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316A -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316A
KR20150136316A KR1020140063647A KR20140063647A KR20150136316A KR 20150136316 A KR20150136316 A KR 20150136316A KR 1020140063647 A KR1020140063647 A KR 1020140063647A KR 20140063647 A KR20140063647 A KR 20140063647A KR 20150136316 A KR20150136316 A KR 2015013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keyword
additiona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신승민
신용욱
이용훈
최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316A/ko
Priority to PCT/KR2015/004470 priority patent/WO2015182893A1/en
Priority to EP15798977.3A priority patent/EP3080996B1/en
Priority to US14/721,094 priority patent/US20150347597A1/en
Publication of KR2015013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riginal textual content or text extracted from visual content or transcript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은 소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키워드 관련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Electrica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정보를 예측하여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관심 정보 내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정보를 제공할 뿐, 해당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확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기설정된 관심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야구 경기를 주로 시청할 경우,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야구 경기 일정, 시간 등의 경기 관련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 야구 선수에 대한 야구 기록, 주변 인물 등에 대한 확장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정보 내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로부터 확장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부가 정보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기획득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소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 관련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 데이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웹 문서, 인터넷 뉴스, 인터넷 동영상 및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주변 환경,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 장르가 기설정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의 관심 장르에 속하는 제1 장르이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인식되거나, 혹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상기 부가 정보 관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 데이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웹 문서 및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주변 환경,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장르가 기설정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의 관심 장르에 속하는 제1 장르이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상기 부가 정보 관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제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기 모드 시, 사용자의 관심 정도에 대응하는 제1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기 모드 시,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0), 복수의 단말 장치(이하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및 외부 서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및 외부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로써,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영상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단말 장치로써, 예를 들어, 디지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20)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웹 문서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이 같은 영상 컨텐츠, 웹 문서 및 SNS 등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용자가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웹 문서 및 SN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소스 데이터가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되면, 전자 장치(10)는 수신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키워드를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영상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사용자가 야구 경기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 중 시청 중인 야구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SNS 및 웹 문서의 소스 데이터와, 시청 중인 야구 경기의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현재 시합 중인 두 팀 혹은 전체 팀의 선수 중 화제가 되고 있는 선수, 지난 경기 MVP, 출전 선수, 타석에 들어선 선수 등에 대한 정보 관련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기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이 같은 컨텍스트 정보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인원, 조명, 소음 등의 주변 환경 정보,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정보,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텍스트 정보는 전자 장치(10) 및 제1 단말 장치(30-1) 중 적어도 하나에 기저장되거나 전자 장치(10) 및 제1 단말 장치(3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같이,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야구 관련 키워드가 추출되면, 전자 장치(10)는 기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야구 경기를 시청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성인의 남성이면, 전자 장치(10)는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야구 스포츠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야구 스포츠를 선호하면, 전자 장치(10)는 해당 야구 스포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관심 대상 분야를 판단하고, 기추출된 다수의 키워드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관심 대상 분야에 속하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외부 서버(20)로부터 획득하여 제1 단말 장치(3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를 영상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도,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출력되는 부가 정보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야구 경기와 관련하여 관심 대상에 속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를 제1 단말 장치(30-1)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10)는 야구 경기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 혹은 제1 단말 장치(30-1)의 활성화 상태 등의 주변 상황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야구 경기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거나 제1 단말 장치(30-1)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로 해당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와 결합되어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자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통신부(210), 추출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20)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소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210)는 기등록된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20)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웹 문서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소스 데이터는 웹 서버 및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문서 및 SNS이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10)는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 LAN), WAN, 이더넷 등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20) 및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추출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부(220)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SNS 및 웹 문서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출부(220)는 SNS 및 웹 문서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출부(220)는 SNS 및 웹 