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704A -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704A
KR20150137704A KR1020140066030A KR20140066030A KR20150137704A KR 20150137704 A KR20150137704 A KR 20150137704A KR 1020140066030 A KR1020140066030 A KR 1020140066030A KR 20140066030 A KR20140066030 A KR 20140066030A KR 20150137704 A KR20150137704 A KR 2015013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ject
project management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성
성우제
황상현
이창훈
김수철
조기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7704A/ko
Publication of KR2015013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주생산체제에서 수주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주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생성되는 정보인 산출물을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가시화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프로젝트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업무정보를 각 작업자에게 사전에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시 작업자 단말기로 해당 업무수행정보를 제공하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정보를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된 프로젝트 번호체계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젝트 전체 진행상황을 공개정보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수행 중 생성된 기술자료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에 응하여 제공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진행과 완료 상황의 기록을 통해 전사의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보여줄 수 있으며 경영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본 발명은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주생산체제에서 수주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주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생성되는 정보인 산출물을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가시화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프로젝트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업무정보를 각 작업자에게 사전에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대부분의 생산방식은 같은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대량생산방식체제를 근본으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고정된 패턴을 가진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하였고 정해진 작업 표준이나 표준 업무프로세스에 따라 업무가 원활하게 수행되어 왔다. 작업자와 관리자는 이러한 반복적인 경험으로부터 프로젝트 전반사항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였기에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미리 간파하고 문제 발생에 대한 즉각 대응이 가능하였다. 기술축적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경영 또한 프로젝트 진행과 별도로 이뤄져 왔으며 시스템보다는 노하우를 가진 작업자나 관리자가 중요시되어왔다.
기존의 생산방식과 달리 중공업이나 조선소, 건설 등과 같이 대형 제품을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생산하는 수주생산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업체의 경우, 프로젝트에 따라 몇 개월 이상에 걸친 설계와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주문주의 요구에 따라 사양이 계속 변화하며 미경험, 특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고정된 패턴의 프로젝트 관리 방식을 고수할 경우 대다수의 작업자와 관리자는 현재의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간파하기 어렵고 문제상황 시 대응속도가 느리며, 생산관리기술 등의 축적체계도 미흡하여 향후 유사 프로젝트에 노하우를 접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할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므로 효과적이고 지속 향상된 프로젝트 관리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 10-0927953 호 "발명의 명칭 :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기법을 이용한 전사적 프로젝트통합관리시스템" (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 10-1006986 호 "발명의 명칭 : 선박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방법" (문헌 3)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7585 호 "발명의 명칭 : 선박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펀치 관리 방법" (문헌 4)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5-0082896 호 "발명의 명칭 : 선박의 설계 프로젝트 관리 방법"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수주생산체제에서 수주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주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생성되는 정보인 산출물을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가시화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프로젝트 진행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업무정보를 각 작업자에게 사전에 알려주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업무를 수행해가면서 산출물을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실무기술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고 동시에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가시화하여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정보지원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련 작업자에게 프로젝트 진행정보를 제공하게 되어 다음 작업에 대한 예측 및 문제점 대응 등 효과적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 작업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시 작업자 단말기로 해당 업무수행정보를 제공하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정보를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된 프로젝트 번호체계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젝트 전체 진행상황을 공개정보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수행 중 생성된 기술자료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에 응하여 제공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입력, 가공, 출력하는 모든 전산문서와 전산시스템 상의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분류하여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켜 제품 또는 프로젝트별로 입력되는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키는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 완료시 업무에 대한 산출물을 업로드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 수행 중 또는 업무 완료 중 업무 중에 생성된 노하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산출물 업로드 시 후속 담당자 단말기로 자료내용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후속 담당자 단말기로 산출물 업로드 알림 제공 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완료시점 정보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 진행과 완료 상황의 기록을 통해 전사의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보여줄 수 있으며 경영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유의 실무기술 축적으로 경험이 적은 관리자나 작업자도 보다 쉽게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된 실무기술 노하우와 기존에 정립된 업무프로세스 기준을 바탕으로 