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944A -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7944A KR20150137944A KR1020140123448A KR20140123448A KR20150137944A KR 20150137944 A KR20150137944 A KR 20150137944A KR 1020140123448 A KR1020140123448 A KR 1020140123448A KR 20140123448 A KR20140123448 A KR 20140123448A KR 20150137944 A KR20150137944 A KR 20150137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server
- terminal
- home
- hom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서버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에 기반하여,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디바이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서버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에 기반하여,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개인 서버에 대한 개인 서버 목록과, 개인 서버 목록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정보는, 개인 서버의 공용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서버 또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에 웹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서버에서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은, 단말기와,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에 기반한,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웹 브라우저가 구동이 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버는,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의 개인 서버 항목 선택에 대응하여,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의 접속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는,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웹 구동 화면에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웹 주소 입력이 있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인 이후,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홈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홈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은, 단말기와, 단말기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서버와 개인 서버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 서버의 일예인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14b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서버와 개인 서버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 서버의 일예인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14b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단말기(600),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300), 및 개인 서버(50), 홈 디바이스(60a 내지 60h)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단말기(600)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6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600)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600)로부터, 개인 서버(50)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50)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는, 서버(50)의 공용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개인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기(600)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의 예로서, 도 1에서는, 도면과 같이, 냉장고(60a), 세탁기(60b), 에어컨(60c), 조리기기(60d), 로봇 청소기(60e), TV(60f), 조명 장치(60g), 온도 조절 장치(60h) 등을 예시한다.
한편, 도면 외에, 홈 디바이스로, 보안 카메라 등의 보안 장치, 전자식으로 걔폐되는 도어,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창문, 공기 청정기, 음향출력기기, 게임 기기, 셋탑 박스, 전자 액자, 에너지 저장장치(ESS), 디지털 카메라, 향기 발생 장치, 차량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냉장고(60a), 세탁기(60b), 에어컨(60c), 조리기기(60d), 로봇 청소기(60e), TV(60f), 조명 장치(60g), 온도 조절 장치(60h)와 같은 홈 디바이스는, AP 장치(300)를 통해, 개인 서버(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냉장고(60a), 세탁기(60b), 에어컨(60c), 조리기기(60d), 로봇 청소기(60e), TV(60f), 조명 장치(60g), 온도 조절 장치(60h)와 같은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MAC 정보 등)를 수신하며, 이를 홈 디바이스 리스트로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서버(50)는, 새로운 홈 디바이스, 예를 들어, 건조기, 진공 청소기 등이 추가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MAC 정보 등)를 추가로 수신하고,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웹 구동 화면에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의 접속을 위한, 웹 주소 입력이 있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며, 로그인 완료 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에 대한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개인 서버 목록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특정 개인 서버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개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되는 개인 서버(5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서버(50)에 접속을 요청한다. 개인 서버(50)는, 접속 요청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 서버(50)에서 관리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 수신시, 홈 어플리언스의 제품 정보와 각각의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단말기(600)는, 수신된 해당 홈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명령을, 개인 서버(50)를 경유하여, 특정 홈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60f)에 대한 전원 온 명령이 있는 경우, 단말기(600)는, 전원 온 명령을, 네트워크(700), AP 장치(300), 개인 서버(50)를 경유하여, TV(60f)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TV(60f)에 대한 전원 온 명령이 있는 경우, 단말기(600)는, 전원 온 명령을, 네트워크(700), AP 장치(300)를 경유하여, TV(60f)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개인 서버(50)로의 경유 없이, 바로 TV(60f)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홈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서버와 개인 서버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home applicance access server)(500)는, 홈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를 위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프로세서(570), 인터페이스부(530), 및 저장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30)는, 개인 서버(50) 또는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30)는, 단말기(600)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6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6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30)는, 단말기(600)로부터, 개인 서버(50)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50)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며, 개인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530)는, 개인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530)는, 개인 서버(50)가 관리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MAC 정보 등)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70), 인터페이스부(530), 및 저장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600)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로그인 정보 수신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특히,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개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즉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 디바이스 정보, 계정 정보(account id)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540)는, 개인 서버(50)가 관리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MAC 정보 등)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주기적으로, 개인 서버(5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개인 서버(50)에 수시로, 접속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전원이 항상 켜져 있는 AP 장치(300)와 달리, 개인 서버(50)는, 종종 전원이 오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설 아이피 정보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설 아이피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수시로, 특히, 전원 온 될 때마다, 개인 서버(50)와, 접속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 특히 사설 아이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를, 해당 개인 서버(50)에 대한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갱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의 요청시,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기(600)는, 별도의 절차 없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갱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간단하게, 개인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정보 제공시,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후, 개인 서버 목록 정보 제공시, 광고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전과 로그인 이후에, 제공되는 광고 정보의 종류, 속성 등을 가변할 수 있다. 