문서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최근 트랜드가 되는 정보, 이슈가 되는 정보, 인기가 높은 정보 및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를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등이 될 수 있으며,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장르 정보,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키워드와 관련하여 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사용자의 키워드 검색 이력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 이력 정보는 각 채널별 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이력, 시청 지속 시간 이력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중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텍스트 정보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수집 가능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 발화 음성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 장치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가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키워드로 더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와 관련하여 가공된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기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하여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하여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가 기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 제1 단말 장치(30-1)가 메인 단말 장치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 같은 메인 단말 장치로 기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축구 경기 관련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추출부(22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 중 축구 경기와 관련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추출부(220)는 SNS 및 웹 문서에 대한 소스 데이터와,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 중인 축구 경기의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현재 시합 중인 두 팀 혹은 전체 팀의 선수 중 화제가 되고 있는 선수, 지난 경기 MVP, 출전 선수, 월드컵 대표로 발탁된 선수 등에 대한 정보 관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소스 데이터로부터 축구 경기와 관련된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 장치(30-1)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 사용자의 발화 음성, 패스워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축구 경기를 시청 중인 사용자를 판단하고, 저장부(230)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축구 경기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검출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와 같은 현재의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함께 검출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축구 경기를 시청 중인 사용자)와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성인의 남성이면,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축구 경기를 선호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축구 경기를 선호하면,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축구 경기와 관련된 사용자의 관심 대상 분야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축구 리그를 즐겨 시청하는지, 어느 축구 선수를 주로 검색하는지 등에 대한 관심 대상 분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영국 축구 경기를 주로 시청하였으며, 한국 선수가 속한 팀의 경기를 주로 시청하였다면, 제어부(240)는 영국 축구 리그와 영국 축구 팀 중 한국 선수가 속한 팀을 관심 대상 분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관심 대상 분야가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기추출된 다수의 키워드 중 해당 관심 분야에 속하는 키워드를 사용자의 관심 대상 분야에 속하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40)는 기추출된 다수의 키워드 중 현재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사용자의 관심 대상 분야에 속하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키워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40)는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외부 서버(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타입은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방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결정된 키워드가 정보성 관련 키워드인 경우,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사전적 의미의 부가 정보를 획득하며, 기결정된 키워드가 이슈성 관련 키워드인 경우,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뉴스 기사의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결정된 키워드가 스포츠 관련 키워드인 경우, 제어부(240)는 해당 스포츠 관련 동영상의 부가 정보를 획득하며, 기결정된 키워드가 지역 관련 키워드인 경우,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지역 정보 및 주변 정보의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단말 장치에서 기획득한 부가 정보가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로 기획득한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특정 단말 장치로 기획득한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 해당 단말 장치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해당 단말 장치 혹은 타 단말 장치로 기획득한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3 단 장치(30-1~3)가 등록될 수 있으며, 이중 제1 단말 장치(30-1)가 메인 단말 장치로 기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메인 단말 장치로 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 및 해당 영상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1 장르이거나 해당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르는 임의로 기설정된 장르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의해 관심 장르로 설정된 장르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를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기획득한 부가 정보가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를 통해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 혹은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 분야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해당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의 카메라를 통해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인식될 경우,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기획득한 부가 정보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만을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40)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부(210)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제1 단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에 대한 영상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출력 중인 영상 컨텐츠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메인 단말 장치로 기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제1 단말 장치(30-1)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기획득한 부가 정보가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제1 단말 장치(30-1)가 대기 모드이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1 단말 장치(30-1)가 대기 모드이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면, 제어부(240)는 제1 단말 장치(30-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기획득한 부가 정보가 출력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로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 부가 정보를 전송한 이후, 해당 단말 장치 혹은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수신되거나, 제어부(240)는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 대상인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또다른 부가 정보를 제공 시, 업데이트된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측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 및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부가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 장치(10)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하나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술한 전자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한 동작과 함께 영상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술한 전자 장치(10)의 구성인 통신부(210), 추출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출력부(250), 촬영부(260) 및 입력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 