미경험 특이 프로젝트 관리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업무 정보를 찾는 게 아니라 필요한 정보를 시스템이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프로젝트 중심의 관리상황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제공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당업무 절차정보 제공 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대해 기존의 경우(a)와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b)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러한 분류체계를 단계로 나누어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하우정보 입력 페이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100), 작업자 단말기(200), 프로젝트 관리서버(300) 및 통신망(400)으로 이루어진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시 작업자 단말기(200)로 해당 업무수행정보를 제공하며, 작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정보를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된 프로젝트 번호체계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젝트 전체 진행상황을 공개정보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수행 중 생성된 기술자료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에 응하여 제공한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입력, 가공, 출력하는 모든 전산문서와 전산시스템 상의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분류하여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켜 제품 또는 프로젝트별로 입력되는 정보를 동기화시킨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다.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DB(310)와, 프로젝트 수행 중 입력되는 프로젝트 진행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젝트 진행상황정보 DB(320)와, 프로젝트 진행 중 생성된 기술정보 및 노하우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젝트 기술정보 DB(330)와,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기준정보를 입력받고, 기 저장된 이전 프로젝트에 대한 실적현황정보를 읽어들여 분석한 후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기준정보를 확정시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DB(310)에 저장하고, 요청시 제공하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관리부(340)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200)로부터 프로젝트 진행상황정보를 수신받아 프로젝트 진행상황정보 DB(320)에 저장시켜 관리하고, 프로젝트 진행 중 하나의 업무를 종료시키는 업무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종료된 업무 다음에 진행해야 하는 업무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작업자 단말기(200)로 업무진행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진행관리부(350)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프로젝트 수행 중 생성되는 기술정보 또는 노하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정보 입력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기술정보 입력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기술정보 또는 노하우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기술정보 DB(330)에 저장시켜 관리하고,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응하여 제공하는 프로젝트 기술정보 수집부(36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설정(S110)한다. 즉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주 확정 직후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로부터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기준정보를 입력받고, 기 저장된 이전 프로젝트에 대한 실적현황정보를 읽어들여 분석한 후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기준정보를 확정시킨다. 이때 관리기준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축은 업무 산출물 생성시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한축은 업무완료시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관리자 단말기(100)와 작업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며,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로부터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화면이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S120)시킨다. 즉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입력, 가공, 출력하는 모든 전산문서와 전산시스템상의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분류하여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 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킨다.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 별로 분류 정보를 일관화시키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프로젝트 진행과 프로젝트별로 입력되는 정보를 동기화시키게 된다.
도 6은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대해 기존의 경우(a)와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b)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프로젝트 번호(코드) 체계로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품 생산에 의한 고객만족이 최우선의 목적이기에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로 정보를 일관화하여, 기업의 비대화 및 기능화된 부서간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제품 출하 지연 등의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과 정보의 진행을 동기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이러한 분류체계를 단계로 나누어 표현한 도면이며 프로젝트 단위가 모든 시스템과 DB의 최상위 그룹에 속함을 의미한다. 즉 전산에 기록되는 모든 시스템 즉 포털 시스템, 게시판, 자료실, 회의록, 이메일, 결제 및 보고 시스템, 설계도, 생산도, 품질관련 문서, 지식경영 전산시스템 등의 모든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명을 입력 또는 선택하게 하여 이들을 최상위 단계로 분류한다. 프로젝트에 해당하지 않는 업무 데이터는 공통 또는 기타를 입력하도록 필드를 구성한다. 최상위 단계로 분류하기 어렵거나 기존의 분류체계를 수정하기 어려운 경우, 정보나 시스템들이 어느 조건에 의하여 분류되어도 프로젝트 단위로 재 분류 가능하도록 속성을 부가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단위 분류체계의 도입으로 프로젝트 진행과 업무정보를 동기화하여 프로젝트 관리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지만 일정부분 한계도 존재한다. 즉 보다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노하우(Know-how)뿐만 아니라 노후(Know-who)의 개념도 도입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신속한 업무처리와 실무 노하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사용되는 직원 검색시스템은 성명, 조직, 사원번호, 전화번호 등을 통해 담당자 검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 5의 예시와 같이 담당업무 절차서에 의해 정립된 본인의 업무와 산출물을 DB로 활용하여 업무 키워드를 통해 관련 담당자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자문서들이 프로젝트 분류체계로 묶여 있으므로 자료를 찾기 위한 통합 검색 시 프로젝트 번호를 지정해주게 되면 등록된 자료를 시점별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유사 프로젝트의 경우 상호 비교가 가능하며 차후 프로젝트를 위한 사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즉, 프로젝트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작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업무 데이터는 기타 또는 공통으로 입력할 수 있는 필드를 별도로 제공하며,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업무 완료시 업무에 대한 산출물을 업로드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30).