즉,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후, 해당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235a)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235b)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235c)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서버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부(235b)를 통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600)로부터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27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에서 구동되는 웹 화면 내의 개인 서버(50) 항목 선택에 대응하여, 단말기(6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단말기(600)의 접속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부(235c)는, 추가되는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70)는, 추가되는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홈 디바이스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부(235b)를 통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command)을 분석하는 명령 분석부(command paerser)(277a)와, 분석된 명령에 기초하여,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전송부(command transmitter)(277c)와, 명령 분석부(277a)와 명령 전송부(277c)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관리부(device manager)(277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명령에 대한 패턴 분석을 수행하는 패턴 분석부(pattern analyzer)(277e)와,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관리부(277b)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등록부(device register)(277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277e)에서 분석된 패턴이 일정 주기, 또는 횟수를 넘어가는 경우, 맞춤형 기능 제공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서버(50)의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서버(50)의 네트워크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개인 서버(50)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RAC(Remote Access Control)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600)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 제어 명령은, 개인 서버(50)와 AP 장치(300)를 경유하여, 복수의 홈 디바이스(60a ~ 60h) 중 특정 홈 디바이스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600)를 사용하여, 특히, 웹 브라우저에 의한 웹 화면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홈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TV와 PC 기능이 혼합된, 영상제공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개인 서버(50)가, 방송 영상 등의 제공이 가능한 영상제공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개인 서버(5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도 4의 105)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에 의한 원격 접속시, 단말기(600) 요청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공유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공유 컨텐츠 목록 중 소정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방송 컨텐츠를 단말기(6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로부터 방송 녹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녹화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 수신부에서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스트림을 저장부(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단말기(600)로부터 방송 시청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시청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 수신부에서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스트림을 트랜스 코딩하고, 트랜스 코딩된 스트림을, 제1 인터페이스부(235a)를 통해,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개인 서버(50)가, TV(60f)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600)로부터 방송 녹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녹화 명령을 TV(60f)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청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시청 명령을 TV(60f)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의 도 3 내지 도 4에서는, 개인 서버(50)가, 영상제공장치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영상제공장치(50)에 대해 기술한다.
도 3은 도 1의 개인 서버의 일예인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10)은, 단말기(600),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 및 개인서버, 즉 영상제공장치(50)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600)는, 입력되는 웹 주소에 대응하여,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접속하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서버(personal server) 접속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 접속 화면 내에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로그인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하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표시되는 개인 서버 목록 화면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서버가 선택되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해당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한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요청된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하며,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개인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의 개인 서버는, 도 3에 도시된 영상제공장치(5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단말기(600)는, 어느 하나의 개인 서버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하는 영상제공장치(50)에 접속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50)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 장치로 소정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영상제공장치(5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 처리하여, 외부로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개인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영상제공장치(50)는, 컨텐츠의 외부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네트워크 정보는, 공인 아이피(public IP) 정보와 사설 아이피(private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50)는, 외부의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 또는 단말기(600)와의 접속을 위해, AP 장치(300)를 통해, 네트워크(7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AP 장치(3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는, 공인 아이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300)에 유,무선 접속되는, 기기, 특히 영상제공장치(50)는, AP 장치(300) 내의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각각 AP 장치(300)로부터 사설 아이피가 할당될 수 있다. 이에, AP 장치(300) 내의 영상제공장치(5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는,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제공장치(50)는, 외부의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 또는 단말기(600)와의 접속을 위해, AP 장치(300)에 대응하는 공인 아이피 정보와, 영상제공장치(50) 자체에 대응하는 사설 아이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단말기(600)는, 어느 하나의 개인 서버가 선택되는 경우,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영상제공장치(50)의 네트워크 정보, 즉,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제공장치(50)에 접속한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접속된 영상제공장치(50)로부터, 공유되는 컨텐츠 목록 정보를 수신하고, 공유되는 컨텐츠 목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접속된 영상제공장치(50)로,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며, 그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 사용자가 원격으로, 개인 서버인, 영상제공장치(50)에 접속한 이후,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6000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상에 웹 주소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서버(50)로부터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제공받으며, 로그인 이후,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제공받고, 선택된 개인 서버, 즉 영상제공장치(5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제공장치(50)의 사설 아이피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전달받으므로, 영상제공장치(50)로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단말기(600)는, 고정형 단말기 또는 이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웹 주소 입력에 의해 단말기(600)가 접속하는 경우,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복수의 웹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웹 주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서버 접속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C용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단말기(500)로 제공하며, 모바일(mobile)용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제1 해상도 보다 낮은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웹 주소에 대응하는 제1 서버 접속 화면을 단말기(500)로 제공하며, 제2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웹 주소에 대응하는 제2 서버 접속 화면을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단말기(600)로부터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600)로 제공할 수 있다.