추출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 구성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각 구성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출력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의 영상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50)는 영상 출력부(251) 및 오디오 출력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51)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253)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촬영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에 탑재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으로써, 이 같은 촬영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이거나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부(220)를 통해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촬영부(26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저장부(230)는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의 나이, 성별, 고려하여 음성 정보 및 얼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에 포함된 얼굴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부(26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입력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4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터치 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270)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입력부(27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에 포함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부(2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매칭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요청한 "○○○" 드라마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드라마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추출부(22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 중 해당 드라마의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SNS 및 웹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출부(220)는 디스플레이되는 드라마와 관련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등장 인물, 줄거리, 시청률, 등장 인물 간의 관계도 등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같은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화면 상단에 구비된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에 포함된 얼굴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기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시청 이력 정보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드라마를 처음 시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해당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해당 드라마에 등장하는 등장 인물 간의 관계도 관련 키워드를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키워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현재 시청 중인 드라마의 등장 인물 간의 관계도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420)를 수신하여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제어부(24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드라마가 기설정된 제1 장르이면, 현재 시청 중인 드라마의 등장 인물 간의 관계도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420)를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혹은 타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420)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드라마에 나오는 등장 인물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뿐만 등장 인물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 드라마(5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채널은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이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설정된 채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채널에 대한 채널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전원 온 되어 기설정된 제1 채널이 설정되면,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 드라마(5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채널의 드라마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40)는 화면 상단에 구비된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드라마(510)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분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510)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주로 야구 스포츠를 시청할 경우, 선호도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야구 팀 정보, 야구 리그 정보, 야구 선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청 이력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의 채널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이 같은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어느 야구 리그의 야구 경기를 선호하는지, 어느 야구 팀을 선호하는지, 야구 경기를 주로 시청하는 채널이 어느 채널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메이저리그 경기를 선호하며, 메이저리그의 야구 팀 중 제1 야구 팀의 경기를 주로 시청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복수의 채널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제1 야구 팀의 경기를 제공하는 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 채널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제1 야구 팀의 경기를 제공하고 있으면, 제어부(240)는 제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는 "야구 경기가 시작합니다. 전환하시겠습니까?"라는 안내 메시지(520)가 표시된다. 이 같은 안내 메시지(5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채널 전환과 관련하여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2 채널로 채널 전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좋아하는 야구 팀의 경기가 언제 시작하는지에 대해서 사전에 미리 확인하거나 채널 변경을 통해 확인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제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을 통해 홈쇼핑(610) 관련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홈쇼핑(610) 관련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40)는 화면 상단에 구비된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홈쇼핑(610)을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홈쇼핑(610)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제품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쇼핑(610)을 시청 중인 사용자가 주로 가전 제품 관련 홈쇼핑을 시청할 경우, 선호도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는 홈쇼핑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구매 이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 이력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의 채널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이 같은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홈쇼핑을 통해 시청한 제품 타입 및 구매 이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전자 제품 관련 홈쇼핑을 주로 시청하거나 해당 홈쇼핑을 통해 전자 제품을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현재 시청 중인 홈쇼핑(610)에서 광고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획득한다. 