즉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모든 업무 산출물을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보안 및 공개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개자료와 세부자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공개자료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관리자와 담당자 모두에게 도 4에 도시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제공 페이지 형태로 제공되어 시스템상에 산출물과 등록 시점이 가시화되기 때문에 현재의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시화는 공개적으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어 스스로 프로젝트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경영진들의 의사결정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업무 완료 후 자신의 산출물을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상에 등록하게 되면 그 산출물을 사전정보로 사용하는 후속 담당자의 단말기로 자료내용이 실시간으로 사전 제공되며 업무완료시점도 프로젝트 관리기준에 따라 통지된다. 후속 담당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제공받은 자료와 가시화되는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확인하며 본인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황에 따라 본인의 전후 업무 담당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자세한 상황을 알 수도 있으며 업무지연 등 이상상황이 발생시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업무 수행 중 또는 업무 완료 중 업무 중에 생성된 노하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를 제공(S140)한다.
즉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첫 번째로 각 업무 수행에 대한 실시간 산출물의 축적이며 이는 신규 프로젝트에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를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노하우를 포함하고 있는 산출물 등록 시 도6에 도시된 양식으로 이루어진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를 해당 작업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노하우를 기입하고 자료를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8에 도시된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는 노하우 기록을 위한 lessons learned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6하 원칙의 배경과 목표, 수행과정, 결과, 성공과 실패의 원인/근본원인, 핵심성공요소(Key success factor)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두 번째로 프로젝트 관리서버(300)는 산출물을 공개자료와 세부자료로 구분하고 공개자료는 프로젝트 관련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시스템에서 가시화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는 지식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프로젝트의 공개자료만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세부자료는 본인과 그 외 권한을 가진 사람에게만 정보가 공개되므로 본인의 업무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리자 단말기 200 : 작업자 단말기
300 : 프로젝트 관리서버
310 :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DB 320 : 프로젝트 진행상황정보 DB
330 : 프로젝트 기술정보 DB 340 :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 관리부
350 : 프로젝트 진행관리부 360 : 프로젝트 기술정보 수집부
370 : 프로젝트 정보 알림부
400 : 통신망

Claims (13)

  1.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
    작업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시 작업자 단말기로 해당 업무수행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정보를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된 프로젝트 번호체계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젝트 전체 진행상황을 공개정보로 제공하고, 프로젝트 수행 중 생성된 기술자료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에 응하여 제공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입력, 가공, 출력하는 모든 전산문서와 전산시스템 상의 정보를 프로젝트 단위로 분류하여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켜 제품 또는 프로젝트별로 입력되는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상기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7.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제품 또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분류정보를 일관화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 완료시 업무에 대한 산출물을 업로드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 수행 중 또는 업무 완료 중 업무 중에 생성된 노하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노하우 정보 입력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문서가 업로드될 때, 상기 전자문서에 프로젝트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업무절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페이지는 업무절차정보 이외에 업무와 관련된 자료정보, 담당부서정보, 담당자정보, 업무완수 후 생성되는 산출물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부서정보, 산출물 제공받을 담당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업무절차정보 입력요구 페이지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와 산출물로부터 담당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담당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산출물 업로드 시 후속 담당자 단말기로 자료내용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는 후속 담당자 단말기로 산출물 업로드 알림 제공 시 프로젝트 관리기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완료시점 정보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20140066030A 2014-05-30 2014-05-30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7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30A KR20150137704A (ko) 2014-05-30 2014-05-30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30A KR20150137704A (ko) 2014-05-30 2014-05-30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04A true KR20150137704A (ko) 2015-12-09