미리,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이 저장된 경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단말기(600)로 제공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 내의, 메모리(540)는, 개인의 로그인 정보, 영상제공장치의 장치 정보,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서버 목록 정보, 각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정보는, 상술한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단말기(600)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하는 개인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 즉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디바이스 정보, 계정 정보(account id)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개인 서버, 즉 영상제공장치(5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영상제공장치(50)에 수시로, 접속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전원이 항상 켜져 있는 AP 장치(300)와 달리, 영상제공장치(50)는, 사용시에만 전원이 온되므로, 사설 아이피 정보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설 아이피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수시로, 특히, 전원 온 될 때마다, 영상제공장치(50)에, 접속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 특히 사설 아이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를, 해당 영상제공장치(50)에 대한 갱신된 네트워크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갱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의 요청시,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기(600)는, 별도의 절차 없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갱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간단하게, 개인 서버인, 영상제공장치(5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정보 제공시,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후, 개인 서버 목록 정보 제공시, 광고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전과 로그인 이후에, 제공되는 광고 정보의 종류, 속성 등을 가변할 수 있다. 즉,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이후, 해당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제공장치(50)는, 방송 수신부(도 4의 105)를 포함하는 제1 회로 보드(100)와, 대용량의 저장 공간이 마련된 저장부(도 4의 240)를 포함하는 제2 회로 보드(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 보드(100)와 제2 회로 보드(200)는, 영상제공장치(50) 내에서 착탈이 가능하다.
한편, 제1 회로 보드(100)와 제2 회로 보드(200)는, 각각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200)는 제1 회로 보드(100)로, 배경 이미지, 또는 제2 회로 보드(200)에서 재생되는 재생 영상 또는 재생 컨텐츠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회로 보드(100)는, 제2 회로 보드(200)로, 제어 신호(control signal) 또는 저장할 방송 신호 또는 저장할 방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저장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회로 보드(100)는, 제2 회로 보드(200)로,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100)는, TV 보드(board)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제2 회로 보드(200)는, PC 보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특히, 제2 회로 보드(200)는, 착탈 구조를 통해, 부품의 업그레이 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제공장치(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ser Interface로서, TV 화면과 PC 화면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회로 보드(100)와 제2 회로 보드(20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고장 발생시, 특히, 제2 회로 보드(200)의 고장 발생시에도, 제1 회로 보드(1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방송 영상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회로 보드(200)의 프로세서는, 제1 회로 보드(100)의 프로세서 보다, 처리속도, 처리 용량 등에서 우월하며, 이에 따라, 제2 회로 보드(200)는, High performance의 기능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한 영상 캡쳐, 제스쳐 인식, 웹 접속, 게임 구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들에 의한 화면을 제1 회로 보드(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영상제공장치(50)가, 디스플레이(180)와 카메라(195)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5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50)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명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0)(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180)(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195)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카메라(195)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195)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9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영상제공장치(5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제공장치(50)는, 제1 회로 보드(100)와 제2 회로 보드(200)를 구비한다.
제1 회로 보드(100)는, 방송 수신부(105), 제1 인터페이스부(125),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제1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1 프로세서(17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100)는, 제2 인터페이스부(225),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 제2 저장부(240), 제2 프로세서(270) 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방송 수신부(105)가,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예시하나,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셋탑 박스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1 프로세서(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회로 보드(20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특히,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방송 저장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프로세서(170)에서,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영상을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부터 재생되는 방송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배경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25)는, 제2 회로 보드(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 DVI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제공장치(5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40)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제1 저장부(140)가 제1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저장부(14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로 전달하거나, 제1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프로세서(170)에 전달하거나, 제1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제1 오에스(OS)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오에스(O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오에스(OS)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에스(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입력 관련 애플리케이션, 방송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저장된 방송 컨텐츠 관련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웹 앨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 위치기반 서비스(LBS)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웹 검색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오에스(OS)는, 유닉스 기반(리눅스), 웹 기반 등의 오에스(OS)일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프로세서(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5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제공장치(50) 내의 제1 회로 보드(100) 내의 각 유닛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제공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제공장치(5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1 프로세서(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1 프로세서(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영상제공장치(5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1 프로세서(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제공장치(5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200) 내의,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특히,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방송 저장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로부터,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방송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프로세서(270)에서 신호 처리된 방송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영상을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홈 화면 제공을 위해, 배경 이미지를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225)는, 제1 회로 보드(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125)로부터, 제2 회로 보드(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외부 장치(2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 DVI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영상제공장치(5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개인 서버(50)의 제1 인터페이스부(235a)와, 제2 인터페이스부(235b)와, 제3 인터페이스부(235c)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저장부(240)는, 제2 프로세서(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저장부(240)는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270)는, 제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외부 입력 신호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는, High performance의 기능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한 영상 캡쳐, 제스쳐 인식, 웹 접속, 게임 구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들에 의한 화면을 제1 회로 보드(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부(225)를 통해, 제1 회로 보드(100)로 전송되어, 제1 회로 보드(100) 내의 오디오 출력부(285)에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그 외, 제2 프로세서(270)는, 영상제공장치(5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2 회로 보드(200) 내의 각 유닛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제공장치(5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270)는,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제2 오에스(OS)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오에스(O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에스(OS)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의, 제2 오에스(OS)는, 제1 오에스(OS)와 다른 오에스(OS)로서, 예를 들어, 윈도우 기반, 맥 기반, 유닉스 기반 등의 오에스(O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에스(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뉴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메일 관련 애플케이션, 문서 작성 관련 애플리케이션, 영상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 오디오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져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영상제공장치(5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제공장치(5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 프로세서(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제공장치(50) 내 또는 제1 프로세서(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제공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제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제공장치(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소정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3D 표시를 위해,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1 프로세서(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1 프로세서(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a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4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400)를 상하, 좌우(도 6a의 (b), 앞뒤(도 6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4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6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4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4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제공장치(50)로 전송된다. 