이 같은 구매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40)는 홈쇼핑(610) 관련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영역에 기획득한 구매 정보에 대한 구매 정보 리스트(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구매 정보 리스트(620)는 현재 홈쇼핑(610)에서 광고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제1 및 제2 온라인 쇼핑몰(621,623) 및 오프라인 매장(625)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매 정보 리스트(6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구매 정보 리스트(620)에 포함된 제1 및 제2 온라인 쇼핑몰(621,623) 및 오프라인 매장(625)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쇼핑몰 혹은 매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쇼핑(610)에서 광고하는 제품과 관련하여 별도의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게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 드라마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드라마가 디스플레이될 경우, 제어부(240)는 제어부(240)는 화면 상단에 구비된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기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자동차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경우, 선호도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자동차 모델 정보, 검색 타입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청 이력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가 자동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시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자동차(710)에 대한 키워드를 결정하고, 검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자동차(710) 관련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와 관련하여 SNS 및 웹 문서 등을 통해 노출 빈도가 높거나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를 고려하여 자동차(710) 관련된 부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관심 대상이 자동차의 가격, 연비 등에 대한 차량 정보인 경우,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에 대한 차량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와 관련하여 SNS 및 웹 문서 등에서 노출된 키워드를 고려할 경우, 제어부(240)는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에 대한 차량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차(710)에 대한 이벤트 행사, 관련 기사, 소비자 평가 등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40)는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해당 자동차(710)의 부가 정보(7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720)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드라마상에서 나오는 자동차(710)와 관련하여 자신이 관심을 갖는 차량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차(710)와 관련하여 이슈가 되는 정보(이벤트 행사, 관련 기사, 소비자 평가)까지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뉴스(810) 관련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뉴스(8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40)는 화면 상단에 구비된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뉴스(810)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시청 이력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뉴스(810)에 대한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에 포함된 재생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시청하고 있으면, 제어부(240)는 현재 재생 중인 뉴스(810)가 사용자의 관심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뉴스(810)의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뉴스(810)의 자막으로부터 '관피아'라는 키워드를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키워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키워드가 사전적 의미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 서버(20)로부터 '관피아'라는 사전적 의미의 부가 정보(820)를 획득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부가 정보(820)를 참조하여 뉴스(810) 상에서 언급된 '관피아'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뉴스 관련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뉴스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시청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현재 재생 중인 뉴스가 사용자의 관심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뉴스의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뉴스를 통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사고 영상(910)을 시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사고 영상(91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사고 영상(910)과 관련된 키워드를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키워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40)는 사고 영상(910)과 관련하여 기결정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해당 키워드가 이슈성 관련 키워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고 영상(910)과 관련된 뉴스 기사의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뉴스 기사 리스트(920)를 화면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뉴스 기사 리스트(9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언론사(921)의 뉴스 기사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제1 언론사(921)의 뉴스 기사(930)를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시청하는 뉴스를 통해 제공된 사고 영상(910)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언론사에서 제공된 뉴스 기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야구 경기(1010) 관련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현재 재생 중인 야구 경기(1010)가 사용자의 관심 대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야구 경기(1010)와 관련된 복수의 키워드 중 사용자가 좋아하는 야구 선수에 대한 키워드를 부가 정보로 제공할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의 특성에 따라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장르가 스포츠인 경우,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야구 선수와 관련하여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하여 동영상의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40)는 획득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상의 제1 영역에 "○○○ 빈볼 시비 동영상"이라는 영상 플레이 메뉴(1020)를 표시한다. 이 같은 영상 플레이 메뉴(10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제1 영역에 "○○○ 빈볼 시비 동영상"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야구 경기 뿐만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와 관련하여 이슈가 된 동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기 모드 시, 사용자의 관심 정도에 대응하는 제1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기 모드 시,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대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관심 대상에 기초하여 날씨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시간 영역 내에 속하면,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 중 날씨 관련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영역은 오전 7시부터 오전 8시이며, 현재 시간이 오전 7시 30분인 경우,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날씨 관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같은 날씨 관련 키워드가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카메라(2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기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4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날씨와 관련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식별된 사용자가 여자이며,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날씨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한 이력 정보, 패션 관련 검색 이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청 이력 정보에는 패션 관련 홈쇼핑 및 패션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시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이 패션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추출된 날씨 관련 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날씨별 의상 코디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와 관련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오늘 비가 올 예정이며, 낮 최고 기온이 29℃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날씨와 관련된 의상 코디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 주변에 사용자가 없거나 혹은 식별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로부터 날씨와 관련된 관심 대상 적용이 어려운 경우, 제어부(240)는 기추출된 날씨 관련 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기설정된 일반적인 관심 대상 조건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와 관련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오늘 날씨가 대체로 맑으며, 낮 최고 기온이 29℃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해당 날씨와 관련된 생활 지수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 지수는 빨래 지수, 운동 지수, 세차 지수, 우산 지수, 수면 지수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날씨 관련 키워드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와 같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기획득한 의상 코디(1120) 혹은 생활 지수(1210)에 대한 부가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날씨 관련 의상 코디(1120)를 참고하여 외출할 의상을 선택하거나 날씨 관련 생활 지수(1210)를 참고하여 금일 할 일을 계획할 수 있다.
