디스플레이부(1321)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하드웨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322)은, 통신부(133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323)는, 디바이스(1300)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123)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30)는, 외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133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33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이동 통신 모듈(1333)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유선 인터넷 모듈(1334)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센싱부(1340)는 디바이스(1300)의 움직임 또는 디바이스(1300)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40)는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40)는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근접 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50)는 디바이스(1300)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HDD(hard-disk drive), SDD(solid state drive),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50)는 디스플레이부(1321)를 통해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60)는 디바이스(1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CPU, 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1)

  1. 디바이스에서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estimate)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평면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평면도 및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벽들 또는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신호 및 상기 제 2 반사 신호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되돌아오는 음향 신호이고,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한 각도 또는 상기 실내의 벽들이 접하는 코너에 대한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음향 출력부;
    음향 수신부;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실내의 제 1 위치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1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음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에 대한 제 2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음향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1 반사 신호 및 제 2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면도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면도 및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벽들 또는 상기 실내에 위치한 물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디바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고,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추정하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반사 신호와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매핑하는 디바이스.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되돌아오는 음향 신호인 상기 제 1 반사 신호 및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하는 것인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음향 신호가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되돌아오는 음향 신호인 상기 제 1 반사 신호 및 상기 제 2 반사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실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정하는 것인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적어도 하나의 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2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062277A 2014-05-29 2015-05-01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12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246 WO2015182956A1 (en) 2014-05-29 2015-05-26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ata representing structure of room
US14/725,106 US9910937B2 (en) 2014-05-29 2015-05-29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ata representing structure of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640CH2014 2014-05-29
IN2640/CHE/2014 2014-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003A true KR20150138003A (ko) 2015-12-09
KR102125563B1 KR102125563B1 (ko) 2020-06-22

Family

ID=5487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77A KR102125563B1 (ko) 2014-05-29 2015-05-01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624A (ko) 2018-04-30 2019-11-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을 통한 무선신호 전파 채널 해석을 이용한 실내공간의 구조를 예측하는 방법
KR20200082460A (ko) * 2018-12-28 2020-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경로 손실 모델링을 위한 cnn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내 경로 손실 모델링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897A (ja) * 2000-05-25 2001-12-04 Daihatsu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57561A (ko) * 2005-12-0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매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7225342A (ja) * 2006-02-21 2007-09-06 Toyota Motor Corp 3次元測定装置及び3次元測定装置を搭載した自律移動装置
KR20090010367A (ko) * 2007-07-23 2009-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환경지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3556A (ko) * 2010-08-05 2012-02-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송수신에 의한 지도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91439A1 (en) * 2011-01-25 2012-07-26 Power Analyt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odel-based real-time simulation of a microgrid for market-based electric power system optimization
KR20120092809A (ko) * 2011-02-14 2012-08-22 조수호 감지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330A (ko) * 2011-05-31 2012-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리 기반 공간지도를 이용한 상황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319526B1 (ko) * 2013-03-26 2013-10-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로봇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897A (ja) * 2000-05-25 2001-12-04 Daihatsu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57561A (ko) * 2005-12-02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매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7225342A (ja) * 2006-02-21 2007-09-06 Toyota Motor Corp 3次元測定装置及び3次元測定装置を搭載した自律移動装置
KR20090010367A (ko) * 2007-07-23 2009-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환경지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3556A (ko) * 2010-08-05 2012-02-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송수신에 의한 지도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91439A1 (en) * 2011-01-25 2012-07-26 Power Analyt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odel-based real-time simulation of a microgrid for market-based electric power system optimization
KR20120092809A (ko) * 2011-02-14 2012-08-22 조수호 감지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330A (ko) * 2011-05-31 2012-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리 기반 공간지도를 이용한 상황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319526B1 (ko) * 2013-03-26 2013-10-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로봇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624A (ko) 2018-04-30 2019-11-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을 통한 무선신호 전파 채널 해석을 이용한 실내공간의 구조를 예측하는 방법
KR20200082460A (ko) * 2018-12-28 2020-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경로 손실 모델링을 위한 cnn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내 경로 손실 모델링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563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09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ata representing structure of room
US9121724B2 (en) 3D position tracking for panoramic imagery navigation
US93011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inertial computing device in a distributed network
KR102097452B1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313502B (zh) 利用选择装置的敲击事件定位
US10440497B2 (en) Multi-modal dereverbaration in far-field audio systems
TW201333429A (zh) 用於估計真實世界距離之校準的硬體感測器
JP6609383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及びモーション分析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KR20140144410A (ko) 음향신호를 위한 빔포밍 방법 및 장치
CN102388406A (zh) 使用便携式电子设备记录产生三维模型
JP2016536715A (ja) 深度センサを用いた構造のモデル化
US201602529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3605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EP3759508B1 (en) Acoustic positioning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and method
KR20140141383A (ko) 협동 촬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5673A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그 디바이스
US10565786B1 (en) Sensor placement interface
US109640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dividual imaging device for measurement of a size of a subject
KR2020002927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KR102125563B1 (ko) 실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3269877B (zh) 获取房间布局平面图的方法和电子设备
EP3252491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04023130B (zh) 位置提醒方法和装置
KR20180039954A (ko)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Horiuchi et al. A pointing system based on acoustic position estimation and gravity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