영상제공장치(50)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5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 이미지(205)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포인터(205)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6a의 (c)는, 원격제어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4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4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4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4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4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4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의 포인팅 신호를 수신하며, 제1 프로세서(170)는, 수신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도 6a(a) 내지 도 6a(c)와 같이, 포인터(205)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도 4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4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프로세서(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4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제공장치(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제공장치(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영상제공장치(50)로,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영상제공장치(5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제공장치(5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영상제공장치(5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영상제공장치(5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영상제공장치(5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4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영상제공장치(50) 또는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제공장치(5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제공장치(5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제공장치(5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400) 내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4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4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400)가 영상제공장치(5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400)와 영상제공장치(5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400)의 프로세서(480)는 원격제어장치(400)와 페어링된 영상제공장치(5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프로세서(480)는 원격제어장치(4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프로세서(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제공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5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4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4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4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4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4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제공장치(5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400) 전송 신호는 영상제공장치(50)의 프로세서(180)로 전송된다. 프로세서(180)는 원격제어장치(4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4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제공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4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제공장치(5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제공장치(5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1 프로세서(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600)는, 이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25), 제어부(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Fi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80), 오디오 출력부(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8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8a 내지 도 14b는 도 1의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는, 개인 서버의 등록 및 단말기를 통한 개인 서버 접속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개인 서버(50)는, 제품 등록을 위해, 제1 신호(S1)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전송한다. 제1 신호(S1)는, 개인 서버(50)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S1)는 개인 서버(50)과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리언스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수신되는 디바이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을 메모리(540)에 저장하고,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단말기(600)에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창(도 10a의 681)에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의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제2 신호(S2)는, 접속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정보 또는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600)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의 제2 신호(S2)는,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정보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개인 서버 목록 정보 또는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600)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접속한 이후, 표시되는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의 제2 신호(S2)는, 선택된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선택된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해당 개인 서버의,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추가로, 디바이스 정보, 계정 정보(account id)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50)로,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신호(S3)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신호(S3)는, 접속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저장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접속된 개인 서버(50)로부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중 홈 디바이스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접속된 개인 서버(50)로, 해당 홈 디바이스 항목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 항목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 사용자가, 원격으로, 개인 서버(50)에 접속한 이후, 개인 서버(50)에서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개인 서버(50)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 네트워크 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 서버(5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S4)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4 신호(S4)는, 새로 추가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b 내지 도 8d는, 도 8a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b에서는, 개인 서버(50)에서,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항목들로서, 도면과 같이, 냉장고(60a), 세탁기(60b), 에어컨(60c), TV(60f) 항목을 예시한다.
개인 서버(50)는, 각 홈 디바이스들(60a,60b,60c,60f)로부터,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S1a)를 수신한다.
이때, 각 신호(S1a)는, 도 8c와 같이, 헤더(712)와 바디(713)으로 구분되는, 데이터 패킷(711)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헤더(712)는, 각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인, MAC 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와, 제품 정보인,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 정보,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정보, 모델명(model name)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수신되는 신호(S1a)에 기초하여,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항목들로서, 도면과 같이, 냉장고(60a), 세탁기(60b), 에어컨(60c), TV(60f) 항목을 구비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도 8d와 같이, 홈 디바이스 리스트(716)가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d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716)는, 각 홈 디바이스 항목 별로, MAC 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와,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 정보, 프로덕트명(product name) 정보,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정보, 모델명(model name)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서버(50)는, 서버(50)의 디바이스 정보,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S1)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단말기(600)에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창(681)에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의 웹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제2 신호(S2)는, 접속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정보 또는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600)가,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의 제2 신호(S2)는,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정보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개인 서버 목록 정보 또는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600)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접속한 이후, 표시되는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제2 신호(S2)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의 제2 신호(S2)는, 선택된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선택된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해당 개인 서버의, 공인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추가로, 디바이스 정보, 계정 정보(account id)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50)로,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신호(S3)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신호(S3)는, 접속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서버(50)는, 접속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기(600)로, 저장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접속된 개인 서버(50)로부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중 홈 디바이스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600)는, 접속된 개인 서버(50)로, 해당 홈 디바이스 항목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해당 홈 디바이스 항목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 사용자가, 원격으로, 개인 서버(50)에 접속한 이후, 개인 서버(50)에서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개인 서버(50)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 네트워크 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새로 추가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소정 신호(S4a)로서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새로 추가된 로봇 청소기(60e)에 대한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가, 신호(S4) 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신호(S4)는 상술한 도 8c의 데이터 패킷(711)의 형태로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새로 추가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서버(50)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신호(S4)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되게 된다.