한편, 의상 코디(1120) 혹은 생활 지수(1210)에 대한 부가 정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활성화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240)는 해당 임계 시간이 지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활성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소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S1310,S1320). 여기서, 외부 서버(20)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웹 문서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소스 데이터는 웹 서버 및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문서 및 SNS이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복수의 키워드가 추출되면, 전자 장치(10)는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컨텐스트 정보 중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S1330). 이 같은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은 도 1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한다(S1410,S1420). 이후,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 중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S1430).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는 기등록된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 해당 사용자의 발화 음성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거나 내부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식별 정보가 수신되거나 획득되면, 전자 장치(10)는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컨텍스트 정보는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인원, 조명, 소음 등의 주변 환경,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고려하여 음성 정보 및 얼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장르 정보, 사용자의 관심 대상에 속하는 키워드와 관련하여 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사용자의 키워드 검색 이력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 이력 정보는 각 채널별 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이력, 시청 지속 시간 이력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필 정보에 포함된 얼굴 이미지 정보, 패스워드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당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같이,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가 검출되면, 전자 장치(10)는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해당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한다(S1340). 이때, 전자 장치(10)는 기추출된 복수의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횟수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키워드로 더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키워드가 결정되면, 전자 장치(1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하여 기결정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S1350). 여기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와 관련하여 가공된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기결정된 키워드와 관련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10)는 기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하여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하여 결정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는 기획득한 부가 정보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해당 단말 장치로 출력한다(S1360). 이하에서는, 도 15를 통해 전자 장치(10)에서 기획득한 부가 정보를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 사용자와 관련된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30-1~3) 중 메인 단말 장치로 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10). 판단 결과, 제1 단말 장치(30-1)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이면,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장르 및 해당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다(S1520). 분석 결과,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전자 장치(10)는 기등록된 제1 단말 장치(30-1)를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로 부가 정보를 출력한다(S1530). 한편,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는 메인 단말 장치로 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로 부가 정보를 출력한다(S1540).
여기서, 제1 조건은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장르가 제1 장르이거나 해당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인 조건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 장르는 임의로 기설정된 장르이거나 혹은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장르 및 해당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장르가 기설정된 제1 장르이거나 해당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인 제1 조건에 해당하면, 기등록된 제1 단말 장치(30-1)를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로 부가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제2 및 제3 단말 장치(30-2,3) 중 하나의 단말 장치를 통해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 혹은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 분야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 장치(30-1)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해당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전자 장치(10)는 메인 단말 장치로 기설정된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의 카메라를 통해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인식될 경우,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30-1)로 부가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30-1)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부가 정보 혹은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 분야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전자 장치 20 : 외부 서버
30-1~3 :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 100 : 정보 제공 시스템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통신부
220 : 추출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250 : 출력부
251 : 영상 출력부 253 : 오디오 출력부
260 : 촬영부 270 : 입력부

Claims (21)

  1.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 관련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웹 문서 및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주변 환경,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키워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 장르가 기설정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의 관심 장르에 속하는 제1 장르이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인식되거나, 혹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상기 부가 정보 관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웹 문서 및 시청 중인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주변 환경, 검색 이력 정보 및 기제공된 부가 정보에 대한 반응 이력,
    상기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와 관련된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선호도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키워드 중 노출 빈도가 높은 키워드 및 검색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키워드로 결정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의 검색 타입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검색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기결정된 키워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장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장르가 기설정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의 관심 장르에 속하는 제1 장르이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장르가 제2 장르이거나, 상기 단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인식되거나, 혹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출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상기 부가 정보 관련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타 단말 장치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2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 중 상기 사용자의 관심 대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3647A 2014-05-27 2014-05-27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6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7A KR20150136316A (ko) 2014-05-27 2014-05-27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5/004470 WO2015182893A1 (en) 2014-05-27 2015-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EP15798977.3A EP3080996B1 (en) 2014-05-27 2015-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4/721,094 US20150347597A1 (en) 2014-05-27 2015-05-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7A KR20150136316A (ko) 2014-05-27 2014-05-27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16A true KR20150136316A (ko) 2015-12-07