Family

ID=5487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030A KR20150137704A (ko) 2014-05-30 2014-05-30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77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4477A (zh) * 2020-09-03 2020-12-15 上海容基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企业项目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3657858A (zh) * 2021-08-11 2021-11-16 挂号网(杭州)科技有限公司 需求信息的通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40356A (zh) * 2021-12-13 2022-03-2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平台
CN115759662A (zh) * 2022-11-24 2023-03-07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聚落文化遗产调研项目管理方法及系统
KR20230046491A (ko) 2021-09-30 2023-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딥러닝 언어모델과 자연어 처리기술을 이용한 프로젝트 스펙정보 분석 및 리스크 예측 방법과 시스템,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7196537A (zh) * 2023-09-28 2023-12-08 四川赛闯检测股份有限公司 基于可视化技术的检验检测任务管理看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4477A (zh) * 2020-09-03 2020-12-15 上海容基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企业项目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3657858A (zh) * 2021-08-11 2021-11-16 挂号网(杭州)科技有限公司 需求信息的通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46491A (ko) 2021-09-30 2023-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딥러닝 언어모델과 자연어 처리기술을 이용한 프로젝트 스펙정보 분석 및 리스크 예측 방법과 시스템,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4240356A (zh) * 2021-12-13 2022-03-25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平台
CN115759662A (zh) * 2022-11-24 2023-03-07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聚落文化遗产调研项目管理方法及系统
CN115759662B (zh) * 2022-11-24 2024-02-09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聚落文化遗产调研项目管理方法及系统
CN117196537A (zh) * 2023-09-28 2023-12-08 四川赛闯检测股份有限公司 基于可视化技术的检验检测任务管理看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7704A (ko)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65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 automation, analysis, and optimization
US20140129277A1 (en) Field management and mobile inspection
US876069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int job tracking
US878688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int job tracking using assignable mobile devices
Zhang Quality improvement through Poka–Yoke: from engineering design to information system design
CN115423289B (zh) 智能板材加工车间数据处理方法及终端
JP2008217480A (ja) 要件確認支援プログラム、要件確認支援方法、及び要件確認支援装置
CN111709659A (zh) 外勤业务员的智能调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88903A (zh) 一种打卡系统、方法和设备
US20120078669A1 (en) Computer-assisted data collection, organization and analysis system
US884822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an electronic device as a print job ticket
US8687213B2 (en) Data filtering for print service providers
US200600531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EA
US20130041712A1 (en) Emerging risk identification process and tool
US20150073850A1 (en) Assessing Staffing Coverage for Software Applications
CN114840519A (zh) 一种数据打标签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093876B2 (en) System and methods employed for accountability of an asset
CN112801293B (zh) 一种从需求文本的目标和场景中抽取功能点的方法
KR102315433B1 (ko) 비용 지급 시점 설정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687056B2 (en) Machinery conversion pivot opportunity identification
US11176501B2 (en) Methods and systems to track relocation status
Mohamad et al. Dashboard for analyzing SCADA data log: a case study of urban railway in Malaysia
Cavalcante et al. Characterizing time-bounded incident management systems
US10157285B2 (en) Dynamic requirements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