도 9는 단말기를 통한 원격제어 명령이 홈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경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단말기(600)에서, 소정의 원격 제어 명령 입력(command input)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50)로, 해당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101). 원격 제어 명령은, 명령 정보와 대상이 되는 홈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서버(50)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5a)는, 소정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명령을 명령 분석부(277a)로 전송한다(S102).
그리고, 명령 분석부(277a)는, 원격 제어 명령을 분석하고, 분석된 원격 제어 명령을 디바이스 관리부(277b)로 전송한다(S103).
그리고, 디바이스 관리부(277b)는, 분석된 원격 제어 명령을 신호 처리하여, 명령 전송부(277c)로 전송한다(S104).
그리고, 명령 전송부(277c)는, 입력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제3 인터페이스부(235c)로 전송한다(S105). 이에 의해, 해당 홈 디바이스로, 원격 제어 명령이 전달되게 된다.
도 10a는 단말기(600)에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웹 주소 입력창(805)을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 화면(803)이,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웹 주소 입력창(805)에, "182.255.22.48/index.html" 와 같은, 웹 주소가 입력되면,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서버 접속 화면(810)이,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 접속 화면(810)은, 개인 서버 서비스(personal server sevice) 제공을 위한 화면으로서,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오브젝트(8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서버 접속 관련 정보 외에, 추가로,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서버 접속 화면(810)과 광고 화면(820)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광고 화면(820) 내의 특정 광고 항목 선택시, 광고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의 최하단에는, 이전 항목 가기, 홈 화면, 특정 메뉴 실행을 위한, 소프트 키 영역(82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b는, 서버 접속 화면(810)에서 로그인이 수행되어, 개인 서버 목록 화면(815)이,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단말기(600)는, 로그인 오브젝트(811)를 이용하여, 로그인 창이 표시되는 경우,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단말기(600)로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전송하며,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과 같이, 개인 서버 목록 화면(815)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의 로그인 이후,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 목록(815)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개인 서버 목록이, "User 1"(813)과 "User 2"(814)로서, 2개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개인 서버 목록은, 로그인된 사용자에게,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의 공유가 가능한 서버 목록으로서, 사용자 본인의 개인 서버도 가능하나, 확장하여, 다른 사용자의 개인 서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가, 로그인된 사용자에게 공유되도록 설정된 경우, 다른 사용자의 개인 서버 목록도, 개인 서버 목록 화면(815) 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개인 서버 목록 정보 외에, 추가로,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서버 접속 화면(815)과 광고 화면(821)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광고 화면(821) 내의 특정 광고 항목 선택시, 광고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의 로그인 전의 광고 화면인, 도 10a의 광고 화면(820)과,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의 로그인 후의 광고 화면인, 도 10b의 단말기(600)의 광고 화면(821)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로그인 후, 해당 사용자에 맞춤형,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0c는 서버 접속 화면(810)에서 특정 개인 서버 목록이 선택되어, 개인 서버에서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830)이,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b에서, "User 1"(813)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 "User 1"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는 개인 서버 요청에 대응하여, "User 1"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디바이스 정보, 계정 정보(account id)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800)는, "User 1"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User 1"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50)로 접속하고, "User 1"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50)로부터, 공유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공유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830)을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를 통해, 개인 서버에서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항목들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유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는, 관리 가능한 홈 디바이스 항목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관리 가능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로봇 청소기, TV, 조명 장치, 온도 조절 장치에 대한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를 예시한다.