Family

ID=5469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47A KR20150136316A (ko) 2014-05-27 2014-05-27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47597A1 (ko)
EP (1) EP3080996B1 (ko)
KR (1) KR20150136316A (ko)
WO (1) WO20151828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769A (ko) * 2017-04-11 2018-10-19 손영석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검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7805B2 (en) 2017-03-08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440963B1 (ko) * 2017-03-08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545954B2 (en) * 2017-03-15 2020-01-28 Google Llc Determining search queries for obtaining information during a user experience of an event
US11328012B2 (en) 2018-12-03 2022-05-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dynamic relationships in a storyline
KR102657519B1 (ko) 2019-02-08 202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240996A1 (ja) * 2019-05-27 2020-12-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0637A2 (en) * 2000-07-27 2004-04-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cript triggers for video enhancement
US20060212897A1 (en) * 2005-03-18 2006-09-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content of audio/video files to select advertising content for display
US7653627B2 (en) * 2005-05-13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content of an online conversation to select advertising content and/or other relevant information for display
US8209724B2 (en) * 2007-04-25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of potential interest to a user
US7783622B1 (en) * 2006-07-21 2010-08-24 Aol Inc. Identif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significant to a user
US20090070798A1 (en) * 2007-03-02 2009-03-12 Lee Hans 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iewer Attention to Media Delivery Devices
US8386311B2 (en) * 2007-04-13 2013-02-26 Google Inc. Estimating off-line advertising impressions
EP2171616A4 (en) * 2007-05-22 2012-05-02 Nuance Communications Inc KEY DATA-BASED SERVICES FOR MOBILE DEVICE MESSAGES
JP2009053757A (ja) * 2007-08-23 2009-03-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75764B2 (en) * 2007-08-24 2012-09-25 Google Inc. Recommending media programs based on media program popularity
KR100893129B1 (ko) * 2007-10-24 2009-04-15 엔에이치엔(주) 멀티 미디어 컨텐츠의 추천 키워드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76506B2 (en) * 2008-06-10 2012-05-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edictive content presentation
US20100088726A1 (en) * 2008-10-08 2010-04-08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ic one-click bookmarks and bookmark headings for user-generated videos
JP4775671B2 (ja) * 2008-12-26 2011-09-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396258B2 (en) * 2009-01-22 2016-07-19 Google Inc. Recommending video programs
US8875167B2 (en) * 2009-09-21 2014-10-28 Mobitv, Inc. Implicit mechanism for determining user response to media
US20110128288A1 (en) * 2009-12-02 2011-06-02 David Petrou Region of Interest Selector for Visual Queries
US9852156B2 (en) * 2009-12-03 2017-12-26 Google Inc. Hybrid use of location sensor data and visual query to return local listings for visual query
KR101657565B1 (ko)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2835125B (zh) * 2010-04-21 2016-11-23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用于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CN102638611B (zh) * 2011-02-15 2014-10-22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US9069880B2 (en) * 2012-03-16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on and isolation of patterns across datasets
KR101952682B1 (ko) * 2012-04-23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317910A1 (en) * 2012-05-23 2013-11-28 Vufi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Recommendations and Predicting User Intent
US8554873B1 (en) * 2012-10-05 2013-10-08 Google Inc. Custom event and attraction suggestions
KR20140046902A (ko) * 2012-10-11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US9398335B2 (en) * 2012-11-29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user engagement to provide content presentation
US9374411B1 (en) * 2013-03-21 2016-06-21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recommendations using deep data
JPWO2014174940A1 (ja) * 2013-04-22 2017-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広告表示方法
US9282364B2 (en) * 2013-09-13 2016-03-08 Ortiz And Associates Consul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imultaneous second screen video segment replay during ongoing primary screen programming
US9686581B2 (en) * 2013-11-07 2017-06-20 Cisco Technology, Inc. Second-screen TV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769A (ko) * 2017-04-11 2018-10-19 손영석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검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0996A4 (en) 2017-08-16
EP3080996A1 (en) 2016-10-19
WO2015182893A1 (en) 2015-12-03
US20150347597A1 (en) 2015-12-03
EP3080996B1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316A (ko)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1443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90151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a media content snapshot image
US20170332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different users about missed content by tailoring catch-up segments to each different user
US95100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media actions based on status of external components
US201400780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apturing attention of the user when content meeting a criterion is being presented
US119369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eference for a participant from a competition event
US95382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enabling subtitles based on user activity
US20150379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specific media assets
US20230401030A1 (en) Selecting options by uttered speech
US116361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ambiguating user input based on detection of ensembles of items
US95259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user preferences for enabling subtitles
US20150082344A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motor
CN105657510B (zh) 图像显示装置及其信息提供方法
CN111107437A (zh) 影视观后感的互动方法、系统、显示终端及可读存储介质
US20240236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eference for a participant from a competition event
CA30833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playback of a media asset in response to a verbal command unrelated to playback of the media as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