한편, 도면과 달리,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는, 각 홈 디바이스 항목들과, 각 홈 디바이스에 대한 on/off 정보를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개인 서버 화면(830)은, 공유되는 컨텐츠 관련 목록(833) 외에, 개인 서버 명 정보(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600)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화면(821)을 개인 서버 화면(830)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TV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d 또는 도 10e와 같은, TV 원격제어화면(805a,805b)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TV 원격제어화면은, 개인 서버(50)가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말기(600)는, 원격제어화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d의 TV 원격제어화면(805a)은, 볼륨키(728), 채널키(725), 전원키(726), 홈 키(717), 사방향키(721), 방송종류 키들(723)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TV 원격제어화면(805a)을 통해, 사용자는,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전원 조정 등의 원하는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e의 TV 원격제어화면(805b)은, 키패드(734), 숫자키(733)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숫자 입력 등에 의해 채널 조정이 가능하며, 키패드를 통해, 포인터 이동 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0d와, 도 10e와 같은, TV 원격제어화면(805a,805b)에, 녹화 설정 항목, 예약 녹화 설정 항목, 현재 방송을 단말기를 통해 시청하기 위한 방송 스트림 설정 항목 등이 다양한 항목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0d와, 도 10e와 같은, TV 원격제어화면(805a,805b)에, TV에서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 정보, 소정 기간 기준의 TV 시청 누적 시간 정보, 소정 기간 기준의 시청 채널 누적 정보, 시청 프로그램 누적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TV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단말기(600)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파악하고, 정보에 기초한, 원격제어명령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0d와, 도 10e와 같은, TV 원격제어화면(805a,805b)에,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의 영상에 대응하는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운 스케일링된 영상은, 영상제공장치인 개인 서버(50)로부터 스트리밍되어, 단말기(6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냉장고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냉장고 제어를 위한 냉장고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냉장고 원격제어화면은, 냉동실 온도 설정, 냉장실 온도 설정, 급속 냉동 설정, 냄새제거 기능 설정 등이 각종 설정 항목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냉장고 원격제어화면은, 냉동실 온도 정보, 냉장실 온도 정보, 냉장고의 고장 유무 정보, 냉장고 고내에 저장된 푸드 리스트 정보,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에 대한 유통기한 정보, 구매할 필요가 있는 음식물 종류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냉장고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냉장고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세탁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세탁기 제어를 위한 세탁기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세탁기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세탁/헹굼/탈수 시간 설정 항목, 세탁/헹굼/탈수 코스 설정 항목, 예약 동작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세탁기 원격제어화면은, 세탁/헹굼/탈수의 동작 상태 정보, 세탁기의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세탁기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세탁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에어컨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에어컨 제어를 위한 에어컨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에어컨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온도 설정 항목, 풍향 설정 항목, 바람의 세기 설정 항목, 운전 시간 설정 항목, 예약 운전 시간 설정 항목 등의 다양한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에어컨 원격제어화면은, 에어컨 주변의 온도 정보, 목표 온도 정보, 재실자 수 정보, 재실의 면적 정보, 에어컨 동작 시간 정보, 에어컨의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에어컨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에어컨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조리기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조리기기 제어를 위한 조리기기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조리기기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동작 시간 설정 항목, 조리 코스 설정 항목, 예약 조리 시간 설정 항목 등의 다양한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조리기기 원격제어화면은,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조리기기의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리기기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조리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로봇 청소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 제어를 위한 로봇 청소기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이동 경로 설정 항목, 동작 시간 설정 항목, 청소 코스 설정 항목, 팬의 세기 설정 항목, 예약 동작 시간 설정 항목,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전송 설정 항목 등의 다양한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로봇 청소기 원격제어화면은, 로봇 청소기의 동작 상태 정보, 로봇 청소기의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로봇 청소기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로봇 청소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조명 장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조명 장치 제어를 위한 조명 장치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조명 장치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조명장치의 밝기 설정 항목, 조명장치의 색상 설정 항목, 동작 시간 설정 항목, 예약 동작 시간 설정 항목 등의 다양한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조명 장치 원격제어화면은,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 조명 장치의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명 장치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조명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온도 조절 장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온도 조절 장치 제어를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 원격제어화면은, 전원 온/오프 설정 항목, 온도 설정 항목, 운전 시간 설정 항목, 예약 운전 시간 설정 항목 등의 다양한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온도 조절 장치 원격제어화면은, 온도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 고장 유무 정보, 스마트 진단 정보, 전력 소비 정보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다.
사용자는 이러한 온도 조절 장치 원격제어화면을 통해, 온도 조절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c의 홈 디바이스 리스트(833) 중 복수의 홈 디바이스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600)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복수의 원격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인 서버(50)는, 원격제어 명령이,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원격제어 명령에 대한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단말기(600)로부터의 원격제어 명령은, 명령 분석부(277a)에서 분석되어, 패턴 분석부(277e)로 전달된다.
패턴 분석부(277e)는, 사용자 명령을 기억하여 일정 수준이상 반복되는 명령을 기억한다. 이후 사용자가 동일한 명령을 수행하는 경우 기억된 명령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도 11b와 같은 원격제어화면(803b)에서, 프로젝터 on, 스크린 off, 셋탑 박스 off와 같은, 원격제어명령이, 단말기(600)에서, 소정 횟수 이상 전송되는 경우, 개인 서버(50 내의 패턴 분석부(277e)는, 원격제어명령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명령 패턴을 저장부(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저장되는 명령 패턴은, 제1 인터페이스부(235a)를 통해,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명령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패턴을 저장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741)를 도 11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600)에서도, 반복되는 명령 패턴을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기(600)에 TV 원격제어화면(805a)이 표시된 상태에서, 자주 시청하는 채널 종류를 그룸핑하여, 해당 채널만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2a와 같이, TV 원격제어화면(805a)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쇼핑', '경제', '스포츠', '지상파', '어린이', '드라마'와 같은, 방송종류 키들(723) 중 일부를 그룹핑할 수 있다.
즉, 도 12b와 같이, 방송종류 키들(723) 중 '홈쇼핑', '경제'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743)을 그룹핑하여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널키(725) 동작시, '홈쇼핑', '경제' 항목과 관련된 채널들에서만 채널 변경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그룹핑 명령과, 채널 변경 명령 등은, 단말기(600)에서, 개인 서버(500)를 경유하여, TV(60f)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 서버(50)는, 영상제공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13a 내지 도 14b는, 영상 제공이 가능한 개인 서버(50)의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도 13a는, 단말기(600)로부터 라이브 방송 시청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50)에서의 신호 처리의 일예를 예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단말기(600)로부터의 방송 시청 명령(Cmd_w)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시청 명령(Cmd_w)을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달하며, 방송 시청 명령(Cmd_w)은, 제1 인터페이스부(125)를 거쳐, 제1 프로세서(270)에 전달된다. 이에, 방송 수신부(105)는, 방송 시청 명령(Cmd_w)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Sbr)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방송 신호(Sbr)는, 제1 프로세서(270)로 전달된다.
제1 프로세서(270) 내의 DASY(171)는, 방송 신호(Sbr)를 스트림(Ts)으로 변환하여, 제2 프로세서(270) 내의 스트림 매니져(271)로 전달되도록 한다. 스트림 매니져(271)는, 스트림(Ts)을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스트림(S11)을 스트리밍 서버(272)에 전달한다. 스트리밍 서버(272)는, 트랜스코더(transcoder)(273)로 스트림(S12)를 전송하고, 트랜스코더(transcoder)(273)는, 단말기(600)에 적합한 파일 형태로 트랜스 코딩을 수행한다. 스트리밍 서버(272)는, 트랜스 코딩된 스트림(S13)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로 전송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단말기(600)로, 트랜스 코딩된 스트림(S13)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 13b와 같이, 단말기(600)에서, 해당 방송에 대한 방송 영상(930)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a은, 단말기(600)로부터 녹화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50)에서의 신호 처리를 예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5)는, 단말기(600)로부터의 방송 녹화 명령(Cmd_r)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녹화 명령(Cmd_r)을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달하며, 방송 녹화 명령(Cmd_r)은, 제1 인터페이스부(125)를 거쳐, 제1 프로세서(170)에 전달된다. 이에, 방송 수신부(105)는, 방송 녹화 명령(Cmd_r)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Sbr)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방송 신호(Sbr)는, 제1 프로세서(170)로 전달된다.
제1 프로세서(170) 내의 DASY(171)는, 방송 신호(Sbr)를 스트림(Ts)으로 변환하여, 제2 프로세서(270) 내의 스트림 매니져(271)로 전달되도록 한다. 스트림 매니져(271)는, 스트림(Ts)을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스트림(Ts write)를 저장부(2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녹화된 방송 재생 명령이 있는 경우, 재생부(276)는, 저장부(240)로부터 스트림(Ts read)을 읽어, 재생하게 된다.
한편, 단말기(600)로부터의 방송 녹화 명령(Cmd_r)이 수신되는 경우, 재생부(276)가, 방송 녹화 명령(Cmd_r)이 제2 인터페이스부(225)로 전달되도록 하는 명령(cmd)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4b에서는 방송 상세 정보 화면(940) 내에, 방송 관련 썸네일 이미지(941), 방영 시간 정보(942), 녹화 항목(944), 시청 항목(946)이 포함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시청 항목(946)은 비활성화되거나, 예약 시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중 녹화 항목(944)이 선택되는 경우, 예약 녹화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600)는, 개인 서버, 즉 개인 서버(50)에, 해당 방송에 대한 예약 녹화를 요청하며, 개인 서버, 즉 개인 서버(50)는, 예약 녹화 요청에 대응하여, 예약 녹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각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서버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의 개인 서버 항목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의 접속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부는,
추가되는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가되는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홈 디바이스 리스트에 추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을 분석하는 명령 분석부;
상기 분석된 명령에 기초하여,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 전송부; 및
상기 명령 분석부와 상기 명령 전송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명령에 대한 패턴 분석을 수행하는 패턴 분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의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접속시, 상기 단말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공유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유 컨텐츠 목록 중 소정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되는 방송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방송 녹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 녹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스트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방송 시청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송 시청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해당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스트림을 트랜스 코딩하고, 상기 트랜스 코딩된 스트림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제1 오에스(OS)와 다른 제2 오에스(OS)를 구동하며, 상기 제2 오에스(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개인 서버에 대한 개인 서버 목록과, 상기 개인 서버 목록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개인 서버의 공용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개인 서버의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상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 전송시, 상기 개인 서버의 디바이스 정보와 계정 정보를 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 디스플레이;
서버 또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웹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에서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에 로그인 정보 전송 이후,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 내에 소정 홈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 내에 입력되는 웹 주소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서버 목록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개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저 구동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웹 화면에 기반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홈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며, 상기 홈 디바이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서버의 공용 아이피 정보와 사설 아이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입력창에 상기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에 대한 웹 주소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개인 서버 접속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로그인 정보 입력이 있는 경우, 개인 서버 목록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개인 서버 목록 중 특정 개인 서버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개인 서버에 대응하는 홈 디바이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홈 디바이스 리스트 내의 특정 홈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홈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개인 서버 접속 화면 표시시 또는 상기 개인 서버 목록 화면 표시시, 상기 홈 디바이스 서버로부터의 수신되는 광고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724,450 US9628850B2 (en) | 2014-05-30 | 2015-05-28 | Server, home device access server, terminal, and hom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EP15001625.1A EP2958274B1 (en) | 2014-05-30 | 2015-05-29 | Server, and hom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CN201510292184.8A CN105376122B (zh) | 2014-05-30 | 2015-06-01 | 服务器、终端以及包括其的家庭装置遥控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2004897P | 2014-05-30 | 2014-05-30 | |
US62/004,897 | 2014-05-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7944A true KR20150137944A (ko) | 2015-12-09 |
KR102269277B1 KR102269277B1 (ko) | 2021-06-24 |
Family
ID=5487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3448A KR102269277B1 (ko) | 2014-05-30 | 2014-09-17 |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9277B1 (ko) |
CN (1) | CN10537612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71740B2 (ja) * | 2016-07-22 | 2020-10-21 | 株式会社サタケ | 穀物調製機械の制御装置 |
CN106595003A (zh) * | 2017-01-22 | 2017-04-2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气处理设备控制装置、方法和系统 |
WO2018133456A1 (zh) * | 2017-01-22 | 2018-07-2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气处理设备控制装置、方法和系统 |
CN106885444A (zh) * | 2017-03-08 | 2017-06-23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冰箱控制方法、冰箱控制系统及冰箱 |
US20200396509A1 (en) * | 2019-06-14 | 2020-12-17 | The Nielsen Company (Us),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network credential updates for media mete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327496A1 (en) * | 2008-06-25 | 2009-12-31 | Microsoft Corporation |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
JP2014003348A (ja) * | 2012-06-15 | 2014-01-09 |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 コンテンツ送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93093C (zh) * | 2000-12-25 | 2008-06-04 |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 基于无线应用协议通讯的智能家居控制方法 |
CN102938729B (zh) * | 2012-10-30 | 2016-12-21 | 山东智慧生活数据系统有限公司 |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远程控制方法 |
-
2014
- 2014-09-17 KR KR1020140123448A patent/KR102269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6-01 CN CN201510292184.8A patent/CN10537612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327496A1 (en) * | 2008-06-25 | 2009-12-31 | Microsoft Corporation |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
JP2014003348A (ja) * | 2012-06-15 | 2014-01-09 |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 コンテンツ送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376122A (zh) | 2016-03-02 |
CN105376122B (zh) | 2019-04-16 |
KR102269277B1 (ko)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28850B2 (en) | Server, home device access server, terminal, and hom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180205983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 |
CN108738374B (zh) | 图像显示装置 | |
CN111405338B (zh) | 一种智能画质的切换方法及显示设备 | |
CN113259741B (zh) |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 |
KR102269277B1 (ko) | 서버, 홈 디바이스 접속 서버,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시스템 | |
KR101924062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287510B1 (ko) | 서버, 영상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40083545A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3190800A1 (en) | Imag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KR10210443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90007B1 (ko) |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50093490A (ko)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
CN113259733B (zh) | 一种显示设备 | |
KR20130066334A (ko) |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
US10555028B2 (en) | Image providing device | |
KR20160097023A (ko) | 영상표시장치, | |
CN111083538A (zh) | 一种背景图像的显示方法及设备 | |
KR102281839B1 (ko) | 영상제공장치 | |
KR20140137771A (ko) |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230247260A1 (en) | Mobile terminal | |
US20230247247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60082059A (ko) | 영상제공장치 | |
CN113453056B (zh) | 一种相册控件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 |
US20230247261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